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두락사
Paduraksa
고리라고도 알려진 파두락사는 인도네시아 자바섬과 발리섬에서 볼 수 있는 우뚝 솟은 지붕으로 덮인 관문의 일종이다. 이 건축적 특징은 인도네시아의 고전 힌두교-불교 시대의 건물에서 흔히 발견된다. 파두락사는 종교적인 화합물, 공동묘지 또는 궁전 안에서 가장 신성한 공간(내부 생텀)으로 들어가는 문턱을 표시한다.[1] 발리 건축에서, 정교하게 장식된 높이 솟은 파두락사는 종종 이 절의 가장 당당한 건축물로 지어진다.[2]
형태

파두락사는 기본적으로 칸디 형태의 관문이다. 구조는 계단식 비행이 있는 베이스, 입구 개구부가 있는 본체, 칸디의 계단식 특성을 가진 크라운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구 개구부에는 때로는 정교하게 조각된 나무로 만든 문이 달려 있다.[3]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파두락사 문 중 하나는 14세기 중반의 마자파히트(Mazapahit)에서 유래한 우아한 붉은 벽돌의 파두락사 문인 Trowulan에 있는 바장 라투(Bajang Ratu)이다. 바장 라투 문에는 스리 탄중과 라마야나의 이야기를 묘사한 밑받침이 장식되어 있다.[4] 구조물의 형태는 키가 크고 호리호리하여 16.5m 높이까지 올라가며 특히 지붕 부분에는 복잡한 구조 장식이 나타난다.
파두락사의 기본 형태는 계단식 칸디인 데 반해 장신구, 형상, 상징물 등으로 무겁게 장식할 수 있다. 발리에서는 파두락사의 왕관을 불꽃 같은 장식품과 천상으로 장식하고 있다. 바호마나 사나운 칼라의 위협적인 머리는 종종 개구부 위에 새겨져 있고, 사자처럼 생긴 에피타이저나 드바라팔라의 사나운 거인 한 쌍이 입구의 옆구리를 지키고 있다. 위협적인 칼라의 머리와 드바라팔라 문 보호자 둘 다 보호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악령을 퇴치하고 영내로 들어오는 것을 쫓아내기 위해서.
사당의 내부 생텀으로 들어가는 문턱을 표시하는 주 고리는 고리 아궁이라고 알려져 있다. 센당뒤우르의 이슬람 묘지 단지 안에 있는 파두락사는 메루의 날개를 나타내는 신비로운 날개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천체 조류 가루다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5]
고전 자바와 발리 힌두교 사원

파두락사와 칸디 벤타르(또 다른 관문 특징)는 발리 힌두교 사원 건축과 아마도 고전적인 자바 힌두교 사원의 필수적인 특징이다. 두 개의 관문은 절의 화합물 내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신성함 사이의 문턱을 나타낸다. 발리에서는 칸디 벤타르가 힌두교 사원의 바깥 영역인 니스타 만다라("외부 생텀")와 바깥 세계 사이의 경계를 표시하고, 파두락사는 가장 안쪽의 우타마 만다라("중부 생텀")와 가장 신성한 우타마 만다라("메인 생텀")의 경계를 표시한다.[6]
발리 사원의 건축에서, 주요 사찰은 보통 가장 크고 가장 높은 세 개의 파두락사 문과 두 개의 작은 문으로 측면에 있다. 일용직이나 캐주얼한 방문객들은 주로 옆문을 이용하며, 종교 축제 때를 제외하고는 정문은 잠겨 있다.[2] 발리에서, 파두락사 중앙문은 제사장들과 신들을 위한 것이다.
기원과 진화

파두락사는 인도네시아의 고전적인 인도 고뿌람을 각색한 것이다. 자바 지붕의 관문의 초기 형태는 프람바난, 플라오산, 라투 보코 등 중부 자바에 있는 8~9세기 사원 단지 두어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후기에 이 문들은 더욱 가느다란 형태를 띠었다. 칸디 벤타르와 파두락사를 보여주는 구호물들이 13세기 동자바에 있는 칸디 자고에서 발견되었다.[3] 힌두교 신가사리, 마자파히트 시대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동자바 13~14세기 파두락사는 발리 파두락사와 똑같아 보인다. 14세기 마자파히트 제국의 수도인 트와울란 유적지에는 바장 라투(자바어 "드워프/불량 군주")라는 이름의 파두락사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파두락사다. 바장 라투파두락사 입구에는 둥근 구멍이 있어 한때 이곳에 양잎 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7]

파두락사는 15세기 이슬람 시대가 도래할 때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고리 아궁이라는 이름은 대개 비힌두 목적으로 사용되는 파도락사(paduraksa)에서 따온 이름이다. 코타게에 있는 마타람의 대 모스크(Mesjid Gedhe Mataram)에는 사원으로 들어가는 문턱을 표시하는 고리 아궁이 있는데, 판엠바한 세노파티의 무덤이 있다. 자바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인 16세기 메나라 쿠두스 모스크는 그 안에 고리 아궁이 있고 고리 아궁이가 있다. 이슬람 자바의 많은 크라톤(팔라스) 복합단지는 복합단지 내에 코리 아궁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요기아카르타 술탄테트의 크라톤 응아요야카르타 하디닌랏, 치레본 술탄테의 크라톤 카세푸한, 카노만, 반텐 술탄테트의 파괴된 크라톤 카이본 등. 무슬림 묘지 단지 역시 이모기리 묘지 단지 등 묘지가 있는 지역을 표시하기 위해 고리 아궁이를 활용했다. 센당두우르 묘지 단지에는 날개 모양의 건축 양식을 가진 두 개의 고리 아궁이가 있는데, 이는 날개 달린 메루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8]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파두락사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와다니, 시틴작 & 마양 사리 2015, 페이지 2.
- ^ a b Lesley Reader; Lucy Ridout (2002). Bali and Lombok. Rough Guides. ISBN 9781858289021.
- ^ a b 데이비슨 2003, 페이지 36.
- ^ "Candi Bajangratu". Perpustakaan Nasional.
- ^ 우카 탄드라사스미타 2009, 페이지 243.
- ^ 와다니, 시틴작 & 마양 사리 2015, 페이지 3.
- ^ 믹식 1998, 페이지 70–1.
- ^ 우카 탄드라사스미타 2009, 페이지 242–3.
인용 작품
- Davison, Julian (2003). Balinese architecture. Singapore: Tuttle Publishing. ISBN 9780794600716.
- Miksic, John (1998). Gunawan Tjahjono (ed.). Architecture:Brick Architecture of Majapahit. Indonesian Heritage. 6. Singapore: Archipelago Press. ISBN 9813018305.
- Uka Tjandrasasmita (2009). Arkeologi Islam Nusantara [Nusantara Islamic Archeology]. Jakarta: Kepustakaan Populer Gramedia. ISBN 9789799102126.
- Wardani, Laksmi Kusuma; Sitindjak, Ronald Hasudungan Irianto; Mayang Sari, Sriti (2015). "Estetika Ragam Hias Candi Bentar dan Paduraksa di Jawa Timur" [Ornament aesthetic of Candi Bentar and Paduraksa in East Java] (PDF) (in Indonesian). Petra Christian University. Retrieved November 19, 2016.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