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 랭보
Penny Rimbaud페니 랭보 | |
---|---|
![]() | |
배경 정보 | |
출생명 | 제러미 존 래터 |
태어난 | 영국 사우스웨스트런던 | ) 1943년 6월 8일
장르 | 아나르코펑크, 구어체 |
직업 | 작가, 시인, 철학자, 공연예술가, 음악가 |
계기 | 드럼, 보컬 |
년 활동 | 1960년대-현재 |
레이블 | 스몰 원더, 크라스, 엑시트스텐실리즘 |
관련 행위 | 종료, Crass, 마지막 수정사항 |
웹사이트 | onoffyesno |
페니 랍상 랭보(Penny Lapsang Rimbaud, 1943년 6월 8일 출생)는 작가, 시인, 철학자, 화가, 음악가, 활동가다. 그는 공연 예술 그룹 EX의 멤버였다.IT와 Ceres Confusion, 그리고 1972년에는 Phil Russell a kaka Wally Hope와 함께 Stonehenge Free Festival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다. 1977년 스티브 무식함과 함께 세미날 무정부주의자 펑크 밴드 크래스를 공동 창단하여 드러머로 활동하였다. 크라스는 1984년에 해체했다. 2000년까지 랭보는 거의 전적으로 글쓰기에 전념하여 2001년 호주의 색소폰 연주자 루이스 엘리엇과 라스트 리비전(Last Revision)이라는 우산 아래 다양한 재즈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하는 공연 시인으로 대중 플랫폼으로 돌아왔다.
이름
래터는 1977년 행동조사로 자신의 이름을 바꿨는데, 자신의 말로 "자식이 되고 싶다"고 했다. 그의 성은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인 아서 랭보의 성에서 따온 것이며, 그의 페니의 전명은 랭보의 동생 앤서니가 그를 종종 "화장실 철학자"(공중화장실에 들어가는 대가는 한 푼이다)라고 부르기 때문에 선택되었다.[1] 중간 이름인 랩상은 마지막 순간에 "이국적인 느낌"을 더하기 위해 추가되었다.[citation needed]
초년기
림보드는 영국 남동부의 브렌트우드 학교와 웨일스의 린디프스네 대학이라는 두 개의 공립학교에서 제명되었다. 초기 인터뷰에서 그는 옥스퍼드 막달렌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이 이야기가 "지적으로서의 나의 역할을 부인할 수 없도록"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2]
예술적 생활
림보드는 1960년대 초 에섹스 공과대학과 예술대학에 입학하여 평생의 창조적 파트너인 지 바우처를 만났다. 그 동안 그는 혁신자로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면서 당시 신생 팝 아트 운동의 잠재력을 깨달았다. 그의 작품들은 북영동시대인들에 포함되어 앤디 워홀스 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는 절대 후회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결정인 "더 나은 할 일이 있다"는 이유로 그 기회를 거절했다.[citation needed]
1964년 ITV 그라나다의 Ready Steady Go!에 출연하여 비틀즈의 노래 "I Want to Hold Your Hand"[4]를 묘사한 미술품 제작 대회에서 우승한 후 존 레논으로부터 상을 받았다.[3] 랭보는 잠시 미술 교사로 일하다가 교육에 환멸을 느꼈고, 이후 얼마간 석탄맨으로 일하며 시간을 보냈다.
1967년 영화 '제6의 행복의 여관'[5]에서 영감을 받아 채식주의자인 림보드와 바우처 모두 에섹스 남서부의 에핑숲에 무정부주의자/파시피스트 오픈하우스 '다이얼 하우스'를 차렸는데, 지금은 '급격한 창의력의 중심지'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6][7]
월리 호프의 죽음과 크라스
1970년대 초 다이얼 하우스에서 랭보는 랭보의 1998년 자서전 시보울레스: 마이 리볼턴트 라이프에 기록된 대로 월리 호프라고 더 잘 알려진 필 러셀과 함께 스톤헨지 축제를 공동 개최하였다.[8] LSD를 소지한 혐의로 정신병원에 수감된 후 러셀은 특히 자신이 투여한 처방약들의 부작용에 의해 정신적으로 심각한 손상을 입은 것으로 보였고, 그 후 사망하였다. 비록 공식적인 평결이 러셀의 죽음을 자살로 선언했지만, 랭보는 러셀이 살해되었다는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고, 죽음에 대한 해답 없는 질문에 대한 분노가 1977년 그에게 무정부주의적인 펑크 밴드 크라스를 결성하게 했다고 주장한다.
1984년 크라스가 해체하자 랭보는 시, 철학, 수필, 소설, 희곡을 쓰고 출판하는 은둔자 같은 존재를 채택했다. 2001년에는 공연 시인으로 다시 대중 단상에 복귀하여 처음에는 색소폰 연주자 에드 존스와 함께 활동하였고, 그 후 전임 반주자가 된 루이스 엘리엇과 함께 활동하였다. 크라스 보컬리스트 이브 리버틴과 함께 2003년에 그는 나중에 크라스 아젠다로 알려진 크라스 콜렉티브를 설립했고 마침내 진보적이고 즉흥적인 예술에 대한 림보의 관심을 공유하는 재즈 음악가, 예술가, 영화 제작자들의 느슨한 집단인 라스트 수정안을 설립했다.
저작물
림보의 저술 작품에는 크래스의 1978년 데뷔 앨범 《The Feeding of the 5000》에 크게 수정된 형태로 등장한 기독교에 대한 독설적 공격인 [9]원래 자작 리얼리티 아미스트리가 더 긴[10] 싱글이자 45분짜리 구어 독백으로 수록되어 있다. 그 밖의 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 이후 마거릿 대처 총리와 정부를 공격한 연장시 로키 아이드는 크라스 앨범 예스 시어, 아이 윌,[11] 상상력의 죽음(4부작 뮤지컬 드라마), 다이아몬드 시그니처(AK 프레스 출판)로 기록됐다. 오 아메리카는 2001년 9월 11일 테러 공격과 이후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대응이다. '보복의 극악무도한 정의도, 전쟁의 산물도, 그에 의존하는 평화도 아닌 정의를 우리에게 주라'는 문구가 들어 있다.[12]
현재업무

2003년부터 림보는 라이브 공연과 CD 발매에 관한 라스트 수정안의 일환으로 일해왔다. 제목에는 콜드컷의 맷 블랙을 비롯한 재즈 뮤지션들과 협업한 새비지 유토피아, 보텍스 재즈 클럽에서 라이브로 녹음한 앨런 긴즈버그의 비트 시 하울의 리작곡인 하우? 등이 있다. 2007년에 랭보는 색소폰 연주자 에드 존스와 함께 "재즈 레퀴엠"을 작업했다.[citation needed]
2005년에 랭보는 철학적 작품인 The Visible Flesh를 완성했고 도미닉 태크레이의 단편 영화인 기모노를 입은 여자친구에 출연했다.
림보는 2008년 재팬더 앨범 Tut Tut Now Shake Ya Butt에 여러 개의 구어 트랙을 기고했으며 앨범 Who Wouch에 수록된 Charlatans 트랙 "I Sing the Body Eclectic"의 구어 보컬을 맡았다.[13][14] 블러디 비트루트의 2013년 앨범 'Hide'에 수록된 곡 '분노'에도 출연했다.
랭보는 논란이 되고 있는 "악의 제국: 영국이 세상을 망친 101가지 방법"을 포함하여 책에 대한 소개를 썼다. 그는 스토크 뉴잉턴에 본사를 둔 잡지 N16의 정기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citation needed]
2010년에 랭보는 뉴헤이븐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매튜 그리피스와 함께 공부했고, 그와 함께 Tricking the Impossible: 현대 연금술 사상 조사.[citation needed]
2013년 3월, 랭보는 소설 "라일라 신화"의 예고편에서 마법사 얀 오버튼 역을 연기했다. 그 부분은 책에서 그를 위해 쓰여졌다.[citation needed]
2014년 림보는 레스터에 있는 드 몽포르 대학교의 문화 축제에서 행사를 열었다.[citation needed]
참고 문헌 목록
- 충격의 연속 슬로건과 무념의 토큰 난독(Exitstencil Press, 1982년) (원래 LP Christ - The Album과 함께 팜플렛으로 발행)
- Sibboleth: My Rubbolting Life (페니 림보, 1999, AK Press)
- 다이아몬드 시그니처 (페니 림보, 1999, AK 프레스)
- 림바우드와의 광범위한 인터뷰는 The Idler 잡지 29호에 실렸다.
- 초반에…Was the Word (Penny Rimbaud, 2005, Bracketpress)
- 자유는 그렇게 큰 단어다 (페니 림보, 2006, 브래킷프레스)
- 메팅크스 (페니 림보, 2006, 브래킷프레스)
- 어떻게? (페니 림보, 2006, 브래킷프레스)
- 철학의 편리성 (페니 림보, 2007, 브래킷프레스)
- 스마일 혹은 스머크? (페니 림보, 2007, 브래킷프레스)
- And Now It Rains (Penny Rimbaud, 2007, Bracketpress)
- I the Indivene & Africa So Far away (페니 림보, 2007, Bracketpress)
- Turn On, Tune In, Cop Out (Penny Rimbaud, 2008, Bracketpress)
- Nobody's Child (페니 림보, 2008, Bracketpress)
- 라스트 오브 더 히피(Penny Rimbaud, 2008, 액티브 배급)
- 이 손상된 살점 – 철학과 오물(Penny Rimbaud, 2010, Bracketpress/Exitstencil Press)
- 특정 넌센스(이세이) 더 아이들러, 43번 '땅으로 돌아가다' 2010년 5월
음반 목록
Crass의 음반 목록도 참조하십시오. 림보는 모든 크라스 앨범과 싱글에 참여한다.
- 크리스트의 리얼리티 망명지 (크라스 레코드, 1992년)
- 상상력의 죽음 – 뮤지컬 드라마 (Red Hinger Records, 1995년, 반인륜주의 화가 A-Soma의 보컬과 A-Soma와 Sarah Barton의 음악 포함)
- 새비지 유토피아 (Babel Label, 2004, Crass Agenda가 공연)
- 어떻게? (Babel Label, 2004 – Rimbaud의 Ginsberg's Howl 해석)
- 시작은 단어였다 – 2004년 런던 진행률 표시줄에서 녹음된 라이브 DVD로, Crass Agenda가 공연했다.
- 투탕카멘, 투탕카멘, 이제 쉐이크 야버트와 브루클린 출신의 듀오 재팬더(Truth Cult, 2007)
- 사랑의 행위 – 이브 리베틴을 주인공으로 한 50편의 시들이 1984년에 녹음되었다(Existenstencilism, 2012년).
필모그래피
- 소로 죽는 이들을 위해 – 재즈 첼리스트 케이트 쇼트, 피아니스트 리암 노블이 킹스 칼리지 채플에서 촬영한 윌프레드 오웬의 전쟁시 낭송회.
- 하우 – 첼리스트 케이트 쇼트와의 1954년 앨런 긴스버그의 고전 시 '하울'을 재해석한 작품 - 2017년 여름 런던 애브니 파크 채플에서 촬영했다.
- 시간과 장소 – 원래 폐쇄된 영화는 반란 2020 온라인 축제를 보여주었다. 최종 컷은 2021년 개봉, 스카이프가 촬영한다.
참조
- ^ "The Quietus Features A Quietus Interview Penny Rimbaud On Crass & The Poets Of Transcendentalism & Modernism". The Quietus. Retrieved 6 October 2017.
- ^ Brimmers, Julian (3 April 2014). "Crass' Penny Rimbaud on graffiti, jazz and John Lennon". Red Bull Music Academy. Retrieved 21 September 2018.
- ^ 버거, 조지 크라스의 이야기 (Omnibus Press, 2006, 17페이지)
- ^ YouTube
- ^ 당신 자신 외에는 권위가 없어, 디르 알렉산더 오이, 2006년
- ^ Mikse, Ollie (9 July 2009). "Interviews: Penny Rimbaud (Crass)". Punknew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4. Retrieved 5 September 2018.
- ^ Capper, Andy (1 March 2017). "Anarchy and Peace with Penny Rimbaud of Crass" (video and text). Nois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8. Retrieved 5 September 2018.
- ^ "Red Bull Music Academy". daily.redbullmusicacademy.com. Retrieved 6 October 2017.
- ^ [1] Wayback Machine에 2003년 6월 26일 보관
- ^ [2] Wayback Machine에 2003년 4월 15일 보관
- ^ [3] Wayback Machine에 2003년 7월 24일 보관
- ^ "Transmissions from Southern The Southern Records Weblog". Souther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09. Retrieved 5 July 2012.
- ^ "Music Interview: The Charlatans – Top Stories". Yorkshire Evening Post. 7 October 2010. Retrieved 5 July 2012.
- ^ "The Charlatans - Who We Touch". Retrieved 13 July 2015.
외부 링크
![]() | 위키피디아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Penny Rimbaud |
- 랭보의 웹사이트
- 페니 랭보와의 인터뷰
- C.J.의 Fearch 춤에서 추출.스톤, 랭보가 월리 호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 2006년 11월 8일 Gavin Brown Passin NYC에서 열린 FunkCast#1065 Rimbaud/Elliott의 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