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빌 프리먼
Orville Freeman오빌 프리먼 | |
---|---|
![]() | |
제16대 미국 농무부 장관 | |
재직중 1961년 1월 21일 – 1969년 1월 20일 | |
대통령 | 존 에프 케네디 린든 B. 존슨 |
선행자 | 에즈라 태프트 벤슨 |
성공자 | 클리포드 M. 하딘 |
미네소타 29대 주지사 | |
재직중 1955년 1월 5일 – 1961년 1월 2일 | |
중위 | 카를 롤바그 |
선행자 | C. 엘머 앤더슨 |
성공자 | 엘머 안데르센 |
개인내역 | |
태어난 | 오빌 로트롭 프리먼 )1918년 5월 9일 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
죽은 | 2003년 2월 20일 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 (84세)
휴게소 | 레이크우드 묘지 |
정당 | 민주적인 |
배우자 | 제인 실즈 (m. 1942) |
아이들. | 미카엘을 포함한 2개 |
교육 | 미네소타의 대학교 (BA, LLB) |
병역 | |
얼리전스 | ![]() |
지점/서비스 | ![]() |
순위 | 메이저 |
전투/와이어 | 제2차 세계 대전 • 부게인빌 전투 |
오르빌 로트롭 프리먼(Orville Lothrop Freeman, 1918년 5월 9일 ~ 2003년 2월 20일)은 1955년 1월 5일부터 1961년 1월 2일까지 미네소타 주의 29대 주지사를 지냈고, 존 F 대통령 밑에서 1961년부터 1969년까지 미국 농무부 장관을 역임한 미국 민주당 정치인이다. 케네디와 린든 B. 존슨. 그는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의 창립 멤버 중 한 사람이었으며, DFL 이전의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의 통합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프리먼은 1960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케네디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초년기
프리만은 1918년 5월 9일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오르빌과 프란체스(슈뢰더) 프리만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는 미니애폴리스에 있는 센트럴 고등학교에 다녔다.[2] 그 후 프리먼은 미네소타 대학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1940년 피 베타 카파를 졸업했으며 평생의 친구였으며 정치적 우방인 휴버트 험프리를 만났다. 그는 또한 대학에서 아내 제인 샬롯 실즈 (1921년 5월 25일 ~ 2018년 3월 23일)[3]를 만났다. 그들은 1942년 5월 2일에 결혼했다. 그들은 두 아이를 낳았다. 마이클 오빌과 콘스탄스 제인 프리먼.
병역
미국이 결국 전쟁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프리먼은 1940년 말에 의무적인 군복무를 이행하기 전에 로스쿨을 마칠 수 있다는 양해 하에 해양보호구역에 가입했다. 진주만에 대한 공격은 그 정리를 끝냈고, 1941년 12월 31일 해병대 기지 콴티코에 있는 장교후보학교에 보고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
졸업 후 보병 장교가 되기 위한 훈련을 마친 그는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외곽의 캠프 엘리엇에 보고했다. 곧 제9해병연대, 킬로컴퍼니, 제3대대대, 제9해병대에 배속되었다. 그의 부대는 결국 뉴질랜드와 과달카날에서 훈련을 받기 위해 해외로 파병되었다.[4]
1943년 11월 1일, 부게인빌 캠페인의 첫 전투였던 부게인빌의 토로키나에 부대가 상륙했을 때, 그는 그의 첫 전투를 보았다. 며칠 후 순찰대를 이끌고 가던 중 개간지에서 대여섯 명의 일본군 일당과 마주쳤다. 총격전이 이어졌고 프리만은 턱과 왼팔에 부상을 입었다. 결국 그는 뉴칼레도니아에 있는 미군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그 후 누메아에 있는 해군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그는 1944년에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전투에 복귀할 수 있는 미 해병대의 육체를 통과하기 위한 충분한 움직임을 결코 회복하지 못했다.[4]
정치 경력
그는 1946년 미네소타 대학교 로스쿨에서 LL.B를 받았다. 프리먼은 미니애폴리스에서 법을 연습하기 시작했다.[5] 그는 1950년 미네소타 주 법무장관 선거에, 1952년 주지사 선거에 낙선했다.[5]
프리만은 1954년 주지사로 선출되었고, 1956년과 1958년에 재선되었다. 그는 1959년 12월 11일 윌슨 패킹 컴퍼니에서 파업 중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알버트 리아 시에 계엄령을 선포하는 이례적인 행동을 취했다. 12일 후 연방법원은 계엄령 시행이 부적절하다고 판결했다.[6] 또한 1955년 11월 13일 프리먼은 버라이어티 쇼 토스트 오브 더 타운에 게스트로 출연했는데, 이 쇼는 나중에 더 에드 설리번 쇼라고 불리게 된다.
1960년 7월 프리먼은 미국 상원의원 존 F를 지명했다. 민주당 전당대회 대통령 후보로 매사추세츠 주의 케네디.
프리먼은 1960년 주지사 재선 패배 후 새로 선출된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미국 농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린든 B 대통령에 의해 그 자리에 유임되었다. 케네디 암살사건에 이은 존슨. 프리만은 1969년 1월 21일까지 복무했다.
만년
이후 프리먼은 두 곳의 컨설팅 회사를 이끌고 워싱턴DC에서 법률을 실천했다.[5]
프리먼은 2003년 2월 20일 미니애폴리스에서 알츠하이머 합병증으로 사망했다.[5] 그는 그 도시의 레이크우드 묘지에 묻혔다.
레거시
프리먼은 빈곤층을 위한 식품 우표 프로그램을 설립하기 위해 제안된 법안을 제출한 것으로 기억되고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7]
그의 아들 마이크 프리먼은 1998년 주지사에 출마하지 못했으며 미네소타주 헤네핀 카운티의 카운티 검사(1991~99년, 2007년~2007년)로 비상임 변호사직을 역임했다.
프리먼의 이름은 1963년 비벌리 힐빌리스 에피소드에서도 언급되었다. '그랑이의 정원'이라는 제목의 시즌2 에피소드에서는 주인공들이 정원을 가꾸기 위해 자기네 집 앞마당 잔디밭을 노새로 다듬으려고 한다. 제인 해서웨이의 캐릭터는 차를 몰고 "프리먼 장관 이름으로 뭐하고 있어?!!"라고 외친다. (시즌 2, 에피소드 3, 1963년 10월 9일)
시상 및 장식
알려진 훈장 및 메달은 다음과 같다.
![]() | ![]() |
퍼플 하트 | 서비스 스타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캠페인 메달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
참고 항목
메모들
- ^ Onofrio, Jan (January 2000). Minnesota Biographical Dictionary: People of All Times and Places Who Have Been Important to the History and Life of the State. ISBN 9780403096749.
- ^ Brandt, S. (July 3, 2013). "Central alums mark alma mater's centennial". Star Tribune. Minneapolis-St. Paul. Retrieved May 24, 2020.
- ^ "Jane Freeman, mother of Mike Freeman and a founding force of the DFL Party, dies at 96".
- ^ a b c 베리(1982), 페이지 149-162.
- ^ a b c d Stout, David (February 22, 2003). "Orville Freeman, 84, Dies; 60's Agriculture Secretary". The New York Times. p. B6. Retrieved January 30, 2010.
- ^ 1959년 12월 11일 오클랜드 트리뷴의 "육류파업 명령" p1; "코트엔드 윌슨 휴업" 1959년 12월 23일, p4
- ^ 보충 영양 지원 프로그램(SNAP): 2013년 11월 6일 미국 농무부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SNAP의 짧은 역사.
참조
참고 문헌 목록
- Berry, Henry (1982). Semper Fi, Mac – Living Memories of the U.S. Marines in World War II. New York, N.Y.: William Morrow and Company. ISBN 0-688-14956-1.
웹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오르빌 프리먼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오빌 프리먼의 개인 논문은 미네소타 역사 학회에서 연구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오빌 프리먼, 린든 베인즈 존슨 도서관의 구술 역사 인터뷰
- 무덤 찾기 오빌 프리맨
- C-SPAN에 대한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