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베이
Ordnance Survey웨일스어: Arolwg Ordnans | |
![]() | |
대리점개요 | |
---|---|
형성된 | 1791 |
관할권. | 그레이트브리튼[Notes 1] |
본부 | 영국 사우샘프턴 50°56'16 ″N 1°28'17 ″W / 50.9378°N 1.4713°W |
직원들. | 1,244 |
책임장관 | |
대리점임원 | |
모기관 | 과학혁신기술부 |
웹사이트 | www |



조례 조사 (OS)는 영국의 국가 지도 제작 기관입니다.[3] 이 기관의 이름은 1745년 자코바이트족이 부상한 후 스코틀랜드를 지도로 만들기 위한 군사적 목적(조례 및 측량 참조)을 나타냅니다. 또한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잠재적인 침략 위협에 비추어 볼 때, 보다 일반적이고 국가적인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2015년 4월 1일부터 조례조사는 100% 공공소유의 정부 소유 기업인 조례조사 주식회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조례 조사 위원회는 과학, 혁신 및 기술부 장관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Public Data Group의 일원이기도 했습니다.
종이 지도는 회사의 연간 수익의 5%에 불과합니다. 디지털 지도 데이터, 온라인 경로 계획 및 공유 서비스 및 모바일 앱, 그리고 기업, 정부 및 소비자를 위한 다양한 위치 기반 제품을 생산합니다. 일반적으로 Ordnance Survey 매핑은 "대규모"(즉, 보다 상세함) 또는 "소규모"로 분류됩니다. 설문조사의 대규모 지도는 도시 지역에 대한 1:2,500개의 지도와 일반적으로 1:10,000개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후자는 1950년대에 1:10,560 "6인치에서 마일까지" 척도를 대체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지도는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토지 사용 상황에서 사용되며 1980년대까지 시트로 제공되었습니다. 레저용 소규모 지도에는 1:25,000 "익스플로러" 시리즈, 1:50,000 "랜드레인저" 시리즈 및 1:250,000 로드 맵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시트 형태로 제공됩니다.
조례 조사 지도는 출판 후 50년 동안 저작권을 유지합니다. Copyright Libraries 중 일부는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사전 디지털 OS 매핑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역사
오리진스


서베이의 기원은 1745년 자코바이트 봉기의 여파에 있습니다.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왕자는 영국군이 재판에 회부될 수 있도록 11대 로바트 경 사이먼 프레이저와 같은 자코바이트 반대자들을 찾기 위해 스코틀랜드 고지의 지도를 잘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4] 1747년 데이비드 왓슨 중령은 씨족을 복속시키기 위해 고지대 지도를 편찬할 것을 제안했습니다.[5] 이에 대해 조지 2세는 왓슨에게 컴벌랜드 공작의 지휘 하에 고지를 군사적으로 조사한 혐의를 적용했습니다. 왓슨의 조수 중에는 윌리엄 로이, 폴 샌디, 존 맨슨이 있었습니다. 이 조사는 1인치에서 1,000야드(1:36,000)[6]의 규모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영국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컴벌랜드 공작의 지도"(주로 왓슨과 로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7]
로이는 후에 왕립 기술자(RE)에서 뛰어난 경력을 쌓았고, 장군으로 올라섰고, 프랑스와 영국 왕실 관측소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 영국의 몫을 크게 담당했습니다. 이 작업은 영국의 주요 삼각법(1783-1853)의 출발점이 되었고, 조례 조사(Ordnance Survey) 자체의 창설로 이어졌습니다. Roy의 기술력과 리더십은 Ordnance Survey가 알려지게 된 높은 기준을 세웠습니다. 본격적인 작업은 로이의 감독하에 1790년(오늘날 국방부의 일부의 전신) 영국 남해안을 시작으로 국가 군사 조사를 시작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오늘날 사우스 라나크셔의 칼루케 근처에 있는 로이의 생가에는 커다란 OS 삼각점 형태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8]
1791년에 이사회는 더 새로운 람스덴 테오돌라이트(Ramsden theodolite, 로이가 1784년에 사용했던 테오돌라이트의 개선된 후속 모델)를 받았고, 로이 자신이 이전에 측정했던 하운슬로 히스의 5마일(8km) 기준선을 사용하여 영국 남부의 지도를 그리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현재의 히드로 공항을 가로지릅니다. 1991년, 로얄 메일은 켄티시 햄스트릿 마을의 지도를 담은 우표 세트를 발행함으로써 200주년을 기념했습니다.[9]
1801년, 최초의 1인치-투-마일(1:63,360 눈금) 지도가 출판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에식스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켄트 지도는 비공개로 출판되어 카운티 경계에서 중단된 반면 에섹스 지도는 Ordnance Survey에 의해 출판되어 카운티 경계를 무시하여 향후 Ordnance Survey 지도의 추세를 세웠습니다.[10]
그 후 20년 동안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약 3분의 1이 윌리엄 머지의 지휘 하에 같은 규모로 지도에 그려졌습니다. (영국의 삼각주 공국 참조) 다른 군사적 문제들이 우선이었기 때문입니다. 로이가 1787년에 조사한 프랑스의 조사와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는 1823년까지 걸렸습니다. 1810년까지, 영국 남부의 대부분의 1인치에서 1마일까지의 지도는 완성되었지만, 그것들은 보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1811년과 1816년 사이에 판매에서 철회되었습니다.[11] 1840년까지 1인치짜리 조사는 웨일즈 전역과 영국 최북단 6개 카운티를 제외한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했습니다.[12]
측량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1819년, 가장 오래 근무한 무기조사국 국장 토마스 콜비 소령은 정찰을 위해 22일 동안 586마일(943km)을 걸었습니다. 1824년 콜비와 그의 직원 대부분은 아일랜드로 이주하여 6인치에서 마일(1:10,560)까지의 가치 평가 조사를 했습니다. 아일랜드의 카운티별 조사는 1846년에 완료되었습니다.[13] 그것이 아일랜드 시골에서 야기한 의혹과 긴장은 브라이언 프리엘의 희곡 번역의 주제입니다.
콜비는 전문 측정 장비의 설계에만 관여한 것은 아닙니다. 그는 또한 체계적인 지명 모음을 확립하고 지도 제작 과정을 개편하여 명확하고 정확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지명은 아일랜드에서 처음 사용된 시스템인 "[14][15]이름책"에 기록되었습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그들이 접근할 수 있는 최고의 당국과 열심히 상담하여 정확한 지명의 맞춤법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각 장소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철자대로 삽입하고, 책, 글 등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철자법을 두 번째 칸에 삽입하고, 세 번째 칸에는 권한을 반대로 배치합니다.
이러한 절차는 일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낳았지만, 실수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북하류의 순례자의 길은 잘못된 경로를 표시했지만 이름이 붙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스카펠과 스카펠 파이크의 철자는 이전 지도의 오류를 모방했고,[16] "스카펠"이 당시 거의 보편적인 형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삼각형의 한 모서리의 이름이었기 때문에 유지되었습니다.[17][18][19]
콜비는 앞에서 앞장서서 그의 부하들과 함께 여행하고, 캠프를 건설하는 것을 도왔고, 각 설문 조사 세션이 거대한 자두 푸딩으로 산 정상의 파티를 마무리하는 것을 도왔습니다.[20]

영국 지질조사국(British Geological Survey)은 1835년 헨리 데 라 베체(Henry De la Beche)의 지휘 하에 설립된 영국 지질조사국(Ordance Geological Survey)으로 1965년까지 설립되었습니다. 동시에 벤자민 베이커 밑의 판화가들에 의해 영국 지도와 스코틀랜드 지도의 고르지 못한 품질이 개선되고 있었습니다. 1846년 콜비가 은퇴할 무렵, 아일랜드의 6인치 지도 제작은 완료되었습니다. 이것은 영국에서 비슷한 대우에 대한 요구로 이어졌고, 6인치 지도를 영국 북부까지 확장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지만, 스코틀랜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3인치 크기에 불과했습니다.[21]
콜비가 은퇴할 때 윌리엄 욜랜드를 후계자로 추천했지만, 그는 너무 어리다는 평가를 받았고 경험이 부족한 루이스 알렉산더 홀을 임명했습니다.[22] 런던탑에서 화재가 발생한 후, 조사의[23][24] 본부는 1841년에 군인 고아원(왕립군애로원)이 이전에 사용했던 건물들을 인수하여 사우샘프턴으로 옮겨졌고, 욜랜드가 책임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홀은 그를 아일랜드로 보내어 홀이 1854년에 떠날 때 욜랜드는 다시 헨리 제임스 소령에게 유리하게 넘겨졌습니다. 홀은 영국 북부의 조사를 1:2,500의 척도로 확장하는 데 열정적이었습니다. 1855년, 기무위원회는 폐지되었고, 기무조사는 지형조사, 군사지식 창고와 함께 전쟁실 산하에 놓였습니다. 결국 1870년에 그것은 직장 사무소로 옮겨졌습니다.[25]
1841년까지 로이, 머지, 욜랜드 왕국의 1차 삼각측량이 완성되었지만, 1858년에 에어리의 구상에 기초한 새로운 조사를 완료하고 주요 삼각측량을 완료한 알렉산더 로스 클라크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26] 다음 해, 그는 나라의 초기 수준을 완성했습니다.[27]
그레이트브리튼 "카운티 시리즈"
의회법 | |
![]() | |
롱타이틀 | 영국, 베르윅 온 트위드 및 맨섬에 대한 측량 완료를 승인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법률. |
---|---|
인용 | 4 & 5 승 c 30 |
날짜 | |
로얄 어센션 | 1841년 6월 21일 |
상태: 부분적으로 폐지됨 | |
원래 제정된 법조문 | |
legislation.gov.uk 에서 오늘날 영국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1841년 조례 조사법(개정안 포함) 텍스트. |

1830년대 중반에 Ordnance Survey가 아일랜드의 첫 번째 대규모 지도를 출판한 후, 1836년 타이트 법은 영국과 웨일즈의 마일 조사와 비슷한 6인치 크기의 지도를 요구하게 만들었습니다. 공식적인 미루기가 뒤따랐지만 철도의 발달은 1841년 조례 조사법이라는 결과를 초래한 압박에 더해졌습니다.[28] 이를 통해 조사 목적으로 부동산을 입력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되었습니다. 1841년[29] 런던 타워에서 본사 화재가 발생한 후, 서던 서베이는 사우샘프턴의 한 부지로 이전하여 몇 년 동안 어떤 규모의 건물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혼란에 빠졌습니다. 당시 소장이었던 헨리 제임스 경은 사진이 다양한 눈금의 지도를 싸고 쉽게 만드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보았습니다. 그는 지도 제작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중요한 원고의 팩시밀리를 출판하기 위해 포토진그래피를 개발하고 활용했습니다. 1861년에서 1864년 사이에, 돔스데이 북의 팩시밀리가 카운티별로 발행되었고, 1870년에 Gough Map의 팩시밀리가 발행되었습니다.
1840년대부터 서베이는 초기 아일랜드 서베이를 모델로 한 그레이트 브리튼 "카운티 시리즈"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전국을 카운티별로 6인치에서 마일(1:10,560)로 매핑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1854년, "25인치" 지도는 1:2500 (마일당 25.344인치)의 눈금으로 소개되었고, 6인치 지도는 이 25인치 지도에 기초를 두었습니다. 1890년대까지 두 개의 음계의 첫 번째 판이 완성되었고, 두 번째 판은 1890년대와 1900년대에 완성되었습니다. 1907년부터 1940년대 초까지 세 번째 개정판(또는 "두 번째 개정판")이 시작되었지만 완료되지는 않았습니다. 지상에 중요한 변화가 있는 지역만 두 번 또는 세 번 개정되었습니다.[30][31] 한편, 영국을 위한 1인치 마일 시리즈의 출판은 1891년에 완성되었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OS는 군 시리즈 지도와 전쟁 사무소 목적의 기타 전쟁 시트의 많은 "제한된" 버전을 제작했습니다. 여기에는 조선소, 해군 설치, 요새 및 군사 캠프와 같은 군사적 중요성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된 다양한 대규모 스케일이 포함됩니다. 1930년대의 군축 회담 기간 중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 이 지역들은 표준 지도상에 공란이나 불완전한 채로 남겨졌습니다. 전쟁부 1:2500년대는 일반적인 이슈와는 다르게 윤곽이 잡혔습니다. 분류가 해제된 시트는 현재 저작권 도서관 일부에 보관되어 있어 2차 세계대전 이전 영국의 지도 사진을 완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시와 도시의 지도, 19세기와 20세기 초
1824년부터 OS는 세금을 목적으로 아일랜드에 대한 6인치(1:10,560) 조사를 시작했지만 도시 지역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아일랜드 도시와 마을에는 5피트(1:1056) 척도를 채택했습니다.[32] 1840년부터 영국에서 조사되지 않은 북부 카운티에 대해 6인치 표준이 채택되었고 1:1056 척도도 도시 조사에 채택되기 시작했습니다.[32] 1842년에서 1895년 사이에 약 400개의 마을이 1:500 (126 인치), 1:528 (120 인치, "10 피트 스케일") 또는 1:1056 (60 인치)로 지도에 표시되었고, 나머지 마을은 1:2500 (~25 인치)로 지도에 표시되었습니다.[33] 1855년에 재무부는 농촌 지역에 1:2500, 도시 지역에 1:500의 자금 지원을 승인했습니다.[34] 1:500 규모는 1:528보다 '합리적'으로 여겨졌고, 주 하수도와 상수도 설치를 지원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기 때문에 '위생적 규모'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34] 그러나 1892년에 시행된 조례 조사의 검토 결과, 1:500 시리즈 지도의 판매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무부는 이 규모의 수정이나 새로운 지도는 반드시 자체 자금 조달이 되어야 한다고 선언했습니다.[35] 1909년까지 업데이트 비용을 지불한 곳은 14곳에 불과했습니다.[36][37] 검토 결과 1:2500 매핑의 수정은 한 걸음 진행되어야 한다고 결정되었습니다.[38]
런던의 가장 상세한 지도는 1862년에서 1872년 사이에 OS가 1:1056으로 조사한 것으로, 수도를 커버하는 데 326장이 소요되었으며,[39] 1891년에서 1895년 사이에 두 번째 판(도시 확장으로 인해 759장이 필요함)이 완성되어 공개되었습니다.[39] 런던은 1900년에 소유권 이전에 대한 토지 등록이 의무화되었다는 점에서 특이했습니다.[40] 1:1056 시트는 HM Land Registry 인덱스 맵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정되었으며 OS는 런던 카운티 카운슬 지역 전체를 국가 비용으로 매핑했습니다(1:1056).[40] 2016년 GB1900 프로젝트는 영국의 오픈 라이선스 가제트를 크라우드소싱하기 위해 제2판의 지명을 사용했습니다.[41]
1911년 이후부터, 그리고 주로 1911년과 1913년 사이에 Ordnance Survey는 토지 평가와 내국세 수입 목적을 위해 건물 면적을 1:1250(마일당 50.688인치)까지 포함하는 많은 1:2500장을 사진으로 확대했습니다: 증가된 규모는 주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40] 이 1:1250의 약 4분의 1은 "1912/13 부분 개정"으로 표시되었습니다. 1:2500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부분적으로 수정된 "50인치" 시트가 카운티 시리즈의 마지막 대규모 수정(6인치 이상)을 나타냅니다. 카운티 시리즈 지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1250s, 1:2500s 및 1:10,560s로 대체되었습니다.[30]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서베이는 프랑스와 벨기에의 지도를 준비하는 데 참여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다음을 포함하여 더 많은 지도들이 만들어졌습니다.
- 1:40,000 벨기에 앤트워프 지도
- 벨기에 브뤼셀 1:10만 지도
- 1:5,000,000 남아공 지도
- 1:250,000 이탈리아 지도
- 프랑스 북동부 1:50,000 지도
- 1:30,000 네덜란드 지도와 독일군이 점령한 구역의 원고 개요.
전쟁이 끝난 후, 당시 국장이었던 찰스 클로즈 대령은 엘리스 마틴이 디자인한 커버를 사용하여 레저 시장의 판매를 늘리기 위한 전략을 개발했습니다. 1920년 O.G.S. 크로포드는 고고학 책임자로 임명되었으며 고고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항공 사진의 사용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922년 북아일랜드의 발전으로 북아일랜드 조례조사(OSNI)가 만들어졌고 아일랜드 자유국의 독립으로 아일랜드 조례조사(Ordnance Survey of Ireland)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원래의 조례조사는 그 범위를 다시 영국으로 가져갔습니다.
1935년, 데이비드슨 위원회가 설립되어 서베이의 미래를 검토했습니다. 말콤 맥레오드 신임 소장은 영국의 리트라이앵글레이션을 시작했는데, 이는 테오돌라이트의 실수 없는 위치로서 중요한 언덕 꼭대기에 콘크리트 삼각형 기둥("트리포인트")을 세우는 것을 포함하는 거대한 작업이었습니다. 리트라이앵글레이션 동안 테오돌라이트에 의해 측정된 각 측정은 32회 이상 반복되었습니다.
데이비드슨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20세기를 위한 조례 조사를 정했습니다. 미터법 국가 그리드 참조 시스템이 시작되었고 1:25000 규모의 지도 시리즈가 도입되었습니다. 1인치 크기의 지도는 1970년대까지 계속 제작되었으며, 그 때 윌리엄 로이가 제안한 1:50000 규모의 지도로 대체되었습니다.
무기 조사소는 사우샘프턴의 중심부에 있는 부지를 더 이상 확장하지 않았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폭탄 피해로 인해 더 악화되었습니다). 1940년 11월, 블리츠 기간 동안의 폭격으로 사우샘프턴은 파괴되었고, 서베이의 도심 사무실 대부분이 파괴되었습니다.[42][43] 직원들은 다른 건물과 서리주의 체싱턴과 에셔에 있는 임시 숙소로 분산되었고, 그곳에서 그들은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그리고 나머지 유럽 대부분의 지역의 1:25000 축척 지도를 제작했습니다. 1969년까지 서던스 서베이는 사우샘프턴 시의 본부와 인근 메이부시 교외의 임시 건물에 주로 남아 있었는데, 메이부시에 전시 임시 건물에 인접한 새로운 목적으로 지어진 본부가 문을 열었습니다. 원래 사우샘프턴 도심 부지의 남아있는 건물들 중 일부는 현재 시의 법원 단지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본사 건물은 공공 건축 공사부에 의해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 징집공과 측량사로 부임한 많은 신입사원들을 포함한 4000명의 직원들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이 건물들은 원래 헬리오진코그래피와 지도 인쇄와 같은 사진 공정을 위한 공장 바닥 공간과 평면 지도를 보관하기 위한 대형 건물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산업 지역 위에는 광범위한 사무실 지역이 있었습니다. 그 단지는 콘크리트 벽화로 유명했습니다. 조각가 Keith McCarter의[44] Cheastral과 직원 식당 건물 위에 있는 콘크리트 타원형 포물선 껍질 지붕.
1995년, 영국은 약 23만 개의 지도 중 마지막 지도를 디지털화했고, 이로써 영국은 대규모 전자 지도 프로그램을 완성한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되었습니다.[20] 1990년대 후반까지 기술 발전으로 지도를 보관하고 손으로 인쇄판을 만드는 데 방대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1960년대에 서베이(Ordnance Survey)에 작은 컴퓨터 섹션이 있었지만, 디지털화 프로그램은 대규모 지도 인쇄의 필요성을 대체했고, 컴퓨터 대 플레이트 기술(단일 기계 형태)은 사진용 플레이트 제조 영역을 더 이상 쓸모없게 만들었습니다. 후자의 일부는 2000년에 새로운 컨퍼런스 센터로 전환되었고, 내부 행사에 사용되었으며 외부 기관에서도 고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0년에 조례 조사는 행정 기관이 되었고, 이 기관은 장관의 통제로부터 독립되었습니다.[45] 1999년에 이 기관은 상품에 대한 비용을 청구함으로써 비용을 충당하고 수익의 일부를 재무부에 송금하도록 요구되는 무역 기금으로 지정되었습니다.[46]
21세기


2010년 OS는 인쇄 및 창고 운영을 아웃소싱하여 200년 이상의 사내 인쇄를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20][47] Frome에 기반을 둔 Butler, Tanner and Dennis(BT&D)는 인쇄 계약을 확보했습니다.[48]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지리정보시스템(GIS)이 보편화된 이후로 조례조사에서는 대규모 지도가 인쇄되지 않았지만, 2010년 말까지 OS 익스플로러와 OS Landranger 시리즈가 메이부시에서 인쇄되었습니다.
2009년 4월 사우샘프턴 외곽에 위치한 아다낙 공원에 새 본사를 짓기 시작했습니다.[49]
2011년 2월 10일까지 사실상 모든 직원들이 새로운 "익스플로러 하우스" 건물로 이전했고, 이전 부지는 매각되어 재개발되었습니다. 필립공은 2011년 10월 4일에 공식적으로 새로운 본부 건물을 열었습니다.[50]
2015년 1월 22일, 이 회사는 무역 펀드 모델에서 정부 소유 유한 회사로 이전할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2015년 4월에 이전이 완료되었습니다. 이 조직은 영국 정부가 전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공공 조직의 많은 기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51][52]
2015년 9월 BBC 포 TV 다큐멘터리 "아주 영국 지도: 영국 지도 조사 이야기"의 주제가 되었습니다.[53]
2019년 6월 10일, 기업 에너지 산업 전략부(BEIS)는 스티브 블레어(Steve Blair)를 조례 조사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했습니다.[54][55] Ordnance Survey는 사용자들이 영국 도시들 사이의 덜 이용되는 길을 걷도록 장려하는 Slow Ways 이니셔티브의 시작을 지지했습니다.[56]
2023년 2월 7일, Ordnance Survey Ltd의 소유권은 새로 구성된 과학, 혁신 및 기술 부서로 넘어갔습니다.[57]
지도범위

조례 조사는 다양한 종류의 종이 지도와 디지털 지도 제품을 생산합니다.
OS 마스터맵
2001년 11월에 출시된 Ordnance Survey의 대표적인 디지털 제품은 OS MasterMap으로, 영국의 모든 고정된 기능을 하나의 연속된 디지털 지도에 기록합니다. 모든 기능에는 의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단순 식별자인 고유한 TOID(TOPORICIAL IDentifier)가 제공됩니다. 일반적으로 각 TOID는 국가 그리드 좌표에서 피쳐가 포함하는 지면의 영역을 나타내는 다각형과 연결됩니다.
OS MasterMap은 테마 계층으로 제공되며, 각각의 계층은 여러 TOID와 연결됩니다. 2010년 9월, 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형
- OS MasterMap의 기본 계층은 건물 및 식생 지역과 같은 실제 세계의 특징을 대규모로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로 구성됩니다. 캡처된 기능과 표시 방법은 Ordnance Survey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양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 통합교통망
- 도로 및 철도와 같은 운송 기능의 링크 및 노드 네트워크입니다. 이 데이터는 많은 새트나브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부적합한 도로를 사용하는 HGV의 수를 줄이기 위해 2015년까지 "도로 경로 정보"의 데이터 캡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58]높이 제한 및 일방통행로와 같은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 이미지
- 래스터 형식의 정형외과적 항공 사진입니다.
- 주소.
- 영국의 모든 주소를 다른 레이어에 추가하는 오버레이입니다.
- 주소2
- 여러 명의 거주자가 있는 주소(아파트 블록, 학생 주택 등)와 필드 및 전기 변전소와 같이 우편 주소가 없는 객체와 같은 주소 계층에 추가 정보를 추가합니다.
ITB는 2019년 4월에 철회되었고 OS MasterMap Highways Network로[59] 대체되었습니다. 주소 계층은 2016년에 철회되었으며 현재 주소 기반 제품에서[60]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인해 2020년 현재 MasterMap은 지형 및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S MasterMap 데이터에 대한 라이센스 가격은 요청된 총 면적, 라이센스가 부여된 계층, 계층 내 TOID 수 및 데이터 사용 기간(년)에 따라 달라집니다. OS MasterMap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용도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OS MasterMap 데이터에서 기존의 1:1250 스케일의 종이 지도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Ordnance Survey는 지속적으로 검토한 결과 OS MasterMap 데이터가 6개월 이상 지난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이 매핑 프로젝트의 규모와 세부 사항은 독특합니다.[citation needed] 2009년까지 약 4억 4천만 개의 TOID가 할당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는 600기가바이트였습니다.[61] 2011년 3월 현재 OS는 4억 5천만 개의 TOID를 주장하고 있습니다.[62] 2005년 현재 OS MasterMap은 버전 6에 있습니다. 2010년 버전 8에는 Urban Paths(통합 전송 네트워크 계층의 확장)와 빌드 전 주소 계층을 위한 프로비저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 버전은 유사한 GML 스키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즈니스맵핑
조례 조사는 유틸리티 회사 및 지방 당국과 같이 비즈니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매우 다양한 제품을 생산합니다. 데이터는 광학 매체에 대한 조례 조사를 통해 제공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제공됩니다. FTP를 통해 제품을 다운로드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주문형'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Ordnance Survey 데이터를 사용하는 조직은 라이센스를 구입해야 합니다. 주요 제품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OS 마스터맵
- 개별 건물 및 기타 특징을 벡터 형식으로 보여주는 Ordnance Survey의 가장 상세한 지도입니다. 모든 실제 개체에는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이 참조를 추가할 수 있는 고유 참조 번호(TOID)가 할당됩니다. OS MasterMap은 항공 이미지, 운송 및 우편 코드와 같은 여러 개의 이른바 "레이어"로 구성됩니다. 주 계층은 지형 계층입니다.
- OS VectorMap 로컬
- 1:10,000 스케일의 맞춤형 벡터 제품입니다.
- 메리디안 2, 스트래티지
- 벡터 형식의 중간 축척 매핑입니다.
- 경계선
- 카운티, 교구 및 선거구와 같은 행정 경계를 표시하는 지도.
- 래스터 버전의 레저용 지도
- 1:10,000, 1:25,000, 1:50,000, 1:250,000 스케일 래스터
레저지도

OS의 다양한 레저용 지도는 다양한 스케일로 출판됩니다.
- 관광 (c. 1:100,000, 스코틀랜드 제외)
- 일반적으로 카운티 크기의 지역을 커버하는 한 장의 지도로 주요 도로와 대부분의 작은 도로를 보여주며 관광 정보와 선택된 오솔길을 포함합니다. 투어 맵은 일반적으로 1:250,000 매핑을 확대하여 제작됩니다. 주요 정착지를 위해 각 시트에 몇 개의 더 큰 규모의 도시 지도가 제공됩니다. 지도에는 하늘색 덮개가 있고 시리즈에는 8장이 있습니다. 스케일은 다양합니다.
번호 | 규모. | 제목 |
---|---|---|
1 | 1:100 000 | 콘월 |
3 | 1:110 000 | 레이크 디스트릭트 & 컴브리아 |
4 | 1:100 000 | 피크 디스트릭트 & 더비셔 |
5 | 1:130 000 | 데본 & 서머셋 웨스트 |
8 | 1:100 000 | 코츠월드 & 글로스터셔 |
10 | 1:175 000 | 노스 앤 미드 웨일스 |
11 | 1:175 000 | 사우스 앤 미드 웨일스 |
12 | 1:500 000 | 스코틀랜드 |
- OS 랜더레인저 (1:50,000)
- "일반 목적" 지도입니다. 그들은 분홍색 표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204장은 영국 전역과 맨 섬을 덮습니다. 지도에는 모든 이동 경로가 표시되며 형식은 탐색기 지도와 유사하지만 세부 사항은 적습니다.
- OS Landranger 활성화 (1:50,000)
- OS 탐색기 Active 범위와 유사한 플라스틱 적층 방수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OS Landranger 지도를 선택합니다. 2009년[update] 10월 현재 204개의 Landranger 지도 중 25개가 OS Landranger Active 지도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 OS 탐색기, (1:25,000)
- 보행기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그들은 오렌지색 표지를 가지고 있으며, 영국 전역을 커버하는 403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맨섬은 이 시리즈에서 제외됩니다). 이것들은 조례조사국이 발표하고 모든 종류의 오솔길과 시골의 대부분의 세부사항을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다룬 가장 상세한 레저지도입니다. 탐색기 시리즈의 OL 브랜드 시트는 더 큰 관심을 가지는 지역(예: 호수 지역, 블랙 마운틴 등)을 보여줍니다. 번호와 모서리의 약간의 노란색 표시(구 아웃도어 레저 시리즈의 유물)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익스플로러 지도와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OS 탐색기 지도는 이전의 아웃도어 레저 시리즈와 함께 녹색으로 덮인 수많은 패스파인더 지도를 대체했습니다. 2015년 5월, Ordnance Survey는 새로운 OL 시리즈 지도가 안드로이드 및 iOS 기기의 전용 앱을 통해 제공되는 모바일 다운로드 버전과 함께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63]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익스플로러 및 랜드레인저 시리즈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OS 탐색기 활성화 (1:25,000 눈금)
- OS 익스플로러와 아웃도어 레저는 플라스틱 적층 방수 버전으로 지도를 만듭니다.
- 활동 지도
- 특정 활동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지도의 실험 범위입니다. 현재 공개된 4개의 지도 팩은 오프로드 사이클링 햄프셔 노스, 사우스, 이스트 및 웨스트입니다. 각 맵 팩에는 방수 용지에 개별 맵 시트에 인쇄된 12개의 사이클 경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25,000 축척 지도를 기반으로 하지만 축척이 조정되어 각 경로가 단일 A4 시트에 적합합니다.
2010년까지 OS는 다음과 같은 기능도 제공했습니다.
- 경로 (1:625,000)
- 영국 전역을 아우르는 장거리 도로 사용자를 위해 설계된 양면 지도입니다.
- 도로 (1:250,000)
- 영국을 커버하는 8장의 시리즈로, 도로 사용자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지도들은 15개의 투어 지도와 함께 비용 효율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0년 1월에 단종되었습니다.
로드 시리즈는 2016년 9월에 다시 선보였습니다.[64]
앱개발
2013년, Ordnance Survey는 첫 번째 공식 앱인 OS MapFinder를 출시했고, 이후 3개의 앱을 추가했습니다. 2021년 OS Maps는 호주에서 커버리지를 추가했습니다.
- OS 맵
- iOS와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다운로드 앱은 사용자가 자신의 기기에 직접 지도에 접근하고 경로를 계획하고 기록하며 다른 사람들과 경로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OS Landranger 및 OS Explorer 고해상도 지도를 660dpi 화질로 가입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지도가 기기에 저장되어 WiFi 또는 모바일 신호 없이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어 로밍 요금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S 지도 웹
- 웹 페이지로 이용 가능 – 최신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웹에서 지도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 지정 경로 계획 및 지도 인쇄가 가능합니다.
- OS 위치
- 2014년 2월에 출시되어 iOS와 Android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 무료 앱은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단으로 그리드 기준,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표시합니다. OS Locate가 작동하려면 모바일 신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에 내장된 GPS 시스템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제품
또한 Ordnance Survey는 고객이 원하는 지도 또는 지도의 영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래스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주문형 인쇄 서비스인 OS Custom Made를 제공합니다. 1:50,000(40km x 40km에 해당) 또는 1:25,000(20km x 20km)의 두 가지 눈금이 제공되며, 지도는 프레이밍 또는 벽 장착용으로 접히거나 평평하게 제작될 수 있습니다. 고객은 접힌 지도에 대한 자신의 제목과 표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65]
또한 Ordnance Survey는 대규모 디지털 데이터에서 1:1,250 또는 1:500(Siteplan)의 주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용자 지정 매핑을 생성합니다. 사용자 지정 척도는 기존 척도의 확대 또는 축소에서도 생성될 수 있습니다.
교육지도
조례 조사는 1970년대 초부터 1990년대까지 지도의 복제품을 교육용으로 제공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영국과 이전 영국 식민지의 학교에서 독립된 지리학 보조물 또는 지리학 교과서나 학습지의 일부로 널리 볼 수 있습니다.
2000년대에, 학생들의 지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시도로, Ordnance Survey는 영국 초등교육을 받는 모든 11세에게 무료 OS 탐색기 지도를 제공했습니다. 이 계획이 종료된 2010년 말까지 6백만 개 이상의 지도가 배포되었습니다.[66] 이 계획은 적격 학교를 위해 EDINA에서 제공하는 Digimap for Schools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대체되었습니다.[67]
종이 제품에서 지리 정보 시스템(GIS)으로 가는 추세에 따라 조례 조사는 학생들이 GIS의 이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으며 학습 자원과 지도 관련 게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어린이 중심 웹 사이트인 "맵존"을 출시했습니다.
Ordnance Survey는 주로 지리 교사들을 위한 Mapping News라는 분기별 저널을 발행합니다.
파생상품 및 라이센스 제품
Bing Maps는 영국 전체를 위한 계층으로서 OS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Philip's는 자사의 도로 및 거리 지도에 OS 데이터를 책 형식으로 출판합니다.[68] Cassini Publishing Ltd가 출판한 역사적 지도 시리즈 중 하나는 19세기 중반의 Ordnance Survey 첫 번째 시리즈를 재인쇄한 것이지만 OS Landranger 프로젝션을 1:50,000으로 사용하고 1km의 격자선을 제공합니다. 이는 150년 이상 전의 기능이 현대적인 기능과 거의 정확히 일치하며 현대적인 그리드 참조가 오래된 기능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를 디지털화함으로써 무기고 조사소는 지도를 전자적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몇몇 회사들이 CD/DVD로 지도의 인기 척도(1:50,000 및 1:25,000)와 자체 파생 데이터 세트를 제작하거나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라이센스를 부여받았습니다. 구매자는 일반적으로 PC, 노트북, 포켓 PC/스마트폰에서 지도를 볼 수 있고, 얼마든지 사본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함께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는 GPS 인식이며 지도는 바로 보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PC에서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영역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으며, 화면에서 자신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정확히 파악한 채 드라이브나 산책을 할 수 있습니다. 개별 지도는 동등한 종이 버전보다 비싸지만, 구입한 보장의 크기에 따라 평방 킬로미터당 가격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기록 매핑에 대한 자유로운 액세스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은 1840년부터 1970년까지 [69]1:1056 "5피트" 런던 지도부터 1:625,000 "10마일" 국가 계획 지도까지 다양한 척도로 OS 매핑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70]
1:63360 및 1:50000 지도 간행물의 역사
판본[71] | 발행일자[71] | 축척[71] | 보도[72][Notes 2] 내용 | # 시트들[72] | 음표[71] |
---|---|---|---|---|---|
구 시리즈(또는 초판[73]) | 1805–1874 | 1:63360 | EW | 110 | 제외된 스코틀랜드; 최초 발행판 |
새 시리즈(또는 세컨드 에디션[73]) | 1872–1897 | 1:63360 | EWS | 360EW+131S | 먼저 등고선 사용 |
수정된 새 시리즈 | 1895–1904 | 1:63360 | EWS | 360EW+131S | 구입할 수 있는 몇 가지 컬러 시트 |
서드 에디션 | 1903–1919 | 1:63360 | EWS | 360EW+131S | "작은 시트 시리즈" |
서드 에디션 | 1906–1913 | 1:63360 | EWS | 152EW+131S | 색상은 "대형 시트 시리즈", 지역 및 관광판도 있습니다. |
제4판 | 1911–1912 | 1:63360 | EWS | - | 폐소시트 시리즈 |
대중판 | 1919–1926 | 1:63360 | EWS | 146EW+92S | 종종 제4판이라고 불리는 큰 시트. |
제5판 | 1931–1939 | 1:63360 | E부분 | - | 버림; 다양한 스타일 사용 가능 |
전쟁 수정본 | 1943–1945 | 1:63360 | 파트 EW | - | 제5판과 폐6판에 의거하여. |
새로운 인기(6번째) 에디션 | 1945–1947 | 1:63360 | EW | 64–190 | 제외된 스코틀랜드, 국가 그리드 |
제7시리즈 | 1952–1962 | 1:63360 | EWS | 190 | 표시된 권리; 열 가지 색상 |
랜드레인저 시리즈 | 1974– | 1:50000 | EWS | 204 | 계속되는 개정. |
지도 및 측지

조례 조사의 원본 지도는 삼각측량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두 번째 조사를 위해 1934년에 이 프로세스를 다시 사용하여 언덕 꼭대기와 같은 중요한 위치에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콘크리트 또는 돌로 된 많은 삼각형 기둥(트라이그 포인트)을 건설했습니다. 그들의 정확한 위치는 삼각측량으로 결정되었고, 그 사이의 세부사항은 덜 정확한 방법으로 채워졌습니다.
현대 무기 조사 지도는 대부분 정형화된 항공 사진을 기반으로 하지만, 많은 수의 삼각형 기둥이 남아 있으며, 그 중 많은 수가 민간 토지 소유자들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Ordnance Survey에는 영국 전역의 측량사 팀이 여전히 직접 방문하여 측량할 수 없는 지역(예: 식생에 의해 가려진 땅)을 측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모든 주요 지형(예: 새로운 고속도로 또는 대규모 주택 개발)이 측량된 후 6개월 이내에 측량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지었다. 원래 측량 방법이 대부분 수작업이었던 데 비해 현재 측량 작업은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기술을 활용해 단순화돼 지금까지 가장 정밀한 측량 기준이 가능합니다.[74] Ordnance Survey는 "OS Net"으로 알려진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GNSS 스테이션의 영국 전역 네트워크를 담당합니다. 이것들은 설문조사에 사용되며 다른 조직은 네트워크를 자신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75]
Ordnance Survey는 여전히 Ordnance Survey 지리적 자료점을 GPS와 같은 현대적인 측정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해 일련의 마스터 지오데틱 기준점들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Ordnance Survey 지도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위도와 경도 대신 Ordnance Survey National Grid를 사용합니다. 그리드는 기술적으로 OSGB36(Ordnance Survey Great Britain 1936)으로 알려져 있으며 1936-1953년 리트라이앵글레이션 이후 도입되었습니다.[76]
높이를 기록하기 위해 영국 본토에서 Ordnance Survey는 1915년에서 1921년 사이에 콘월 뉴른에서 측정된 평균 해수면으로 정의된 높이 자료인 Ordnance Datum Newn을 참조한 직교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76][77] 2016년에 조례 조사(Ordnance Survey)는 약 25mm의 일반적인 상향 이동을 야기하는 조례 데이터 뉴른(Ordnance Datum Newn)을 재정의했습니다. 그 영향으로 송아지 탑 언덕이 산이 되었습니다.[78][79]
Ordnance Survey의 CartoDesign 팀은 지도 제작 및 개발의 권위자로서 조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지도 제작의 가치를 홍보하고 소통하기 위해 내외부 청중들과 협력합니다. 그들은 광범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모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스타일링을 담당합니다.[80]
조사.
수십 년 동안 Ordnance Survey는 다음과 같은 지리 정보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연구 부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조례조사는 외부연구 및 대학연락팀을 통해 학술연구계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구부에서는 MSc와 박사과정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은 물론 협력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Ordnance Survey 제품은 Digimap 협정에 가입한 영국 대학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Ordnance Survey 자체 연구 의제를 발전시키는 연구 목적으로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액세스 및 비판
조례 조사는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대부분은 Ordnance Survey가 영국에서 지리적 데이터에 대한 사실상의 정부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81] 정부 기관이기는 하지만, 1999년부터 2015년까지 무역 기금(즉, 상업적 실체)의 역할을 하도록 요구되어 왔습니다. 이는 데이터 및 파생 제품의 상업적 판매를 통해 전적으로 자체 자금을 조달하는 동시에 지리 정보의 공공 공급업체임을 의미했습니다. 1985년 지리정보 취급에 관한 조사위원회는 "정보기술의 현대적 발전과 시장의 요구를 고려하여 영국의 지리정보의 향후 취급에 대해 2년 이내에 환경부 장관에게 조언"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82] 1987년 Roger Chorley 위원장의 이름으로 발표된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영국에 접근 가능한 지리적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분배와 비용 회수에 관한 정책의 완화를 권고했습니다.
2007년 서베이는 무료 데이터 운동의 역동성을 이해하고 현재 정책을 계속 지지하는 정치인과 고문을 발견하기 위해 홍보 회사인 Mande Communications와[83] 계약을 체결하여 비판을 받았습니다.[84]
OS 오픈 데이터
Ordnance Survey의[85] 지리 정보에 대한 정책 옵션에 대한 상담의 피드백에 따라 정부는 Ordnance Survey 데이터 세트 패키지를 무료 사용 및 재사용할 수 있도록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86] 2010년 4월 1일, Ordnance Survey는 브랜드 OS OpenData를 CC-BY와 호환되는 속성 전용 라이센스로 출시했습니다[87].[88] 다양한 그룹과 개인들이 이번 데이터 공개를 위해 캠페인을 벌였지만, 일부는 레저용 1:50,000 스케일과 1:25,000 스케일 매핑을 포함한 수익성이 높은 데이터 세트와 낮은 스케일의 마스터맵이 포함되지 않아 실망했습니다. 라이센스 사용자가 OS 데이터 수집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정부가 지도를 공유하는 미래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연간 3천만 파운드의 청구서를 기꺼이 지불해야 한다는 반론과 함께 이러한 주장은 보류되었습니다.[89]
2013년 중반 Ordnance Survey에서는 SPARQL 1.1 호환 엔드포인트와 대량 다운로드 옵션을 갖춘 "향상된" 링크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설명했습니다.[90]
2018년 6월,[91] 내각부의 일부인 공간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OS 마스터맵의 일부가 오픈 정부 라이선스로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92]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OS MasterMap Topography Layer에서 생성된 속성 익스텐트
- OpenMap Local로 통합하여 OS MasterMap Topography Layer의 TOID
기타 데이터는 소규모 기업까지 무료로 제공됩니다(거래 한도 내에서).
- 건물 높이 및 기능 부지를 포함한 OS 마스터맵 지형 레이어
- OS 마스터맵 그린스페이스 계층
- OS 마스터맵 고속도로망
- OS 마스터맵 물망 계층
- OS 상세경로망
이것들은 OS Data Hub의 API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료
영국과 아일랜드에 대한 역사적 조사와 뉴 팝 에디션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여 50년 이상 된 작품은 공공 영역에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Ordnance Survey 역사적 작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Ordnance Survey는 "무료" 용어에 대한 역사적 매핑을 제공하지 않고 GroundSure 및 Landmark와 같은 회사와 협력하여 상업적으로 "강화된" 복제를 마케팅하기 때문에 적합한 원본을 찾는 것이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은 웹사이트를 통해 영국 전역의 무기 조사 지도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를 개발해 왔습니다.[93]
위키미디어는 영국과 웨일스의 구/초 시리즈 1인치,[94] 스코틀랜드의 구/초 시리즈 1인치, 영국의 [95]제7 시리즈 1인치, 영국의 [96]제3판 1/4인치, [97]영국의 제5 시리즈 1/4인치, 영국의 제5 시리즈 1/4인치에 대한 완전한 스캔 세트를 가지고 있습니다.[98] 이러한 세트는 모든 수정 수준을 포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각 시트의 복사본을 시리즈에 하나 이상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합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메모들
- ^ 조례 조사는 영국의 지도만을 다루며, 어느 정도는 맨섬을 다루지만, 북아일랜드는 다루지 않습니다. 이는 독자적인 정부 기관인 북아일랜드 조례 조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 ^ 적용 범위: E= england; W= wales; S= scotland
인용
- ^ "Ordnance Survey Annual Report 2021-22".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pril 2023. Retrieved 1 April 2023.
- ^ "Side by side georeferenced maps viewer - Roy Lowlands 1752–55, One inch 7th series 1956–1961".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16 March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22. Retrieved 7 May 2022.
- ^ Ordnance Survey,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February 2017, retrieved 21 February 2017
- ^ 휴잇 2010, p.x.
- ^ 포터 1889, 167-168쪽.
- ^ Hindle 1998, 페이지 114–115.
- ^ "Roy Military Survey of Scotland, 1747-1755".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 OSGR NS 826497
- ^ "[Maps of Ham Street] / reproduced from a stamp designed by Howard Brown and issued by the Royal Mail on 17 September 1991".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 Hindle 1998, 페이지 117.
- ^ 시모어 1980, 71쪽.
- ^ A Description of Ordnance Survey Large Scale Plans. Chessington: The Director General at the Ordnance Survey Office. 1947. p. 2.
- ^ Hindle 1998, 페이지 114.
- ^ 오웬 & 필빔 1992, 페이지 30, 75.
- ^ "Ordnance Survey Maps Six-inch, 1st edition, Scotland, 1843-1882".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3. Retrieved 12 April 2014.
- ^ 팩시밀리 재인쇄, Thomas Donald Historic Map of Cumberland 1774, ISBN 9781873124369
- ^ "Dorothy Wordsworth's ascent of Scafell Pike, 1818". Past presented.
- ^ Martineau, Harriet (1855). A Complete Guide to the English Lakes. Windermere: John Garnett – via Archive.org.
- ^ Holland, CF (1924). Climbs on the Scawfell Group – A Climbers' Guide (1st ed.). Fell & Rock Climbing Club.
- ^ a b c "Our history".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14. Retrieved 12 April 2014.
- ^ "Ordnance Survey (Scotland)". Reports from Committees. Vol. 4.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1851. p. 197.
- ^ Owen & Pilbeam 1992, 페이지 44–45.
- ^ "ROYAL MILITARY ASYLUM. (Hansard, 4 May 1854)". api.parliament.uk. Retrieved 12 December 2023.
- ^ "Royal Military Asylum - Sotonopedia". sotonopedia.wikidot.com. Retrieved 12 December 2023.
- ^ "Records of the Ordnance Survey of Great Britain". National Archives.
- ^ Seymour 1980, 139쪽
- ^ Seymour 1980, p. 145
- ^ "Ordnance Survey Act 1841". legislation.gov.uk. UK Parlia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anuary 2023. Retrieved 4 January 2023.
- ^ "Key dates". London Fire Briga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08.
- ^ a b 올리버 2005, p.
- ^ Oliver & Hellier 2002, p.
- ^ a b Kain & Oliver 2015, 페이지 201.
- ^ Kain & Oliver 2015, 14페이지
- ^ a b Kain & Oliver 2015, 217쪽
- ^ Kain & Oliver 2015, 221쪽
- ^ Hindle 1998, 페이지 131–132.
- ^ Kain & Oliver 2015, 페이지 220,221.
- ^ Kain & Oliver 2015, 페이지 220.
- ^ a b Kain & Oliver 2015, 페이지 42.
- ^ a b c Kain & Oliver 2015, 페이지 222.
- ^ Paula Aucott; Humphrey Southall; Carol Ekinsmyth (11 February 2019). "Citizen science through old maps: Volunteer motivations in the GB1900 gazetteer-building project". Historical Methods. 52 (3): 150–163. doi:10.1080/01615440.2018.1559779. ISSN 0161-5440. Wikidata Q81201270.
- ^ "Mapping the Southampton Blitz 70 years on". Ordnance Survey. 30 Nov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ne 2012. Retrieved 19 June 2012.
- ^ "Southampton Blitz: Ordnance Survey map of bomb sites". BBC. 30 Nov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13. Retrieved 19 June 2012.
- ^ Major, Kirsty (15 December 2022). "How did a giant sculpture end up gathering moss in a field?".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22. Retrieved 15 December 2022.
- ^ Fraser Taylor 1998, p. 4
- ^ "Ordnance Survey Shareholder Document" (PDF). www.ordnancesurvey.co.uk. Ordnance Survey.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7 July 2020. Retrieved 27 July 2020.
- ^ Morris, Helen (6 September 2010). "BT&D awarded map contract as Ordnance Survey bows out of print". PrintWe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16. Retrieved 9 September 2015.
- ^ "Frome company secures OS map contract". BBC News. 6 Sept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y 2017. Retrieved 31 January 2017.
- ^ "Ordnance Survey breaks ground at Adanac Park". Ordnance Survey. 3 April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anuary 2014. Retrieved 17 December 2009.
- ^ "Duke opens new Ordnance Survey head office". Ordnance Survey. 5 Octo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ly 2012. Retrieved 21 June 2012.
- ^ "Ordnance Survey set to become a Government owned company". Ordnance Survey. 22 Januar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15. Retrieved 22 January 2015.
- ^ "Ordnance Survey Change in Operating Model". UK Parliament. 22 Januar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anuary 2015. Retrieved 22 January 2015.
- ^ "A Very British Map: The Ordnance Survey Story". Timeshift. 9 September 2015. BBC Four.
- ^ "Steve Blair to join Ordnance Survey as new Chief Executive". Ordnance Survey. Retrieved 26 February 2020.[영구적 데드링크]
- ^
- ^ Cox, Roger (25 May 2021). "Slow Ways project shows how covid made us re-think urban environment". The Scotsm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21. Retrieved 29 August 2021.
- ^ "Making Government Deliver for the British People". gov.uk. UK Government. 7 February 20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23. Retrieved 1 April 2023.
- ^ Nelson, Gemma (3 May 2016). "How can OS data help with safe routing for HGVs?".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19. Retrieved 22 June 2019.
- ^ "ITN product withdrawal".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21. Retrieved 19 May 2021.
- ^ "Address Data".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21. Retrieved 19 May 2021.
- ^ 공공 부문 지도 제작 계약 비즈니스 및 정부는 2013년 9월 30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에 보관했습니다. 서베이. 2014년 4월 12일에 회수되었습니다.
- ^ OS MasterMap 제품 기업 및 정부는 2013년 9월 30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했습니다. 서베이. 2014년 4월 12일에 회수되었습니다.
- ^ "Ordnance Survey maps undergo their greatest innovation for over 200 years".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5. Retrieved 20 May 2015.
- ^ "Maps".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3. Retrieved 15 September 2016.
- ^ "Custom Made".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14. Retrieved 2 December 2013.
- ^ 학교들은 지금 무료 지도를 주문하라고 촉구했습니다! 2014년 1월 11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된 정보. 서베이. 2014년 4월 12일에 회수되었습니다.
- ^ [1]2010년 10월 1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Navigation: Find your way to a good map". 13 June 20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3. Retrieved 13 June 2023.
- ^ "About our map images".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April 2021. Retrieved 22 April 2021.
- ^ "Ordnance Survey Maps, London, Five feet to the Mile, 1893-1896".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pril 2021. Retrieved 22 April 2021.
- ^ a b c d e "Ordnance Survey: small scale maps". British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13.
- ^ a b c Higley, Chris. "Index Sheets for Ordnance Survey Map Series". charlesclosesociety.org. The Charles Close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October 2019. Retrieved 13 October 2019.
- ^ a b Browne, John Paddy (1991). Map Cover Art: A pictorial history of Ordnance Survey cover illustrations. Ordnance Survey. pp. 12–13. ISBN 978-0319--00234-6.
- ^ "Surveying guidelines".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3. Retrieved 14 November 2013.
- ^ "Overview of OS Net".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23. Retrieved 3 January 2023.
- ^ a b "A Guide to Coordinate Systems in Great Britain" (PDF). Ordnance Survey. 2020.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3 January 2023.
- ^ Greaves, Mark (2016). "OSGM15 and OSTN15: Updated transformations for UK and Ireland" (PDF). Geomatics World.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4 August 2022. Retrieved 3 January 2023.
- ^ "Calf Top Cumbrian hill re-categorised as a mountain". BBC.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22. Retrieved 9 December 2022.
- ^ "OSGM15 - the new geoid for Britain". Ordnance Surve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22. Retrieved 10 December 2022.
- ^ "Carto Design team".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4. Retrieved 22 January 2014.
- ^ Arthur, Charles; Cross, Michael (9 March 2006). "Give us back our crown jewel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06. Retrieved 10 March 2006.
- ^ Chorley, RRE (1987). Handling Geographic Information. Report of the Committee of Enquiry chaired by Lord Chorley. London: HMSO.
- ^ Greg Clark 서면 질문, 2008년 5월 1일 col. 668W 조례 설문조사: 통신 의무화
- ^ Cross, Michael (21 August 2008). "Ordnance Survey hires PR company to lobby politician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6. Retrieved 15 December 2016.
- ^ "Policy options for geographic information from Ordnance Survey" (PDF).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Dec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September 2012. Retrieved 22 June 2019.
- ^ "Policy options for geographic information from Ordnance Survey: Consultation – Government Response".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September 2012.
- ^ "Ordnance Survey launches OS OpenData in groundbreaking national initiative". Ordnance Survey. 1 April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3. Retrieved 16 April 2010.
- ^ "OpenData License Terms and Conditions" (PDF). Ordnance Survey.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1. Retrieved 5 April 2010.
- ^ "The Ordnance Survey has opened up its map data for free after a long campaign. Find out what was released". The Guardian. 2 April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pril 2020. Retrieved 16 April 2010.
- ^ "New Ordnance Survey Linked Data service proving popular with developers" (Press release). Ordnance Survey. 17 Jul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ly 2013. Retrieved 28 July 2013.
- ^ "Geospatial Commis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19. Retrieved 22 June 2019.
- ^ "MasterMap announcement"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9 January 2021. Retrieved 19 May 2021.
- ^ "Ordnance Survey Maps".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5. Retrieved 21 May 2015.
- ^ "Old/First series one-inch England and Wa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February 2021. Retrieved 22 May 2018.
- ^ "Old/First Series one-inch Scot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21. Retrieved 22 May 2018.
- ^ "Seventh Series one-inch Great Brita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21. Retrieved 19 May 2018.
- ^ "Third Edition quarter-inch England and Wa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21. Retrieved 5 July 2018.
- ^ "Fifth Series quarter-inch Great Brita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21. Retrieved 5 July 2018.
원천
- Fraser Taylor, D. R., ed. (1998). Policy Issues in Modern Cartography. Oxford: Pergamon Press. ISBN 978-00804311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3. Retrieved 25 September 2020.
- Hewitt, Rachel (2010). Map of a Nation – A biography of the Ordnance Survey. London: Granta. ISBN 978-1-847-08254-1.
- Hindle, Paul (1998). Maps for Historians. Chichester: Phillimore & Co. pp. 114–115. ISBN 0-85033-934-0.
- Kain, Roger J. P.; Oliver, Richard R. (2015). British Town Maps, A History. British Library. ISBN 978-0-7123-5729-6.
- Margary, Harry (1992). Old Series Ordnance Survey Maps of England and Wales. Lympne. ISBN 0-903541-01-7.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Oliver, Richard; Hellyer, Roger (2002). Ordnance Survey of Great Britain: Indexes to the 1:2500 and six-inch scales. Newtown, Montgomeryshire: David Archer.
- Oliver, Richard (2005) [1993]. Ordnance Survey Maps: a concise guide for historians. London: Charles Close Society. ISBN 1870598245.
- Owen, Tim; Pilbeam, Elaine (1992). Ordnance Survey – Map Makers to Britain Since 1791 (PDF). Southampton: Ordnance Survey. ISBN 0-31-900249-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21. Retrieved 1 August 2023.
- Porter, Whitworth (1889). History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Vol. I.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pp. 167–68.
- Seymour, W.A., ed. (1980). A History of the Ordnance Survey (PDF). Folkestone: Wm Dawson & Sons. Retrieved 11 December 2023.
- "Homepage". Ordnance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October 2003. Retrieved 29 September 2005.
- "History of Cartography". University of Exe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05. Retrieved 29 September 2005.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