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물선 원통 좌표의 좌표면 . 빨간색 포물선 원통은 σ=2에 해당하는 반면, 노란색 포물선 원통은 ==1에 해당한다. 파란색 평면은 z =2에 해당한다. 이러한 표면은 대략적으로 데카르트 좌표 (2, -1.5, 2)가 있는 P 지점 에서 교차한다. 수학 에서 포물선 원통형 좌표 는 수직 z {\displaystyle z} -방향으로 2차원 포물선 좌표계 를 투영한 결과 발생하는 3차원 직교 좌표계 다. 따라서 좌표면 은 포물선 원통형이다. 포물선 원통형 좌표는 예를 들어, 가장자리의 잠재적 이론 과 같은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찾아냈다.
기본정의 상수 vertical과 constant의 곡선을 보여주는 포물선 좌표계는 각각 x와 y 좌표다. 이러한 좌표는 z축을 따라 투영되므로, 이 도표는 z 좌표의 어떤 값에도 적용된다. 포물선 원통형 좌표(σ , olic, z) 는 다음과 같이 데카르트 좌표 (x , y , z) 단위로 정의된다.
x = σ τ y = 1 2 ( τ 2 − σ 2 ) z = z {\displaystyle {\displaysty}x&=\tau \\y&={\frace{1}{1}{1}{1}:{2}-\tau ^{2}\오른쪽)\z&=z\end}}} 상수 σ 포물선 원통의 표면
2 y = x 2 σ 2 − σ 2 {\displaystyle 2y={\frac {x^{2}}:{\probma ^{2}}-\probma ^{2}}: 상수 τ 의 표면이 컨포칼 포물선 실린더를 형성하는 반면 +y 방향으로 열리는 표면
2 y = − x 2 τ 2 + τ 2 {\displaystyle 2y=-{\frac {x^{2}}:{\tau ^{2}}+\tau ^{2}}: 반대 방향, 즉 -y 방향으로 열리는. 이 모든 포물선 실린더의 초점은 x = y = 0 으로 정의된 선을 따라 위치한다. r반경 은 간단한 공식도 가지고 있다.
r = x 2 + y 2 = 1 2 ( σ 2 + τ 2 ) {\displaystyle r={\sqrt {x^{2}+y^{2} }}}={\frac {1}{1}:{2}}\왼쪽(\ma ^{2}+\tau ^{2}\오른쪽)}} 역제곱 중심력 문제에 대한 포물선 좌표에서 해밀턴-자코비 방정식 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된다. 자세한 내용은 라플라스-런지-렌츠 벡터 기사를 참조하십시오.
척도계수 포물선 원통형 좌표 σ 및 τ 의 척도계수는 다음과 같다.
h σ = h τ = σ 2 + τ 2 h z = 1 {\displaystyle {\juffected}h_{\juma }&=h_{\\tau }={\sqrt {\n2}+\tau ^{2}\h_{z}&=1\ended}}}}}}}}
미분원소 부피의 최소 요소는
d V = h σ h τ h z d σ d τ d z = ( σ 2 + τ 2 ) d σ d τ d z {\displaystyle dV=h_{\sigma }h_{\tau }h_{z}d\sigma d\tau dz=(\sigma ^{2}+\tau ^{2}d)d\d\tau \dz} 차동 변위는 다음을 통해 주어진다.
d l = σ 2 + τ 2 d σ σ ^ + σ 2 + τ 2 d τ τ ^ + d z z ^ {\displaystyle d\mathbf {l} ={\sqrt {\sigma ^{2}+\tau ^{2}}}\,d\sigma \,{\boldsymbol {\hat {\sigma }}}+{\sqrt {\sigma ^{2}+\tau ^{2}}}\,d\tau \,{\boldsymbol {\hat {\tau }}}+dz\,\mathbf {\hat {z}} } 차동 정상 영역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d S = σ 2 + τ 2 d τ d z σ ^ + σ 2 + τ 2 d σ d z τ ^ + ( σ 2 + τ 2 ) d σ d τ z ^ {\displaystyle d\mathbf {S} ={\sqrt {\sigma ^{2}+\tau ^{2}}}\,d\tau \,dz{\boldsymbol {\hat {\sigma }}}+{\sqrt {\sigma ^{2}+\tau ^{2}}}\,d\sigma \,dz{\boldsymbol {\hat {\tau }}}+\left(\sigma ^{2}+\tau ^{2}\right)\,d\sigma \,d\tau \mathbf {\hat {z}} } 델 f 를 스칼라 밭으로 하자. 구배 는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 f = 1 σ 2 + τ 2 ∂ f ∂ σ σ ^ + 1 σ 2 + τ 2 ∂ f ∂ τ τ ^ + ∂ f ∂ z z ^ {\displaystyle \nabla f={\frac {1}{\sqrt {\sigma ^{2}+\tau ^{2}}}}{\partial f \over \partial \sigma }{\boldsymbol {\hat {\sigma }}}+{\frac {1}{\sqrt {\sigma ^{2}+\tau ^{2}}}}{\partial f \over \partial \tau }{\boldsymbol {\hat {\tau }}}+{\partial f \over \partial z}\mathbf {\hat {z}} } 라플라시아인 은 에 의해 주어진다.
∇ 2 f = 1 σ 2 + τ 2 ( ∂ 2 f ∂ σ 2 + ∂ 2 f ∂ τ 2 ) + ∂ 2 f ∂ z 2 {\displaystyle \nabla ^{2}f={\frac {1}{\sigma ^{2}+\tau ^{2}}}\left({\frac {\partial ^{2}f}{\partial \sigma ^{2}}}+{\frac {\partial ^{2}f}{\partial \tau ^{2}}}\right)+{\frac {\partial ^{2}f}{\partial z^{2}}}} A 를 형식의 벡터 필드가 되게 한다.
A = A σ σ ^ + A τ τ ^ + A z z ^ {\displaystyle \mathbf{A} =A_{\sigma }{\boldsymbol {\hat{\sigma }}+A_{\tau }{\boldsymbol {\\\}+A}\mathbf {\z}}}}}}}}}}}}}}}}}}}}}}}}}}}}}}}}}}}}}}}}}}}}}}}}}}}}}}}}}}}}}} 차이점 은 다음과 같다.
∇ ⋅ A = 1 σ 2 + τ 2 ( ∂ ( σ 2 + τ 2 A σ ) ∂ σ + ∂ ( σ 2 + τ 2 A τ ) ∂ τ ) + ∂ A z ∂ z {\displaystyle \nabla \cdot \mathbf {A} ={\frac {1}{\sigma ^{2}+\tau ^{2}}}\좌측({\partial({\sqrt {\sigma ^{2}+\tau ^{2}}}})} A_{\\sigma } \partial \sigma }+{\partial({\sqrt {\sigma ^{2}+\tau ^{2}}}}} A_{\tau }} \over \partial \tau }\right)+{\partial A_{z} \partial z}} 이상 \partial \} 컬 은 에 의해 주어진다.
∇ × A = ( 1 σ 2 + τ 2 ∂ A z ∂ τ − ∂ A τ ∂ z ) σ ^ − ( 1 σ 2 + τ 2 ∂ A z ∂ σ − ∂ A σ ∂ z ) τ ^ + 1 σ 2 + τ 2 ( ∂ ( σ 2 + τ 2 A σ ) ∂ τ − ∂ ( σ 2 + τ 2 A τ ) ∂ σ ) z ^ {\displaystyle \nabla \times \mathbf {A} =\left({\frac {1}{\sqrt {\sigma ^{2}+\tau ^{2}}}}{\frac {\partial A_{z}}{\partial \tau }}-{\frac {\partial A_{\tau }}{\partial z}}\right){\boldsymbol {\hat {\sigma }}}-\left({\frac {1}{\sqrt {\sigma ^{2}+\tau ^{2}}}}{\frac {\partial A_{z}}{\partial \sigma }}-{\frac {\partial A_{\sigma }}{\partial z}}\right){ \boldsymbol {\hat {\tau }}+{1}{\fracma ^{2}+\tau ^{2}}:\좌측 ^\sqrt {\reftma ^{2}+\tau ^{2}}:} A_{\\sigma }\오른쪽){\partial \tau }}{}-{\frac {\partial \partial \left({\sqrt {\sigma ^{2}+\tau ^{2}}}}}}} A_{\tau }\오른쪽){\partial \sigma }}\partial \sigma }\mathbf {\hat{z}}}}} 다른 미분 연산자는 직교 좌표 에 있는 일반 공식을 척도계수를 대체하여 좌표( (, τ ) 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좌표계와의 관계 원통형 좌표 와의 관계(ρ , φ , z ):
ρ cas φ = σ τ ρ 죄를 짓다 φ = 1 2 ( τ 2 − σ 2 ) z = z {\displaystyle {\regated}\rho \cos \varphi &=\rho \sin \varphi &={1}{1}:{1}{1}:{2}\frac(\tau ^{2}-\2}\right)\z&=z\end\liged}}}}}}}}}}}}}}}" 포물선 단위 벡터 단위로 표현되는 포물선 단위 벡터:
σ ^ = τ x ^ − σ y ^ τ 2 + σ 2 τ ^ = σ x ^ + τ y ^ τ 2 + σ 2 z ^ = z ^ {\displaystyle{\begin{정렬}{\boldsymbol{\hat{\sigma}}}&={\frac{\tau{\hat{\mathbf{)}}}-\sigma{\hat{\mathbf{y}}}}{\sqrt{\tau ^{2}+\sigma ^{2}}}}\\{\boldsymbol{\hat{\tau}}}&={\frac{\sigma{\hat{\mathbf{)}}}+\tau{\hat{\mathbf{y}}}}{\sqrt{\tau ^{2}+\sigma ^{2}}}}\\\mathbf{\hat{z}}&=\mathbf{\hat{z}}\end{alig.ned}}} 포물선 실린더 고조파 상수 σ , τ , z 의 모든 표면이 원뿔형 이기 때문에 라플레이스의 방정식은 포물선 원통형 좌표로 분리가 가능하다. 변수 분리 의 기법을 사용하여 라플레이스의 방정식에 대한 분리 솔루션을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V = S ( σ ) T ( τ ) Z ( z ) {\displaystyle V=S(\sigma )T(\tau)Z(z)} 라플레이스의 방정식은 V 로 나누어서 다음과 같이 기록된다.
1 σ 2 + τ 2 [ S ¨ S + T ¨ T ] + Z ¨ Z = 0 {\displaystyle {\frac{1}{\sigma ^{2}+\tau ^{2}}:}\{\frac {\\dddot{S}}}}}\{\frac {T}\오른쪽]{\frac {\ddddot{Z}}=0}}} Z 방정식은 나머지 방정식과는 별개의 것이므로, 우리는 글을 쓸 수도 있다.
Z ¨ Z = − m 2 {\displaystyle {\frac {\dot{Z}}{Z}}=-m^{2}} 여기서 m 은 일정하다. Z (z ) 는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
Z m ( z ) = A 1 e i m z + A 2 e − i m z {\displaystyle Z_{m}(z)= A_{1}\,e^{imz}+ A_{2}\,e^{-imz}} Z ¨ / Z {\displaystyle {\dot{Z}/Z} 에 -m 을2 대입하여, 이제 라플레이스의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S ¨ S + T ¨ T ] = m 2 ( σ 2 + τ 2 ) {\displaystyle \left[{\frac {\dot{S}}}+{\frac {\\{T}}\right]=m^{2}(\sigma ^{2}+\tau ^{2})}} 이제 S 와 T 기능을 분리하고 또 다른 상수 n 을2 도입하여 다음을 얻을 수 있다.
S ¨ − ( m 2 σ 2 + n 2 ) S = 0 {\displaystyle {\dot{S}-(m^{2}\sigma ^{2}+n^{2}) S=0} T ¨ − ( m 2 τ 2 − n 2 ) T = 0 {\daptyle {\dot{T}-(m^{2}\tau ^{2}-n^{2}) T=0} 이러한 방정식의 해법은 포물선 실린더 함수 다.
S m n ( σ ) = A 3 y 1 ( n 2 / 2 m , σ 2 m ) + A 4 y 2 ( n 2 / 2 m , σ 2 m ) {\displaystyle S_{mn}(\sigma )= A_{3}y_{1}(n^{2}/2m,\sigma {\sqrt{2m}) +A_{4}y_{2}(n^{2}/2m,\sigma {\sqrt{2m})} T m n ( τ ) = A 5 y 1 ( n 2 / 2 m , i τ 2 m ) + A 6 y 2 ( n 2 / 2 m , i τ 2 m ) {\displaystyle T_{mn}(\tau )= A_{5}y_{1}(n^{2}/2m, i\tau {\sqrt{2m})++ A_{6}y_{2}(n^{2}/2m, i\tau {\sqrt {2m})} (m , n ) 에 대한 포물선 실린더 고조파는 이제 해결책의 산물이다. 이 조합은 상수의 수를 감소시킬 것이며 라플레이스의 방정식에 대한 일반적인 해법은 다음과 같이 쓰여질 수 있다.
V ( σ , τ , z ) = ∑ m , n A m n S m n T m n Z m {\displaystyle V(\sigma ,\tau ,z)=\sum _{m,n}A_{mn}S_{mn}T_{mn}Z_{m}}}}}}}}}
적용들 포물선 원통형 좌표의 고전적 적용은 예를 들어 라플레이스 의 방정식 또는 헬름홀츠 방정식 과 같은 부분 미분 방정식 을 푸는 데 있으며, 이러한 좌표는 변수의 분리 를 허용한다. 대표적인 예가 평평한 반무한 전도판을 둘러싼 전기장 이 될 것이다.
참고 항목
참고 문헌 목록 Morse PM , Feshbach H (1953). Methods of Theoretical Physics, Part I . New York: McGraw-Hill. p. 658. ISBN 0-07-043316-X . LCCN 52011515 . Margenau H , Murphy GM (1956). The Mathematics of Physics and Chemistry . New York: D. van Nostrand. pp. 186 –187. LCCN 55010911 . Korn GA, Korn TM (1961). Mathematical Handbook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 New York: McGraw-Hill. p. 181. LCCN 59014456 . ASIN B0000CKZX7. Sauer R, Szabó I (1967). Mathematische Hilfsmittel des Ingenieurs . New York: Springer Verlag. p. 96. LCCN 67025285 . Zwillinger D (1992). Handbook of Integration . Boston, MA: Jones and Bartlett. p. 114. ISBN 0-86720-293-9 . Morse & Feshbach(1953년)와 동일 하며k , u를 ξ으로k 대체한다. Moon P, Spencer DE (1988). "Parabolic-Cylinder Coordinates (μ, ν, z)". Field Theory Handbook, Including Coordinate Systems, Differential Equations, and Their Solutions (corrected 2nd ed., 3rd print ed.). New York: Springer-Verlag. pp. 21–24 (Table 1.04). ISBN 978-0-387-18430-2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