외로운 자들만이
Only the Lonely"외로운 사람들만 (내가 느끼는 길을 알라)" | ||||
---|---|---|---|---|
![]() 음반사 기념비 45-421 스캔 | ||||
싱글 바이 로이 오비슨 | ||||
Lonely and Blue 앨범에서 | ||||
B측 | "또 그 노래가 온다" | |||
출판된 | 1960년 5월 4일 (Acuff-Rose Publishments, Inc.[2] | )|||
방출된 | 1960년 5월 9일 ([1] | |||
녹음된 | 1960년[1] 3월 26일 | |||
스튜디오 | 테네시[1] 주 내슈빌의 RCA 빅터 스튜디오 B | |||
장르. | ||||
길이 | 2:27 | |||
라벨 | 기념물로421번길 | |||
작곡가 | 로이 오비슨, 조 멜슨 | |||
프로듀서 | 프레드 포스터 | |||
로이 오비슨 싱글 연대기 | ||||
|
'Only the Lonely (Know the Way I Feel)'는 로이 오비슨과 조 멜슨이 작곡한 1960년 곡이다.[3]Fred Foster for Monument Records가 제작한 오비슨의 이 곡 녹음은 이 가수의 첫 번째 주요 히트곡이었다.뉴욕 타임즈는 "악의적이고 주도적인 긴급성"[3]을 표현하고 있다고 묘사했다.1960년 5월 Mrumbit Records가 45rpm 싱글로 발표한 'Only the Lonely'는 1960년 7월 25일(브렌다 리의 'I'm Sorry'에 의해 차단됨) 미국 빌보드 대중음악 차트 2위(빌보드 R&B 차트 14위)에 올랐다.[4]'Only the Lonely'는 1960년 10월 20일 달성한 영국 1위에 올라 2주 동안(1960년 7월 28일부터 영국 싱글 차트에서 보낸 총 24주 중) 머물렀다.[5]'The Authorized Roy Orbison'에 따르면, 'Only the Lonely'는 오비슨의 생애에서 가장 긴 차트 싱글이었다.[6]원곡 녹음에는 오비슨의 드러머 래리 파크스를 비롯해 내슈빌의 레귤러, 피아노의 플로이드 크레이머, 베이스의 밥 무어, 기타의 행크 갈랜드와 해럴드 브래들리, 조 멜슨과 아니타 커 싱어스가 보컬을 맡았다.드러머 버디 하만은 세션에서 나머지 곡들을 연주했다.
개발
음악 사업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채 몇 년 후 로이 오비슨은 1958년 지인인 조 멜슨이 차창을 두드리고 협업을 제안했을 때 그의 차 안에 앉아 곡을 썼다.[7]쳇 앳킨스가 프로듀싱하면서 RCA 내슈빌을 위해 여러 곡을 녹음했는데, 이 중 두 곡만 발매가 가치 있는 곡으로 여겨졌다.[8]웨슬리 로즈는 오비슨을 기념비적인 레코드에서 프로듀서 프레드 포스터의 주목을 받게 했다.그곳에서 오비슨은 "내슈빌 사운드"를 대중화한 최초의 녹음 아티스트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오비슨은 내슈빌 기념탑 첫 세션에서 사운드 엔지니어 빌 포터가 두웁 백싱가수를 가까이에서 믹싱하는 실험을 하는 동안 '페이퍼 보이'(RCA가 이전에 거부했던 노래)를 녹음했다.오비슨은 내슈빌 사운드를 늘리기 위해 스튜디오에서 공연할 스트링 섹션을 요청했다.그 결과 녹음은 "오비슨의 스타일리시한 성향에 자유로운 고삐를 쥘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다.[9]이 조합으로 오비슨은 3곡의 신곡을 녹음했는데,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곡은 '업타운'[10]이었다.그 결과에 감명을 받은 멜슨은 나중에 "우리는 스튜디오에 서서 플레이백을 들으며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리라고 생각했다"[11]고 회상했다.하지만 '업타운'은 빌보드 탑 100에서 72위에 그쳤고, 오비슨은 어디선가 고급 나이트클럽과 계약 협상을 목표로 삼았다.
초기 1960년에, 오비 손과 조는 Melson 그들은 엘비스 프레슬리 및 에벌리 브라더스에 거절했다로 팔리려고 시도했던 하나 더 노래,"오직 외로운"을 썼다.[12](노래 새미 Cahn과 지미 반호 이젠 프랭크 시나트라에 1958년에 쓴 다른 곡"오직 론리"라고 불리는와의 혼동을 막기 위해"나는 느껴라 길을 알아라"자막 처리가 되었다.)
대신 RCA 내슈빌 스튜디오에서 '오직 외로운 사람들'을 직접 녹음해 '업타운'에 인상적인 사운드를 선사했던 현악 코너와 두웁 백싱 가수들을 활용했다.[1][13]그러나 이번에는 사운드 엔지니어 빌 포터가 완전히 새로운 전략을 시도했다. 즉, 아래에서 위로가 아닌 위에서 아래로 믹스를 만드는 것, 전경에 가까운 백 보컬로 시작하는 것, 그리고 뒤에서 부드러운 리듬 섹션으로 끝나는 것.[10][14]이 조합은 오비슨의 트레이드마크 사운드가 되는 것이었다.[15]
녹음에는 오비슨이 때린 가성음도 담겨 놀라울 정도로 강렬한 음성을 선보였다.전기 작가 앨런 클레이슨에 따르면, 그것은 "그의 목에서 온 것이 아니라 더 깊은 내면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16]이 곡은 당시 대중음악의 전형적인 시-초러스 형태 구조와 다른데, 그 당시 남성적인 연주는 드물게 감정적인 표현으로 구성되고 절정으로 떨어졌다.[17]
이 싱글샷은 빌보드 핫 100에서 2위를 차지했고 영국, 아일랜드, 호주에서 1위를 기록했다.오비슨에 따르면, 그와 멜슨은 오비슨의 목소리를 염두에 두고 작곡을 시작했는데, 특히 그 범위와 파워를 보여주기 위해서였다고 한다.그는 1988년 롤링스톤에게 [내 목소리] 소리가 좋았다.노래를 시키고, 목소리가 울리도록 하는 게 좋았고, 그냥 계속 했다.그리고 "오비 두비"와 "외로운 자만"의 시간 사이 어딘가에서 그것이 일종의 좋은 목소리로 변했다고 생각한다.[18]즉시 오비슨은 수요가 많았다.그는 아메리칸 밴드스탠드에 출연해 팻시 클라인과 함께 3개월 동안 쉬지 않고 미국을 순회했다.프레슬리는 자신이 거절한 노래인 '외로운 자만'을 처음 들었을 때 친구들에게 나눠줄 레코드 상자를 샀다.[19]
커버 버전
1969년 컨트리 가수 소니 제임스가 이 곡을 녹음하여 빌보드 컨트리 음악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20]
대중문화에서
- 오비슨의 노래 버전은 The Love Letter (1999년)와 Only the Lonely (1991년)를 포함한 영화에 사용되었다.[21]
- Bruce Springsteen referred to the song in his 1975 song "Thunder Road", and when inducting Orbison into the Rock and Roll Hall of Fame in 1987, Springsteen said, "In '75, when I went into the studio to make Born to Run, I wanted to make a record with words like Bob Dylan that sounded like Phil Spector, but most of all I wanted to sing like Roy Orbi스프링스틴은 원래 오비슨의 노래가 라디오를 통해 흘러나오는 것에 이어 알람시계로 앨범을 시작하려고 했다.[22]
참조
- ^ a b c d Weize, Richard (2001). Orbison 1955-1965 (7-CD Deluxe Box Set) (booklet). Bear Family Records. BCD16423. Retrieved 2021-10-11.
- ^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1960).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1960 Music Jan-June 3D Ser Vol 14 Pt 5. United States Copyright Office. U.S. Govt. Print. Off.
- ^ a b Holden, Stephen (January 1, 1989). "POP VIEW; The Man With the Blue Velvet Voic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y 20, 2010.
- ^ Whitburn, Joel (2004). Top R&B/Hip-Hop Singles: 1942-2004. Record Research. p. 443.
- ^ "Orbison's widow sues film makers". BBC News. January 1, 2002. Retrieved May 20, 2010.
- ^ Orbison, Roy, Jr.; Wesley Orbison; Alex Orbison; Jeff Slate (2017). The authorized Roy Orbison. New York. ISBN 978-1-4789-7654-7. OCLC 1017566749.
- ^ 클레이슨, 앨런 "Only the Lonely: the Roy Orbison Story" 페이지 68–69.
- ^ 잭, 알빈 "아무도 아닌 것 같네"1950년대 미국의 리메이킹 음악" 페이지 32.
- ^ 잭, 32-33페이지
- ^ a b 리먼, 페이지 48.
- ^ 클레이슨, 앨런, 70-71페이지.
- ^ 암번 페이지 91.
- ^ 잭, 페이지 35.
- ^ 프레머, 마이클(2006년 1월 1일).엘비스와 로이를 레전드 스튜디오 위즈 빌 포터와 함께 녹음 — 파트 2, MusicAngle.com.2011년 2월 8일에 검색됨
- ^ 잭, 페이지 35."
- ^ 클레이슨, 77쪽
- ^ 리먼, 피터 "로이 오비슨:얼터너티브 록 남성성의 발명" 페이지 70
- ^ 로이 오비슨, 로큰롤 명예의 전당(2007)2009년 5월 21일에 회수되었다.
- ^ 암번, 98쪽
- ^ Whitburn, Joel (2004). The Billboard Book Of Top 40 Country Hits: 1944-2006, Second edition. Record Research. p. 172.
- ^ Rohter, Larry (July 8, 1991). "In Movies, a Formula Is Born: Hitching One's Star to a Song".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y 20, 2010.
- ^ 바커, 데릭(2009)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쥬크박스에 대한 라이너 노트: 남자에게 영감을 준 노래 [CD]크롬 드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