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낭카바우족

Minangkabau people
미낭카바우/미낭카보
우랑미낭
منڠكبو
Flag of Minang.svg
Minangkabau wedding 2.jpg
미낭카바우 신랑 신부는 순티앙 왕관을 쓰고 있다.
총인구
c. 800만[1]
인구가 많은 지역
인도네시아6,462,713[2]
서수마트라 주4,281,439
리아우624,145
북수마트라 주345,403
자카르타305,538
서자바 주202,203
잠비168,947
리아우 제도156,770
말레이시아934,000[3]
싱가포르15,720
네덜란드7,490
언어들
주로
미낭카바우인도네시아어
또한.
기타 말레이 품종 포함.말레이시아어Kerinci
종교
이슬람[4]
관련 민족

a 관습법에 따르면, 모든 미낭카바우 사람들은 이슬람교도이다.

미낭카바우족(미낭카바우족, 우랑미낭, 인도네시아어 또는 말레이어: 미낭카바우 또는 미낭카보)[5]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서부미낭카바우 고지대에 거주하는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이다.미낭카바우족의 서수마트라 고향은 초기 역사학자들이 말레이 [7]민족의 요람으로 믿었던 파가루영 [6]왕국의 소재지이자 파드리 전쟁(1821~1837년)이 있었던 곳이다.

미낭카바우는 서수마트라와 네게리 섬빌란소수 민족이다.미낭카바우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다른 지역에서도 인정받는 소수민족입니다.

어원학

왕실의 미낭카바우 왕조인 파가루릉 왕국을 세운 아디트와르만으로 추정되는 조각상.

미낭카바우라는 용어에는 몇 가지 어원이 있다."카바우"라는 단어는 의심할 여지 없이 "물소"로 번역되는 반면, "미낭"이라는 단어는 전통적으로 사람들이 시리 잎을 따라 씹는 피낭 열매로 알려져 있다.But there is also a folklore that mention that term Minangkabau (Minangkabau: Minang Jawi script: منڠ) came from a popular legend that was derived from a territorial dispute between a people and a prince from a neighbouring region.싸움을 피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은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두 마리의 물소(카바우) 사이에 목숨을 건 싸움을 제안했다.왕자는 이에 동의했고 가장 크고, 가장 비열한, 가장 공격적인 버팔로를 생산했다.반면에 마을 사람들은 칼처럼 날카로운 작은 뿔을 가진 배고픈 송아지를 낳았다.들판을 가로질러 어른 물소를 본 송아지는 우유를 바라며 앞으로 달려갔다.큰 버팔로는 아기 버팔로에게서 아무런 위협도 보지 못했고, 가치 있는 상대를 찾아 주위를 둘러보면서 그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그러나 아기가 젖소를 찾아 큰 황소의 배 아래로 머리를 들이밀었을 때, 날카로운 뿔이 터져 황소가 죽었고 마을 사람들에게 승리를 안겨주었다.그러나 이 전설은 단순한 이야기일 뿐이고, "미낭"이라는 단어는 "승리"[citation needed]를 의미하는 "메낭"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미낭'이라는 단어아레카넛의 소비를 의미하기 때문에, 전설은 반박을 하고 있지만, '미낭'이라는 단어에 앞서 언급한 행동을 "물소"[citation needed]라는 단어와 연관짓는 어떠한 인기 있는 설명도 없었다.

미낭카바우라는 이름은 7세기 케두칸 부킷에서 마타합으로 향하는 20,000명의 군인과 [8]함께 스리 자야나사의 신성한 여정을 묘사하고 있다.

역사

미낭카바우의 삼색기(마라와)

미낭카바우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말레이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이지만, 두 언어가 공통의 조상에서 분리되어 말레이어와 미낭카바우 문화 사이의 정확한 역사적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20세기까지 수마트라 인구의 대다수는 고지대에 살았다.그 고지대는 풍부한 담수, 비옥한 토양, 시원한 기후, 그리고 가치 있는 상품들로 인간의 거주에 매우 적합하다.습윤 재배는 미낭카바우 고원에서 수마트라의 다른 지역에 나타나기 훨씬 전에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상당한 해외 [9]접촉보다 앞선다.

아디트와르만은 탄트 불교 신자로 자바 신하사리마자파히트 왕국과 연계해 파가루령의 미낭카바우 고지대에 왕국을 세우고 1347년에서 1375년 [10]: 232 사이에 통치한 것으로 추정된다.왕실의 체제 구축은 갈등과 폭력을 수반한 것으로 보이며, 결국 마을을 [11]아다트 페르파티기초한 보디-카니아고 체제와 아다트 테멘궁에 기초코토-필리앙 체제 중 하나로 분할했다.16세기, 아디트와르만의 통치 이후, 왕권은 세 명의 알려진 통치 왕으로 분할되었다.그들은 세계의 왕(라자 알람), 아닷의 왕(라자 아닷), 종교의 왕(라자 이바닷)이었고, 그들은 집합적으로 세 개의 좌석의 왕(라조 티고 로)[12]으로 알려져 있었다.미낭카바우 왕들은 카리스마나 마법의 인물들이었지만,[11][13] 마을 일에 대한 많은 권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슬람이 미낭카바우에 의해 채택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무렵이다.미낭카바우와 서구 국가들 간의 첫 접촉은 1529년 장 파르망티에가 수마트라로 항해하면서 일어났다.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51년 파리아만에서 처음 금을 획득했지만, 나중에 아체 점령자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파당으로 남쪽으로 이동했다.1663년 네덜란드는 무역 독점 대가로 아체인으로부터 지역 마을을 보호하고 해방하기로 합의했고, 그 결과 파난과 파당에 교역소를 설치했다.19세기 초까지 네덜란드인들은 금과 농산물의 연안 무역에 만족했고 미낭카바우 고지대를 방문하려 하지 않았다.유럽 분쟁의 결과로, 영국은 4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동안 1781년부터 1784년까지, 그리고 다시 나폴레옹 전쟁 동안 1795년부터 1819년까지 파당을 점령했다.

18세기 후반에 미낭카바우 왕족에게 경제적 기반을 제공하던 금 공급이 고갈되기 시작했다.비슷한 시기에 미낭카바우 경제의 다른 부분들은 농산물, 특히 커피의 수요가 매우 높았던 수출의 새로운 기회가 생기면서 유례없는 팽창기를 보냈다.내전은 1803년 파드리 근본주의 이슬람 집단이 전통적인 혼합주의 집단, 엘리트 가문, 파가릉 왕족들과 충돌하면서 시작되었다.다수의 펑굴루와 미낭카바우 왕가의 대표자들과 맺은 조약의 결과로, 네덜란드 군대는 1821년 [11]4월 파드리 마을을 처음으로 공격했다.전쟁의 첫 단계는 1825년 네덜란드가 파드리 지도자 투안쿠 이맘 본졸적대행위를 중지하는 협정을 체결하면서 끝났다.1832년 전투가 재개되었을 때, 네덜란드 증원군은 파드리 지역을 더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었다.저항의 중심지는 1837년에 함락되었고, 투안쿠 이맘 본졸은 곧 함락되어 추방되었고, 이듬해 말에는 전쟁이 사실상 끝났다.

미낭카바우 족장 1910년에서 1930년 사이에 찍은 사진이야

미낭카바우 지역은 이제 네덜란드의 지배 하에 놓였고, 교통 체계가 개선되었고 경제적 개발이 강화되었다.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도입되어 일부 미낭카바우는 현대적인 교육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20세기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요구하면서 문화적, 정치적 민족주의가 고조되었다.이후 1908년 반세 반란과 1927년 공산당 봉기와 같은 네덜란드 점령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다.제2차 세계대전 중 미낭카바우 지역은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자 인도네시아는 독립을 선언했다.이 지역의 지배권을 되찾으려는 네덜란드의 시도는 결국 실패했고 1949년 미낭카바우 지역은 중앙 수마트라 주로 인도네시아의 일부가 되었다.

1958년 2월, 수카르노 정부의 중앙집권적이고 공산주의 성향의 정책에 대한 불만은 수마트라 미낭카바우 지역에 집중된 반란을 촉발시켰고, 반군은 부키팅기인도네시아 혁명정부(PRRI)를 선포했다.인도네시아군은 1958년 4월 서수마트라를 침공해 다음 달 안에 주요 도시를 탈환했다.게릴라전이 이어졌지만 대부분의 반군들은 1961년 8월까지 항복했다.그 후 몇 년 동안 서수마트라는 자바 관리들이 대부분의 민간,[14] 군, 경찰 고위직을 차지하고 있는 점령지 같았다.중앙집권화 정책은 수하르토 정권에서도 계속되었다.정부는 인도네시아 전역에 자바 데사 마을 제도를 적용하도록 법제화하였고, 1983년 전통적인 미낭카바우 나가리 마을 단위가 작은 조롱 단위로 분할되어 전통적인 마을 사회 문화 [15]기관이 파괴되었다.수하르토 정권의 몰락 이후 몇 년 동안 지방 분권 정책이 시행되어 지방에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함으로써 서수마트라로 하여금 나가리 제도를 [16]재조직화하도록 허용했다.

역사학

마라피 산 비탈에 위치한 파리안간 마을은 민속에서 최초의 미낭카바우 마을이라고 한다.

미낭카바우의 전통적인 역사학에서는[5] 미낭카바우 세계(알람 미낭카바우)와 그 격언에 대해 설명합니다.이 이야기들은 미낭카바우족이 문자를 쓰기 전에 세대 간에 전해진 구전사에서 유래되었다.최초의 미낭카바우는 주변 수역에서 튀어나온 달걀 크기보다 작을 때 배를 타고 마라피 산에 상륙했다고 한다.물이 빠진 후 미낭카바우는 증식하여 다렉이라고 불리는 화산 주변의 경사면과 계곡으로 흩어졌다.다렉타나 다타르, 아감, 리마풀루 코토3개의 루학으로 구성되어 있다.탐보는 이 배가 알렉산더 대왕의 후손(이스칸다르 줄카르나인)[17]에 의해 항해되었다고 주장한다.

미낭카바우 집과 쌀 축사.

미낭카바우 아다트를 두 개의 체제로 분할한 것은 미낭카바우 아다트의 기초를 형성한 두 명의 이복 형제인 다투악 카투망간과 다투악 파르파티아 난 사바탕 사이의 갈등의 결과라고 한다.전자는 마자파히트 출신의 왕자 아디트와르만을 왕으로 받아들였고 후자는 그를 장관으로 여겼고 내전이 이어졌다.Datuak Parpatiah nan Sabatang에 의해 공식화된 Bodi Caniago/Adat perpatih 시스템은 모든 판훌루(clan chief)가 평등주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으며, Koto Piliang/Adat Katumanguangan 시스템은 판훌루의 위계층이 있는 더 독재적이다.다렉의 각 마을(나가리)은 자치 공화국이었고, 두 의 아다트 제도 중 하나를 사용하여 미낭카바우 왕들로부터 독립적으로 통치되었다.다렉이 정착한 후,[17] 왕의 대표였던 라조에 의해 새로운 외부 정착촌이 만들어지고 고토필량제를 사용하여 통치되었다.

문화

미낭카바우 여성들은 전통적인 미낭 의상을 입었다.

미낭카바우에는 대규모 기업 후손 집단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18]모계 혈통을 가정한다.예를 들어, 어린 소년은 그의 어머니와 자매의 [18]가족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결혼한 자매가 친정에 머무르는 것은 "관습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그들의 남편은 일종의 방문 상태를 가지고 있다.그러나 [18]모든 사람이 이 이상에 부응하는 것은 아니다.1990년대에 인류학자 에블린 블랙우드는 수마트라 바라트에 있는 비교적[citation needed] 보수적인 마을을 연구했는데, 이 마을에는 어머니와 결혼한 딸 혹은 [18]딸로 구성된 가정의 약 22%만이 "모집"이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낭카바우 사이에는 자매와 미혼 혈통이 서로 가까이, 심지어 같은 [18]집에서 살려고 하는 공통의 이상이 있다.

토지 보유는 수쿠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미낭카바우 남성은 아체 남성과 마찬가지로 경험, 부, 상업적 성공을 추구하기 위해 이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성의 친족 집단은 가족의 지속성과 [18]땅의 분배와 경작에 책임이 있다.그러나 이러한 가족 집단은 일반적으로 계보 [18]지도자들의 그룹에 의해 선출된 펑굴루(두목)가 이끈다.미낭카바우 경제의 농업 기반이 쇠퇴함에 따라, 특히 도시 [18]지역에서 토지 보유 단위로서의 수쿠의 중요성도 다소 떨어지고 있다.사실, 특히 [18]혈통 구성원들이 새로운 펑굴루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의식 비용을 기꺼이 부담하지 않는다면, 펑굴루의 자리는 현직이 죽은 후에 항상 채워지는 것은 아니다.

미낭카바우족은 또한 이슬람에 헌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남성과 여성 모두 라마단 기간 동안 금식하며 하루에 5번 기도를 하고 일생에 한 번이라도 메카로 성지순례(하지)를 하고 싶다는 바람을 표현한다.각 미낭카바우 지역에는 아랍어로 "일시적인 기도 장소"를 뜻하는 무살라가 있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단순히 모스크를 의미한다.무살라 인근에서는 남녀가 함께 기도를 올리지만 성별에 따라 구분된다.많은 여성과 소녀들이 두건을 [19]쓰고 있다.

미낭카바우 전통의상을 입은 미낭카바우 남성들.

7살 때부터, 소년들은 전통적으로 그들의 집을 떠나 수라우에서 살며 종교와 문화적인 가르침을 배우기 위해 나이든 남자들로부터 코란을 읽고, 암송하고, 간단한 수학과 다른 생존 기술을 배운다.밤 시간 동안의 수라우에서, 이 젊은이들은 전통적인 자기 방어 기술인 Silek 또는 말레이어로 Silat를 배웁니다.10대 때는 고향을 떠나 학교를 다니거나 고향을 떠나 경험을 쌓고 어른이 되면 현명하고 사회에 '유용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격려하고, '고향의 평의회' 멤버로 앉으면 가정이나 나가리를 운영하는데 생각과 경험을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이 전통은 많은 인도네시아 도시와 마을에 미낭 공동체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의 네게리 셈빌란이라는 주는 특히 미낭카바우의 원래 식민지였기 [20]때문에 미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메란타우 경험을 통해 재산과 교육을 획득함으로써, 젊은이는 자신의 운명에 긍정적인 [18]영향을 미치려고 시도할 수 있다.

1897년 수마트라 서부 해안의 미낭카바우 칼 카람빗 펜싱 무용수(투캉 만카크).

점점 더 많은 부부들이 메란타를 떠난다; 그러한 상황에서, 여성의 역할은 [18]바뀌는 경향이 있다.부부가 도시나 미낭카바우 외곽에 살고 미낭 여성이 비미낭 남성과 결혼할 경우, 여성은 삼촌 평의회보다 남편의 보호에 더 의존하게 된다.민앙문화에서 결혼은 '두 사람의 약속'일 뿐 '결합'이 아니기 때문에 이혼에는 [18]오명이 붙지 않는다.미낭카바우는 인도네시아 독립운동의 [18]지식인 가운데서도 두드러졌다.그들은 이슬람 전통에 강하게 둘러싸여 있었을 뿐만 아니라 - 개신교 네덜란드인의 영향을 상쇄했다 - 그들은 다른 모든 수마트란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 특히 "높이만큼 서 있고 낮게 앉아 있다"는 그들의 전통적인 믿음과 함께.ased 스테이지).그들은 또한 새롭게 형성된 인도네시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과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를 구사하는데, 인도네시아어는 [18]자바어보다 훨씬 계층적인 함축이 자유로웠다.메란타우의 전통은 또한 미낭카바우가 신흥국가의 [18]사상을 쉽게 채택하고 촉진하는 국제 부르주아리를 발전시켰다는 것을 의미했다.배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화 때문에, 미낭 사람들은 인도네시아에서 교육받은 직업에 지나치게 많이 대표되고 있으며, 많은 미낭 [21]출신 장관들이 있다.

아다트는 부분적으로 이슬람이 수마트라에 도착하기 전에 존재했던 미낭카바우의 고대 애니미스트와 불교 신앙 체계에서 유래했다.정확히 언제 이 종교가 섬 전체에 퍼졌고 미낭카바우에 의해 채택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아마도 16세기경에 서수마트라에 도착했을 것이다.모계 상속을 지도하는 것은 격언이고, 그러한 전통이 이슬람의 가르침과 상충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낭게인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두 가지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 미낭카바우는 높은 상속과 낮은 상속을 구별한다."높은 유산"은 집과 땅을 포함한 재산으로 여성들 사이에서 전해집니다."낮은 유산"은 아버지가 직업적인 수입에서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다.후자의 상속은 부분적으로 아들이 [22]딸보다 두 배 더 많이 받는 것을 지시하는 복잡한 시스템인 이슬람 율법을 따른다.

의식 및 축제

식장으로 음식을 나르는 여자들

미낭카바우의 의식과 축제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투룬만디~아기축복식
  • 수낫 라술 – 할례식
  • Baralek – 결혼식
  • Batagak pangulu – 씨족장 취임식.다른 씨족 지도자들, 같은 씨족의 모든 친척들, 그리고 그 지역의 모든 마을 사람들을 초대합니다.의식은 7일 이상 지속된다.
  • Turun ka sawah - 커뮤니티 워크 세리머니
  • 마냐빅 – 수확식
  • Hari RayoEid al-Fitr의 현지 행사
  • 입양식
  • 아다트 의식
  • 영결식
  • 멧돼지 사냥 의식
  • 마안타 파부코안 – 라마단 장모님께 음식을 보냅니다.
  • 타부익파리만 해안 마을의 무하람 지역 애도
  • Tanah Ta Sirah, 몇 시간 안에 오래된 것이 죽었을 때 새로운 datuk을 시작합니다(바타각 판굴루로 갈 필요는 없지만, 그 일족은 그 지역의 모든 datuk을 초대해야 합니다).
  • Mambangkik Batang Tarandam은 지난 10년 또는 50년 동안 오래된 것이 사망했을 때 새로운 datuk을 출범시켰으며, 심지어 그 이후로는 Batagak Pangulu 의식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

공연 예술

살루앙 퍼포먼스

전통 민앙카바우 음악으로는 살루앙 대나무 피리에 맞춰 노래하는 살루앙 조덴당탈렘퐁 징차임 음악이 있다.춤은 타리 피링, 타리 파융, 타리 인당, 그리고 타리 파삼바한을 포함한다.실랏 격투기 시범이 펼쳐집니다.Pidato Adat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행해지는 의식적인 연설이다.

란다이는 음악, 노래, 춤, 드라마, 실랏 무술을 접목한 민속극장 전통이다.란다이는 보통 전통적인 의식이나 축제에서 공연되며, 복잡한 이야기는 며칠 밤을 [23]넘길 수 있다.관객과 [24]연주자 간의 평등과 단결을 이루기 위해 원형극장으로 공연된다.란다이 공연은 무술의 춤과 노래, 연기 장면을 번갈아 합친 것이다.이야기는 연기와 노래로 전달되며 대부분 미낭카바우의 전설과 [23]민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란다이는 20세기 초에 지역 무술, 스토리텔링, 그리고 다른 공연 [25]전통이 융합된 것에서 시작되었다.원래는 남자들이 남녀 주인공을 맡았으나 1960년대부터 여성들이 [23]참여하게 되었다.

공예품

미낭카바우 송켓, 아래 3분의 1에 대나무 싹을 나타내는 무늬.

특히 미낭카바우 마을은 직조 사탕수수, 갈대 주머니, 금은보석, 제립기술을 이용한 직물, 목각, 자수, 도자기, 야금 등의 수공예품을 생산하는 가내공업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요리.

파당 요리

미낭카바우 식단의 주요 재료는 쌀, 생선, 코코넛, 녹색 잎이 많은 야채와 고추입니다.고기는 주로 특별한 경우에 한정되며, 소고기와 닭고기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돼지고기는 할랄이 아니고 소비되지 않는 반면, 양고기, 염소, 사냥감은 맛과 가용성 때문에 거의 소비되지 않는다.매운맛은 미낭카바우 음식의 특징입니다.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허브와 향신료는 칠리, 강황, 생강, 갈랑갈입니다.채소는 하루에 두세 번 먹는다.바나나, 파파야, 감귤 같은 과일은 계속 구할 [26]수 있지만 과일은 주로 제철입니다.

라마단 금식 기간 중 점심을 먹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루 세 끼가 대표적이며, 점심은 가장 중요하다.식사는 보통 밥, 뜨거운 튀김, 코코넛 밀크 요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침 식사부터 [26]저녁 식사까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식사는 일반적으로 오른손 [citation needed]손가락을 사용하여 접시에서 먹습니다.간식은 마을보다 도시 사람들이 더 자주 먹는다.서양 음식은 미낭카바우의 소비와 [26]선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런당은 미낭카바우 문화의 특징으로 여겨지는 음식으로,[26] 1년에 4~5회 요리된다.이 특별한 음식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식들 중 하나이며, 특히 CNN 여론조사에서 2011년과 2017년에 CNN이 선정한 세계 50대 음식에서 최고의 음식으로 선정된 후 더욱 그러하다.그 밖에 아삼파데, 소토파당, 사테파당, 덴뎅발라도 등이 있다.

음식은 종교 의식과 생애주기 의식을 존중하는 미낭카바우 의식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미낭카바우 음식은 인도네시아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고 인도네시아 전역에 식당이 있습니다.서수마트라의 수도에서 이름을 따온 나시파당 레스토랑은 손님의 식탁에 다양한 미낭카바우 요리를 밥과 함께 올려놓고 가져간 [27]만큼만 청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si Kapau는 매운맛에 [28]신맛을 더하기 위해 내장이나 타마린드를 사용한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또 다른 레스토랑 변종입니다.

아키텍처

서수마트라 판다이시케크 마을의 루마 가당.앞에 두 개의 쌀집(랑기앙)이 있다.

루마 가당(미낭카바우: '큰 집') 또는 루마 바곤종(미낭카바우: '첨탑 지붕집')은 미낭카바우의 전통적인 집이다.건축, 건축, 내외장식, 기능 등은 미낭카바우의 문화와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루마 가당은 주거, 가족 모임, 의례 활동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루마 가당은 그곳에 사는 집안의 여성들이 소유하고 있는데, 그 소유권은 어머니로부터 [29]딸에게 넘어간다.

그 집들은 다층, 위로 솟은 맞배지붕을 가진 극적인 곡선의 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그들은 또한 중앙에서 위로 곡선을 그리고 포인트로 끝나는 지붕선으로 잘 구별되는데, 이는 사람들의 이름을 연상시켰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소의 위쪽 곡선을 모방한 이다.셔터가 달린 창문은 수많은 꽃 조각으로 새긴 벽에 세워져 있다.루마 가당이라는 용어는 보통 큰 공동 주택들을 가리키지만, 작은 단독 주택들은 많은 건축적 요소들을 공유한다.

구전 및 문헌

미낭카바우 문화는 오랜 구전 역사를 가지고 있다.하나는 씨족장(판훌루)이 결혼식, 장례식, 입양식, 판훌루 취임식과 같은 공식적인 행사에서 행하는 피다토 아다트입니다.이러한 의식 연설은 판툰, 격언, 속담, 종교적 조언, 두 줄짜리 격언, 그리고 직유(이바라트)를 포함한 많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미낭카바우 전통 민담(카바)은 아다트에 내재된 윤리적 가르침과 규범을 무시하거나 준수함으로써 사회적, 개인적 결과를 제시하는 서술로 구성되어 있다.이야기꾼(투캉카바)은 시적 또는 서정적인 산문으로 이야기를 낭송하며, 자신과 함께 재담을 한다.

미낭카바우 설화의 주제는 미낭카바우 사회에서 어머니와 모성이 갖는 중심적인 역할이며, 두 가지 설화가 바로 랑카크라부아말린 쿤당이다.Rancak di Labuah는 자라나는 두 아이의 교사이자 조언자로 일하는 한 어머니에 관한 이야기이다.처음에는 아들이 허영심이 강하고 고집이 세고 인내심이 있어야 엄마의 [30]말을 잘 듣는 효자가 된다.말린 건당은 어머니를 학대하는 것의 위험성에 관한 것이다.가난한 가정의 선원이 그의 재산을 찾아 항해하고 부자가 되어 결혼한다.고향에 돌아가면서 노모를 알아보지 못한 그는 자신의 미천한 출신을 부끄러워하며 저주를 받고 폭풍이 몰아쳐 배를 돌로 만들어 버린다.이 돌은 에어 마니스 해변에 있으며 현지인들에게는 바투 말린 [30]쿤당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유명한 설화들 또한 미낭카바우 사회에서 여성의 중요한 역할과 관련이 있다.신두아 마토 서사시에서 여자는 지혜의 원천인 반면, 사바이난 알루이에서는 그녀는 사상가라기보다는 실천가입니다.신두아 마토는 미낭카바우 왕족의 전통에 관한 것이다.이 이야기는 신화 속 미낭카바우 여왕인 분도 칸두앙이 아다트에 의해 규정된 행동을 형상화한다.여왕의 하인 신두아 마토는 적대적인 외부 세력을 물리치고 [31]왕국을 구하기 위해 마법을 쓴다.사바이난알루이는 사바이라는 이름의 소녀가 이웃 마을의 강력하고 사악한 지배자에 의해 살해된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 이야기이다.그녀의 아버지가 죽은 후, 그녀의 비겁한 오빠는 살인자와 맞서기를 거부했고, 그래서 사바이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심한다.그녀는 살인자를 찾아내 [23]복수하기 위해 그를 쏜다.

모계

미낭카바우는 세계에서 가장 큰 모계 사회로, 재산, 성, 그리고 토지가 어머니로부터 [32]딸로 전해지는 반면, 종교와 정치는 남성들의 책임이지만, 일부 여성들은 이러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 관습은 Lareh Bodi-Caniago라고 불리며 말레이시아에서는 adat perpatih로 알려져 있다.오늘날 420만 명의 미낭인들이 서 수마트라의 고향에 살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모계 민족 중 하나인 미낭카바우 성역학은 인류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아다트(미낭카바우:아다이크)의 전통은 대부분의 재산과 다른 경제적 자산들이 여성 계통을 통과하기 때문에 미낭카바우 여성들이 대부분의 가부장제 사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허용했다.

언어

수마트라의 지역 민족인 미낭카바우는 밝은 올리브색과 어두운 올리브색으로 나타납니다.

미낭카바우어(Baso Minangkabau)는 말레이어족속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다.상기 주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레이어의 네그리 셈빌란 방언은 인구의 많은 수가 미낭카바우 이민자의 후손이라는 사실 때문에 그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언어에는 많은 방언과 하위 방언들이 있지만, 미낭카바우 원어민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방언의 차이는 주로 음운적인 수준에 있지만, 어휘적인 차이도 존재한다.미낭카바우 방언은 하나 이상의 마을(나가리)로 구성된 지역 방언으로 보통 관습과 전통의 차이에 대응합니다.각 하위 마을(jorong)은 [33]원어민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미묘한 차이로 구성된 하위 언어를 가지고 있다.파당 사투리는 다른 언어 [34]지역의 사람들에게 언어 프랑카가 되었다.

미낭카바우 사회는 디글로시아(diglossia) 상황을 가지고 있으며, 말레이어는 일상 대화에 모국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식 행사, 교육, 글쓰기에서 심지어 친척이나 [33]친구에게도 사용되고 있습니다.미낭카바우어는 원래 아랍어 알파벳인 자위 문자를 사용하여 쓰여졌다.이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19세기부터 시작되었고,[34] 이 언어의 표준화된 공식 철자법은 1976년에 출판되었다.

교단 ISO 639-3 모집단 (현재) 사투리
미낭카바우 6,500,000 (1981) 아감, 파야쿰부, 타나다타르, 시준중, 바투상카르파리앙간, 싱카락, 파리아만, 오랑마악, 울루, 캄파르오쿠, 로칸, 파사만, 라오, 쿠안탄, 케린치미낭카베시스, 피라베시스, 피라아우제시스, 파사스
출처: Gordon(2005년).[35]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말레이어를 널리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들만의 모국어를 가지고 있다; 미낭카바우어는 말레이어와 많은 비슷한 단어들을 공유하지만, 독특한 발음과 문법적인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 말레이어 사용자들은 [36]알아들을 수 없다.

관습과 종교

1900년 경의 미낭카바우 모스크.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에 불교, 특히 탄트릭 불교가 그 지역에서 인기가 있었다.수마트라 중부의 불교는 관음보살이 자바에서 다르마사야로 옮겨왔다는 파당로코 비문을 통해 증명되며,[37] 이 행위는 사람들에게 큰 행복을 가져다 주었다.파가릉 왕국과 멜라유 왕국을 포함한 영향력 있는 불교 왕국이 이 지역에서 번성했다.

미낭카바우족은 17세기 술탄 이스칸데르 무다가 이끄는 아체 술탄국의 침략 이후 이슬람화 되었다.역사적 기록은 불분명하지만, 이븐 바투타의 기록사무데라 파사이 술탄국의 침략과 아디트와르만 왕이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산으로 후퇴했다는 것을 그가 [38]술탄국가의 손에 의해 강제로 이슬람화를 피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애니미즘은 또한 미낭카바우 문화의 중요한 요소였다.16세기에 이슬람이 미낭카바우 사회에 침투한 후에도, 애니멀리즘적인 믿음은 사라지지 않았다.이 신념 체계에서, 사람들은 두 개의 영혼, 즉 진짜 영혼과 사라질 수 있는 영혼, 즉 세만갓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세망갓은 생명의 생명력을 나타내며 동물과 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병은 악령에 의해 세만갓이 잡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무속(파왕)에게 보이지 않는 힘을 마법처럼 부려 가족에게 위안을 가져다 줄 수 있다.혼령을 달래기 위해 제물을 바칠 수 있고, 부적과 같은 특정한 물건들이 [39]보호물로 사용된다.

18세기 후반 파드리 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 미낭카바우 고원에서는 기도, 단식, 모스크 참석 등의 이슬람 관습이 약하게 지켜져 왔다.파드리족은 메카의 와하비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코란 교리를 엄격하게 준수함으로써 담배와 아편 흡연, 도박, 전반적인 무정부 상태 등의 사회적 문제를 제거하고자 했다.코란과 충돌하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미낭카바우 풍습은 폐지되었다.비록 파드리족은 결국 네덜란드에 의해 패배했지만, 이 기간 동안 아다트와 종교 사이의 관계가 재구성되었다.종래의 격언은 적절성과 예의에 근거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었지만, 이것은 격언이 [4][40]이슬람의 가르침에 근거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미낭카바우는 이슬람을 강하게 공언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민족 전통, 즉 아담을 따른다.미낭카바우 아다는 이슬람이 들어오기 전에 애니미스트와 불교 신앙에서 파생되었다.이슬람과 아다트 사이의 현재의 관계는 "전통[아다트]은 [이슬람]법에 기초하고, 법은 [코란]에 기초한다" (아다트 난카위, syara'nan lazim)[5]라는 속담에 묘사되어 있다.

미낭카바우 고지대가 그들 문화의 심장부이고 이슬람이 해안에서 이 지역으로 들어오면서 관습이 내려오고 종교가 올라갔다고 한다.[12]

인구 통계

미낭카바우 인구 분류

이 표에는 인도네시아의 미낭카바우 인구 분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방 미낭카바우 인구
서수마트라 주 4,219,729
리아우 676,948
북수마트라 주 333,241
자카르타 272,018
서자바 주 241,169
잠비 163,760
리아우 제도 162,452
반텐 95,845
벵쿨루 71,472
람풍 69,652
리아우 제도 64,603
반텐 33,112
인도네시아 6,462,713

해외 미낭카바우

미낭카바우족의 절반 이상이 해외 미낭카바우족으로 간주될 수 있다.그들은 네게리 셈빌란, 사리바 (말레이시아) 그리고 페칸바루 (인도네시아)의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반둥, 메단, 바탐, 수라바야, 팔렘방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41]쿠알라룸푸르, 말라카, 페낭, 싱가포르, 브루나이 다루살람인구에서도 상당한 소수를 형성하고 있다.Minangkabaus는 또한 숙련된 전문가와 상인으로 네덜란드,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42]호주로 이민을 갔다.해외(란타우)에서는 약삭빠른 [43]상인으로 정평이 나 있다.서수마트라의 모계 문화와 경제 상황은 미낭카바우족을 동남아시아 연안에서 가장 이동성이 높은 민족 중 하나로 만들었다.

대부분의 미낭카바우 사람들에게, 방황은 성숙과 성공에 이르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그 결과, 그들은 연해주 동남아의 많은 왕국과 국가의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해외의 미낭카바우 또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문화를 발전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쳤는데, 주로 언어, 요리, 음악,[44] 그리고 무술이다.

주목할 만한 미낭카바우

모하마드 하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이자 인도네시아 제1부통령입니다.

미낭카바우족은 동남아시아 전역에 걸쳐 널리 퍼져 있는 그들 사람들의 디아스포라뿐만 아니라 지식에 대한 헌신으로 유명하며, 그 결과 미낭족은 지역 전체에서 경제적, 정치적 힘의 위치에 불균형적으로 대표되어 왔다.인도네시아 공화국의 공동창립자인 모하마드 하타는 싱가포르의 초대 대통령 유소프 빈 이샤크, 말레이시아초대 국가원수 양 디 페르투안 아공과 마찬가지로 미낭인이었다.

미낭카바우는 고등교육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회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와 외국에는 정치인, 작가, 학자, 교사, 언론인, 사업가 등 다양한 직업과 전문지식이 퍼져 있다.비교적 적은 인구를 바탕으로 미낭카바우는 가장 성공적인 [45]도시 중 하나이다.Tempo잡지(2000년 새해 특집판)에 따르면 20세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대 인물 중 6명이 [46]미낭이었다.인도네시아 건국 아버지 4명 중 3명은 미낭카바우족이다.[47][48]

미낭카바우 혈통의 많은 사람들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 민족주의 [49]운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920~1960년 인도네시아의 정치 지도부는 전 인도네시아 정부 총리이자 부통령인 모하마드 하타, 전 인도네시아 정부 장관인 아구스 살림, 전 인도네시아 정부 지도자이자 PARI수탄 시르 창시자인 무르바 등 미낭카바우족으로 가득 찼다.무하마드 낫시르 전 인도네시아 정부 총리이자 마스유미 창업자, 아사트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 압둘 할림 전 인도네시아 정부 총리.자유민주주의 시대에는 미낭카바우 정치인이 인도네시아 의회와 내각을 장악했다.그들은 이슬람, 민족주의자, 사회주의, 공산주의자 등 기존의 모든 파벌에 다양하게 소속되어 있었다.

미낭카바우 작가와 언론인들은 현대 인도네시아 문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여기에는 작가 마라 로즐리, 압둘 무이스, 수탄 탁디르 알리자바나, 이드루스, 함카, 알리 아크바르 나비스, 시인 무함마드 야민, 체어릴 안와르, 타우픽 이스마일, 언론인 자말루딘 아딘고로, 로와르시 안와르한 등이 포함된다.많은 유명한 인도네시아 소설들이 미낭카바우 작가들에 의해 쓰여졌고 후에 현대 인도네시아 언어의 [50]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게다가, 영화 감독 우스마르 이스마일과 나스리 체피, 영화 제작자 자말루딘 말릭, 시나리오 작가 아리잘과 아스룰 사니, 배우 겸 여배우 수카노 M과 같은 인기 연예계에도 상당한 수의 미낭카바우 사람들이 있다. 노어, 라노 카르노, 카멜리아 말리크, 에바 아르나즈, 니리나 주비르, 티티 라조 빈탕, 두드 헤리노를 비롯해 가수 파리즈 RM, 붕가 시트레스타리, 나즈릴 이럼, 도르체 가말라마, 아프간자 셰리나

오늘날 미낭카바우족은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외에도 인도네시아 경제활동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미낭카바우 사업가는 접대, 미디어 산업, 의료, 출판사, 자동차 및 섬유 거래 분야에서도 눈에 띈다.미낭카바우 사업가들은 또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호주의 많은 도시에서 전통적인 미낭카바우 요리 레스토랑 체인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Abdul LatiefBasrizal Koto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었다.

역사적으로, 미낭족은 또한 14세기까지 필리핀 남부까지 이주하면서 서수마트라 외곽에 정착했다.라자 바긴도는 나중에 술루 [51]술탄국으로 변한 필리핀 술루 정치의 지도자였다.미낭카바오족은 14세기에 말레이 반도로 이주하여 지역 정치를 장악하기 시작했다.1773년 라자 멜레와르네게리 셈빌란의 초대 국가 원수로 임명되었다.

미낭카바오스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 많은 정치적 자리를 차지했습니다.싱가포르의 초대 대통령 유소프 이스학, 말라야 연방의 초대 국가원수 양 페르투안 아공, 투안쿠 압둘 라만, 그리고 많은 압둘 가미르 같은 말레이시아 정부 장관들이었습니다.ais Yatim과 Khairy Jamaluddin.그들은 또한 마줄라 싱가푸라(싱가포르의 국가)를 작곡한 주비르 사이드와 같이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사회문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싱가포르 뮤지션 완들리 야지드, 말레이시아 영화감독 우웨이 하지 사리, 언어전문가 자날 아비딘 아마드, 모하메드 타이브 빈 하지 압둘 사마드, 모크자니 마하티르, 카마루드 메룬, 스리랑쿠비즈니스 및 경제활동

말레이시아 이외의 미낭카바우 혈통으로는 네덜란드 하원의원 루스탐 에펜디, 마스지드 알 하람의 샤피 법학대학원장 아흐마드 카티브, 그리고 카티브의 손자 푸아드 압둘 하메드 알렙하테 등이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일반

  • Dobbin, Christine (1983). Islamic Revivalism in a Changing Peasant Economy: Central Sumatra, 1784–1847. Curzon Press. ISBN 0-7007-0155-9.
  • Frey, Katherine Stenger (1986). Journey to the land of the earth goddess. Gramedia Publishing.
  • Kahin, Audrey (1999). Rebellion to Integration: West Sumatra and the Indonesian Polity. Amsterdam University Press. ISBN 90-5356-395-4.
  • Sanday, Peggy Reeves (2004). Women at the Center: Life in a Modern Matriarchy.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8906-7.
  • Summerfield, Anne; Summerfield, John (1999). Walk in Splendor: Ceremonial Dress and the Minangkabau. UCLA. ISBN 0-930741-73-0.

메모들

  1. ^ 2015년 5월 5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미낭카바우 사람들.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5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 ^ Kewarganegaraan, Suku Bangsa, Agama dan Bahasa Sehari-hari Penduduk Indonesia Hasil Sensus Penduduk 2010 (PDF). Badan Pusat Statistik. 2011. ISBN 97897906441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2 July 2017. Retrieved 24 August 2012.
  3. ^ "Minangkabau in Malaysia". Joshua Proje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16. Retrieved 22 January 2015.
  4. ^ a b Blackwood, Evelyn (2000). Webs of Power: Women, Kin, and Community in a Sumatran Village. Rowman & Littlefield. ISBN 0-8476-9911-0.
  5. ^ a b c Alam, Sutan Gagar (6 July 1856). "Collective volume with texts in Malay, Minangkabau, Arabic script (1-2) Subtitle No. 61. Oendang oendang adat Lembaga : Tambo Minangkabau; and other texts Or. 12.182". Sakolah Malay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21. Retrieved 7 May 2021.
  6. ^ Miksic, John (2004), From megaliths to tombstones: the transition from pre-history to early Islamic period in highland West Sumatra
  7. ^ Reid, Anthony (2001). "Understanding Melayu (Malay) as a Source of Diverse Modern Identities".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32 (3): 295–313. doi:10.1017/S0022463401000157. PMID 19192500. S2CID 38870744.
  8. ^ 인도네시아 리와자트 주, R. Ng. Poerbatjaraka.질리드 1세, 1952년 자카르타: 야야산 팜프루난
  9. ^ Miksic, John (2004). "From megaliths to tombstones: the transition from pre-history to early Islamic period in highland West Sumatra". Indonesia and the Malay World. 32 (93): 191–210. doi:10.1080/1363981042000320134. S2CID 214651183.
  10. ^ Coedès, George (1968). Walter F. Vella (ed.).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trans.Susan Brown Cowing.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0368-1.
  11. ^ a b c Dobbin, Christine (1977). "Economic change in Minangkabau as a factor in the rise of the Padri movement, 1784–1830". Indonesia. Indonesia, Vol. 23. 23 (1): 1–38. doi:10.2307/3350883. hdl:1813/53633. JSTOR 3350883.
  12. ^ a b Abdullah, Taufik (October 1966). "Adat and Islam: An Examination of Conflict in Minangkabau". Indonesia. Indonesia, Vol. 2. 2 (2): 1–24. doi:10.2307/3350753. hdl:1813/53394. JSTOR 3350753.
  13. ^ Reid, Anthony (2005). An Indonesian Frontier: Acehnese and Other Histories of Sumatr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ISBN 9971-69-298-8.
  14. ^ Kahin(1999), 165~229쪽
  15. ^ Kahin(1999), 257~261쪽
  16. ^ Tedjasukmana, Jason (12 March 2001). "Success Story". Time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07. Retrieved 8 October 2007.
  17. ^ a b Summerfield(1999), 48~49페이지
  18.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Kuipers, Joel C. "미낭카바우"인도네시아에서는: A Country Study 2015년 3월 15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William H).프레드릭과 로버트 L.Worden, ed.)의회도서관 연방연구과 (2011). Public Domain 이 문서에는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이 소스로부터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9. ^ Bhanbhro, Sadiq. "Indonesia's Minangkabau culture promotes empowered Muslim women". The Convers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9. Retrieved 19 August 2019.
  20. ^ Michael G. Peletz, A Share of the Harvest: Rembau의 말레이시아인들 사이의 친족, 재산, 사회사, 1988년
  21. ^ 크로포드 영, 문화다원주의 정치학, 위스콘신 대학 출판부, 1976년
  22. ^ Shapiro, Danielle (4 September 2011). "Indonesia's Minangkabau: The World's Largest Matrilineal Society". Daily Bea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9. Retrieved 19 August 2019.
  23. ^ a b c d Pauka, Kirstin (1998). "The Daughters Take Over? Female Performers in Randai Theatre". The Drama Review. 42 (1): 113–121. doi:10.1162/105420498760308706. S2CID 57565023.
  24. ^ Pauka, Kirstin; Askovic, Ivana; Polk, Barbara (2003). "Umbuik Mudo and the Magic Flute: A Randai Dance-Drama". Asian Theatre Journal. 20 (2): 113. doi:10.1353/atj.2003.0025. S2CID 161392351.
  25. ^ Cohen, Matthew Isaac (2003). "Look at the Clouds: Migration and West Sumatran 'Popular' Theatre". New Theatre Quarterly. 19 (3): 214–229. doi:10.1017/S0266464X03000125. S2CID 191475739.
  26. ^ a b c d Lipoeto, Nur I; Agus, Zulkarnain; Oenzil, Fadil; Masrul, Mukhtar; Wattanapenpaiboon, Naiyana; Wahlqvist, Mark L (February 2001). "Contemporary Minangkabau food culture in West Sumatra, Indonesia".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Blackwell Synergy. 10 (1): 10–6. doi:10.1046/j.1440-6047.2001.00201.x. PMID 11708602.
  27. ^ Witton, Patrick (2002). World Food: Indonesia. Melbourne: Lonely Planet. p. 183. ISBN 1-74059-009-0.
  28. ^ Owen, Sri (1999). Indonesian Regional Food and Cookery. Frances Lincoln Ltd. ISBN 0-7112-1273-2.
  29. ^ Sanday, Peggy Reeves (9 December 2002). "Matriarchy and Islam Post 9/11: A Report from Indonesia". Peggy Reeves Sanday - UPen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11. Retrieved 21 July 2019.
  30. ^ a b Dahsinar (1971). Si Malin Kundang. Balai Pustaka.
  31. ^ Abdullah, Taufik (1970). "Some Notes on the Kaba Tjindua Mato: An Example of Minangkabau Traditional Literature". Indonesia. Indonesia, Vol. 9. 9 (Apr): 1–22. doi:10.2307/3350620. hdl:1813/53478. JSTOR 3350620.
  32. ^ Rathina Sankari (22 September 2016). "World's largest matrilineal society". BB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September 2016. Retrieved 22 September 2016.
  33. ^ a b Anwar, Khaidir (June 1980). "Language use in Minangkabau society". Indonesia and the Malay World. 8 (22): 55–63. doi:10.1080/03062848008723789.
  34. ^ a b Campbell, George L. (2000).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ISBN 0-415-20298-1.
  35. ^ Gordon, Raymond G. (2005).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Dallas, Tex.: SIL Intern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line version) on 12 October 2009. Retrieved 3 September 2007.
  36. ^ "Catatan Kritis untuk Buku 'Sejarah Minangkabau, Loanwords, dan Kreativitas Berbahasa Urang Awak'". Padangkita.com (in Indonesian). 1 March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September 2021. Retrieved 12 September 2021.
  37. ^ 물자나, Slamet, 1981, Kuntala, Sriwijaya Dan Suwarnabhumi, 자카르타: 야야산 이다유, hlm. 223.
  38. ^ Muhammad, Aljunied, Syed, Khairudin. Routledge Handbook of Islam in Southeast Asia. but the statements of Ibn Battuta about the jihad expeditions engaged in by the Samuderan ruler Sultan Al-Malik Al-Zāhir in the 1340s suggests another possibility – that Adityawarman pushed further into the highlands to avoid the depredations of religious expansionist warfare being waged by the sultan of Samudera
  39. ^ 도빈(1983), 117~118페이지
  40. ^ Dobbin, Christine (1972). "Tuanku Imam Bondjol, (1772–1864)". Indonesia. 13 (April): 4–35.
  41. ^ Mochtar Naim, Zulqaiyim, Hasanuddin, Gusdi Sastra; Menelusuri Jejak Melayu-Minangkabau, Yayasan Citra Budaya 인도네시아, 2002년
  42. ^ http://www.padeknews.com 2015년 6월 2일 Wayback Machine Warga Minang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딜레파스 Naik Haji 2015년 9월 24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43. ^ Jeffrey Hadler, 무슬림 및 Matriarchs: 지하드와 식민주의를 통한 인도네시아의 문화적 복원력, 2013년
  44. ^ 티모시 P.다니엘스, 말레이시아에서 문화 민족주의 구축:Identity, Representation, and Citizenship, 2005
  45. ^ Kato, Tsuyoshi (2005). Adat Minangkabau dan merantau dalam perspektif sejarah. PT Balai Pustaka. p. 2. ISBN 979-690-360-1.
  46. ^ . Majalah Tempo Edisi Khusus Tahun 2000. December 1999. {{cite book}}: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도움말)
  47. ^ Tim Wartawan Tempo, "4 Serangkai Pendir Republik", 케푸스타칸 포퓰러 그라메디아, 자카르타 (2010)
  48. ^ 인도네시아 건국자 중 4명은 수카르노, 하타, 수탄 자흐리르, 탄 말라카이다.
  49. ^ Nasir, Zulhasril. Tan Malaka dan Gerakan Kiri Minangkabau.
  50. ^ Swantoro. Dari Buku ke Buku, Sambung Menyambung Menjadi Satu.
  51. ^ 아시아학, 제16-18권;필리핀 고등연구센터, 필리핀 대학 시스템, 1978

추가 정보

  • Nazif Basir; Elly Kasim (1997), Tata Cara Perkawinan Adat Istiadat Minangkabau, Elly Kasim Collections, OCLC 16688147{{citation}}: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