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날 파텔

Pannalal Patel
판날 나날랄 파텔
태어난(1912-05-07)7 1912년 5월
만들리 마을 영국령 인도(현재 라자스탄 던가푸르)
죽은1989년 4월 6일 (1989-04-06) (76세)
인도 구자라트 아메다바드
직업소설가, 단편소설 작가
국적인디언
주목할 만한 작품
주목할 만한 상
배우자발리벤[1]

판날 나날랄 파텔(Pannalal Nanalal Patel, 1912년 5월 7일 ~ 1989년 4월 6일)은 구자라티 문학에 공헌한 것으로 알려진 인도의 작가였다. 그는 수크덕나 사티(1940년)와 바트락네 칸테(1952년) 등 단편소설 20여 편과 말랄라 제프(1941년), 만비니 바바이(1947년), 반야나 베루(1957년) 등 사회소설 20여 편과 여러 신화를 썼다. 그는 1985년에 Jnanpith 상을 받았다. 그의 작품들 중 일부는 연극과 영화로 각색되었을 뿐만 아니라 번역되었다.[2]

인생

"생명은 내게 자신의 침으로 자신의 거미줄을 만드는 거미의 그것처럼 나타난다. 거미는 자신의 거미줄 가닥으로 삶을 통해 나아간다. 나 역시 이 세상을 돌아다니며 나만의 길을 찾고 배우고 변화해 왔다. 내가 인생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경험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 Pannalal Patel[3]

1912년 5월 7일 만들리 마을(지금의 라자스탄 둥가푸르)에서 나나샤(Nanasha)의 나날랄(Nanalal)과 히라바(Anjana Chaudhari) 가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4남매 중 막내다.[1] 그의 아버지는 농부였고[4] 라마야나, 옥하하란, 그리고 그의 마을을 위해 다른 신화적인 이야기들을 암송하곤 했다. 이로써 그의 집은 "학문의 전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어린 시절 돌아가셨고 어머니 히라바는 아이들을 키웠다.

판날랄이 공부한 아이다르의 프라탑 고등학교

그의 교육은 가난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진행되었다. 그는 아이다르 프라탑 고등학교에서 유일한 4학년까지 공부할 수 있었다. 학교 다닐 때, 그는 학교 친구인 우마산카르 조시와 친구가 되었다.[3] 잠시 동안 둥가푸르에 있는 주류 제조회사에서 매니저로 일했다. 그는 구자라트의 아메다바드에서 가정부 일을 하면서 첫 소설을 썼다.[5]

1936년, 그는 우연히 글을 쓰도록 설득한 옛 친구 우마산카르 조시를 만났다. 그는 그의 첫 단편 소설인 Sheth Ni Sharda (1936년)를 썼다. 후에, 그의 이야기는 많은 구자라티 잡지에 실렸다.[6] 1940년 첫 소설 《발라마나》(The Send-off)로 인정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말랄라 제브(1941), 만비니 바바이(1947) 등 많은 소설이 있다. 1971년 아흐메다바드에서 두 아들과 함께 출판사 사드하나를 설립했다.[3] 말년에 그는 힌두교 신화와 에픽을 바탕으로 한 소설을 주로 썼다.[5][7]

는 1989년 4월 6일 뇌출혈아메다바드에서 사망했다.[5]

작동하다

그는 61개의 소설, 26개의 단편 소설집, 그리고 많은 다른 작품들을 썼다.[8] 그는 그의 작품을 주로 구자라트 북부의 사바르칸타 지구의 토착 숙어로 썼다.[4]

그의 많은 소설의 중심 주제는 사랑이었다. 그는 그의 작품에서 구자라트의 시골 생활을 인위적으로 묘사했다.[2] 그의 소설은 마을 주변의 중심지, 마을 사람들, 그들의 삶, 희망과 포부, 그들의 문제점과 포부들이다. 칸지와 지비가 서로 다른 카스트에서 태어난 미완의 사랑을 그린 말렐라 제프(1941)는 그의 베스트 소설 중 하나로 꼽힌다.[3][9] 그의 소설 만비니 바바이(1947)는 1900년대 초 구자라트의 전원생활과 농촌생활 탐구를 가장 강력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10][11] 그의 소설 나추트케(1955)는 마하트마 간디사티아그라하 운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인도의 자유와 인도인의 정신적 고양을 위한 간디의 다양한 노력을 열거하고 있다.[12] His other novels depicting rural life are Bhangyana Bheru (1957), Ghammar Valonu Vol 1-2 (1968), Fakiro (1955), Manakhavatar (1961), Karoliyanu Jalu (1963), Meen Matina Manvi (1966), Kanku (1970), Ajavali Rat Amasni (1971). 도시 생활을 시골 생활보다 덜 재미있게 묘사한 그의 소설들. 비루 사티(1943)는 그의 첫 소설이었다. His other novels depicting urban life are Yauvan Vol 1-2 (1944), Padagha and Padchhaya (1960), Ame Be Baheno Vol 1-2 (1962), Andhi Ashadhni (1964), Pranayna Jujva Pot (1969), Allad Chhokari (1972), Ek Anokhi Preet (1972), Nathi Paranya Nathi Kunwara (1974), Raw Material (1983). 갈랄싱(1972년)[5]은 사랑과 용기의 역사소설이다.

사랑의 주제 이외의 그의 소설로는 파흐할레 바라네(1947), 발리 바탄마(1966), 에클로(1973), 타그(1979), 파게루(1981) 등이 있다. 안가로(1981년)는 그의 탐정소설이다. 파라메트 바이샤나프 나라신 메타제네 지비 야뉴(1984)는 나르신 메타라비산카르 마하라지의 전기소설이다. 나가드나라얀(1967년)과 마라카틀랄(1973년)은 그의 유머러스한 소설이다.[5]

말년에 그는 에픽,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푸라나나 등 힌두 신화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썼다. 그는 원래의 이야기와 그 기적적인 주제를 보존했지만 몇 가지 사례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그의 그러한 작품들로는 파르트 네 카호 차다브1-5 (1974년), 라메 세탄 마리아! Vol 1-4 (1976), Krishna Jivanleela Vol 1-5 (1977), Shivaparvati Vol 1-6 (1979), Bhishmani Banshaiyya Vol 1-3 (1980), Kach-Devyani (1981), Devyani-Yayayti Vol 1-2 (1982), Satyabhamano Manushi-Pranaya (1984), (Manavdehe) Kamdev Rati (1984), (Mahabharatano Pratham Pranay) Bheem-Hidimba (1984), Arjunno Vanvas Ke Pranaypravas (1984), Pradyamna-Prabhavati (1984), Shri Krishnani Aath Pataranio (1984), Shikhandi Stree Ke Puraush? (1984), Revatighela Baldevji (1984), Sahdev-Bhanumatino Pranay (1984), Kubja Ane Shri Krishna (1984), (Narma Nari) Il-Ila (1986), (Amarlok-Mrityuloknu Sahjeevan) Urvashi-Pururava (1986).[5]

그는 450편 이상의 단편 소설을 썼다. His short story collections are Sukh Dukhna Sathi (1940), Jindagina Khel (1941), Jivo Dand (1941), Lakhcorasi (1944), Panetarna Rang (1946), Ajab Manavi (1947), Sacha Shamana (1949), Vatrakne Kanthe (1952), Orata (1954), Parevada (1956), Manna Morla (1958), Kadavo Ghuntado (1958), Tilottama (1960), Dilni Vaat (1962), Dharati Abhna Chheta (1962), Tyagi-Anuragi (1963), Dilaso (1964), Chitareli Diwalo (1965), Morlina Munga Sur (1966), Malo (1967), Vatno Katko (1969), Anwar (1970), Koi Deshi Koi Pardeshi (1971), Asmani Najar (1972), Binni (1973), Chhanako (1975), Gharnu Ghar (1979) and Narato (1981).[5]

자마이라즈(1952년)는 단막극의 모음집이다. Dholia Sag Sesamna(1963년)와 Bhane Narsaiyo(1977년)는 그의 독창적인 3막극이다. 칸칸(1968년)과 알라드 초카리(1971년)는 각각 소설 파키로와 알라드 초카리를 각색하고 있다. 찬도 선샤말로?(1960), 사파나나 사티(1967), 카난은 서양 연극을 각색한 구자라티 작품이다. 스와프나(1978년)는 오로빈도의 이야기를 각색한 작품이다.[5]

아동문학도 썼다. 바르타킬롤 1-2 (1972년, 1973년), 발킬롤 1-10 (1972년), 리시쿨리 카타오 1-4 (1973년), 데브노 디델 1-5 (1975년), 마하바라트 키쇼카타타 (1976년) 라마얀 키쇼카타(1980), 슈라이 크리슈나 키쇼카타(1980), 사티아유그니 카타오 1-5권(1981)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그의 작품이다.

알라프잘랍(1973년)은 그의 어린 시절과 10대를 그린 자전적 작품이다. 판날리 슈레쉬 바르타오(1958), 판날리노 바르타바비브하브(1963), 비넬리 나바비카오(1973), 푸르나요그 아차만(1978), 롯군잔(1984) 등이 그의 편집 및 선별된 작품집이다. 그의 다른 작품으로는 알락말락(1986)과 사르야니 수바르나 스마라니카(1986)가 있다.[5]

진다기 산제바니 vol 1-7은 그의 자서전이다.[citation needed]

번역 및 개조

말렐라 제프베무리 안자네야 사르마(Vemuri Anjaneya Sarma)에 의해 텔루구의 칼라시나 제비탈루(Kalasina Jevitalu)로[13] 번역되었다. 이 소설은 라제쉬 파텔에 의해 2011년에 The United Souls로 영어로 번역되었다.[3][9] 만비니 바바이는 V가 영어로 번역한다. Y 칸타크 as Enturness: A Droll Saga(1995) 사히티야 아카데미가 출판했다.[10][11]

그의 소설 말렐라 제프, 만비니 바바이, 단편 칸쿠가 영화로 각색되었다.[2] 말렐라 제프는 영화와 연극으로 여러 번 각색된다. N. R. Acharya가 감독한 울라잔은 소설을 각색한 최초의 구자라티 영화였다.[6] 말렐라 제프(1956년)는 만하 라스카푸르 감독이 연출한 구자라티 영화인 반면 칸투(1969년)는 칸틸랄 라토드가 감독을 맡았다. 두 영화 모두 파텔이 직접 대본을 썼다.[14] 1996년 인도 칸나다 영화 야누마다 조디말렐라 제프를 원작으로 한다.[15] 또한 나메시 데사이 감독이 연출한 구자라티 연극에도 채택되었다.[16]

인식

1950년에는 란지트람 수바르나 찬드락, 1985년에는 얀피트상을 받았다. 구자라티어 출신 작가로는 1967년 우마산카르 조시에 이어 두 번째로 저난피스상을 받았다.[5] 1986년 사히타 가우라브 푸라스카르를 받았다.

참조

  1. ^ a b "પન્નાલાલ પટેલની જીવન ઝરમર". divyabhaskar (in Gujarati). 11 February 2012. Retrieved 7 December 2016.
  2. ^ a b c Nalini Natarajan; Emmanuel Sampath Nelson (1996). Handbook of Twentieth-century Literatures of In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117. ISBN 978-0-313-28778-7. Retrieved 6 December 2016.
  3. ^ a b c d e Rajesh I. Patel (2011). "Translation of Pannalal Patel's "Malela Jiv" from Gujarati into English with critical introduction" (PDF). Saurashtra University. Retrieved 7 December 2016.
  4. ^ a b Pannalal Nanalal Patel (1995). Manavini Bhavai (English translation). New Delhi: Sahitya Akademi. p. 5. ISBN 978-81-7201-899-3. Retrieved 6 December 2016.
  5. ^ a b c d e f g h i j "પન્નાલાલ પટેલ, ગુજરાતી સાહિત્ય પરિષદ". Pannalal Patel, Gujarati Sahitya Parishad (in Gujarati). Retrieved 6 December 2016.
  6. ^ a b Dodia, Sanjay (August–September 2012). "'મળેલા જીવ' નવલકથામાં ગ્રામચેતના". Journal of Humanity (in Gujarati). Knowledge Consortium of Gujarat, Department of Higher Education, Government of Gujarat. 1 (3). ISSN 2279-0233. Retrieved 8 December 2016.
  7. ^ K. M. George (1992). Modern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Surveys and poems. New Delhi: Sahitya Akademi. p. 136. ISBN 978-81-7201-324-0. Retrieved 6 December 2016.
  8. ^ Pratibha India. A. Sitesh. 1989.
  9. ^ a b Indian and Foreign Review. Publications Divis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1985.
  10. ^ a b Jayanta Mahapatra (1 January 1996). Verticals of Life: Selected Poems of Sachi Raut-Roy. Sahitya Akademi. p. 170. ISBN 978-81-260-0138-5.
  11. ^ a b Juris Dilevko; Keren Dali; Glenda Garbutt (2011). Contemporary World Fiction: A Guide to Literature in Translation. ABC-CLIO. pp. 137–. ISBN 978-1-59158-353-0.
  12. ^ Yogendra K. Malik (1978). Politics and the Novel in India. New Delhi: Orient Blackswan. p. 118.
  13. ^ S. C. R. Weightman (1996). Traveller's literary companion to the Indian sub-continent. Print Publ. Ltd. p. 209. ISBN 978-1-873047-30-9.
  14. ^ Ashish Rajadhyaksha; Paul Willemen (10 July 2014). Encyclopedia of Indian Cinema. Routledge. p. 347. ISBN 978-1-135-94318-9.
  15. ^ "Biopic on former Karnataka CM Devaraj Urs soon". Deccan Herald. 7 December 2016. Retrieved 7 December 2016.
  16. ^ gujjubhai (10 September 2012). "Malela Jeev Gujarati Natak". GujjuBhai. Retrieved 8 December 20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