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탄 습지 숲
Peat swamp forest동남아시아 해질녘 시리즈 |
---|
![]() |
역사 |
주요 토픽 |
응답 |
「 」를 참조해 주세요. |
![]() |
이탄 습지 숲은 물에 잠긴 토양이 낙엽과 나무가 완전히 부패하는 것을 막아주는 열대 습지 숲이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은 두꺼운 산성 [1]이탄층을 형성합니다.이 숲의 넓은 지역이 높은 속도로 벌목되고 있다.
이탄 습지 숲은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의 저지대 우림과 해안 근처의 기수 또는 염수 맹그로브 숲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생물군 내의 늪 숲과 공존하고 있는 열대 이탄지는 토양 유기물로써 방대한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축적합니다 - 자연림이 포함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그들의 안정성은 기후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들은 지상 유기 탄소의 [2]가장 큰 지표면 근방 매장량 중 하나이다.생태학적 중요성을 지닌 이탄 습지 숲은 가장 위협적이지만 연구가 덜 되고 가장 잘 이해되지 않는 생물 유형 중 하나이다.
1970년대 이후, 이탄 습지의 삼림 벌채와 배수가 크게 증가했다.[3]게다가 엘니뇨 남부발진(ENSO) 가뭄과 대규모 화재는 이탄지 황폐화를 가속화하고 있다.이 파괴는 토양과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켜 이산화탄소로써 대기로의 탄소 방출을 증가시킨다.이러한 현상은 열대 이탄지가 이미 대규모 이산화탄소 공급원이 되었음을 시사하지만 관련 데이터와 정보는 [4]제한적이다.
열대 이탄 습지 숲은 오랑우탄과 [5]수마트란 호랑이와 같은 희귀하고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수천 종의 동식물의 서식지이다.
분배
열대 이탄 생태계는 세 지역에서 발견된다.중앙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는[2] 세계 열대 이탄 지대의 약 62%가 인도말레이아 왕국(인도네시아 80%, 말레이시아 11%, 파푸아뉴기니 6%, 브루나이, 베트남, 필리핀, 태국)[6][7]에서 발생한다.인도네시아의 이탄은 수마트라 섬(830만 ha), 칼리만탄 섬(630만 ha), 파푸아 섬(460만 ha)[8] 등 3개 섬에 분포한다.
형성
열대성 이탄은 강 삼각주, 범람원 또는 얕은 소우호수와 같은 저지대에서 형성된다.형성 과정은 보통 수생식물에 의해 부영양화된 연못이나 침수된 지역이 풀이나 관목과 함께 물에 잠긴 늪으로 변하고, 결국 계속 자라고 [9]축적되는 숲을 형성하는 수생식물의 연속 [1][9]단계를 따른다.돔 사이의 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이탄은 측면 팽창을 [9][10]통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이 이탄 퇴적물은 종종 돔이라고 불리는 볼록한 모양을 형성하는데, 해안 이탄에서는 4m, 내륙 [1]이탄에서는 18m까지 상승할 수 있다.형성 초기에 이탄은 국지적 또는 광생식이며 강이나 지하수로부터 높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이탄이 두꺼워지고 돔이 높아짐에 따라, 이탄 상부는 더 이상 강이나 지하수 유입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신 강우 유입으로부터만 물을 얻음으로써 영양소와 미네랄 함량이 낮아집니다. 특히 칼슘이 감소합니다.따라서 이탄은 매우 산성화되어 낮은 생물다양성과 발달하지 않은 숲을 지탱할 수 있을 뿐이다.
내륙과 해안의 이탄은 약 8000년 [11]전 홀로세 중기에 형성된 해안 이탄과 그 연대가 크게 다릅니다.내륙의 이탄은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26,000 [12]BP 이상 형성되었습니다.해안 이탄 형성은 엘니뇨가 덜 [13]심할 때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많이 받고 8-4000BP 정도의 강한 축적을 보인다.순다붕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해수면 변화는 유스터틱한 해수면의 영향만 받고 있으며, 빙하기 중에는 카리마타 해협이 말라 아시아 반도, 수마트라, 보르네오, 자바가 연결되어 있다.[14]마지막 빙하기 이후, 이 해안선은 빙상이 녹으면서 내륙으로 이동했고, 마침내 8500 BP 경에 현대 해안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따라서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해안 이탄은 [15]8500년 미만이다.
내륙의 이탄 형성은 해수면 상승의 영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해수면 상승의 영향이 약 15-20m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의 해수면 상승 기록은 해수면 상승이 현재 [16]6m일 때 약 125,000BP 동안이었다.남칼리만탄 세방아우에서 온 이탄핵은 기후가 더 추울 때 약 13000BP에서 0.04mm/y의 느린 성장을 보이다가 온난한 초기 홀로세네에서는 약 9900BP에서 2.55mm/y로 가속되었다가 다시 강한 [17]엘니뇨 동안 0.23-0.15mm/y로 느려졌다.비슷한 패턴이 웨스트 칼리만탄 Sentarum의 코어에서도 관찰되고 있습니다.여기서 이탄은 28~16000BP, 13~3000BP,[18] 5~3000BP의 성장속도가 느립니다.28에서 16000 BP와 5-3000 BP의 느린 성장은 하인리히 이벤트 1과 엘니뇨의 [19][20]출현으로 인해 이 기간 동안 건조한 기후로 설명된다.
생태학
이탄 습지 숲은 높이가 70m에 이르는 나무들로 이루어진 특이한 생태계입니다. - 북부 온대 및 한대 지역의 이탄 땅과는 매우 다릅니다(이탄 숲은 Sphagnum 이끼, 풀, 초목과 [9]관목으로 지배됩니다.이탄의 해면상, 불안정성, 물에 잠긴 혐기성 바닥은 낮은 pH(pH 2.9–4)와 낮은 영양소로 최대 20m 깊이가 될 수 있으며, 산림 바닥은 계절적으로 [21]침수된다.물은 낙엽과 이탄에서 흘러내리는 타닌에 의해 짙은 갈색으로 물들어 있다. 그래서 검은 물 늪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건기에는 이탄은 물에 잠기고 나무 사이에 웅덩이가 남는다.이탄 수위는 보통 표면 [1]아래 20cm(7.9인치)에 있습니다.그러나 심각한 엘니뇨가 발생하는 동안 이 수위는 지표면 아래 40cm(16인치)까지 떨어져 [11]연소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탄림은 토양 특성상 탄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유기물 함량이 높은(70~99%)[9][22] 특성을 가진 히스토솔로 분류된다.이 탄소 풀은 온대 이탄지의 낮은 온도와 열대 이탄지의 물벌이에 의해 안정됩니다.이탄의 온도나 수분 함량을 바꾸는 장애는 대기 중으로 이 저장된 탄소를 방출하여 인간이 만든 기후 [13]변화를 악화시킬 것이다.열대 이탄의 탄소 함유량 추정치는 50 Gt[13] 탄소부터 88 Gt [2]탄소까지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이탄 형성은 천연 탄소 흡수원입니다. 탄소는 시스템 밖으로 빠져나와 생물학적 활동을 통해 이탄으로 전환됩니다.이탄 습지 숲은 원래 인도네시아의 주요 생태계를 대표하며 1,650만 ~ 2,700만 헥타르에 이른다.원래 상태 그대로, 인도네시아의 이탄 습지 숲은 연간 0.01~0.03 Gt의 탄소를 방출했습니다.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중요한 생태계는 삼림 벌채, 배수, 그리고 농경지로의 전환과 다른 활동들로 인해 축소되었다.따라서 탄소 분리 시스템으로서의 그들의 현재 상태 또한 크게 감소하였다.이탄(그리고 이탄 늪지 숲 유지의 긴급성)의 글로벌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이들 지역을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적으로 만드는 대체 방법을 식별하는 것은 과학자와 정책 입안자들 [23]사이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져야 한다.
문제
지난 10년간 인도네시아 정부는 메가 라이스 프로젝트(MRP)에 따라 보르네오 이탄 습지 숲의 100만 헥타르 이상을 농경지로 전환하기 위해 배수했다.1996년과 1998년 사이에 4,000킬로미터 이상의 배수 및 관개 수로가 파였고, 부분적으로 합법적이고 불법적인 벌목을 통해 그리고 일부는 분신을 통해 삼림 벌채가 가속화되었다.수로와 합법적인 임업을 위해 건설된 도로와 철도는 이 지역을 불법 임업에 개방시켰다.MRP 지역에서는 1991년 64.8%에서 2000년 45.7%로 산림 커버가 감소해 이후에도 개간은 계속되고 있다.현재 시장성이 있는 나무들은 MRP 대상 지역에서 거의 모두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일어난 일은 예상과 달랐다: 수로는 이탄 숲을 관개하기 보다는 물을 빼냈다.장마철에는 수심이 2m까지 침수되는 경우가 많았던 숲이 지금은 연중 건조하다.인도네시아 정부는 이제 MRP를 포기했다.

유럽항공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의 연구에 따르면 1997년 인도네시아에서 이탄과 초목을 태운 결과 25억 7천만 톤의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다.이는 화석연료의 연평균 탄소배출량의 40%에 해당하는 수치로 [24]1957년 기록이 시작된 이래 연간2 대기 중 CO농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게다가, 2002-3년 화재는 2억에서 10억 톤의 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했다.
인도네시아는 고대 이탄 습지 숲의 파괴로 인해 현재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탄소 배출량을 배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열대 이탄 늪의 50%와 건조지의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그들은 삼림 벌채와 산림 황폐화(REDD) 계획 하에서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REDD 이니셔티브에서 탄소 배출을 주장하는 측면에서 삼림 벌채를 줄이는 것보다 단위 면적당 달성 가능한 배출량이 훨씬 더 크고 관련된 [25]기회 비용도 훨씬 낮기 때문에 토탄 보존과 재생이 보다 효율적인 사업입니다.
보존 및 보존
열대 이탄 습지 숲을 보존하려는 시도는 상업 벌목의 광범위한 영향과 파괴에 비해 미미하다. 사라왁에서는 벌목이 진행 중이며 브루나이에서 심화될 예정이다.환경 NGO 보르네오 오랑우탄 서바이벌의 한 가지 계획은 탄소 재정과 자연과 맞바꾸는 것을 조합하여 마와스의 이탄 늪 숲을 보존하는 것입니다.원래의 이탄림 면적의 약 6%가 보호구역 내에 있으며, 그 중 가장 큰 곳은 탄중푸팅과 사방가우 국립공원이다.
인도네시아의 삼림 벌채의 주된 원인은 팜유 사업(인도네시아 팜유 생산 참조)과 남수마트라 등의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는 불법 벌채이다.2008년 무함마드야 팔렘방 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25년 안에 대부분의 자연림이 불법 벌목으로 고갈될 것으로 추정됐다.REDD에 의한 프로젝트는 삼림 벌채에 대처하고, 농업의 침해로부터 숲을 보호하는 것, 생물 다양성의 이익, 그리고 주변 [26]마을의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이탄지대에서 맹그로브 숲의 파괴와 지속 불가능한 팜유 확장에 대응하기 위해 습지 국제 등의 조직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력하여 정책과 공간 계획을 개선합니다.이들은 팜오일 산업과 연계해 열대 이탄 습지 숲의 베스트 매니지먼트 프랙티스를 촉진하고 천연자원 관리에 대한 의식이 부족한 지역사회의 참여를 확보하고 있다.들판에서, 그들은 맹그로브 숲과 이탄지를 복원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협력합니다.
벌목으로 인한 서식지 교란은 혼합 늪 숲 내의 오랑우탄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지역에 매우 크고 자급자족하는 오랑우탄 개체군의 존재는 최근 그리고 빠른 서식지 [4]저하에 비추어 칼리만탄의 이탄 늪지 숲을 더 잘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열대 이탄 습지 숲 아래에 있는 이탄은 극한 조건(침수, 영양소 부족, 혐기성 및 산성)이 미생물 활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축적된다고 오랫동안 가정되어 왔다.열대 말레이시아의 이탄 습지(North Selangor 이탄 습지 숲)에 대한 연구는 풍토성 이탄 숲 식물(Macaranga pruinosa, Campnosperma coriaum, Pandus atrocarpus, Stenochlaena palristis)의 경화성 독성 잎이 다른 종의 박테리아와 균류에 의해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년이 지나면 거의 완전히 분해됩니다.따라서 미생물의 [27]분해를 방해하는 것은 잎의 본질적인 특성이다.
에코레지온
- 보르네오 이탄 습지 숲(Brunei,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 동부 콩고 습지 숲(중앙아프리카공화국,[28] 콩고민주공화국)
- 말레이시아 반도 이탄 습지 숲(말레이시아, 태국)
- 라타르굴 습지 숲(방글라데시 실레트 주)
- 수마트라 이탄 습지 숲(인도네시아)
- Tonle Sap-Mecong 이탄 습지 숲(캄보디아, 베트남)
「 」를 참조해 주세요.
- 보그 – 식물성 물질의 불완전 분해로 이탄이 축적되는 습지 유형
- 석탄 숲 – 석탄기 후기 및 페름기 시대의 토지 유형
- 메가 라이스 프로젝트(칼리만탄)
- 1997년 동남아시아 해질녘 – 1997년 중반 동남아시아 지역
- 2006년 동남아시아 해질녘 – 2006년 중반 동남아시아 지역 해질녘
- 열대 이탄
- 보르네오의 삼림 벌채
- 팜 오일이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영향에 대한 논의
- 인도네시아의 환경 문제
- Cathy Henkel의 2008년 버닝 시즌
레퍼런스
- ^ a b c d Anderson, J. A. R. (1963).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peat swamps of Sarawak and Burunei". Journal of Tropical Geography. 18: 7–16.
- ^ a b c Page, Susan E.; Rieley, John O.; Banks, Christopher J. (1 February 2011). "Global and regional importance of the tropical peatland carbon pool". Global Change Biology. 17 (2): 798–818. Bibcode:2011GCBio..17..798P. doi:10.1111/j.1365-2486.2010.02279.x. ISSN 1365-2486. S2CID 86121682.
- ^ 응, 피터 (1994년 6월)말레이시아 반도, 특히 북셀랑고르 이탄 습지 숲의 흑수어 다양성과 보존
- ^ a b 타카시 히라노씨(2006년 11월 29일).인도네시아 칼리만탄의 열대 이탄 습지 숲의 이산화탄소 균형.
- ^ "Peatland Treasures - Wetlands International". wetlands.org. Retrieved 15 April 2018.
- ^ Rielley JO, Ahmad-Shah AA Brady MA(1996) 열대 이탄 늪의 범위와 성질.인: 1992년 7월 3일부터 8일까지 인도네시아 시사루아에서 열린 동남아시아의 Maltby E, Imirzi CP, Safford RJ(eds) 열대 저지대 이탄지, 열대 저지대 이탄지 통합 계획과 관리에 관한 워크숍 진행.IUCN, 글랜드, 스위스
- ^ 페이지 SE, Riely JO, Wüst R(2006) 동남아시아 저지대 열대 이탄 지대: 마르티니 IP, 마르티네스 코르티자스 A, 체스워스 W(eds) 이탄 지대:환경 및 기후 변화의 진화와 기록.엘세비어 BV 페이지 145-172
- ^ a b Page, S. E.; Rieley, J. O.; Shotyk, Ø W.; Weiss, D. (29 November 1999). "Interdependence of peat and vegetation in a tropical peat swamp forest".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54 (1391): 1885–1897. doi:10.1098/rstb.1999.0529. ISSN 0962-8436. PMC 1692688. PMID 11605630.
- ^ a b c d e f Cameron, C. C.; Esterle, J. S.; Palmer, C. A. (1989). "The geology, botany and chemistry of selected peat-forming environments from temperate and tropical latitud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al Geology. 12 (1–4): 105–156. doi:10.1016/0166-5162(89)90049-9.
- ^ Klinger, L. F. (1996). "The myth of the classic hydrosere model of bog succession". Arctic and Alpine Research. 28 (1): 1–9. doi:10.2307/1552080. JSTOR 1552080.
- ^ a b Wösten, J.H.M.; Clymans, E.; Page, S.E.; Rieley, J.O.; Limin, S.H. (2008). "Peat–water interrelationships in a tropical peatland ecosystem in Southeast Asia". CATENA. 73 (2): 212–224. doi:10.1016/j.catena.2007.07.010.
- ^ Anshari, G. (2001). "A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pollen and charcoal record from peat swamp forest, Lake Sentarum Wildlife Reserve, West Kalimantan, Indonesi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71 (3–4): 213–228. Bibcode:2001PPP...171..213A. doi:10.1016/S0031-0182(01)00246-2.
- ^ a b c Yu, Z.; Loisel, J.; Brosseau, D. P.; Beilman, D. W.; Hunt, S.e J. (2010). "Global peatland dynamics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7 (13): n/a. Bibcode:2010GeoRL..3713402Y. doi:10.1029/2010gl043584.
- ^ Smith, D. E.; Harrison, S.; Firth, C. R.; Jordan, J. T. (2011). "The early Holocene sea level rise". Quaternary Science Reviews. 30 (15–16): 1846–1860. Bibcode:2011QSRv...30.1846S. doi:10.1016/j.quascirev.2011.04.019.
- ^ Dommain, R.; Couwenberg, J.; Joosten, H. (2011). "Development and carbon sequestration of tropical peat domes in South-east Asia: links to post-glacial sea-level changes and Holocene climate variability". Quaternary Science Reviews. 30 (7–8): 999–1010. Bibcode:2011QSRv...30..999D. doi:10.1016/j.quascirev.2011.01.018.
- ^ Woodroffe, S. A.; Horton, B.P. (2005). "Holocene sea-level changes in the Indo-Pacific".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5 (1): 29–43. Bibcode:2005JAESc..25...29W. CiteSeerX 10.1.1.693.8047. doi:10.1016/j.jseaes.2004.01.009.
- ^ Page, S. E.; Wűst, R. A. J.; Weiss, D.; Rieley, J. O.; Shotyk, W.; Limin, S. H. (2004). "A record of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carbon accumulation and climate change from an equatorial peat bog (Kalimantan, Indonesia): implications for past, present and future carbon dynamics". Journal of Quaternary Science. 19 (7): 625–635. Bibcode:2004JQS....19..625P. doi:10.1002/jqs.884. S2CID 128632271.
- ^ Anshari, G.; Peter Kershaw, A.; Van Der Kaars, S.; Jacobsen, G. (2004). "Environmental change and peatland forest dynamics in the Lake Sentarum area, West Kalimantan, Indonesia". Journal of Quaternary Science. 19 (7): 637–655. Bibcode:2004JQS....19..637A. doi:10.1002/jqs.879. S2CID 129462980.
- ^ Partin, J. W.; Cobb, K. M.; Adkins, J. F.; Clark, B. and Fernandez, D. P. (2007). "Millennial-scale trends in west Pacific warm pool hydrology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Nature. 449 (7161): 452–5. Bibcode:2007Natur.449..452P. doi:10.1038/nature06164. PMID 17898765. S2CID 128764777.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Gagan, M. K.; Hendy, E. J.; Haberle, S. G.; Hantoro, W. S. (2004). "Post-glacial evolution of the Indo-Pacific Warm Pool and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Quaternary International. 118–119: 127–143. Bibcode:2004QuInt.118..127G. doi:10.1016/S1040-6182(03)00134-4.
- ^ Yule, C. M. (2010). "Loss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in Indo-Malayan peat swamp forest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9 (2): 393–409. doi:10.1007/s10531-008-9510-5. S2CID 21924837.
- ^ Couwenberg, J.; Dommain, R.; Joosten, H. (2009). "Greenhouse gas fluxes from tropical peatlands in south-east Asia". Global Change Biology. 16 (6): 1715–1732. doi:10.1111/j.1365-2486.2009.02016.x. S2CID 86148666.
- ^ 소렌센, 김W(1993년 9월).인도네시아의 이탄 늪 숲과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그들의 역할.
- ^ Page, Susan E.; Siegert, Florian; Rieley, John O.; Boehm, Hans-Dieter V.; Jaya, Adi; Limin, Suwido (2002). "The amount of carbon released from peat and forest fires in Indonesia during 1997". Nature. 420 (6911): 61–65. Bibcode:2002Natur.420...61P. doi:10.1038/nature01131. ISSN 1476-4687. PMID 12422213. S2CID 4379529.
- ^ J. 마타이(2009년 10월 5일)삼림 벌채에 대한 REDD를 보고 있습니다.
- ^ Priyambodo, RH, ed. (21 March 2011). "RI's peat forests can play important role in climate change". Antaranews.com. Antara.
- ^ Yule, Catherine M. (2008년 6월 22일)말레이시아 반도의 열대 이탄 습지 숲에서 잎이 부패하고 있습니다.
- ^ Lewis, Simon L.; Ifo, Suspense A.; Bocko, Yannick E.; Page, Susan E.; Mitchard, Edward T. A.; Miles, Lera; Rayden, Tim J.; Lawson, Ian T.; Dargie, Greta C. (16 January 2018). "Congo Basin peatlands: threats and conservation priorities" (PDF).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24 (4): 669–686. doi:10.1007/s11027-017-9774-8. ISSN 1573-1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