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아벨슨

Philip Abelson
필립 아벨슨
태어난1913년 4월 27일
죽은2004년 8월 1일 (91세)
미국 메릴랜드 주, 베데스다
국적.아메리칸
모교워싱턴 주립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로 알려져 있다넵투늄, 동위원소 분리 기술 발견
어워드칼링가상 (1972)
미국 과학 훈장 (1987)
공공복지훈장 (1992)
바네바 부시상 (1996)
과학 경력
필드핵물리학

필립 하우지 에벨슨(Philip Hauge Abelson, 1913년 4월 27일 ~ 2004년 8월 1일)은 미국의 물리학자, 과학 편집자, 과학 작가이다.핵물리학자 훈련을 받은 그는 넵투늄 원소를 공동 발견했고,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동위원소 분리 작업을 했으며, 잠수함용 핵 해양 추진에 대한 첫 번째 연구를 썼다.그는 후에 유기 지구 화학, 고생물학, 에너지 정책을 포함한 광범위한 과학적 주제와 관련된 공공 정책을 연구했다.

Abelson은 1962-84년 사이언스지편집장, 1971-78년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장, 1972-74년 미국 지구물리학 연합 회장을 역임했습니다.그의 편집자 임기 중과 후에 사이언스에서 자주 논설을 쓴 것은 그들의 신랄하고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견해로 알려지게 되었다.그의 사설을 모은 100권이 책으로 출간되었는데, "비관적인 것으로 충분하다"는 제목이었다.그는 '특별한 청구에는 특별한 증거가 필요하다'는 문구의 원본일 수 있다.

인생

애벨슨은 [1]1913년 4월 27일 워싱턴 타코마에서 태어났다.그는 워싱턴 주립대학교에서 화학과 물리학 학위를 받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에서 핵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젊은 물리학자로서, 그는 UC 버클리 대학의 어니스트 로렌스를 위해 일했다.그는 1939년 [2]2월 Physical Review에 제출된 기사에서 핵분열을 검증한 최초의 미국인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1939년부터 1941년까지, 그는 워싱턴 D.C.에 있는 카네기 연구소에서 보조 물리학자로 일했다.그가 여기 있는 동안 그는 베타선을 방출하고 중성자로 우라늄을 조사하여 생산되는 물질을 연구했다.그가 노벨상 수상자루이스 알바레즈와 협력한 후 그들은 이 물질을 분리했고 1940년 6월 8일 에드윈 맥밀란[1]함께 넵투늄을 공동 발견하게 되었다.맥밀런은 이 발견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Abelson은 해군 [1]연구소와 함께 일하는 동안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맨해튼 프로젝트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그가 원폭 프로젝트에 공식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그가 필라델피아 해군 야드에서 발명한 액체 열확산 동위원소 분리 기술은 테네시주 오크리지S-50 공장에서 사용되었고, 원자폭탄 제조에 필요한 대량의 핵연료를 만드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로스 건의 지도 아래 원자력 발전을 해군 추진적용하는 데 관심을 돌렸다.엔지니어링 설계 수준은 아니지만, 그는 추진력과 전력을 모두 제공하는 원자로가 잠수함에 어떻게 설치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초의 물리학 보고서를 작성했다.그의 보고서는 핵잠수함미사일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이 개념은 나중에 하이만 G. 리코버 제독과 다른 사람들에 의해 지지되었다.리코버 시절, 이 개념은 세계 최초의 핵잠수함인 USS 노틸러스호 형태로 실현되었다.

1946년 그는 카네기 연구소로 복귀해 그해 [3]3월 '원자력 잠수함'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953년부터 1971년까지 카네기 워싱턴 지구물리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1971년부터 1978년까지 총장, 1978년부터 [1]수탁자로 재직했다.1962년부터 1984년까지 그는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 중 하나인 사이언스의 편집자였으며 1974년, 1975년, 1984년에는 이사 대행으로 일했다.1972년부터 1974년까지 그는 미국 지구물리학 연합 회장을 역임했다.

아벨슨은 거침없이 말했고 과학에 대한 그의 의견으로 잘 알려져 있다.1964년 사이언스지에 실린 사설에서, 애벨슨은 과학의 지나친 전문화편협함의 한 형태로 규정했다.그는 학부 학습에서 시작하여 박사 과정에서의 전문화에 대한 압박이 학생들을 그들의 전문화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게 하고, 심지어 다른 지적 활동은 가치가 없다고 극단적으로 생각하도록 만든다는 견해를 개략적으로 설명했다.그는 그러한 과도한 전문화가 종종 한 분야의 사소한 측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한 사람의 일의 진부화를 초래하고, 그러한 편협함을 피하는 것이 한 사람의 [4]일의 방향을 인도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추론했다.

1965년 기사에서 그는 고생물리학에 대한 자신의 연구를 설명하고 수억 년 된 화석에서 발견아미노산과 10억 년 이상 [1]된 암석의 지방산증거를 보고했다.그는 그의 실험을 바탕으로 알라닌이 수십억 년 동안 안정적일 것이라고 추정했다.[5]

아벨슨은 1978년 칼 [6][7][8]세이건에 의해 널리 알려진 '특별한 주장이 특별한 증거를 필요로 한다'는 문구의 원본일 수 있다.

아마도 이 시기부터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비관적인 면에서는 충분하다"라는 제목의 사설일 것이다.이것은 100권의 수필집 [9]제목이 되었다.

1970년대에 그는 세계 에너지 공급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이 주제에 관한 책에는 워싱턴 대학의 일련의 강의에서 나온 "내일을 위한 에너지" (1975년)와 "에너지 II: 보존과 공급의 사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는 콜로라도 록키 산맥오일 셰일뿐만 아니라 Athabascan 타르 모래를 채굴할 가능성을 지적했다.게다가,[10] 그는 대중교통에 대한 보호와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1984년 이후, 그는 그 잡지와 관계를 유지했습니다.일부 사람들은 그가 1990년 3월 31일자 잡지의 주요 사설에 "지구 온난화 상황이 과학적 조사라는 관례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된다면 확실한 사실보다 과장된 것이 더 많다고 결론지어야 한다"고 쓴 것을 근거로 그가 지구 온난화 사례에 대한 초기 회의론자라고 주장해왔다.그러나 이는 토마스 F.와 함께 그의 이름이 언급된 미국 국가연구위원회, 에너지 및 환경 보고서에서 언급된 내용과 대조된다.10년 이상 전인 1977년 말론:

중요한 것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합의의 범위가 22세기 후반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4배에서 8배 증가를 수용한다는 것이다.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지구 온도 변화 사이의 관계를 가장 잘 이해하면 평균 세계 온도가 6°C 이상 상승하고 극지방 온도는 이 수치보다 3배 이상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이는 지난 수천 년 동안의 기온 변동을 훨씬 능가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전지구 강수량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아벨슨은 2004년 8월 1일 짧은 질병 후 호흡기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그는 (L. K. Diamond와) Rh 혈액 인자 테스트를 공동 발견한 저명한 연구 의사 Neva Abelson과 결혼했다.그들의 딸 엘렌 아벨슨 체르니아프스키는 버지니아에 있는 MITRE 회사의 항공 연구원으로 일했다.

수상과 레거시

아벨슨은 1987년 [12]국립과학훈장, 국립과학재단공로상, 미국 의학협회과학공로상, 해군 공로상, 월도E상을 포함한 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1988년 스미스 메달.1992년 그는 국립과학아카데미의 최고 [13]영예인 공공복지훈장을 받았다.그는 1949년[14] 미국물리학회, 1958년 [15]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의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광물 아벨소나이트는 유기 지구 [16]화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애벨슨의 이름을 따왔다.

워싱턴 주립 대학의 필립 앤 네바 아벨슨 홀은 그를 [17]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AAAS Philip Hauge Abelson 상은 Philip Abelson의 이름을 딴 것이다.

참고 문헌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 b c d e Hoiberg, Dale H., ed. (2010). "Abelson, Philip Hauge".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I: A-ak Bayes (15th ed.). Chicago, Illinoi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pp. 26–27. ISBN 978-1-59339-837-8.
  2. ^ Philip Abelson (1939). "Cleavage of the Uranium Nucleus". Physical Review. 55 (4): 418. Bibcode:1939PhRv...55..418A. doi:10.1103/PhysRev.55.418.
  3. ^ "원자력 발전의 진행 중" -- 말의 배후 인물: 유진 P. 데니스 윌킨슨, USN 부제독.미국 핵 협회.
  4. ^ Philip H. Abelson (1964). "Bigotry in Science". Science. 144 (3617): 1964. Bibcode:1964Sci...144..371A. doi:10.1126/science.144.3617.371. PMID 17799957.
  5. ^ Philip Abelson (1965). "Paleobiochemistry". Scientific American. 195 (1): 83–92. Bibcode:1956SciAm.195a..83A. doi:10.1038/scientificamerican0756-83.
  6. ^ Sagan, Carl (December 14, 1980). "Encyclopaedia Galactica". Cosmos: A Personal Voyage. Episode 12. 01:24 minutes in. PBS.
  7. ^ "A Stepchild of Science Starts to Win Friends". U.S. News & World Report. 1978-07-31. pp. 41–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1, 2017. Retrieved 2017-10-14. Philip H. Abelson, editor of the authoritative journal Science, agrees that parapsychological research has improved markedly, but he is dubious about the results. "These extraordinary claims require extraordinary evidence," he contends.
  8. ^ 1978년, Rao, K.R., Psi: 자연 속에서의 위치.파라심리학 저널 제42권.
  9. ^ Philip H. Abelson (1985). Enough of Pessimism.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ISBN 0-87168-274-5.
  10. ^ Philip H. Abelson (1975). Energy for Tomorrow.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ISBN 0-295-95413-2.
  11. ^ 에너지와 기후:지구물리학 연구(1977년), 전미연구위원회, 미래
  12. ^ 미국 국립과학재단 - 대통령의 국립과학훈장
  13. ^ "Public Welfare Award".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trieved 18 February 2011.
  14. ^ "APS Fellows archive". APS. Retrieved 22 September 2020.
  15. ^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PDF).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20 March 2011.
  16. ^ Milton, Charles; Dwornik, Edward J.; Estep-Barnes, Patricia A.; Finkelman, Robert B.; Pabst, Adolf; Palmer, Susan (September–October 1978). "Abelsonite, Nickel Porphyrin: A New Mineral from the Green River Formation, Utah" (PDF). American Mineralogist. 63 (9–10): 930.
  17. ^ "Science Hall renamed for Philip, Neva Abelson". WSU NEWS. August 23, 2002. Retrieved 26 October 2017.

레퍼런스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