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하바지
Pakhavaj타악기 | |
---|---|
발달된 | 14세기, 무굴 시대 |
관련 계기 | |
Mridangam, Khol, tabla, kendang | |
추가 기사 또는 정보 | |
힌두스탄 음악 |
팍하바지는 통 모양의 두 개의 머리로 된 북으로, 인도 아대륙에서 유래한 것으로,[1] 나이 든 므리당암의 변종이자 후손이다. 동남아의 첸당(Kendang)은 박하와지와 다른 남아시아의 양두 북과 먼 친척이다.
인도 고전음악의 드루패드 스타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타악기로, 음악 및 댄스 공연의 다양한 보조양식(예: 캐스탁)을 위한 리듬 반주로 덜 사용된다. 밀당암과는 달리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낮고 감미로운 음색을 가지고 있어 조화로운 음색이 상당히 풍부하다. 파카와즈의 옆면은 동물의 가죽(흔히 염소 가죽)으로 만들어진다. 파하바즈 연주자들은 다리를 꼬고 바닥에 앉으면서 자기 앞에 수평으로 악기를 놓는다. 선수들은 때때로 쿠션을 약간 들어올리기 위해 좁은 삼단면 아래에 놓을 수도 있다. 오른손잡이는 왼쪽에는 더 큰 베이스 스킨을, 오른쪽에는 삼겹살을 놓는다. 베이스 얼굴에는 키란 역할을 하고 파하바지에 생생한 베이스 사운드를 주는 신선한 밀 반죽이 묻어나는 경향이 있다.
Pakhavaj의 튜닝은 타블라(tabla)의 튜닝과 유사하며, 나무 쐐기가 튜닝 스트랩 아래에 위치한다. 트레블 페이스가 커버되는 피부의 두께가 다양하기 때문에 트레블 페이스는 세미톤과 떨어져 있는 최소 2개의 톤을 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을 타격하는 경우(볼트 दिन din) 노트 C를 생성하도록 튜닝된 후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타격하는 경우(예를 들어 볼 ता을 사용하여) 노트 C#를 생성할 수 있다. 촘촘한 튜닝은 얼굴이 만들어지는 피부의 연장선인 짜여진 바깥고리(गजरा - gajra)로 할 수 있다. 갓 만든 밀가루 반죽(또는 밀가루 반죽)과 물을 발라 저음의 소리를 높이는 것은 베이스 스킨에만 해당된다.[2]
어원
पखव - - Pakhavaja 또는 Pakhavaja는 프라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산스크리트어 등가로는 पक्षव pak pak pak pak pak pak Pakṣa와 Tamil Pakkavadyam 또는 Kannada Pakkavadya(ವವವಾ(((್್್್್್್್್್್್್್್್್್್್್್್್್್್್್್್್್್್್್್್್್್್್್್್್್್್್್್್್್್್್್್್ 이 단어는 प्ष pak pakaa("a side")와 ाद्् v vadya("악기")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14세기에는 위대한 밀당주의자들이 밀당 건축에 사용된 재료들을 실험하여 마침내 원래의 진흙과는 반대로 본체에 나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이름인 Pakhavaj가 등장하였고, 이전 이름인 Mridang은 여전히 사용되었다.[3]
테크닉
타블라와 마찬가지로, 파하바지 리듬(또는 탈라)은 볼트로 알려진 일련의 니모닉 음절에 의해 가르쳐진다. 놀이 기법은 여러 면에서 타블라의 그것과 다르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예술가가 오른손잡이에게 파하바지의 왼쪽이 될 베이스 페이스에 타블라처럼 손가락 끝으로 치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 전체로 치는 것이다. 오른손잡이에게 파하바지의 오른쪽이 될 삼단면(treble face)은 손가락의 다양한 구성으로 연주되어 주어진 리듬에 따라 다른 볼트를 만들어 내는 반면, 전통적인 모드는 '찬티'라고 불리는 순수하고 완벽한 소리를 내기 위해 손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팍하바즈 스타일에서, 학생은 특정한 소리를 내는 많은 다른 획을 배울 것이다. 이것들은 기억되고 그에 상응하는 음절로 실행된다. 이 암기를 힌디어로 प़नतत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파카바즈 니모닉스는 타블라 니모닉스와 어느 정도 유사하지만, 동일한 니모닉의 해석은 파카바즈에서 다를 수 있고 각각의 가라나(예: 나나 판세 하라나, 나트드와라 하라나)에 따라 다를 수 있다.[4]
인도의 클래식 음악 전통은 타악기 연주자가 이러한 연상기호에서 표현된 리듬을 구두로 암송하도록 장려한다. 타악기 연주자는 자신의 리듬을 즉흥적으로 연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연상기호에 대한 지식이 뛰어난 것은 타악기 연주자가 동행하는 음악가와의 공통점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때때로 타악기 연주자가 리듬을 꽤 빨리 연주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즉, 드루트 라야) 이러한 연상기호는 타악기 연주자의 빠른 리사이틀을 보조하도록 고안되었다.
연상학
다음은 인기 있는 연상연하 몇 가지.[5]
- दिन (din) - 이 소리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모든 손가락으로 트레블 페이스의 중심을 부드럽게 때리고 공명하는 소리가 날 정도로 빠르게 손을 떠나면서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명음은 종종 리듬에서 다음 니모닉으로 가는 가교 역할을 한다.
- ता (ta) - 이 소리는 손의 부분이 새끼손가락 아래로 약간 내려간 상태에서 삼단면 윗부분을 빗질하면서 손을 아래부터 위로 흔드는 것이다. 이것은 종종 리듬의 서브 사이클의 마지막 니모닉 역할을 하는 공명음을 만들어 낸다.
- घे (ghe) - 이 소리는 엄지손가락을 닫은 것을 제외한 모든 손가락으로 베이스 부분을 쳐서 만들어진다.
- धा (dha) - घे과 ता으로 구성된 복합 니모닉으로, thush과 ता으로 양손으로 동시에 연주된다.
- तिट (tiTa) - 이 소리는 두 부분으로 나 있는 트레블 페이스에서 생성된다. 두 부분 모두 음소거된 명중이며, 만약 손이 재빨리 얼굴을 치게 되었다면 일어날 공명을 억제하기 위해 손을 얼굴에 남겨서 생산된다(즉, 즉시 빼앗기). 1부는 가운데, 반지와 새끼손가락으로, 2부는 검지손가락만으로 음소거 히트를 한다.
- क (ka) - 이 소리는 베이스 면에 음소거로 손의 모든 손가락으로 음소거로 음소거로 만들어진다.
- न (n) - 트레블 페이스에 가운데 손가락과 약지로 만든 음소거음이다.
- ना (na) - 이것은 타블라에서 등가 소리와 비슷하다. 약지는 시아히(삼각형의 검은 중심)를 분리하는 테두리에 있어야 하며, 검지는 가장자리에 부딪혀 즉시 들어올려 공명음(중앙보다 더 높음)을 낼 수 있다.
- तिन(틴) - 이 소리는 ना(na)와 비슷하지만 검지손가락으로 가장 바깥쪽 링과 안쪽 원(시아히) 사이의 दाननmaidा(midan)을 친다.
- कत (kata) - क(ka)와 ता(ta)를 연속해서 연주하여 만든 복합음이다(धा - dha와 동시에 연주되는 것은 아니다).
- गन (gan) - ((ka)와 न(n)을 연속해서 연주하여 만든 합성음이다.
- गदि (가디) - क(ka)와 दिन(din)을 연속해서 연주하여 만든 합성음이다.
빠른 리사이틀을 지원하기 위해 때때로 다른 이름들이 몇몇 연상키(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घे(ghe)도 थु्(thun)으로 발음할 수 있고, तिट(tiTa)도 किट(kiTa)로 발음할 수 있다.
탈라의 리듬
초보자가 배울 것으로 예상되는 기본적인 운동은 특정한 탈라나 리듬 사이클에서 카(패턴)를 연주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우탈이나 차탈(차우탈-보즈푸리를 사용하는 지역의 민요 스타일과 무관함)을 위한 12박자의 간단한 볼트는 다음과 같다.
धा धा दिन ता तिट धा दिन ता तिट कत गदि गन
Dha din ta tiTa din ta kata gadi gana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높은 템포/라야에서 수행되는 구성인) 리라스를 연습하기 위해 전진한다.
작곡에 자주 사용되는 또 다른 탈라로는 다마탈라(14박자)가 있는데, 이는 3-2-2-3-4와 때로는 3-2-3-2-2의 구도를 따른 것으로, 특정 서신에 따라 다르다. 다마라 탈라를 위한 카는 카디타디타다 가디나나타타다 또 다른 인상적인 탈라는 다카케테 낙디게르 나흐가 주목하는 2-2-2-2의 계략에 따른 술탈라(10박자) 또는 수르판탈라(10박자)이다.
파하바지에 사용된 몇 개의 다른 탈로는 테라와(7박자/3-2-2)탈라, 마타탈라(9박자/4-2-3, 때로는 4-1-4), 테탈라(16박자/4-4-4)와 판참 사와리(15박자/3-4-4-4)가 있다. 이것들은 흔하지 않다.
주목할 만한 선수들
Nana Panse, Nathdwara and Kudai Singh may be the primary surviving gharanas of pakhawaj but there are at least 11 styles that can be traced in recent history - Jaawli, Mathura, Punjab, Kudau Singh, Nana Saheb Panse, Naathdwara, Bishnupur, Gurav parampara, Mangalvedhekar, Gwalior, Raigarh, Gujarat, Jaipur and Jodhpur.[6] 악기의 오랜 역사를 감안할 때 쟁쟁한 박하바즈 선수 명단이 철저하기는 어렵지만, 여기에 근래에 나온 쟁쟁한 박하바즈 선수가 몇 명 있다.
- 라라 바그완다스
- 나나사헵 판세
- 쿠다우싱
- 푸르쇼탐 다스(1907-1991)
- 스와미 파갈 다스 지 (1920-1997)
- 판디트 라자 차트라파티 싱(1919~1998)
- 판디트 슈라이칸트 미샤라(1952-2012)
- 판디트 아요디야 프라사드
- 판디트 타라나스 라오
- 판디트 푸루쇼탐 다스
- 마니크 먼데
- S. V. 팻워드한
- 아르준 셰발
- 람지 우패드하이
- 고빈드라오 부란푸르카르
- 판디트 멀리다르 샤르마
- 토타 람 샤르마
- 아킬레시 군데차
- 판디트 라비 샹카르 우파디야
- 모한 샤르마
- 슈라이 찬찰 바타차랴
- 판디트 달찬드 샤르마
- 미단가차랴 스리구루다스 고시
- 판디트 프라발 나트
참고 항목
참조
- ^ James Blades (1992). Percussion Instruments and Their History. Bold Strumme. pp. 138–. ISBN 978-0-933224-61-2. Retrieved 25 December 2012.
- ^ Pakhavaj, Tuning. "Tuning Pakhavaj". indian-instruments.com. (N.A.). Retrieved 10 November 2017.
- ^ Ralph Lilley Turner (1975). Collected papers, 1912-1973.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7135822. Retrieved 25 December 2012.
- ^ Pacciolla, Paolo. The Indian drum of the king-god and the pakhāwaj of nathdwara. New York. ISBN 978-0-367-37024-4. OCLC 1154017106.
- ^ Ajay Kumar (2010). Pakhawaj: Origin, Development and Playing Styles. Retrieved Oct 2, 2020.
- ^ Mistrī, Ābāna E. (1999). Pakhawaj & Tabla: History, Schools, and Traditions. Pt. Keki S. Jij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