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케스타니긴귀박쥐
Turkestani long-eared bat투르케스타니긴귀박쥐 |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젖꼭지 |
주문: | 키롭테라속 |
패밀리: | 베스페르틸리오누스과 |
속: | 오토닉테리스 |
종류: | 백합목 |
이항명 | |
오토닉테리스레우코페아 (N. A. Severcov, 1873) | |
동의어 | |
|
투르케스타니긴귀박쥐는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박쥐의 일종이다.1873년에 처음 종으로 기술되었지만, 수년 동안 사막 긴귀박쥐인 Otonycteris hemprichii와 동의어로 여겨졌습니다.최근, 그것은 다시 한 번 다른 종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분류법
그것은 1873년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박물학자 니콜라이 알렉세비치 세베르코프에 의해 묘사되었고, 그는 그것을 플레코투스 레우코피아라고 이름 붙였다.1925년, 그것의 이름은 Otonycteris Leucophaea로 바뀌었다.초기 기술 이후 분류학적 상태가 여러 번 바뀌었다.최근에야 2010년에 발표된 논문에서 다시 종 수준으로 수정되었다.이 논문의 저자들은 이전에는 단일형으로 여겨졌던 오토닉테리스속은 실제로는 사막 긴귀박쥐인 오토닉테리스 헴프리치이와 투르케스타니 긴귀박쥐인 오토닉테리스 레우코페아 두 종으로 구성되었다고 결론지었다.그들은 두 집단 사이의 형태학적, 유전적 차이를 바탕으로 이 결론을 도출했다.이들의 재분류를 바탕으로 사막긴귀박쥐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투르케스타니긴귀박쥐는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된다.2010년 논문의 저자들은 투르케스타니긴귀박쥐에 다량의 변이가 존재하며, 이들은 3종의 잠정적인 이름 없는 아종으로 [2]보고 있다.
묘사
오토닉테리스속은 지리적으로 분포하는 박쥐 중 가장 큰 박쥐이다.그것은 튼튼한 이빨을 가진 큰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치아의 공식은 1.1.1.33.1.2.3으로 총 30개의 [3]치아를 나타냅니다.전완의 길이는 56.8~65.5mm(2.24~2.58인치)입니다.사막긴귀박쥐와 다른 이유는 청력이 더 작고, 코가 길고, 골반이 [2]덜 휘기 때문이다.코에서 꼬리까지 몸길이는 119-130mm(4.7-5.1인치)이다.귀 길이는 29.8~31.5mm, 폭은 14.8~26.7mm이다.트라거스의 길이는 14.1~14.7mm(0.56~0.58인치), [4]폭은 4.0~4.4mm(0.16~0.17인치)이다.
생물학
그것은 땅에서 절지동물을 채취하여 먹이를 찾는다.먹잇감은 전갈, 거미, 딱정벌레, 바퀴벌레와 흰개미, 메뚜기, 귀뚜라미, 카티디드, 낙타 거미 등이다.[1]
범위 및 서식처
지금까지, 그것은 아프가니스탄,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아시아 전역의 여러 국가에서 기록되었다.해발 300~1,500m(980~4,920ft)의 고도에서 발견된다.건조한 스텝과 사막은 그들이 선호하는 [1]서식지입니다.
보존.
최근에야 다시 종으로 승격되었고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국제자연보전연맹은 현재 정보 부족 종으로 평가하고 있다.인간에 의한 보금자리 교란, 영향을 받은 [1]곤충의 섭취에 의한 살충제 노출 등이 이 종에 대한 가능한 위협이다.적어도 서식지의 일부는 이란 [4]북동부 파르반드 보호구역에서 서식하고 있다.
레퍼런스
- ^ a b c d Benda, P. (2017). "Otonycteris leucophae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85295233A85295274. doi:10.2305/IUCN.UK.2017-2.RLTS.T85295233A85295274.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 ^ a b Benda, P.; Gvoždík, V. (2010). "Taxonomy of the genus Otonycter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Plecotini) as inferred from morphological and mtDNA data" (PDF). Acta Chiropterologica. 12 (1): 83–102. doi:10.3161/150811010x504617. S2CID 83969646.
- ^ Rosina, V. V. (2015). "First Neogene Otonycter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from Ukraine: its biostratigraphic and paleogeographic significance". Palaeovertebrata. 39 (e2). doi:10.18563/pv.39.1.e2.
- ^ a b Ashrafi, S.; Zarrintab, M.; Eagderi, S. (2016). "A new locality record for the Desert long-eared bat, Otonycteris leucophaea (Severcov, 1873) in Iran". Acta Biologica Turcica. 29 (1): 3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