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육종

Osteosarcoma
골육종
비악성 에 인접한 골육종(영상의 중앙 및 오른쪽)의 중간 배율 현미경 사진(영상의 왼쪽 하단): 영상의 오른쪽 상단에 종양이 제대로 분화되지 않았습니다. 비악성 뼈와 잘 분화되지 않은 종양(H&E 염색) 사이에 악성 세포의 밀도가 높은 골양이 보입니다.
전문종양학

골육종(骨肉coma, OS) 또는 골육종(骨肉coma, OGS)은 에 암이 생긴 종양입니다. 구체적으로, 중간엽 기원의 원시 형질전환 세포(따라서 육종)에서 발생하고 골아세포 분화를 나타내며 악성 골양체를 생성하는 공격성 악성 신생물입니다.[1]

골육종은 원발성 뼈 육종의 가장 흔한 조직학적 형태입니다.[2] 그것은 10대와 젊은 성인에게 가장 널리 퍼져 있습니다.[3]

징후 및 증상

많은 환자들이 먼저 통증을 호소하는데, 밤에 더 심할 수도 있고, 간헐적일 수도 있고, 강도가 다양할 수도 있고, 오랫동안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청소년들은 대퇴골 아래쪽, 혹은 무릎 바로 아래쪽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양이 크면 명백한 국소 부종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혹 갑작스런 골절이 첫 증상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영향을 받은 뼈가 정상적인 뼈만큼 튼튼하지 않고 경미한 외상으로 비정상적으로 골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골반에서 발생한 종양과 같이 피부와 가깝지 않은 더 깊은 곳에 있는 종양의 경우 국소적인 부종이 분명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원인들

여러 연구 그룹에서 암 줄기 세포와 다른 표현형에서 원인이 되는 유전자 및 단백질과 함께 종양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4][5][6] 관련 없는 질환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드문 원인일 수 있습니다.[7]

일반적으로 암, 특히 골암 및 골육종에 대해 물 불소화와 암 또는 암으로 인한 사망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없습니다.[11] 물 속 불소 농도가 골육종과 연관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랐습니다. 불소 노출과 골육종의 연관성에 대한 믿음은 1990년 미국 국가 독성학 프로그램의 연구에서 비롯되었으며, 수컷 쥐에서 불소와 골육종의 연관성에 대한 불확실한 증거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쥐에서 불소가 암을 유발하는 경향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습니다.[12] 물의 불소화는 시민들의 치아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행해졌습니다. 또한 주요 건강 성공으로 간주됩니다.[13] 미국 환경 보호국이 불소 농도를 리터당 4밀리그램 이하로 규제하는 등 상수도의 불소 농도를 규제하고 있습니다.[14] 실제로 상수도에는 이미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불소가 있지만 많은 지역사회에서 충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불소를 더 첨가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15] 불소는 또한 새로운 뼈 형성을 유발하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6] 그러나 추가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불소화 물로 인한 골육종 위험은 없습니다.[17] 대부분의 연구는 식수 중 불소 농도가 다른 특정 부위의 골육종 환자 수를 세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18] 데이터의 통계 분석에 따르면 불소화된 영역에서 골육종 사례의 발생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19] 또 다른 중요한 연구는 골육종 환자의 뼈 샘플을 수집하여 불소 농도를 측정하고 새로 진단된 악성 뼈 종양의 뼈 샘플과 비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결과 골육종 환자의 뼈 샘플 내 불소 농도 중간값과 종양 대조군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20] 뼈의 불소 농도뿐만 아니라 골육종 환자의 불소 노출도 건강한 사람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21]

메카니즘

골육종 예방법

골육종은 뼈 성장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아마도 증식으로 인해 이 부위의 골아세포가 세포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획득하기 쉽기 때문일 것입니다(RB 유전자와 p53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종양은 긴 뼈의 끝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형이상학에서). 대부분 경골이나 상완골근위 말단 또는 대퇴골원위 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 골육종은 무릎 주변 부위에 60%, 엉덩이 주변 15%, 어깨 10%, 8% 정도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종양은 수직으로 방사되는 석회화된 뼈의 종양 스페큘로 인해 단단하고 단단하며 불규칙합니다(X-ray 검사에서 "fir-tree", "moth-eaten" 또는 "sun-burst" 모양). 이 직각들은 코드만 삼각형이라고 알려진 것을 형성하는데, 이것은 특징적이지만 골육종의 진단은 아닙니다. 주변 조직이 침투되어 있습니다.[citation needed]

골육종 H&E 염색에서 골양 형성을 보이는 고배율 현미경 사진

현미경으로 보면: 골육종의 특징은 종양 내에 골양(골 형성)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종양 세포는 매우 다형성적이고(역형성적), 일부는 거대하고 수많은 비정형 유사분열입니다. 이 세포들은 중심 석회화(hematoxylinophilic/blue, granular)가 있거나 없는 불규칙한 섬유소(무정형, 호산구성/분홍색)를 묘사하는 골형을 생성합니다. 종양 세포는 골상 기질에 포함됩니다. 존재하는 종양 세포의 특징(뼈 세포, 연골 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와 유사한지 여부)에 따라 종양을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골육종은 다핵 파골세포와 같은 거대 세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22]

진단.

핵 다형성이 높은 종양 세포를 보여주는 골육종의 조직병리학(histopathology)이지만, 종양성 골 기질에 갇힌 세포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보입니다(이 H&E 염색 슬라이드에서 분홍색으로 나타남).

X선은 골육종을 진단하기 위해 선택한 초기 영상입니다. X선상 골육종의 특징은 선버스트(sunburst) 외관과 코드만 삼각형(새로운 뼈 형성을 일으킨 종양에 의한 골피질 상승)입니다. CT 스캔은 뼈 해부학을 정의하고, 뼈 피질의 무결성을 정의하고, 병리학적 골절을 감지하고, 골화(새로운 뼈 물질의 적층) 및 연골의 석회화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면 연조직과 수질강은 MRI 촬영으로 더 잘 영상화됩니다.[23]

통상적인 치과 검진 시 촬영한 엑스레이에 골육종의 초기 징후가 잡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악골(하악)에 골육종이 자주 발생하여 치과의사들이 골육종을 시사할 수 있는 징후를 찾도록 교육을 받습니다. 이 암에 대한 방사선 소견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치주 인대 공간이 대칭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골육종이나 다른 기저질환을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는 치과의사는 조직검사를 위해 환자를 구강악안면외과 의사에게 의뢰합니다. 얼굴 부위 이외의 골육종이 의심되는 조직 검사는 자격을 갖춘 정형외과 종양 의사가 수행해야 합니다. 미국학회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아마도 다른 어떤 암에서도 이 절차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조직검사를 부적절하게 시행하면 해당 사지를 절단으로부터 구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폐로 전이될 수 있으며, 주로 흉부 X선에서 하부 부위에서 가장 흔한 단독 또는 다수의 둥근 결절로 나타납니다.[citation needed]

변종

  • 기존: 골모세포, 연골모세포, 섬유모세포 OS
  • 텔랑지엑틱 OS
  • 스몰 셀 OS
  • 저등급 중앙 OS
  • Periosteal OS
  • 파라오스틸 OS
  • 보조 OS
  • 고급 표면 OS
  • 골격 외 OS

[24]

치료

암의 완전한 근치적, 수술적, 일괄 절제는 골육종에서 선택된 치료법입니다.[2] 대부분의 환자가 사지 구제 수술을 받을 수 있지만 합병증, 특히 감염, 보철 이완 및 비결합, 국소 종양 재발 등으로 인해 추가 수술이나 절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25]

미파무르타이드는 환자가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후에 사용되며, 암 재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남아있는 암세포를 죽이는 화학요법과 함께 사용됩니다. 또한 종양을 제거한 후 회전 성형을 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26]

골육종 환자는 육종 관리 경험이 있는 의학 종양 의사와 정형외과 종양 의사가 가장 잘 관리합니다. 현재 표준 치료법은 신보조 화학요법(수술 전에 주는 화학요법)을 사용한 후 수술적 절제를 하는 것입니다. 수술 후 종양에서 볼 수 있는 종양 세포 괴사(세포 사멸)의 비율은 예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수술 후 화학 요법 요법을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종양 의사에게 알려줍니다.[citation needed]

표준 치료법은 가능한 경우 사지 구제 정형외과 수술(또는 경우에 따라 절단)과 류코보린 구조, 동맥 내 시스플라틴, 아드리아마이신, 메스나가 있는 이포스파미드, BCD(블레오마이신,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닥티노마이신), 에토포사이드 및 무라밀 트리펩티드와 고용량 메토트렉세이트의 조합입니다.[27] 회전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괴사율이 낮은 경우 이포스파미드를 보조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골육종에 대한 화학요법이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아암 생존율이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가장 잘 보고된 10년 생존율은 92%이며, 사용된 프로토콜은 동맥학적 반응을 기반으로 치료를 개별화하는 공격적인 동맥 내 요법입니다.[28] 3년 무사건 생존율은 50%에서 75%까지, 5년 생존율은 60%에서 85+%까지 다양한 연구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5년 전에 치료받은 65~70%의 환자가 오늘날 살아있을 것입니다.[29] 이러한 생존율은 전체 평균이며 개인의 괴사율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citation needed]

필그라스팀 또는 페그필그라스팀백혈구 수와 호중구 수에 도움이 됩니다. 수혈과 에포에틴 알파빈혈에 도움이 됩니다. 골육종 세포주 패널에 대한 전산 분석에서는 골육종에서 새로운 공유 및 특정 치료 표적(단백체 및 유전자)을 확인한 반면, 표현형은 종양 미세 환경의 역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

예후

예후는 세 그룹으로 나뉩니다.

  • 1기 골육종은 드물며, 중절골 골육종 또는 저등급 중추 골육종이 포함됩니다. 광범위 절제와 함께 예후(>90%)가 우수합니다.
  • 2기 예후는 종양 부위(근위 경골, 대퇴골, 골반 등), 종양 덩어리의 크기, 신보조 화학 요법에 의한 괴사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p-당단백질의 정도, 종양이 cxcr4 양성인지 [30]또는 Her2 양성인지와 같은 다른 병리학적 요인도 폐로의 원격 전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전이성 골육종 환자의 예후는 전이까지의 시간(12개월 이상~4개월)이 길수록, 전이 횟수가 적을수록, 절제 가능성이 향상됩니다. 전이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보다 전이가 적은 것이 좋습니다. 장기(24개월 이상)가 길고 결절이 거의 없는 사람(2개 이하)은 50%, 5년은 40%, 10년은 20%의 전이 후 생존율로 예후가 가장 좋습니다. 전이가 국소적이고 국소적인 경우 예후가 더 좋지 않습니다.
  • 폐 전이가 있는 III기 골육종의 초기 발현은 원발 종양 및 폐 결절의 절제 가능성, 원발 종양의 괴사 정도 및 전이 횟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체 생존 예후는 약 30%[31]입니다.

뼈와 관절의 악성 신생물로 인한 사망은 알려지지 않은 수의 소아암 사망자를 차지합니다. 골육종으로 인한 사망률은 연간 약 1.3%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골육종의 장기 생존 확률은 20세기 후반 동안 극적으로 향상되었으며 2009년에는 약 68%에 달했습니다.[2]

역학

골육종은 소아암 중 8번째로 흔한 형태로, 소아 환자의 전체 악성 종양의 2.4%, 전체 원발성 골암의 약 20%를 차지합니다.[2]

20세 미만의 미국 환자에서 골육종의 발병률은 일반 인구에서 연간 5.0명으로 추정되며, 흑인, 히스패닉, 백인 인종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각각 연간 6.8명, 6.5명, 4.6명). 여성(1년에 4.0마리)보다 남성(1년에 5.4마리)에서 약간 더 흔합니다.[2]

관 모양의 긴 뼈의 형골 부위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42%는 대퇴골에서, 19%는 경골에서, 10%는 상완골에서 발생합니다. 전체의 약 8%는 두개골과 턱에서 발생하고, 또 다른 8%는 골반에서 발생합니다.[2]

미국에서 진단받은 900명 중 약 300명이 매년 사망할 것입니다. 발병률의 두 번째 정점은 일반적으로 파제트병과 같은 기저 뼈 병리와 관련된 노인에게서 발생합니다.[32]

다른 동물들

개의 대퇴골 원위부 골육종 X선 촬영

위험요소

골육종은 개들에게 가장 흔한 뼈 종양이며, 전형적으로 아일랜드 울프하운드, 그레이하운드, 저먼 셰퍼드, 로트와일러, 산악 품종(그레이트 피레네, 세인트 버나드, 레온버거, 뉴펀들랜드), 도베르만 핀셔, 그레이트 데인스와 같은 중년의 크고 거대한 품종 개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개에서 사람보다 발병률이 10배 더 높습니다.[33] 세인트루이스에서 유전자 염기가 나왔습니다. 버나드 개들.[34] 스파이드/중성화된 개는 온전한 개보다 골육종에 걸릴 위험이 두 배 더 높습니다.[35] 기생충 Spirocerca lupi에 감염되면 식도의 골육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36]

임상발표

가장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 뼈는 "팔꿈치에서 멀리, 무릎에서 가까운" 기본 전제를 따르는 [37]근위 상완골, 원위 반경, 원위 대퇴골경골입니다. 다른 부위로는 갈비뼈, 하악골, 척추, 골반이 있습니다. 드물게 연조직(골격계 골육종)에서 골육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지 뼈와 관련된 종양의 전이는 매우 흔하며, 보통 폐로 전이됩니다. 종양은 엄청난 고통을 유발하며, 심지어 영향을 받은 뼈의 골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간 골육종과 마찬가지로 뼈 생검은 최종 진단에 도달하는 결정적인 방법입니다. 골육종은 다른 골종양골수염과 같은 다양한 병변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특히 두개골 골육종의 감별 진단에는 연골육종다엽성 뼈 종양이 포함됩니다.[38][39]

치료 및 예후

절단은 초기 치료법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전이를 막을 수 없습니다. 절단과 함께 화학요법을 병행하면 생존기간이 향상되지만 대부분의 개들은 여전히 1년 이내에 사망합니다.[37] 다리를 살리기 위해 고안된 수술 기법(다리를 벌리는 시술)은 예후를 개선하지 못합니다.[citation needed]

일부 현재 연구에 따르면 알렌드로네이트 및 파미드로네이트와 같은 파골 세포 억제제는 골용해를 감소시켜 통증 정도를 감소시키고 병리학적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삶의 질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0]

분자변화

개 골육종은 인간 질병과 유사한 분자 체세포 변화 패턴을 보입니다. 둘 다 유전적 불안정성과 핵형 복잡성을 특징으로 하며, 반복적으로 변경되는 유전자에는 TP53, RB1, PTEN, MYC, PIK3CA[41] 등이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히스톤 메틸트랜스퍼라제 유전자 SETD2의 돌연변이는 인간 골육종에서는 드물지만 개 종양의 21%에서 확인되었습니다.[42]

캣츠

골육종은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뼈 종양이기도 하지만 자주 발생하지는 않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뒷다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암은 일반적으로 개보다 고양이에서 덜 공격적이므로 절단만으로도 많은 영향을 받는 고양이에서 상당한 생존 시간을 얻을 수 있지만 조직병리학에서 높은 등급이 확인되면 절단 후 화학요법이 권장됩니다.[37]

공룡들

2020년의 한 연구는 인간의 골육종과의 비교와 함께 방사선 및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백악기센트로사우루스가 섬유질에 골육종이 발생했음을 입증할 수 있었습니다.[43]

참고문헌

  1. ^ Luetke A, Meyers PA, Lewis A, Juergens H (2014). "Osteosarcoma treatment—where do we stand? A state of the art review". Cancer Treat Rev. 40 (4): 523–532. doi:10.1016/j.ctrv.2013.11.006. PMID 24345772.
  2. ^ a b c d e f Ottaviani G, Jaffe N (2009). "The Epidemiology of Osteosarcoma". Pediatric and Adolescent Osteosarcoma. Cancer Treatment and Research. Vol. 152. New York: Springer. pp. 3–13. doi:10.1007/978-1-4419-0284-9_1. ISBN 978-1-4419-0283-2. PMID 20213383.
  3. ^ "Osteosarcoma".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PubMed Health. 2013.
  4. ^ Osuna D, de Alava E (2009). "Molecular pathology of sarcomas". Rev Recent Clin Trials. 4 (1): 12–26. doi:10.2174/157488709787047585. hdl:10261/61716. PMID 19149759. S2CID 15039305.
  5. ^ a b Sharma, Ankush; Cinti, Caterina; Capobianco, Enrico (2017). "Multitype Network-Guided Target Controllability in Phenotypically Characterized Osteosarcoma: Role of Tumor Microenvironment". Frontiers in Immunology. 8: 918. doi:10.3389/fimmu.2017.00918. ISSN 1664-3224. PMC 5536125. PMID 28824643.
  6. ^ Sharma, Ankush; Capobianco, Enrico (2017). "Immuno-Oncology Integrative Networks: Elucidating the Influences of Osteosarcoma Phenotypes". Cancer Informatics. 16: 117693511772169. doi:10.1177/1176935117721691. ISSN 1176-9351. PMC 5533255. PMID 28804242.
  7. ^ Dhaliwal J, Sumathi VP, Grimer RJ (20 December 2009). "Radiation-induced periosteal osteosarcoma" (PDF). Grand Rounds. 10: 13–18. doi:10.1102/1470-5206.2010.0003 (inactive 31 January 2024).{{cite journal}}: CS1 메인트: DOI 2024년 1월 기준 비활성화 (링크)
  8. ^ Bielack SS, Hecker-Nolting S, Blattmann C, Kager L (2016).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osteosarcoma". F1000Research. 5: 2767. doi:10.12688/f1000research.9465.1. PMC 5130082. PMID 27990273.
  9. ^ He X, Pang Z, Zhang X, Lan T, Chen H, Chen M, Yang H, Huang J, Chen Y, Zhang Z, Jing W, Peng R, Zhang H (September 2018). "Consistent Amplification of FRS2 and MDM2 in Low-grade Osteosarcoma: A Genetic Study of 22 Cases With Clinicopathologic Analysi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42 (9): 1143–1155. doi:10.1097/PAS.0000000000001125. PMID 30001240. S2CID 51618887.
  10. ^ "Sr-90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bone cancer and leukemia in animals, and is presumed to do so in people".
  11. ^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Australia) (2007).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fluoridation (PDF). ISBN 978-1-86496-415-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10-14. Retrieved 2009-10-13.
  12. ^ "물 불소화 위험" 2013년 6월 6일, 미국학회,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된 2014-11-29.
  13. ^ "암 신화: 불소와 암" Wayback Machine, Western Australia, Cancer Council, Wayback Machine에서 2014-09-14 보관.
  14. ^ "먹는 물의 불소에 관한 기본 정보", 미국 환경 보호국
  15. ^ "지역 불소화", 질병 통제 예방 센터.
  16. ^ "플루오라이드", 호주 정부 국가 보건 의료 연구 위원회.
  17. ^ "불화수", 국립 연구소.
  18. ^ Blakey K, Feltbower RG, Parslow RC, James PW, Gómez Pozo B, Stiller C, Vincent TJ, Norman P, McKinney PA, Murphy MF, Craft AW, McNally RJ (14 January 2014). "Is fluoride a risk factor for bone cancer? Small area analysis of osteosarcoma and Ewing sarcoma diagnosed among 0-49-year-olds in Great Britain, 1980-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3 (1): 224–234. doi:10.1093/ije/dyt259. PMC 3937980. PMID 24425828.
  19. ^ Mahoney MC, Nasca PC, Burnett WS, Melius JM (April 1991). "Bone cancer incidence rates in New York State: time trends and fluoridated drinking wate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1 (4): 475–9. doi:10.2105/AJPH.81.4.475. PMC 1405037. PMID 2003628.
  20. ^ Kim FM, Hayes C, Williams PL, Whitford GM, Joshipura KJ, Hoover RN, Douglass CW, National Osteosarcoma Etiology Group (October 2011). "An assessment of bone fluoride and osteosarcoma". Journal of Dental Research. 90 (10): 1171–6. doi:10.1177/0022034511418828. PMC 3173011. PMID 21799046.
  21. ^ Gelberg KH, Fitzgerald EF, Hwang SA, Dubrow R (December 1995). "Fluoride exposure and childhood osteosarcoma: a case-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5 (12): 1678–83. doi:10.2105/AJPH.85.12.1678. PMC 1615731. PMID 7503344.
  22. ^ Papalas JA, Balmer NN, Wallace C, Sangüeza OP (June 2009). "Ossifying dermatofibr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report of a case and literature review". Am J Dermatopathol. 31 (4): 379–83. doi:10.1097/DAD.0b013e3181966747. PMID 19461244.
  23. ^ Kundu ZS (May 2014). "Classification, imaging, biopsy and staging of osteosarcoma". Indian Journal of Orthopaedics. 48 (3): 238–46. doi:10.4103/0019-5413.132491. PMC 4052020. PMID 24932027.
  24. ^ 누구
  25. ^ "Surgery for Osteosarcoma". cancer.org. American Cancer Society. 2023. Retrieved 15 October 2023.
  26. ^ 루크의 이야기: 어린이 암 연구 기금 웨이백 머신에서 2014-05-18년 보관된 생존 골육종. 2016-11-07 접속
  27. ^ 사메어 라스토기, 아디티 아그가르왈, 아카시 티와리 외. 전이성 골육종의 화학요법: 개발도상국에 대한 최근의 발전과 시사점. https://ascopubs.org/doi/full/10.1200/JGO.2016.007336
  28. ^ Wilkins RM, Cullen JW, Odom L, Jamroz BA, Cullen PM, Fink K, Peck SD, Stevens SL, Kelly CM, Camozzi AB (June 2003). "Superior survival in treatment of primary nonmetastatic pediatric osteosarcoma of the extremit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0 (5): 498–507. doi:10.1245/ASO.2003.03.061. PMID 12794015. S2CID 32721347.
  29. ^ Buecker PJ, Gebhardt M, Weber K (2005). "Osteosarcoma". ESUN. Retrieved 2009-04-15.
  30. ^ "osteosarcomasupport.org" (PDF). osteosarcomasupport.org. Retrieved 2012-11-13.
  31. ^ Koshkina, NV; Corey, S (2008). "Novel Targets to Treat Osteosarcoma Lung Metastases". ESUN. Retrieved 2009-04-14.
  32. ^ "Osteosarcoma". 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 Retrieved 25 August 2021.
  33. ^ Withrow, S.J. (2003). "Limb Sparing Trials and Canine Osteosarcoma". Genes, Dogs and Cancer: 3rd Annual Canine Cancer Conference,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5-03-15. Retrieved 2006-06-16.
  34. ^ Bech-Nielsen, S., Haskins, M. E., et al. (1978). "Frequency of osteosarcoma among first-degree relatives of St. Bernard dogs". J Natl Cancer Inst. 60 (2): 349–53. doi:10.1093/jnci/60.2.349. PMID 271748.
  35. ^ Ru, B.; Terracini, G.; et al. (1998). "Host related risk factors for canine osteosarcoma". Vet J. 156 (1): 31–9. doi:10.1016/S1090-0233(98)80059-2. PMID 9691849.
  36. ^ Ranen E, Lavy E, Aizenberg I, Perl S, Harrus S (2004). "Spirocercosis-associated esophageal sarcomas in dogs. A retrospective study of 17 cases (1997-2003)". Veterinary Parasitology. 119 (2–3): 209–221. doi:10.1016/j.vetpar.2003.10.023. PMID 14746980.
  37. ^ a b c Morrison, Wallace B. (1998). Cancer in Dogs and Cats (1st ed.). Williams and Wilkins. ISBN 978-0-683-06105-5.
  38. ^ Loukopoulos P, Thornton JR, Robinson WF (May 2003). "Clinical and pathologic relevance of p53 index in canine osseous tumors". Veterinary Pathology. 40 (3): 237–48. doi:10.1354/vp.40-3-237. PMID 12724563.
  39. ^ Psychas, V; Loukopoulos, P; Polizopoulou, ZS; Sofianidis, G (March 2009). "Multilobular tumour of the caudal cranium causing severe cerebral and cerebellar compression in a dog".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10 (1): 81–3. doi:10.4142/jvs.2009.10.1.81. PMC 2801101. PMID 19255529.
  40. ^ Tomlin JL, Sturgeon C, Pead MJ, Muir P (29 July 2000). "Use of the bisphosphonate drug alendronate for palliative management of osteosarcoma in two dogs". The Veterinary Record. 147 (5): 129–32. doi:10.1136/vr.147.5.129. PMID 10958534. S2CID 35757270.
  41. ^ Fenger, Joelle M.; London, Cheryl A.; Kisseberth, William C. (2014). "Canine osteosarcoma: a naturally occurring disease to inform pediatric oncology". ILAR Journal. 55 (1): 69–85. doi:10.1093/ilar/ilu009. ISSN 1930-6180. PMID 24936031.
  42. ^ Sakthikumar, Sharadha; Elvers, Ingegerd; Kim, Jaegil; Arendt, Maja L.; Thomas, Rachael; Turner-Maier, Jason; Swofford, Ross; Johnson, Jeremy; Schumacher, Steven E.; Alföldi, Jessica; Axelsson, Erik; Couto, C. Guillermo; Kisseberth, William C.; Pettersson, Mats E.; Getz, Gad (2018-07-01). "SETD2 Is Recurrently Mutated in Whole-Exome Sequenced Canine Osteosarcoma". Cancer Research. 78 (13): 3421–3431. doi:10.1158/0008-5472.can-17-3558. ISSN 0008-5472. PMID 29724721.
  43. ^ Ekhtiari et al. "공룡의 골육종 첫 사례: 복합 진단" 랜싯 온콜로지, 21.

추가읽기

  • Jaffe, N. (2010). Pediatric and Adolescent Osteosarcoma. New York: Springer. ISBN 978-1-4419-0283-2. 골육종 연구 : 과거, 현재, 미래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