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로파마콜라이트

Picropharmacolite
피크로파마콜라이트
Picropharmacolite.jpg
독일 헤세의 바우하우스에서 온 게릴라성 에리스이트를 가진 피크로파르마콜라이트.표본크기 5.5cm
일반
카테고리비소산 광물
공식
(기존 단위)
CaMg4(AsOOh)(32AsO4)/211H2O
IMA 기호ppm[1]
스트룬츠 분류8.CH.15
다나구분39.2.4.1
크리스털 시스템삼위일체
크리스털 클래스피나코이드(1)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P1
단위세포a = 13.547 å, b = 13.5 å,
c = 6.71 å; α = 99.85°,
β = 96.41°, γ = 91.6°;Z = 2
식별
공식 질량940.48 g/190
흰색 또는 무색
수정습관방사상 골재, 입상 지각, 섬유상 콘크리트에 프리즘적 결정체로서
트윈닝보고되지 않음
클라바주{100} 및 {010}에 완벽함
골절미백질
고집깨지기 쉬운
모스 눈금 경도1 대 2
루스터실키하고 약간 진주 같은
스트릭흰색
발데인성반투명 투 불투명
비중2.58 - 2.60
광학 특성이축(+)
굴절률nαγ = 1.631, n = 1.632, nβγ = 1.157[2] 또는 nα = 1.557, nβ = 1.566 – 1.571, n = 1.579[3]
바이레프링스δ = 0.009
2V 각도40° - 50°
분산r < v strong
기타 특성형광 블루 화이트 장파 및 단파 자외선등
참조[2][3][4][5]

피크로파마콜라이트,2 CaMg4(32AsOOh4)/11HO는2 희귀한 비소산 광물이다.그것은 1819년 그리스어에서 마그네슘 함량을 암시하고 약리성과 화학적 유사성을 나타내기 위해 명명되었다.미네랄 irhtemite, CaMg4(AsOOh)32(AsO4)/24HO는2 11개가 아니라 공식 단위당 4개의 물 분자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피크로파마콜라이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피크로파마콜라이트의 탈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조

적외선 스펙트럼[6] 따르면 피크로파마콜라이트에는 물 분자 HO2, Mgcations2+ 함께 정렬된 히드록실 그룹(OH), 산성 비소산산산염기(HASO4)가 포함되어 있다.2−게릴라나이트인 Ca5(AsOOh4)32와 구조적 유사성이 강하다.2HO는2 두 광물에 대해 유사한 공식을 나타낸다.[7]
X선 회절법은 As, Ca, Mg cation이 c축에 평행한 골재 층에 위치하며, 그 층들은 수소 본딩으로만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네 개의 독립적인 물 분자가 인접한 층 사이에 끼어 있고, c축과 평행한 수소 결합 사슬을 쌓는다.4 Ca 대 1 Mg의 비율은 상당히 안정적이며, 어떤 양이온 현장에서도 유의미한 Ca/Mg 대체는 발생하지 않는다.따라서 Picroparmacolite의 공식이 CaMg4(HO2)(7AsOOh)(32AsO4)로 표기된 경우4.2HO2,[8] 이것은 더 일반적인 공식인 CaMg4(AsOh)(32AsO4.211HO2)보다 구조를 더 잘 표현한다.

형태학

피크로파마콜라이트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복사 엽 구조가 있는 작고 미세한 배 모양의 흰 식물성 골재로 발견된다.그것은 실키한 섬유질의 골재나 미세한 바늘과 같은 결정으로 발생하는데, 이것은 c축을 따라 길게 늘어선 직사각형 프리즘이다.

환경

주변 칼슘을 함유한 암석과 반응하여 비소를 함유한 황화물산화제로서, 그리고 광산 작업에서 최근 용출물로 형성되었다.에리트라이트약리성은 공통적으로 연관된 광물이다.[3]

유형 지역성

독일 헤세 리켈스도르프 제련소 수스 리켈스도르프 지구의 광석 덤프에서 추출한 샘플에 대해 처음 설명되었다.[4]활자 자료프랑스 파리 국립 광산학교 95.497에 보관되어 있다.[3]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291–320.
  2. ^ a b 게인스 외 연구진(1997) 다나의 신광물학 제8판, 와일리
  3. ^ a b c d http://rruff.geo.arizona.edu/doclib/hom/picropharmacolite.pdf 광물학 핸드북
  4. ^ a b "Picropharmacolite".
  5. ^ "Picropharmacolite Mineral Data".
  6. ^ 아메리칸 광물학자(1974년) 59:807
  7. ^ 아메리카 광물학자(1976년) 61:326
  8. ^ 아메리카 광물학자(1981) 66:38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