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만
Pariaman파리만 | |
---|---|
기타 전사 | |
• 자위 | ڤريامن |
모토: 사비두악 사다유앙 | |
![]() 서수마트라 내 위치 | |
좌표: 0°37′35″S 100°7′4″E / 0.62639°S 100.11778°E | |
나라 | ![]() |
주 | ![]() |
정부 | |
• 시장 | 천재 우마르 |
• 부시장 | 마르디슨 마유딘 |
면적 | |
• 합계 | 73.36km2(28.32 sq mi) |
인구 (2020년 인구조사) | |
• 합계 | 94,224 |
• 밀도 | 1,300/km2(3,300/sq mi) |
[1] | |
시간대 | UTC+7(인도네시아 서부 시간) |
지역번호 | (+62) 751 |
웹사이트 | pariamankota.go.id |
파리만(자위: ڤراا),)는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에 있는 해안 도시다. 파라만은 73.36km2(28평방미터)의 면적에 12km(7미)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2010년 인구조사 때 79,043명, 2020년 인구조사 때 94,224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2] "파리맨"은 "안전한 지역"을 의미한다.
역사
한정된 초기 자료에 따르면, 16세기까지 파리만은 수마트라 중심부의 내륙 고지대에 있는 미낭카바우 정착촌을 위한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인도 서부와 후에 유럽에서 온 무역상들이 후추, 금, 그리고 내륙의 다른 상품들을 거래하면서 그 항구를 방문했다. 17세기 초에 그 항구는 북쪽으로 아체 술탄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아체스 총독이 그 마을에 주둔하였다. 이 항구는 1663년 아체와의 조약에 의해 공식적으로 네덜란드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671년 네덜란드인은 이곳에 숙소를 짓고 이후 1684년경 요새를 지었다. 지역 통치자들과 계속되는 충돌과 다른 유럽 무역 회사들과의 경쟁은 1770년 네덜란드에 의해 항구가 버려지는 결과를 낳았다. 20세기 초까지 그 항구는 해안에서 덜 두드러지게 되었는데, 바로 남쪽에 있는 파당(Padang)은 수마트라 서부에서 네덜란드 활동의 초점이 되었고 내륙과 철도 연결이 있었기 때문이다.[3][4]
인도네시아 독립 후, 파리만은 센트럴 수마트라라고 불리는 지방의 해군 본부였다. 2002년 4월 11일 자치도시가 되었다.

행정 구역
시는 행정적으로 4개 지구(케카마탄)로 나뉘는데, 2010년 인구조사[5] 및 2020년 인구조사에서 그 지역 및 인구와 함께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6]
구 | 면적 km2 단위로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인구 2020년 인구 조사 |
---|---|---|---|
파리만 셀라탄 (사우스파리만) | 16.82 | 16,037 | 20,006 |
파리아만 텡가 (중앙파리만) | 15.68 | 28,957 | 31,930 |
파리만 티무르 (이스트 파리만) | 17.51 | 14,853 | 19,697 |
파라만 우타라 (북파리만) | 23.35 | 19,196 | 22,591 |
합계 | 73.36 | 79,043 | 94,224 |
도시는 남북으로 파당파리아만의 농촌 섭정(카부파텐)에 둘러싸여 있고, 서쪽으로는 멘타와이 해협과 접해 있어 파당파리아만 섭정 내에서는 파리아만이 준앙클라베가 된다.
이코노미
현대 경제는 주로 농경지의 79%를 차지하는 농업이다. 서수마트라의 주요 공항인 미낭카바우 국제공항이 시내 근처에 위치해 있다.
문화
파리만 인구가 주로 수니파이지만 아슈라의 날 무하람 10번지마다 시아 출신 타부크(관이라는 뜻의 아랍어 '타부트'에서 유래)라는 유명하고 인기 있는 축제가 매년 이 도시에서 열린다. 이 관습은 1818년 인도에서 온 전 영국 군인들이 파리아만에 정착하면서 이 도시에 전해졌다. 그들은 영국이 1814년의 앵글로-더치 조약의 일환으로 그 지역을 네덜란드에 반환했을 때 해체되었다.[7]
타부익 축제는 무함마드, 하산 이븐 알리, 후세인 이븐 알리의 손자들의 순교를 기념한다. 무함마드를 천국으로 가는 밤 여행에 데려간 것으로 알려진 날개 달린 말인 부라크는 타부익에서 역할을 한다. 카르발라 전투에서 이맘 후세인의 백마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지만, 여성의 머리와 날개, 넓은 꼬리, 관을 메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7]
축제에서는 하산을 위한 것과 후세인을 위한 것 중 하나인 "타부이크"와 같은 두 개의 에피타이저가 도시를 통해 운반된다. 타부익 파사와 타부익 수바랑으로 이름 붙여진 이들은 탬버 음악과 타사 드럼을 동반한 흔들림을 보인다. 오후에는 두 타부이크를 해안으로 옮기고 해가 지기 전에 바다에 잠긴다.
참조
- ^ 2021년 자카르타의 바단 푸사트 스타티크
- ^ 2021년 자카르타의 바단 푸삿 통계.
- ^ 가토 쓰요시(1980). Rantau Pariaman: 19세기 미낭카바우 해안 상인들의 세계. [논문초록] 아시아학 39호(4):729-752
- ^ 도빈, 크리스틴(1977년). 파드리운동의 상승요인으로 미낭카바우의 경제변화는 1784~1830년. 인도네시아 23(1:1:38).
- ^ 2011년 자카르타의 비로 푸사트 스타티크
- ^ 2021년 자카르타의 바단 푸사트 스타티크
- ^ a b "Taking in Pariaman's Unique Seaside Culture". Jakarta Post. Retrieved 14 April 2012.
외부 링크
- (인도네시아어로) 파리만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