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넬로페 매디

Penelope Maddy
페넬로페 매디
태어난 (1950-07-04) 1950년 7월 4일 (71)
교육프린스턴 대학교 (PhD, 1979년)
시대현대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교분석철학
기관어바인 캘리포니아 대학교
논문이론적 사실주의 설정(1979)
박사학위 자문위원존 P. 버지스
주된 관심사
수학철학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이론적 사실주의([1]귀화 플라톤주의라고도 함), 수학 자연주의

페넬로페 매디(Penelope Maddy, 1950년 7월 4일 출생)는 미국의 철학자다. 그녀는 UCI 어바인 캘리포니아 대학교논리철학과 철학과 수학의 저명한 교수다. 그녀는 수학의 철학에서 영향력 있는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곳에서 수학적인 사실주의(특히 세트이론적 사실주의)와 수학적인 자연주의를 연구해 왔다.

교육

매디는 1979년 프린스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녀의 논문인 Set 이론적 리얼리즘John P의 감독을 받았다. 버지스.[2]

철학작품

수학의 사실주의로 절정을 이룬 매디의 초기 작품은 수학이 우리의 직관을 통해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정신에 독립적인 영역에 대한 진정한 묘사라는 커트 괴델의 입장을 옹호했다. 그러나 그녀는 모든 수학적 물체가 추상적이라고 가정했던 괴델과 달리, 일부 수학적 실체는 사실 구체적이라고 제안했다. 그녀는 세트가 인과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고, 사실 그들 원소의 모든 인과적 특성과 주걱적 특성을 공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따라서 테이블 위에 놓인 컵 세 개를 보면 세트도 보인다. 그녀는 이러한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지과학과 심리학에서 현대적인 작업을 사용했는데, 우리가 단지 감각적인 인식보다는 사물을 보기 시작하는 특정 연령대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1990년대에, 그녀는 수학에서 자연주의로 묘사된 위치로, 이 위치에서 멀어졌다. 퀴네와 같은 그녀의 '자연주의' 입장은 과학이 지금까지 세상에 대해 아는 우리의 가장 성공적인 프로젝트인 만큼 철학자들은 자신의 학문, 특히 과학을 논할 때 과학의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매디는 인터뷰에서 "만약 당신이 '자연주의자'라면, 과학은 초과학적 기준에 얽매여서는 안 되며, 그것은 초과학적 비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3]고 말했다. 그러나 퀴네처럼 과학의 통일된 그림보다는 수학이 분리된 그림이 있다. 이렇게 해서 수학은 과학의 필요와 목표에 의해 지지되거나 훼손되지 않고, 자신의 기준에 따르도록 허용된다. 수학철학의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인식학적 관심사가 잘못되어 있다는 뜻이다. 비트겐슈타인과 마찬가지로, 그녀는 이러한 퍼즐의 많은 부분이 단지 언어의 적절한 의미 영역 밖의 적용 때문에 발생한다고 제안한다.

그녀는 이론가들공리, 특히 ZFC를 넘어서는 공리들에 동의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전념해왔다.

수상

매디는 1998년부터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었습니다.[4] 독일수학회는 2006년에 그녀에게 가우스 강의권을 수여했다.

선택한 게시물

  • Maddy, Penelope (June 1988). "Believing the Axioms, I". Journal of Symbolic Logic. 53 (2): 481–511. doi:10.2307/2274520. JSTOR 2274520. (저자의 웹페이지에서 정정된 사본 사용 가능)
  • Maddy, Penelope (September 1988). "Believing the Axioms, II". Journal of Symbolic Logic. 53 (3): 736–764. doi:10.2307/2274569. JSTOR 2274569.
  • 수학의 현실주의,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90. ISBN 0-19-824035-X[5]
  • 수학에서의 자연주의,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97. ISBN 0-19-825075-4[6]
  •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의 두 번째 철학, 2007. ISBN 0-19-927366-9
  •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의 악시오름 방어 2011. ISBN 0-19-959618-2
  • 철학자들은 무엇을 할까?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의 회의론과 철학 실천론, 2017. ISBN 9-78-019061869-8

참고 항목

참조

  1. ^ 마크 발라거 "Against (Maddian) 귀화 플라톤주의", 철학 수학자 2 (1994), 97–108.
  2. ^ 수학 계보 프로젝트 페넬로페 매디
  3. ^ "The stuff of proo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4-11. Retrieved 2015-07-12.
  4. ^ Faculty Academy Members,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retrieved 2019-01-17
  5. ^ Hirsch, Morris (1995). "Review: Realism in mathematics, by Penelope Maddy". Bull. Amer. Math. Soc. (N.S.). 32 (1): 137–148. doi:10.1090/s0273-0979-1995-00552-5.
  6. ^ Frápolli, María J. (2001). "Review: Penelope Maddy, Naturalism in Mathematics". Modern Logic. 8 (3–4): 113–1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