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비아나

Physalis peruviana
페루비아나
Uchuva 2005.jpg
잘 익은 오렌지 과일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클래드: 별자리
순서: 솔라나목
패밀리: 솔라나과
속: 물리
종:
P. 페루비아나
이항식 이름
페루비아나
동의어[1]
  • 알케켄기 펍에센스 모엔치
  • 보베렐라 페루비아나 (L.) E.H.L. 크라우스
  • 피살리스 에스칼란타 살리스브.
  • 이체성 변두리 램.
  • 이질토멘토사 메디크.

피칼리스 페루비아나(Physalis peruviana)는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등이 원산지인 나이트셰이드 계열(Solanadae)로 흔히 케이프구스베리 또는 골든베리로 알려져 있으며, 하와이에서는 아귀만토, 우비야 또는 우추바, 그리고 이집트에서는 하란카시(Harankash)라고 불리는 남미의 식물이다.골든베리는 갈은 체리라고도 알려져 있다.[2][3][4] 남아메리카에서 P. 페루비아나 재배의 역사는 잉카 제국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5][6]18세기 후반부터 영국에서 재배되었고, 적어도 19세기 초부터 희망봉있는 남아프리카에서 재배되었다.[2]20세기에 널리 소개된 P. 페루비아나온대지방과 열대지방에서 전 세계적으로 야생으로 재배되거나 자란다.[3]

분류법 및 공용 이름

피살리스 페루비아나는 1763년 칼 리나에우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이름이 지어졌다.[7]

이 식물은 1774년 영국에서 재배되었고 1807년 이전에 희망봉의 초기 정착민들에 의해 재배되었다.[2]그것이 영국에 소개되기 전에 그곳에서 재배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9세기 중반 이후의 소식통들은 "케이프 구스베리"라는 흔한 이름을 이 사실에 기인한다.[8][9]한 가지 제안은 그 이름이 그 열매를 망토처럼 둘러싸고 있는 칼리엑스를 적절히 지칭하는 것으로, 아마도 20세기 중반 이전의 출판물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거짓 어원의 한 예일 것이다.남아프리카에 소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P. 페루비아나가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다양한 태평양 섬들에 소개되었다.[2]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리브 속 속의 진짜 구스베리와 식물학적으로 관련이 없다.

P. 페루비아나는 그것의 유통 지역에서 전세계에 걸쳐 수십 개의 흔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3]예를 들어, 페루에서는 스페인어로 아귀만토(aguaymanto), 케추아어로 토포포(topotopo)라고 알려져 있다.[10]이웃 콜롬비아에서는 우추바라고 알려져 있다.[11]중국 북동부 헤이룽장 성에서는 비공식적으로 덩룽궈(鄧龍國)라고 부른다.[3]프랑스어에서는 아무르케이지("우리 속의 사랑")라고 불릴 뿐만 아니라 코크레트, 알케켄지 또는 란테른 치노아즈("중국식 등")와 같은 다른 가능한 이름(이탈리스 알케켄기"), 세리스테레("땅 체리") 또는 토마티요(이탈리스 필라델피카에도 사용된다.[12]

설명

P. 페루비아나토마티요와 중국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솔라나과 식물과의 일원으로서 토마토, 가지, 감자 등 식용 식물이 다량 분포되어 있다.[2]

P. 페루비아나는 온대 지역에서 매년 열리지만 열대 지방에서는 다년생이다.[2]다년생으로서 높이 1~1.6m(3피트 3인치 – 5피트 3인치)에 이르는 확산성 관목으로 발달하며, 가지와 벨벳처럼 생긴 하트 모양의 잎이 퍼져 있다.[3]헤르마프로다이트 꽃은 종 모양이며 축 늘어져 있다.가로 15–20 mm (5834 인치), 노란색, 내부에는 보라색 갈색 반점이 있다.꽃이 지고 나면 칼릭스가 팽창하여 결국 열매를 완전히 감싸는 베이지색 껍질이 형성된다.[2][3]

과일은 둥글고 매끄러운 베리로, 너비가 1.252cm인 노란 토마토와 비슷하다.[3]칼리넥스에서 제거하여 밝은 노랑색에서 주황색까지, 익으면 단맛이 나며, 특유의 순한 타르트 포도맛이나 토마토맛 맛이 난다.[2]

눈에 띄는 특징은 각 베리를 감싸고 있는 부풀어 오른 종이 같은 칼리넥스다.열매는 열매가 다 자랄 때까지 발육한다. 처음에는 보통 크기지만 꽃잎이 떨어진 후에는 자라나는 열매를 감싸는 보호막을 형성할 때까지 계속 자란다.열매를 온전한 칼리렉스 껍질 안에 두면 상온에서 보관 수명은 약 30-45일이다.그 칼릭스는 먹을 수 없다.

그라운드케리(케이프구스베리 또는 포하), 생지
물리 spp.
Physalis peruviana fruits close-up.jpg
100g당 영양가(3.5온스)
에너지222kJ(53kcal)
11.2 g
0.7 g
1.9 g
비타민수량
%DV
비타민 A는 얼버무린다.
5%
36 μg
티아민(B1)
10%
0.11mg
리보플라빈(B2)
3%
0.04mg
나이아신 (B3)
19%
2.8mg
비타민 C
13%
11mg
광물수량
%DV
칼슘
1%
9mg
8%
1mg
6%
40mg

성인을 위한 미국의 권장사항을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백분율을 추정한다.
출처: USDA FoodData Central

분포 및 서식지

피탈리스 페루비아나페루칠레산비탈 지역이 원산지다.[2]그것은 숲, 숲 가장자리, 그리고 다 자란 지역에서 자란다.[3]그것은 고유 지역에서 500–3,000m(1,600–9,800ft)의 높은 고도에서 자랄 수 있지만, 아열대 및 따뜻하고 온화한 기후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오세아니아와 태평양 섬들의 해수면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3]위도 범위는 약 45°S~60°N이며, 고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해수면에서 3,000m(9,800ft)까지이다.[3]이 식물은 특히 하와이와 다른 태평양 섬에서 두더지를 형성하면서 일부 자연 서식지에 침입하게 되었다.[3]

재배

호주,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과 같은 열대, 아열대, 온대 지역의 경작에 널리 도입되었다.[2][3][13]P. 페루비아나는 13–18 °C(55–64 °F)의 연평균 온도에서 번성하며, 30 °C(86 °F)의 높은 온도를 허용한다.[3]지중해성 기후에서 잘 자라며 USDA 경성 8구역에 강성이 있어 서리로 인해 피해를 입을 수 있다.[3]토양이 잘 빠지면 800~4,300mm(31~169인치)의 강우량에서 잘 자라고, 물이 잘 빠지는 토양에서는 완전한 햇빛이나 부분 그늘을 선호하며, 모래톱에서 힘차게 자란다.[2][3]

이 식물은 씨앗에서 쉽게 재배되는데, 씨앗은 풍부하지만(과일당 100~300개) 발아율이 낮아 1헥타르를 파종하려면 수천 개의 씨앗이 필요하다.[2]뿌리 뽑기를 촉진하기 위해 호르몬으로 치료한 1년 묵은 줄기 베기는 모내기에 성공하지만 씨앗에서 자라는 것보다 성공률이 낮다.[2]

해충과 질병

남아프리카에서는 씨뿌리밭에 있는 케이프구스베리, 밭에 있는 붉은 거미, 감자밭 근처에 있는 감자 덩이나방 등을 자벌레가 공격한다.산토끼는 어린 식물을 해치고, 새는 과일을 먹는다.진드기, 흰잠자리, 벼룩 딱정벌레는 문제가 될 수 있다.[2]가루 같은 곰팡이, 부드러운 갈색 눈금, 뿌리 썩음, 그리고 바이러스는 식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2]뉴질랜드에서는 식물이 칸디다투스 리베리박터 서브스푼(subsp. solanacearum)에 감염될 수 있다.[14]

요리 용법

P. 페루비아나는 이국적인 수출 과일로서 경제적으로 유용한 작물로, 많은 나라의 사육과 재배 프로그램에서 애용되고 있다.[3]P. 페루비아나 과일은 미국에서 골든베리로, 때로는 마추픽추의 이름을 따서 피추베리로 시판되어 페루에서 유래된 과일과 연관된다.[15]

케이프구스베리는 과일 기반의 소스, 파이, 푸딩, 처트니, 잼,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지거나 샐러드와 과일 샐러드로 신선하게 먹는다.[2]라틴아메리카에서는 바티도나 스무디로 소비되는 경우가 많고,[16] 허리가 화려하기 때문에 후식용 장식 고명으로 식당에서 인기가 높다.그것의 음식 사용을 강화하기 위해, 뜨거운 공기를 건조하는 것은 식이섬유 함량, 질감, 그리고 외관의 질을 향상시켰다.[17]

과일 성숙에 대한 기초연구에서 폴리페놀비타민C의 함량은 경작, 수확시간, 숙성단계에 따라 다양했다.[18]

영양

USDA영양분 분석에 따르면, 100g의 케이프구스베리는 식품 에너지(222kojoul 또는 53kcal)가 낮고 비타민 C, 티아민, 나이아신 등이 적당하지만, 다른 영양소는 무시할 수 있다(표 참조).[19]각기 다른 베리 성분, 주로 씨앗에서 추출한 기름을 분석한 결과 리놀레산올레산주지방산, 베타시토스테롤캠포칼슘주성분피토스테롤, 그 기름에는 비타민K베타카로틴이 들어 있었다.[20]

참고 항목

참조

  1. ^ "Physalis peruviana L." The Plant List. Royal Botanic Gardens, Kew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2013. Retrieved 14 December 2014.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Morton JF (1987). "Cape gooseberry, Physalis peruviana L. in Fruits of Warm Climates". Purdue University, Center for New Crops & Plant Products.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Physalis peruviana (Cape gooseberry)". Invasive Species Compendium, CABI. 2018. Retrieved 1 January 2018.
  4. ^ Ad Hoc Panel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Technology Innovation, Board 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Lost Crops of the Incas: Little-Known Plants of the Andes with Promise for Worldwide Cultiv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pp. 249–50. doi:10.17226/1398. ISBN 978-0-309-07461-2.{{cite book}}: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5. ^ (Cailes 1952; 레게 1974a)
  6. ^ Zealand, The Royal Society of New (1986). New Zealand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The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p. 425.
  7. ^ "Physalis peruviana L., Sp. Pl., ed. 2. 2: 1670 (1763)". ipni.org.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Retrieved 24 November 2020.
  8. ^ 폰 뮬러, 페르디난드.산업 문화 또는 귀화 자격이 있는 열대외 식물을 선택하고 모국 표시와 사용의 일부를 사용하십시오.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G.S. 데이비스, 1884년.229페이지Amazon에서 구입하거나 https://archive.org/details/selectextratropi00muel에서 다운로드 가능
  9. ^ 루돈, 제인 웰스여성을 위한 식물학, 또는 식물의 자연 시스템에 대한 대중적인 소개.펍: J. 머레이(1842)
  10. ^ "Discover the aguaymanto, one of the best foods produced in Peru". peru.info. Retrieved 2020-07-29.
  11. ^ "Uchuvas". flavorsofbogota.com. Retrieved 2020-08-09.
  12. ^ "Semer et planter le physalis ou amour en cage". Plants-et-Jardins. 2016. Retrieved 6 May 2014.프랑스어: 우리 안의 영어: 우리 속의 사랑
  13. ^ "Fr. Visminlu Vicente L. Chua, S.J., Philippine Fruits. Published online: 1 Septem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18. Retrieved 6 December 2017.
  14. ^ Liefting, L. W.; L. I. Ward; J. B. Shiller; G. R. G. Clover (2008). "A New 'Candidatus Liberibacter' Species in Solanum betaceum (Tamarillo) and Physalis peruviana (Cape Gooseberry) in New Zealand". Plant Disease. 92 (11): 1588. doi:10.1094/PDIS-92-11-1588B. PMID 30764458.
  15. ^ Galarza, Daniella (2013-06-18). "This Goose(berry) is Cooked: Let's Talk About the Pichuberry". Los Angeles Magazine. Retrieved 19 April 2014.
  16. ^ "Five amazing natural juices with Colombian fruit and vegetables". colombia.co. Retrieved 2020-08-09.
  17. ^ Vega-Gálvez, A; Zura-Bravo, L; Lemus-Mondaca, R; Martinez-Monzó, J; Quispe-Fuentes, I; Puente, L; Di Scala, K (2013). "Influence of drying temperature on dietary fibre, rehydration properties, texture and microstructure of Cape gooseberry (Physalis peruviana 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52 (4): 2304–2311. doi:10.1007/s13197-013-1235-0. PMC 4375184. PMID 25829613.
  18. ^ Bravo, K; Sepulveda-Ortega, S; Lara-Guzman, O; Navas-Arboleda, A. A.; Osorio, E (2015). "Influence of cultivar and ripening time on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Cape gooseberry (Physalis peruviana L.)".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95 (7): 1562–9. doi:10.1002/jsfa.6866. PMID 25131258.
  19. ^ "Groundcherries, (cape-gooseberries or poha), raw, 100 g, USDA Nutrient Database, version SR-21". Nutritiondata.com. Conde Nast. 2014. Retrieved 7 May 2014.
  20. ^ Ramadan MF, Mörsel JT (2003). "Oil goldenberry (Physalis peruviana L.)". J Agric Food Chem. 51 (4): 969–74. doi:10.1021/jf020778z. PMID 12568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