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니쿰 디코시툼

Panicum decompositum
파니쿰 디코시툼
Panicum decompositum habit.jpg
과학적 분류 edit
왕국: 플랜태
Clade: 기관지 식물
Clade: 혈관배양액
Clade: 외떡잎
Clade: 코멜린류
주문: 풀즈
패밀리: 포아과
서브패밀리: 패닉이데아과
속: 패닉엄
종류:
디코시툼
이항명
파니쿰 디코시툼

토종 밀레, 토종 패닉, 호주 밀레, 파파 풀, 우산 풀알려진 파니쿰 디코시툼은 호주 내륙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의 일종이다.그것은 모든 본토 [1]주에서 발생한다.그 씨앗은 원주민의 덤불 [2]음식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밀가루를 생산하기 위해 재배될 수 있다.이 종은 가축의 입맛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여겨져 [1]목초지를 방목하기에 적합하다.

묘사

Panicum decositum seed-heads의 열린 패니클 구조.

토종 기장은 특히 여러해살이풀을 형성하는 C4 송곳니로 잎의 앞부분에는 옅은 선이 아래로 뻗어 있고 잎의 뒷부분에는 용골이라고 알려진 돌출된 척추를 가지고 있다.풀은 최대 145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씨앗 머리 길이는 약 40c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토종 기장은 암수동물로, 같은 꽃에 수컷과 암컷의 생식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시드 헤드는 여러 개의 작은 가지가 느슨하게 모여 있는 개방된 원추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각각의 작은 가지 끝에는 꽃이 피고 씨앗으로 성숙하는 [1]송곳니가 있습니다.여름과 가을에 꽃을 피우는 종(호주는 약 12월부터 5월까지)으로,[3] 주된 수분 방법은 바람을 통해서입니다.

토종 기장은 다른 풀과 함께 주변 토양을 보존하고 [4]침식을 방지하는 섬유질 뿌리를 기른다.섬유질 뿌리는 또한 미생물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토양의 전체 바이오매스를 증가시킨다.비료나 [4]살충제와 같은 물 유출에서 화학성분의 여과 작용을 촉진한다.

종자 분산

토종 패닉에 대한 씨앗 분산의 주요 모드는 바람이다.씨앗이 성숙하고 건조해지면, 적절한 바람과 함께 송곳니가 쉽게 부러져 [4]날아갈 수 있다.말린 송곳니, 마른 죽은 줄기는 쉽게 뭉쳐 화재의 [1]위험이 있습니다.이 문제는 보통 건조한 계절에 [5]산불에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줄이기 위해 종종 사용되는 방법인 역연소로 관리된다.

생태학

토종 기장의 씨알은 화재 위험이 있는 [1][5]울타리 주변에 모인다.
토종 기장은 일반적으로 모래와 점토가 많은 [1]토양에서 자란다.

토종 기장은 다양한 토양을 견딜 수 있지만, 충적토라고도 알려진 점토와 모래 함량이 높은 습한 토양을 선호합니다.토종 기장은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우뚝 서거나 한 그루의 덤불보다는 목초지에서 고르게 자란다.그 종은 가뭄과 홍수 상황 [1]모두에 강하다.토종 기장은 모종 성장 [6]둔화를 제외하고 정상적인 식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오랜 기간의 홍수를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종은 서리에 민감하고 종종 겨울 동안 씨앗을 빨리 생산하거나 생산하지 않습니다.토종 기장은 [1]봄에 빠르게 번식할 수 있다.

사용하다

부시푸드

원주민 기장은 원주민들의 주식으로, 전통 소다빵인 댐퍼를 만들기 위해 씨앗을 손으로 수확한다.그 씨앗들은 밀가루를 생산하기 위해 와틀 씨앗과 스피니펙스 (트리오디아) 풀 씨앗과 같은 다른 토종 씨앗들과 결합되어 건조하게 수집될 수 있다.씨 헤드는 보통 건조하게 갈았을 때 반죽을 만들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그렇지 않으면 두껍고 끈적끈적한 반죽을 만들기 위해 소량의 물을 첨가할 수 있습니다.이 반죽은 생으로 소비되거나 빵 덩어리나 빵으로 만들어지고 부시 빵, 씨 케이크 또는 소다 빵으로도 알려진 댐퍼 빵을 만들기 위해 뜨거운 석탄 위에서 요리될 수 있습니다.부시 브레드는 [2]종종 에너지원으로 단체 여행에 휴대된다.캥거루 풀과 같은 다른 토종 풀뿐만 아니라 밀이나 호밀가루의 [7]대안으로 일부 작은 호주 빵집에서 현대 제빵에 접목되고 있다.

농업

농부들은 또한 풀을 가축의 목초지로 높이 평가합니다.토종 기장은 2.2~10.6%의 조단백질로 중간에서 높은 방목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가축이 비교적 입맛에 맞는 것으로 여겨진다.홍수에 대한 저항성 때문에 여름 동안 폭우나 홍수 후에 범람원에서 많은 양의 사료를 생산할 수 [1]있다.토종 기장은 높은 가축량을 견딜 수 있지만, 최대 40%의 목초지 활용률, 즉 한 [1]번에 소비되는 목초지의 비율을 가진 순환 방목으로 가장 잘 관리된다.사료의 과잉 성장은 목초지의 밑부분에서 부패를 초래하여 [8]입맛을 떨어뜨릴 수 있다.모래땅에서 자생하는 기장의 성장은 보통 방목 압력이 낮거나 가축의 양이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그러나 흙이 많은 토양에서 자생하는 기장의 성장은 과도한 [1]비축의 결과로서 많은 방목을 나타낼 수 있다.자생 기장의 발아율은 식물성 연기에 노출되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것은 가축이나 종자 [9]재배를 위한 목초지를 만들기 위해 역화 또는 연기 처리된 토종 기장 씨앗의 파종에서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독성

Panicum dichotomiflorum과 같은 Panicum속의 일부 종은 [11][12]양과 같은 반추동물 가축에서 간유인성 광감작증을[10]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것은 장에 광증감제인 필로에스린이 축적되어 피부에 화상, 물집, 또는 [12]피부병변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광독성 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한다.P. decositum은 유사한 광감염으로 인한 종의 독성이 의심되어 왔으나 구체적인 사례는 [13][14][11]확인되지 않았다.

분배

토종 밀레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P. decompositum var. decompositum은 원산지로 빅토리아 주에서만 발생하는 반면, P. decompositum var. tenuis는 다른 모든 본토 주, 특히 Northern Territory, Queensland, South Australia 및 New South Wales에서 발생합니다.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 목격된 것은 거의 없으며 태즈메이니아주에서는 [15]두 변종 모두 발견되지 않는다.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의 킴벌리 지역의 충적 미첼 초원의 중간 종에 속합니다.미첼 초원은 점토와 진흙 함량이 [16]높기 때문에 검은 흙으로 알려져 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Native millet". www.dpi.nsw.gov.au. 2017. Retrieved 21 September 2020.
  2. ^ a b Wroth, David; Gallery, Japingka; Aug 2020, Updated. "Damper Seed - Aboriginal Art Stories - Japingka Gallery". Japingka Aboriginal Art Gallery. Retrieved 21 September 2020.
  3. ^ "Native Millet". www.herbiguide.com.au. Retrieved 17 November 2020.
  4. ^ a b c "Saving soil - A landholder's guide to preventing and repairing soil erosion". www.dpi.nsw.gov.au. 2017. Retrieved 17 November 2020.
  5. ^ a b "Fire Management". Bush Heritage Australia. Retrieved 17 November 2020.
  6. ^ Geurts, C. J.; Fox, J. E. D.; Luong, T. M.; Cox, M. C. (2005). "Flood tolerance of Panicum decompositum: Effects in seedling biomass". Tropical Grasslands. 39: 160–170.
  7. ^ Mitchell, Georgina (6 October 2018). "Bakers rise to use of native grains as kangaroo grass hops into recipes".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20 November 2020.
  8. ^ Morgan, Jim; PhD (21 July 2012). "Advantages of Rotational Grazing". Premier1Supplies Sheep Guide. Retrieved 20 November 2020.
  9. ^ Read, Tamara R.; Bellairs, Sean M. (1999). "Smoke affects the Germination of Native Grasses of New South Wales". Australian Journal of Botany. 47 (4): 563. doi:10.1071/bt97124. ISSN 0067-1924.
  10. ^ "Photosensitization in Animals - Integumentary System".
  11. ^ a b Sillman, Sarah J.; Lee, Stephen T.; Claborn, Jeff; Boruch, Jennifer; Harris, Seth P. (19 December 2018). "Fall panicum (Panicum dichotomiflorum) toxicosis in three juvenile goats". Journal of Veterinary Diagnostic Investigation. 31 (1): 90–93. doi:10.1177/1040638718820083. ISSN 1040-6387. PMC 6505770. PMID 30565513.
  12. ^ a b "Photosensitization in Animals - Integumentary System". Veterinary Manual. Retrieved 23 November 2020.
  13. ^ "Economic Attributes of Australian Grasses AusGrass2". ausgrass2.myspecies.info. Retrieved 20 November 2020.
  14. ^ "Native Millet". www.herbiguide.com.au. Retrieved 20 November 2020.
  15. ^ "Flora of Victoria". vicflora.rbg.vic.gov.au. Retrieved 20 November 2020.
  16. ^ "Mitchell grass alluvial plain pastures in the Kimberley, Western Australia". www.agric.wa.gov.au. Retrieved 20 November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