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파낙
Opanak오판치는[a] 남동유럽(특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그리고 루마니아와 알바니아)에서 신는 전통적인 농민 신발이다. 오판시(복수로 이름)의 속성은 가죽의 구성, 끈의 부족, 내구성이 있으며 발가락에 다양한 결말을 맺는 것이다. 세르비아에서는 이 특정한 디자인이 세르비아만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발가락에 뿔처럼 생긴 결말의 디자인은 원산지를 나타낸다. 오판치는 발칸 지역의 사람들에게 전통적인 농민 신발로도 여겨진다. 불가리아에서는 그들을 "타르불리"라고 부른다.
어원
세르보-크로아티아어 ò파나크/코바스찬뿐 아니라 불가리아어 및 마케도니아어 오피노크/코바스찬도 궁극적으로 프로토-슬라브어 *opьnъkъ에서 유래한다.[1] 프로토슬라브 *opopnъkъ는 다음 부분으로 구성된다.[1]
- 최종 *b가 동화되고 결과적으로 보석이 된 자음 군집 *p로 단순화된 전치사 *o(b)- "around, on 등"
- *-pьn-, 강한 저어(Jerbo-Croatian -pan-)로 /a/를 발음한다. *pьn- is the ablaut form of the root of the verb *pęti (from earlier *pen-ti), originally meaning "to extend, stretch, strain" (cf. modern standard Serbo-Croatian verbs conveying the same notion such as nàpēti/на̀пе̄ти, pròpēti/про̀пе̄ти, ràspēti/ра̀спе̄ти, pòpēti/по̀пе̄ти..), but subsequently coming to mean "to climb" (whence the meaning of modern 표준 Serbo-Croatian pȇti/петт, penjati/пѐbasa).
- *-ъkъ, 슬라브어 접미사
그래서 말 그대로, pan파낙은 대략 "굽는 신발"[2] 또는 " 늘어진 (동물 가죽)으로 만든 신발"을 의미할 것이다.
역사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2500년에 게토다키아인들이 신었던 가죽 신발의 발자국을 발견했다. 로마의 트라얀스 컬럼에는 이런 종류의 가죽 신발을 신고 있는 데이키안들이 등장한다. 고고학적 발견은 지역 주민들이 야생 사냥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우, 사슴, 오소리, 늑대, 곰, 그리고 그들의 가죽은 나중에 제조되었다. 귀족들은 게임 스킨 슈즈를 신었고, 가난한 사람들은 송아지 가죽이나 돼지 가죽을 신었을 것이다.[3][better source needed] 과거에 전통 신발은 집에서 가공한 가죽으로 수공예로 제작되었다. 가죽 조각은 밑창보다 더 커야 했고, 옆구리에 구멍이 뚫려 얇은 가죽 끈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가죽 조각을 발에 감싸서 신발의 형태를 갖추게 했다. 삐죽삐죽한 폼이 그것을 날카롭게 팁을 주었다. 그것들은 양모 스타킹이나 하얀 옷 조각 위에 입힐 것이다. 요즘은 민속 무용단이나 민속 예술가들이 전통 의상의 일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4]
50년 전까지만 해도 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등의 시골 지역에서 착용했다.[5] 오늘날에는 민속 의상, 민속 무용 앙상블, 축제, 축제일 또는 다른 문화 행사에만 사용된다.
2006년 이후 기네스북에 오른 세계에서 가장 큰 오파낙은 세르비아 브르냐치카 반자 출신의 오판차르 슬라브코 슈트루가레비치가 만든 3.2m 크기 450kg, 무게 222kg의 신발이다.[6]
지역 품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글래모치케
- 헤르체고바치케
불가리아
- 북 - 오핑키 또는 중서부 샤르불리: 무딘 끝이 발에 묶인 가죽 샌들, 긴 끈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가죽 샌들. 이것들은 둥근 다리를 감싼 모직 천 조각 위에 걸쳐져 있었다.
- 19세기 후반부터 양말과 에미니, 또는 칼레브리라고 불리는 가죽 구두를 신었다.
크로아티아
오판치는 크로아티아 국가 복장의 일부 변형이다.
- 판노니아
- 발을 덮는 넓은 밑창으로 만든 오판치는 발가락을 덮는 윗부분으로 원래 긴 가죽끈으로 발과 다리를 둥글게 묶었다. 전쟁 기간 동안, 버클이 달린 오판키가 처음 등장했고, 아직도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남성들에 의해 착용되고 있다.
- 슬라보니아
- 가죽 샌들은 크로아티아 북부 전역에서 남성들과 여성들이 신었지만, 후에 가벼운 낮은 자수로 수놓은 신발이나 부츠로 대체되었다. 농민 샌들은 1900년경에 일반용에서 벗어났다.
- 디나릭 알프스
- 오푸타시(Oputasi) 또는 프리플텐자키(pripletenjaci)는 다듬지 않은 가죽으로 만들어 발바닥의 모양을 만들고, 양 내장으로 만든 레이스나 오푸타(Oputa)라고 불리는 양 가죽을 사용하여 가장자리를 위로 접고 레이스로 만들었다. 오판키의 윗부분은 내장과 가죽의 끈을 묶어서 만들었다. 발뒤꿈치에서 밑창은 긴 가죽 끈으로 끝나는 직조 부분까지 이어져 오판치를 발에 묶는 데 사용되었다. 이것들은 스타킹 위에 걸쳐져 있었다. 오판치는 원래 집에서 만들어졌고, 그 다음엔 마을 제조업자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나중에는 작은 마을의 전문 오판키 제조업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 리카에서는 끈 대신 흰색 코드를 사용했다. 이 오판치는 남자들에 의해 착용되었다.
- 아드리아 리토랄, 코나블
- 콘두레라고 불리는 빨간 가죽 슬리퍼는 여름에 여성들이 신었다. 남자들은 이것이나 오판시 옵투타시(끈이 달린 오판시)를 입었다.
- 사바 계곡
- 매일 착용할 수 있는 발 천이 있거나 없는 오판시, 겨울에 착용하는 부츠, 습한 날씨 및 특별한 경우.
그리스
몬테네그로
- 니키시크에서는 끈 대신 흰줄이 사용되었다. 이 오판치는 남자들에 의해 착용되었다.
북마케도니아
- 스코프스카 크르나 고라
- Opanci s의 오푸티체: 황소 가죽이나 돼지 가죽으로 만든 꼬인 삼끈으로, 꼬인 삼끈으로 묶었다.
- Opanci의 레메니: - 신발 제조업자들이 황갈색 가죽으로 만들어 축제 때 착용한, 인스테프 위에 끈이 고정되어 있는.
루마니아
- 루마니아에서 이 신발은 오피니언으로 알려져 있다. 시골의 "오핀카"는 직사각형의 가죽이나 고무로 만들어졌고, 얇은 현("노지jie")의 도움으로 발에 조여졌다. 오피니언시를 만드는 수공예는 가정에서 아버지에서 아들에게로 전수되었다. 1989년 이전에 사람들은 정말로 그것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7]
세르비아
오판치는 세르비아의 국가 상징이자 세르비아의 국가 복장의 일부로 알려져 있다.
- 슈마디자
- 슈마디스키 오파나크 클주놈(Shiljkani)이라고도 알려진 슈마디스키 오파나크 스클주놈: 발가락에 최고점이 있는 구두.
- 슈마디스키 오파나크 베즈 클주나: 발가락에 피크가 없는 구두.
- Kacherski opanak 또는 Stariji Schumadijski opanak (Old Shumadijan opanak): 등받이가 낮고 앞쪽이 굽은 봉우리, 앞쪽 윗부분이 직조되고, 등받이가 낮고 가죽끈이 매어져 있다.
- 동서남북
- 크르베니 오판치(붉은 오판치): 반쯤 그을린 황소 가죽으로 만들어 뜨거운 물에 살갗을 담가 붉게 물들였다가 마지막에는 껍질이 모양을 내고, 가죽 끈으로 끈으로 발에 묶은 직조된 앞부분을 만들었다. 이것들은 19세기 중반 보스니아에서 입양되었고 세르비아 서부와 북부 전역에서 착용되었다. 생산은 1900년까지 작업장으로 옮겨졌고 그을린 가죽이 사용되었다. 1870년부터 도나시 또는 샤바치키 오판시라고 불리는 빨간 오판시가 가장 흔히 착용되었다.
- 기타품종
- Vrnchani Opanci: 황갈색 가죽으로 만들어졌고 작업용으로 착용했다.
- Opanci šonashi: 19세기 말에 나타났으며, 참나무 사과, 수맥, 향나무 껍질 등 태닝에 사용되는 식물에 따라 황색과 갈색의 다양한 색조로 그을린 가죽으로 만들어졌다. 이것들은 밑창(세르비안: đon), 윗부분, 주름끈, 신발 끈을 묶기 위한 가죽 끈이 있다.
- Vlashki (Vlach opanci): 가죽 조각이 줄을 사용하여 둥근 발을 모았다.
- Kosmajski opanak (Kosmaj opanci): 앞부분이 곱슬곱슬하고, 윗부분이 짜여져 있고 뒤쪽에 가죽끈이
- 쇼프스키 (쇼피 오판치)
- 크르벤자시(빨간색)
- 샤바치키(샤바크 출신)
- 발예프스키 (발예보 출신)
- 우지치키 (우지체 출신)
- 콜루바르스키(콜루바라 지역 출신)
- 모라브스키 (벨리카 모라바 지방 출신)
- 노스케 (스노우트)
- Mrki (갈색)
- 킬라시 (킬로[clarification needed] 원)
- 쿠키차리 (고리가 달린 것)
- 토치카시(Tire ones): 제2차 세계 대전 후, 오래된 타이어
참고 항목
메모들
- ^ It is known as Opanak (Опанак) in Serbo-Croatian, Opinok (Опинок), in singular; Opanci, Opanke (Опанци, Опанкe) in Serbo-Croatian, Opinki (Опинки) in Bulgarian, Opinci (Опинци) in Macedonian, in plural. There are also other names such as Bulgarian tsarvuli (цървули), vryavchanki (връвчанки), kalevri (калеври). 이 단어는 또한 루마니아어로 오피니언으로, 알바니아어로 오피니언으로 채택되었다.
참조
- ^ a b Skok, Petar (1972), Etimologijski 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knjiga druga: K-poni, 2, Zagreb: Jugoslavenska akademija znanosti i umjetnosti, p. 651
- ^ V. Anić; et al. (2004). Hrvatski enciklopedijski rječnik. 7. Zagreb: Jutarnji list. ISBN 953-6045-28-1.
- ^ "Opinca românescă". Etnografie si folclor in zona Hârlău. 2013-08-15. Retrieved 2016-12-19.
- ^ "O INVENȚIE PE ZI Opincile – AGERPRES". www.agerpres.ro. Retrieved 2016-12-19.
- ^ Eliznik.org.uk, 남동유럽 의상, 농민 샌들
- ^ Smedia.rs, Napravio najvechi opanak na svetu! (세르비아어)
- ^ "Alexandru Gheorghe Ilinca și opincile dac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