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황산염

Phosphuranylite
인황산염
Makro Phosphuranylite.jpg
오스트레일리아 북부령 남악어 강에서 채취한 인황산염(10mm 시야)
일반
카테고리인산염광물
공식
(기존 단위)
KCa(HO3)(3UO2)(PO4)74O4/8(HO2)
IMA 기호푸이[1]
스트룬츠 분류8.EC.10
크리스털 시스템정형외과
크리스털 클래스디피라미달(mmm)
H-M 기호: (2/m 2/m 2/m)
스페이스 그룹Cmcm
식별
기타 특성Radioactive.svg 방사능
참조[2][3][4][5]

인황산염KCa(HO3)(3UO2)(PO4)4O4/78(HO) 공식의 우라닐2 인산염 광물이다.[3][4][5]

187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미첼 카운티의 플랫 록 페그마타이트에서 발생한 사건에서 프레드릭 아우구스투스 겐트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4]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291–320.
  2. ^ 광물에나틀라스
  3. ^ a b 인황산염(Mindat.org
  4. ^ a b c 웹미네랄 데이터
  5. ^ a b 광물학 편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