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벨 나히모프
Pavel Nakhimov파벨 나히모프 | |
---|---|
![]() 파벨 나히모프 제독 | |
태어난 | 러시아 제국 스몰렌스크 현의 비야즈마 우예즈드 | 1802년 7월 5일
죽은 | 1855년 7월 12일( 러시아 제국 타우리다 현 세바스토폴 | 53세)
얼리전스 | ![]() |
서비스/브런치 | ![]() |
근속 연수 | 1818–1855 |
순위 | 제독 |
명령어 보유 | 콜벳나바린 호위함팔라다 선로선실리스트리아 흑해함대 함정여단 함대 사단장 흑해 함대 함대 및 항만사령관 |
전투/전투 | 그리스 독립 전쟁 |
어워드 | 상을 보다 |
Pavel Stepanovich Nakhimov (Russian: Павел Степанович Нахимов, pronounced [ˈpavʲɪl sʲtʲɪˈpanəvʲɪtɕ nɐˈxʲiməf];1802년 7월 5일 [OS. 6월 23일]– 1855년 7월 12일[OS. 6월 30일] 크림 전쟁 중 세바스토폴 포위전 (1854-1855) 동안 해군과 육군의 지휘관으로 알려진 러시아 해군 제독이었다.
전기
나히모프는 스몰렌스크 주의 비아즈마 지역의 고로독 마을의 러시아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그는 지주이자 두 번째 주요 인물인 스테판 미하일로비치 나히모프와 그의 아내인 페오도시아 이바노브나 나히모바의 11남매 중 일곱째였다.그의 형제 중 6명은 유아기에 죽었다.그와 그의 네 형제 모두 세르게이 스테파노비치 나히모프 부제독 (1805년-1872년)[1]을 포함한 전문 선원이 될 것이다.
1817년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그 해, 그는 호위함 페닉스를 타고 스웨덴과 덴마크 해안으로 첫 해상 항해를 했다.그는 곧 부사관으로 승진했다.1818년 2월, 그는 육군사관 시험에 합격하여 러시아 제국 해군의 발트해 함대의 제2함대 승무원(플로츠키 에키파즈)에 즉시 배치되었다.
해군 경력 초기에 나히모프의 경험은 발트해에서의 항해뿐 아니라 백해 아르한겔스크 항구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 근처의 크론슈타트 해군 기지까지의 더 광범위한 여행으로 제한되었다.그의 행운은 1822년 3월, 그가 호위함 크라이저("크루저")에 배속되었을 때 찾아왔다. 이 배는 이미 그러한 항해를 여러 번 한 유명한 러시아 탐험가 미하일 페트로비치 라자레프 (1788-1851)가 지휘하는 세계 일주 탐험에 참가했다.
3년간의 항해에서 나히모프는 중위로 진급했다.이 모험의 결론으로, 그는 그의 첫 상인 성 블라디미르 4세 훈장을 받았다.그는 그의 고향인 스몰렌스크로 돌아와 74발의 군함 아조프에 배치되었고, 아조프는 1826년 가을 아르한겔스크에서 크론슈타트까지 처녀 항해를 했다.
1827년 여름, 아조프는 로데베이크 반 하이덴 제독이 이끄는 러시아 함대의 기함으로 지중해로 항해하여 프랑스 및 영국 해군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였다.출항 직전, 황제 니콜라스 1세는 아조프를 방문했고, 교전이 있을 경우, 선원들은 "러시아인들처럼" 적을 상대해야 한다고 명령했다.
아조프는 당시 1등 함장 M.P. 라자레프 휘하의 나바리노 전투(1827년 10월 20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활약했으며, 이 전투에서 영국-프랑스-러시아 연합 함대는 오스만 [2]함대를 "완전히" 격파했다.전투에서의 뛰어난 포술로 27세의 나키모프는 트로피 함장으로 진급해 연합국 [3][4]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1853-1856년 크림 전쟁 중 나히모프는 1853년 시노페에서 오스만 함대를 전멸시킴으로써 두각을 나타냈다.그의 전성기는 세바스토폴 공성전에서 그와 V. A. 코닐로프 제독이 이 도시와 러시아 흑해 함대의 본거지인 항구 방어를 처음부터 조직한 것이다.항구 사령관이자 도시의 군사 통치자로서, 나히모프는 사실상 세바스토폴 해군과 육상 방위군의 수장이 되었다.1855년 7월 10일(O.S. 6월 28일) 말라호프 쿠르간의 전방 방어 진지를 시찰하던 중 저격수에 의해 치명상을 입고 이틀 만에 사망했다.
나히모프는 미하일 라자레프, V.A. 코르닐로프, 블라디미르 이스토민과 함께 세바스토폴의 성 블라디미르 대성당에 묻혔다.그를 추모하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소련 정부도 1943년 나키모프 해군학교를 도입하고 1944년 나키모프 훈장(2학위)과 해군장교 훈장을 동시에 제정했다.소련에서 가장 높은 군사 훈장 중 하나인 나히모프 훈장은 러시아 연방에 계속 존재한다.
나키모프의 이름을 딴 배
- 러시아 장갑 순양함 나히모프 제독입니다
- 스베틀라나급 순양함 체르보나 우크라이나호의 원래 이름.
- 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 나히모프 제독입니다
- 소련 여객선 나키모프 제독입니다
- 크레스타 II급 순양함 나키모프 제독
- 키로프급 순양함 나키모프(옛 칼리닌)
영예와 상
- 세인트 훈장 블라디미르, 4급(1825; 호위함 순양함 항해)
- 세인트조지 훈장, 4등(1827년, 나바리노 전투에서 복무)
- 세인트 훈장 안나, 2등(1830)
- 세인트 훈장 황실 2등 안나(1837년, 근면하고 열심인 훌륭한 봉사를 위해)
- 세인트 훈장 블라디미르, 3등(1842년, 근면하고 열정적인 훌륭한 서비스를 위해)
- 뛰어난 배지 "완벽한 서비스를 위해" XXV년 (1846)
- 세인트 훈장 스타니슬라우스, 1등(1847년)
- 세인트 훈장 안나, 1등(1849년)
- 세인트 훈장 안나, 황실 1등(1851)
- 세인트 훈장 블라디미르, 2등(1853; 제13사단의 성공적인 이양을 위해)
- 세인트조지 훈장 2등(1853년, 시노페에서의 승리를 위해)
- 흰독수리훈장(러시아),(1855년; 세바스토폴 방어를 위한 행동)
- 배스 훈장(영국)
- 구세주 명령(그리스)
레퍼런스
- ^ 스피리도노바 L.I., 표도로바 G.N.(2003)P. S. 나히모프 문서 및 자료의 수집2019년 12월 13일 Wayback Machine에 보관.-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테르부르크 인쇄예술대학, 355-387페이지 ISBN5-8122-0302-4
- ^ Cochrane, George (1837). Wanderings in Greece. Vol. 1. Henry Colburn, Publisher. p. 1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21. Retrieved 21 April 2019.
[...] the battle of Navarino, which ended in the total destruction of the Turko-Egyptian squadron.
- ^ "Admiral P. S. Nakhimov". Russian Navy. RusNavy.com. 1998–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12. Retrieved 18 October 2012.
- ^ "21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ADMIRAL PAVEL NAKHIMOV". Russkiy Mir Foundation.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러시아 해병대 역사상 해군 지휘관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