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셰익스피어
The Oxford Shakespeare옥스퍼드 셰익스피어는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에서 제작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작품의 판본 범위다.옥스퍼드 셰익스피어는 스탠리 웰스와 게리 테일러의 총편집장 아래 제작되었다.
전구체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는 1891년에 셰익스피어 전집을 처음 출판했다.The Complete Works라는 제목의 이 책은 윌리엄 제임스 크레이그에 의해 편집된 한 권짜리 현대판이었다.[1][2]이 1891년 본문은 오늘날 옥스퍼드 셰익스피어로 알려진 시리즈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이 시리즈는 새로 편집되었다.
전체 작업
옥스퍼드 셰익스피어에는 1986년에 등장한 존 조웨트, 윌리엄 몽고메리, 게리 테일러, 스탠리 웰스가 편집한 작품 전집이 포함되어 있다.[3]셰익스피어의 희곡과 시는 물론 전기 서론까지 모두 수록되어 있다.각 작품마다 한 장씩 소개가 주어진다.해설서는 없지만 책 뒷면에는 용어집이 있다.관련 서적 두 권이 본문에 첨부된다.윌리엄 셰익스피어: 텍스트 컴패니언은 연극의 학자들을 위한 편집 선택에 관한 포괄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구어판에서는 연극을 원문 철자로 제시한다.
옥스포드 전집은 다른 셰익스피어 판과 다른 점이 있는데, 이 판본이 처음 인쇄된 것이 아니라 처음 공연된 대로 전시하려고 한다는 점이다.이것은 많은 논쟁적인 선택을 초래했다. 예를 들어, 세익스피어가 원래 공연 후에 그것들을 추가했다는 이유로 햄릿에게 몇 개의 유명한 연설들을 추가했다는 이유로 부록으로 강등시킨 것, 현존하는 두 개의 텍스트들 사이의 급격한 차이 때문에 리어 왕의 두 개의 별도 본문을 제시하는 것, 그리고 헨리의 팔스태프의 이름을 바꾸는 것.RY 4부 1편부터 '올드캐슬'까지 이 이름이 첫 공연에서 사용된 역사적 증거에 의한 것으로, 비록 살아 남아 인쇄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옥스포드 전집은 최초로 셰익스피어의 협업을 강조하면서, 토마스 미들턴의 맥베스, 측정값 및 아테네의 티몬을, 페리클레스(Pericles)를 조지 윌킨스(George Wilkins)와의 협연으로, 헨리 6세(Henry 6세)를 여러 무명의 다른 극작가들과의 협연으로 묘사했다.그리고 존 플레처와 협력한 두 노블 킨즈맨.또한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장르별로 나누기 보다는 연대순으로 제시하는 전통과도 깨졌다.
2005년에는 《완벽한 작품》 제2판이 제작되었다.셰익스피어의 구절이 포함될지도 모르는 토마스 모어 경(존 조웨트 작)과 셰익스피어가 부분적으로 쓴 것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희곡 에드워드 3세(윌리엄 몽고메리 작)의 전문을 추가했다.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2016년 판은 크리스토퍼 말로우가 헨리 6세 연극 3편을 위해 셰익스피어의 동등한 공동저자로 인정한다.[4][5]
W.W.Norton에 의해 출판된 Norton Shakespeare의 첫 두 판은 옥스포드 원문에 주로 기반을 두었지만, 그 결정의 일부에서 출발했다.
개인 플레이
'옥스포드 셰익스피어'라는 용어는 또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가 발표한 개별 셰익스피어 희곡과 시 판본을 가리킨다.이러한 개별 판본은 Complete Works와 같은 원리를 따르지만, 편집자들은 그들이 강하게 느낀다면 Complete Works에 대한 선택을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avid Bevington의 Henry IV Part One 판본은 'Oldcastle'이 아니라 'Falstaff'를 사용한다.하드백 판은 독특한 보라색 먼지떨이조끼가 특징이며, 페이퍼백 판은 옥스퍼드 월드 클래식 판의 디자인을 따른다.
판본은 다음과 같이 발표되었다.
- 게리 테일러의 헨리 5세(1982) 에드
- 말괄량이 길들이기(1982) H.J. 올리버
-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1982) 케네스 무어
- 티투스 안드로니쿠스(1984) 유진 M.와이스
- 줄리어스 시저 (1984) 아서 험프리스
- 햄릿 (1987년) G. R. 히바드
- 헨리 4세, 1부(1987) 데이비드 베빙턴
- 템페스트 (1987) 스티븐 오르겔
- 두 노블 킨스맨(1989) 유진 M.와이스
- 킹존 (1989) A.R. 브라운멀러
- 사랑의 노동력 상실 (1990) G.R. 히바드
- 맥베스(1990) 니콜라스 브룩
- 윈저의 즐거운 아내들 (1990) T.W. 크레이크
- 조치 (1991) N.W. 바우컷
- 모든 것이 잘 끝나다(1993) 수전 스나이더
- As You Like It(1993) 앨런 브리센던
-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한 많은 아도(1993) 쉘던 P. 지트너
- 베니스의 상인 (1993) 제이 L. 할리오
-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1994) 마이클 닐
- 코리올라누스(1994) R.B. 파커
- 열두 번째 밤(1994) 로저 워런 & 스탠리 웰스
- 한여름 밤의 꿈(1995) 피터 홀랜드
- The Winter's Tale (1996년) 스티븐 오르골
- 헨리 4세, 제2부(1998) 레네 와이스
- 심블린 (1998) 로저 워런
- 헨리 8세, 아니 모든 것이 참이다(1999) 제이 L. 할리오
- 로미오와 줄리엣 (2000) 질 L. 레벤슨
- 리어왕(2000년) 스탠리 웰스
- 리처드 3세(2000년) 존 조웨트
- 헨리 6세, 3부(2001) 랜달 마틴
- 완전한 소네트 앤 시(2002) 콜린 버로우
- 헨리 6세, 제2부(2002) 로저 워렌
- 오류의 희극(2002) 찰스 휘트워스
- 헨리 6세, 제1부(2003) 마이클 테일러
- 페리클레스 (2004) 로저 워런
- 아테네의 티몬 (2004) 존 조웨트
- 오델로(2006) 마이클 닐
- 베로나의 두 신사 (2008) 로저 워렌
- 리처드 2세(2011년) 앤서니 B.도슨 & 폴 야친
2011년 8월 리차드 2세가 출간되면서 정식 연극이 완성되어, 1권짜리 연극 중 에드워드 3세와 토마스 모어 경만이 남아 있다.
참조
- ^ "Books of the Week". The Times: 3. 3 December 1891.
- ^ Craig, W. J (ed.). The complet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1 ed.). Oxford University Press. OCLC 13764144.
- ^ Wells, Stanley W; et al. (eds.). The complete 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12926-4. OCLC 59180122.
- ^ Shea, Christopher D. (24 October 2016). "New Oxford Shakespeare Edition Credits Christopher Marlowe as a Co-author".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4 October 2016.
- ^ "Christopher Marlowe credited as Shakespeare's co-writer". BBC. 24 October 2016. Retrieved 24 Octob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