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푸부스
Pieter Pourbus피터 얀스 푸부스(Pourbus, 1523–1584년)는 플랑드르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드래프트맨, 엔지니어, 지도 제작자로 16세기 동안 브루스에서 활동했다. 그는 주로 종교적, 초상화로 유명하다.[1]
인생
출생과 기원
Pieter Pourbus는 1523년 또는 1524년에 Gouda에서 태어났다. 그는 20살에 브루스로 이사했다. 고다에 사는 동안 그의 어린 시절과 젊음에 대해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카렐 반 맨더와 같은 현대 예술가들은 고다에서의 그의 기원에 대해 간단히 언급할 뿐이다.
고다 초년
그의 첫 전기는 1604년 현대 미술가 전기 작가 카렐 반 맨더에 의해 그의 유명한 쉴더보크(화가의 서)에 의해 쓰여졌다. (...) 나는 가장 특별한 것을 숨기고 싶지 않다. 그것이 내가 피터 푸부스를 소개하고자 하는 이유다.[2] 반 맨더는 그를 "브루게스의 화가"로 기억한다. 두 사람은 1580년 판 맨더가 80년 전쟁의 참화를 피해 도망쳐 한동안 브루게스에 머물 때 만났다.[3] 푸부스는 반 맨더가 브루즈 회화학교와 관련해 제공하는 대부분의 정보의 출처였기 때문에 당시 브루즈의 모든 광경에 대한 정보로 반 맨더를 압도했을 것이다.[3]
당시 푸부스는 브루즈 자체에서 토착민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1543년 조각가·새들러 길드에 '피터 잔시언스 푸어버스'로 명화가로 등록했을 때, 기록상 '위험' ('브림드')로 주목받는다. 당시 그는 19세 또는 20세였으며, 여러 문서에 그의 나이를 언급하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거기서 우리는 그가 틀림없이 1523년 또는 1524년에 태어났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2018년 고다 박물관에서 열린 피터 푸부스 전시회를 계기로 폴 아벨스는 이 전시회의 카탈로그에 고다와 도시와의 유대관계에 대해 거의 알려지지 않은 것을 고다 후기 종교사회생활의 맥락에 넣어 고다가 일생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썼다.[4]
아벨스는 '푸어버스'라는 이름이 16세기 초에 고다에 여러 번 등장한다고 언급했지만, 그는 고다 시 기록 보관소에는 실제로 푸어버스 아버지 자격을 얻을 수 있는 얀 피에터스소엔 푸어버스라는 사람이 단 한 명뿐이라고 덧붙인다. 시 계정에는 1529년 "창문 앞에 서 있는 판자를 칠한 것"으로 그에게 지급된 대금이 언급되어 있다. 그 언급은 간략하지만, 그것은 푸부스의 고다 뿌리에 대한 반 맨더의 주장을 또 다른 현대적 출처에 의해 확증한다.[5][6] 게다가, 이 출처는 그의 진정한 예술적 기술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그의 아버지도 화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셔터에 마을의 무장을 칠하는 것을 가리킨다.[7]
고다에서 브루게스로
푸부스가 브루즈로 이사한 것은, 푸부스가 도착했을 때 그 명성은 시들해지고 있었지만, 아마도 브루스가 훌륭한 그림을 생산하는 도시라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브루즈는 고다 거주민들에게 친숙한 지역이었다. 푸부스는 자랄 때 브루게스 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었을 것이다. 두 도시는 당시 고다에서 선두주자인 맥주 무역으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다. 브루게스에 가기 전에 얀 반 스코렐이나 라이덴의 거장 같은 위트레흐트를 기반으로 한 화가들과 함께 자신의 기예를 연구했을지도 모른다. 최근의 기술 연구에 따르면 레이든은 위트레흐트보다 더 그러하다.[8]
루카스 판 레이든과 코넬리스 엥겔브레흐츠는 푸부스가 아직 어렸을 때 세상을 떠났지만 아버지의 뒤를 이어 스스로 화가가 된 엥겔브레흐츠의 세 아들 코넬리스, 루카스, 피터 코넬리스 쿤스트와 접촉했을지도 모른다.[8][9]
푸부스 인 브루게스
피터 푸부스는 생 루크의 브루게스 길드에 등록한 직후 화가 랜슬롯 블론델의 막내딸 안나와 결혼했다. 남자 후계자가 부족한 기성 화가의 딸과 결혼하는 것은 그의 명성과 화가로서의 더 나아가 직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 되었다.[10] 1545년 또는 1546년, 푸부스의 아들 프란스('장로')가 태어났고, 후에 자신의 권리로 저명한 화가가 되었다.
푸부스는 성 조지의 석궁인 길드의 회원이 되었고, 성령회의소가 주관하는 수사관 회의를 자주 방문했다. 그곳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던 블론델이 그를 소개했을지도 모른다. 그렇지 않으면, 푸부스가 브루스에서 처음 몇 년 동안 지낸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처음에 블론델의 학생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일 것이다.[11]
블론델의 스튜디오에서 일하기
이 시기의 그림이 붓버스와 블론델의 협업의 결과인지, 아니면 붓버스 혼자 그린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하다. 그 예로 오늘날 투르나이 성당에[12] 걸려 있는 <성녀의 일곱 가지 기쁨>(c.1546)이 있다.[12][13]
푸부스의 작은 작품 The Last Dinner는[14] 그의 장인 또한 그를 아마추어 시인들과 읊는 예술가들의 '레데리케르' 또는 수사학계에 소개했다는 것을 보여준다.[11] 그것은 수사학자 에드워드 댄 덴의 재구성에서 묘사된 마지막 만찬을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이 수사학자들의 희곡에 의해 붓버스에 영감을 받았다는 생각은 2000년 1548년 작고한 최후의 만찬이 등장했을 때 확인되었고, 새뮤얼 마렐이 성령회의소와 연결시킬 수 있었다.[15] 그림 오른쪽 방에 악마의 모습이 들어오는 등 우상화도 눈에 띈다.
푸부스의 브루게스에서의 초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또 다른 작품은 그의 유일한 비종교적 역사 작품인 '진정한 사랑의 알레고리'로 현재 런던의 월러스 컬렉션에 속해 있다. 이 작품은 또한 붓버스 스타일이 그의 시대를 위해 얼마나 혁신적인지를 보여준다.
15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현재 마드리드의 뮤소 델 프라도에 걸려 있는 그의 3부작 <그리스도의 세례>는 그의 초기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이다.[16]
독립 작업
1549년, 푸부스의 이름은 많은 역사적 문서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는 매년, 그리고 때로는 매일, 많은 공식 자료에서 이름이 지어졌다. 이 기간 동안 그는 1549년 찰스 5세와 필립 2세의 조이ous 엔트리의 장식('블리즈드 인히트 반 카렐 5세는 1549년 필립스'), 새로운 연회장을 위한 도면,[17] 라스트 심판(Laatste Oordeel) 등 브뤼제로부터 주목할 만한 의뢰를 많이 받았다.[18] 또 다른 중요한 임무는 블론델이 1550년에 받은 임금의 일부인 브뤼헤의 아노베이션 컨벤트에서 오스트리아 마가렛 묘지를 위한 그의 작품이었다. 그림물감 작품들 중, Pourbus는 현재 Gouda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Annoration을 그렸다. 그는 또한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의 도면을 깨달았다.[19]
푸부스는 와인 상인 얀 반 아이워브와 그의 아내 재크메인 부옥 등 상류층 사이에서 점차 인기 있는 초상화가로 자리 잡았다. 게다가 붓부스는 이 시기에 명시적으로 연애를 하고 서명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의 명성이 높아지고 예술적 독립성이 높아졌음을 나타낸다.
현역 길드원
1551년경 푸부스는 지역 성 길드 협의회의 유명하고 활동적인 회원이 되었다. 루크. 그는 길드의 학장으로서 두 번의 임기를, 그리고 선서한 장로로서 다섯 번의 임기를 지냈다. 장로로서, 그는 동료 길드원들에 대한 품질 검사에 참여했는데, 예를 들어, 그는 길드원이 브뤼헤에 있는 예루살렘 성당의 돔을 도금하는 것이 서툴렀던 것에 대한 반응으로 사이먼 푸셀을 방문했다. 학장으로서, 그는 도드레흐트의 그림이 도시 벽 안에서 팔리는 것을 막기 위해 행동했다. 그는 또한 Zeeland 지방에 소유한 토지를 임대하는 데 있어서 길드의 이익을 여러 번 옹호했다. 푸부스 역시 브루즈 길드의 조각가들과 새들러들의 매우 활동적인 회원이었다.[20]
이 모든 작품들은 성과를 거두었다. 1552년 푸부스는 얀 미라엘스트라트(Jan Miraelstraat)에 있는 '후이스 로마(Huis Roma)'를 사들였고, 그곳에서 자신만의 화실을 차렸다.[18] 반 맨더는 나중에 푸부스가 그곳에서 본 적이 있는 최고의 페인트 가게를 세웠다고 썼다.
중요한 지도 제작 활동

Pourbus는 이 기간 동안 많은 지형도를 제작했는데, 이는 평가관의 법률 보고서를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사색적인 젬마 프리시우스(Gemma Frisius)가 개발한 원리에 따라 삼각측량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방법론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21] 그 결과 보다 정확하고 매우 현대적인 지도가 나왔다. 붓부스가 정확히 어떻게 이 지식을 얻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의 장인 블론델도 지도제작자였으며, 담메와 슬루이스 사이의 운하 지도 1549는 그가 아마도 1540년대 브루게스의 위대한 혁신운동을 구성하는 이 새로운 기법을 이미 사용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22]
1561년 12월 13일의 결정으로 브루스의 자유는 푸부스가 몇 년 동안 제작한 대형 지도에[23][24] 대한 명령을 그에게 내렸다.[25] 그 명령은 도시의 기록 보관소에 잘 기록되어 있고, 집행 기간 내내, 그리고 매년, 그가 정기적으로 자신의 일에 대해 보고하였다. 그는 1567–1568년에도 많은 돈을 받았다.[26] 그는 1571년에 이 큰 일을 끝냈다.
기존 아티스트로서의 Poubus
영부인의 초상화 및 기타 초상화
이 기간 동안 Pourbus는 귀족과 부유한 상인들의 초상화로 유명해졌다. Pourbus's Picture of a Noble Young Lady (1554년)는 폴 휴벤 전 왕립미술관 앤트워프 관장과 같은 많은 미술사학자들이 그의 초상화의 가장 좋은 예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27]
그녀의 드레스와 독특한 레이스 칼라 덕분에 이 그림을 발견한 [28]휴벤느는 1560년 이전에 그려진 초상화의 연대를 알 수 있었다. 2017년 브루게스 전시회에 앞서 실시한 IR 검사 결과 이 초상화는 1554년 푸부스(Pourbus)가 한 것으로 드러났다.
푸부스는 또한 성혈 귀족원 초상화와 성 사크라 콘프레리 초상화가 그려진 날개 판넬과 같은 단체 초상화로도 알려져 있었다. 살바토르 대성당. 이들 초상화에서 시터들의 위치는 푸부스가 위트레흐트에 기반을 둔 화가 얀 반 스코렐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종교화
Pourbus는 1557년에 그의 마지막 심판과 고언을 따라갔다.

그러나 반벨 트리피치(1556년)는 그의 종교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며 미술사학자들에 의해 그의 경력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 그림의 원래 디자인 그림은 손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좀 더 체념한 자세로 마돈나를 묘사하는데 동의하는 손으로 쓴 글들을 담고 있다. 일곱 가지 슬픔의 우리 아가씨의 주제는 르네상스 시대에 회화의 인기 있는 주제였고, 그 특이한 자세는 아마도 그 당시 성모 마리아의 많은 다른 묘사들과 그 그림을 구별하려는 시도였을 것이다. 반 벨 트립티흐는 브뤼헤에 있는 우리 성당의 미켈란젤로가 그린 마돈나 동상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받았다.
1559년경에 그려진 푸부스의 안시의 에글리스 생마우리체에서의 1558 피에타, 황금종아리 숭배 등도 그의 많은 종교 작품의 예들이다.
푸부스와 그의 화풍은 프란스 플로리스에 의해 앤트워프에서 전파된 이탈리아 하이 르네상스의 대표자가 되었다. 이 양식의 한 예는 그가 구이세 반 남매와 그의 아내의 초상화를 그린 그림이다. 이때 푸부스의 작품은 더욱 반투명한 붓놀림과 선명한 구성 스타일을 특징으로 했다. 이러한 측면들은 그가 1434년부터 캐논 반 데르 파엘과 함께 얀 반 아이크의 <성모자와 아이>의 구성을 패러디한 <반 벨 삼부작>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Poubus는 그의 예술작품과 혁신으로 Bruges에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인 Ludovico Guicciardini는 그를 그의 Descrittionione di tutti i Paesi Bassi 또는 1567년 모든 낮은 나라의 Description에서 당대의 가장 중요한 화가 중 한 명으로 지명했다.[29]
영향력과 명성
블론델은 1561년에 세상을 떠났고, 푸부스는 곧 그를 능가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그는 아들과 안토니우스 클라이센스를 포함한 많은 견습생들을 가르쳤다.
이 시기의 그의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는 무명의 옷을 입은 여성의 초상화(1565년)이다. 무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의 주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녀가 원래 플란더스 출신이지만 안달루시아에 정착한 드 그레이브 가문의 일원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 그림은 종종 19세기 상당 기간 동안 스코틀랜드의 여왕인 메리의 초상화로 그려졌다.[30] 학자들은 이 그림의 매끄럽고 에나멜과 같은 양식화, 그리고 여성의 내향적이고 수수께끼 같은 자질에 주목했다. 이는 "여성은 이 땅의 어느 마을처럼 아름답고 매력적이며 겸손하고 온화하다"[31]는 기치아르디니의 주장을 연상시킨다.


1567년 푸부스는 브루게스 자유의 권위자이자 학문적으로 훈련된 변호사인 기사 프랑수아 반 데르 스트라텐의 초상화를 제작했다. 그는 1537년 코넬리스 테우니스(Cornelis Teunisz)가 그린 우화적인 인쇄물에서 영감을 끌어냈는데, 어린아이나 모래시계, 두개골 등이 초상화와 비슷한 물질로 삶의 과도기라는 주제를 반영하고 있다.[32]
그의 무장의 모토인 "Absit gloria" ("Leject glory")도 바니타스의 개념을 반영한다. 그가 손 아래 쪽지에 지적한 글에는 '인지디오 데이 엣 낫브레이 합리주의'라고 적혀 있는데, '신의 지식과 합리적인 본성'으로 번역할 수 있다. 두 비문 모두 당시 북유럽 상류층 사이에서 지배적이던 합리성, 종교, 교육의 가치라는 르네상스 휴머니즘적 가치를 반영한 것이다.
같은 해, 그는 최근에 만들어진 브루게스의 주교의 새로 임명된 피터 데 코르테의 초상화도 그렸다. 드 코르테는 스페인 왕 필립 2세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러한 위원회의 위신은 푸부스가 이때까지 생겨났던 높은 지위를 나타낸다.
그의 초상화 후안 로페즈 갈로와 그의 세 아들들 (1568년)은 푸부스의 예술적 스타일과 스페인 상류층과의 유대관계를 반영한다. 그곳에서 푸부스는 당시 스페인에서 관행적으로 사용하던 제단 크기에 맞게 리터블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고객의 상이한 관습을 다뤘다. 때로는 소리아 산페드로 대성당 칼바리에 있는 자신의 산에서 보여지듯이, 더 먼 의뢰인들을 위한 그림의 실제 집행을 아틀리에 스태프들에게 맡겼다.
만년과 죽음
1570년대
대지도의 엄청난 노력 끝에 붓버스는 다시 한번 정기적인 커미션을 맡을 수 있었다. 이 시기에 그의 제자들은 그의 화실을 떠나 독립 화가가 되기 시작했다. 푸부스의 아들 프란스는 1569년 안트워프(Antwerp)로 떠나 그곳에서 화가로 재산을 모았고,[33] 안토니우스 클라이센스는 1570년 브루게스의 공식 도시 화가가 되었다. 게다가 이 기간 동안 그의 스타일은 약간 바뀌었다. 이러한 작품들과 이 시대의 다른 작품들에서 그의 붓놀림은 덜 투명해졌고 에나멜처럼 되었다. 이것은 현재 왕립미술관 앤트워프에 있는 올리비에 반 니울란트의 초상화에서 볼 수 있다. 그의 문체의 변화는 학자들에 의해 그의 작품에 좀 더 냉철한 외관과 고전주의적인 자질을 부여하기 위해 주목받았지만, 또한 그의 주제들을 외관상 더욱 경직되게 만든다.[34]

이러한 변화는 성 제단편과 같은 그의 역사 그림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휴버트, 1572년 전에 그림을 그렸다.[35] 푸부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예술적 전통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그 중 제단편이 대표적인 예다. Pourbus가 이탈리아에 가본 적이 없다는 점에서 그의 작품이나 발명품을 이탈리아 르네상스 관용어에 얼마나 잘 집중할 수 있는지 주목할 만하다.
이 그림은 다른 덧문이 없어지는 제단 조각의 일부분인데, 때때로 "성 유스티스의 바프티즘"이라고도 불린다. 이 두 성도들의 전설인 세인트 휴버트(또는 휴버트 드 리에지)와 세인트 유스타슈(또는 에우스타슈 드 로마)는 실로 매우 가깝다. 이 그림과 그것이 제기하는 질문에 대한 매우 자세한 연구는 2018년 조세피나 데 푸우(Josephina de Fouw)가 고우다(Gouda) 전시회에서 발표되었다.[36]
이 제단 조각은 "아름다운 신전, 원근법이 매우 잘 되어 있다"[37]고 말하는 판 맨더에 의해 푸부스 최고의 작품으로 칭송되었다.
보통 붓부스는 뒤레르, 라파엘, 티티안과 같은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로부터 영감을 끌어냈다. 예를 들어, 그는 티티안에게 브뤼헤에 있는 우리 레이디 교회의 담후더 트리피치의 중간 패널에 대해 강하게 그림을 그렸다.
잘 자리를 잡은 화가로서 푸부스는 이 기간 동안 때때로 너무 비싼 것으로 여겨졌다. 예를 들어 1571년 가을에 담므에 있는 우리 아가씨 교회의 제단 디자인을 만들었지만, 다른 값싼 화가인 제이콥 반 덴 코른후세에게 대신 의뢰를 받아 작업을 하게 되었다.
Pourbus의 스튜디오는 1570년대 내내 계속 운영되었다. 그 중에서도 그는 안토니우스 클라이센스와 긴밀한 협업을 하였는데, 그는 활동 초기 브루게스에서 누구보다 푸부스의 스타일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2018년 고다미술관 전시회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화려한 작품 '한탄'은 두 사람의 집중적인 콜라보레이션의 결과물이었다.
80년 전쟁과 여파
1578년, 개신교 군대가 브루스를 점령했다.(당시 개신교 신자들의 확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 반란과 겐트의 평화화에 대해 읽음) 침략에 대한 저항은 거의 없었고, 도시는 칼뱅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겐트의 평화화가 실패한 후 전쟁 위협이 증가하자, 도시의 치안판사는 푸부스에게 도시 방어 구축에 대한 조언을 거듭 요청했다. 예를 들어, 물 관리에 대한 그의 지식은 방어적 기동으로서 특정 지역을 범람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었다.
1578년 포획에 이은 권력 변화 이후에도 붓부스는 지금의 프로테스탄트 시 당국에 계속 봉사하며 새 정부의 신뢰를 누렸다. 예를 들어, 그는 1580년 12월 신트니콜라-제스텐데엘에 있는 그의 지역구로 임명되었다. 이는 그가 아들처럼 칼뱅주의로 개종했음을 나타낼지도 모른다. 그가 가톨릭교에서 칼뱅교로 바꾼 것은 푸부스가 개신교 상류층들과 더욱 친밀하게 얽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그는 이미 전시 시장인 얀 와이츠와 같은 다양한 개신교 신자들과 피터 도미니클 같은 칼뱅주의 지도자들과 같은 다양한 저명한 개신교 신자들의 초상화를 그렸다.[38]
유명한 노래책으로도 잘 알려진 카톨릭의 Zegher van Male에 대한 그의 비문은 아마도 겐트에서 개신교도가 침략하기 전인 157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기간 동안, Pourbus는 주로 물 관리 전문가와 엔지니어로 활동했다. 그 결과 그의 예술적 생산량은 감소했다.
1580년, 전후의 수도원 재건축의 길잡이로 삼으려는 던스 수도원의 도면을 그렸다. 이는 그가 억압된 가톨릭 공동체 내에서 이 위원회를 부여받기 위해 남겨진 충분한 신빙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는 또한 부패한 성 교회를 위한 디자인을 만들었다. 크리스토퍼는 같은 해 가을에 시장으로 바뀌었는데, 그것은 더 이상 예배에 이용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39]
피터 푸부스는 1584년 1월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당시 브루스를 강타한 많은 전염병 희생자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그의 미망인 안나 블론델은 시의 치안판사와 브루스 자유당으로부터 연금을 할당받았다. 그의 초상화는 길드홀에 기념으로 걸려 있었다. 그러나 이 초상화는 분실되었다.
레거시
푸부스는 브루스에서 그의 세대의 선두적인 인물이었고, 종종 기술을 개척했다. 스타일리시하게 말하면, 그는 프란스 플로리스 세대의 일원이다. 이 세대의 화가들은 낮은 나라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돌파구를 깨달았다. 예를 들어 푸부스의 찰스 5세와 1549년부터 시작되는 프린스 필립 2세의 조이우스 엔트리는 북유럽 르네상스 건축에 대한 대표적인 묘사다.
또한 푸부스는 고전주의와 특유의 구속과 선명한 선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인지할 수 있는 손을 개발했다. 푸부스의 작품은 종종 학자들에 의해 브루즈 전통 회화파의 마지막 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아들과 손자 프란스 대 장로, 프란스 대 영을 모두 지도했는데, 그는 그 후 그들 자신의 권리로 존경받는 예술가가 되었고 황금기 시작 시대에 크게 공헌했다.
푸부스는 브루게스와 그 외 다른 곳에서 그의 세대의 가장 중요한 화가들 중 한 명으로 일생 동안 이름을 날렸다. 예를 들어, 역사학자 루도비코 기치아르디니와 예술가 전기 작가 조르지오 바사리와 같은 이탈리아 동시대인들은 그를 호평한다.[40][41] 루도비코 기치아르디니는 1567년 그의 데크리티오네 디 투티 아이 파시 바시 또는 모든 하국의 서술에서 그를 당대 가장 중요한 화가 중 한 명으로 명명했다.[42]
피터 푸부스의 초상화는 없지만, 폴 휴벤에 따르면,[43] 그는 세인트 사비우르 대성당의 "성스러운 성찬 모임의 트립티치"의 왼쪽 제단 날개에 자화상을 포함시켰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작동하다
그림
피터 푸부스의 그림은 주로 브루스의 그로닝메무스움, 고다에 있는 고다 박물관, 암스테르담의 릭스뮤지엄, 브루게스의 신트 얀스케르크, 그리고 브루게스의 성모 마리아 교회 등에서 볼 수 있다. 그의 말뭉치에는 위에 언급한 그림들 외에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확실히 포함되어 있다.
젊은 목사의 초상화, C. 1535-80, 42.5 cm × 31 cm,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리크스무세움
여성의 초상화, c. 1535–84, 34 cm × 27.5 cm, 비문 상단: "A.DNI.1548; 중간 위: OBIIT A 60; 상단 오른쪽: AETATIS MEAE 56", 영국 왕립미술관 앤트워프(KMSKA), 벨기에
프랑스 Musé de Picardie, C. 1570–80, 35 cm × 27.2 cm의 갑옷을 입은 신사 초상화
Christian van der Goes, 1574, 91 cm × 67.5 cm, 상단 우측 내막 : "A: Dm 1575 - Aetatis 44"
최후의 심판, 1551, 229 cm × 180.5 cm, 그로닝메무세움, 벨기에 브뤼게
귀속화
- "하얀 보닛을 입은 여성의 초상화", c.1555/1555, 18×18cm, – 앤서니 드 로스차일드로부터 내셔널 트러스트까지 (집과 땅이 있는) 선물, 1949. 내셔널 트러스트, 애스콧, 영국
- "Mary Magdalene" 오크 판넬의 기름, P까지. Pourbus, 46 × 30.50 cm, Artcurial 경매, 2020년 6월 16일 파리에서는 517.400유로에 팔렸다.[44]
35.5 × 30 센티미터의 남자의 초상화, 비문 상단: AN(O) AETATISS SVAE 40 1544.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미술관(National Museum of Art, Architecture and Design),
지도
- 브루게스 자유도, 캔버스에 기름, 151 × 322.5 cm, 그로닝메무스움, 브루게스[45]
- 콕시즈데의 텐두이넨 사원 계획, 캔버스 위의 기름, 241 × 215 cm, 그로닝메무스움, 브루즈[46]
참조
- ^ 네덜란드 미술사 연구소의 피터 푸버스(네덜란드어)
- ^ 네덜란드어로 된 원본 텍스트:"[Evenwel] ick 니트 게른 에네이지 데르 베송데르스테 베르즈위젠. Daerom ick 상형 will voor ooghen stellen Pieter Pourbus". 카렐 판 맨더, '헤트 레벤 판 피터 앙 프란스 푸부스, 쉴더스 판 브뤼게', 1604, fol. 257r (DBNL을 통해)
- ^ a b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1 페이지 9
- ^ Abels, in: de Beyer & de Fau(2018) §.1, 31페이지
- ^ Streekarchief Midden-Holland, Archief van de star Gouda; Rekiningen van Inkomsten en uitgainvan van de tresoriers desorique-ontvanger (s); 0001.1186 (1529), fol.19v. 이 발견은 이전에 De Groot 2011, 페이지 101, 각주 27에 발표되었다.
- ^ Abels, in: de Beyer & de Fau (2018) 페이지 31, 각주 3
- ^ Abels,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31
- ^ a b Abels, in: de Beyer & de Fau(2018), 34페이지, §2
- ^ Van Oosterwijk, in: de Beyer & de Fau(2018), 66페이지
- ^ Abels,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34
- ^ a b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1 페이지 11
- ^ a b Larousse, Éditions.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 les Pourbus". www.larousse.fr.
- ^ ""Les sept joies de la Vierge", chef-d'oeuvre de la cathédrale de Tournai, livre ses secrets". www.notele.be.
- ^ 푸부스는 후에 브뤼게스의 온제 리브 브뤼베르크에서 1559년 성찬 형제단 트리피치(성제임스 교회, 브루게스)와 1562년 성찬을 포함한 다섯 개의 다른 그림 외에 마지막 만찬(모든 크기)을 그렸다. 전자는 여전히 원래의 양면 날개가 남아 있는데, 왼쪽 날개는 멜키세덱의 오퍼링을 보여주며 오른쪽 날개는 천사가 주는 엘리야 Fed by the Angel이다.
- ^ (en) Anne Van Oosterwijk 등. 잊혀진 주인들. 1525년부터 1625년까지 피터 푸부스와 브루즈 그림을 그린다. [겐트]: 스누크, [2017] ISBN 9789461614155. 2017년 10월 13일 - 2018년 1월 21일, 브루스 그로닝메무스움에서 전시된 목록. 336쪽, "16세기 중반의 화가와 수사관" 페이지 85-93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12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13
- ^ a b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2 페이지 13
- ^ de Fau, in: de Beyer & de Fau(2018), 69페이지, §2.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2 페이지 16
- ^ 드 와일드,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246
- ^ 박사논문 Huvenne 1984, 페이지 464–468
- ^ "Map of the Liberty of Bruges Flemish Primitives". vlaamseprimitieven.vlaamsekunstcollectie.be.
- ^ "Map of the Liberty of Bruges". www.wikidata.org.
- ^ G. 지젤렌, '비제이 헤트 포르트 반 프랑수아 반 데르 스트라텐 문 피터 푸부스(1567), 비코르프. Westvlaams archive voor geschedenis, 고고학, taal-en-en polkskunde, 84e jaar (1984), 3, 258.
- ^ F. PRIEM, A.W. 2 시리즈, T. IV, Accounts of the Franc, (Brugge 1846), blz. 18 e.v.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18
- ^ "KMSKA Director Paul Huvenne to Retire on 1 August -". CODART. 11 June 2014.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16-20페이지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20
- ^ 기치아르디니, 1567, 페이지 302b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21페이지
- ^ "1564년까지 그는 앤트워프의 프란스 플로리스 스튜디오에서 일하는 것으로 기록된다.", '카탈로그 노트', 경매 '마스터 페인팅스: 파트 1' 2015년 1월 29일.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23
- ^ de Fouw,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47-59
- ^ de Fouw,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47
- ^ 카렐 반 맨더, 쉴더-벡 (1604)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25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26
- ^ 기치아르디니, 1612, 229
- ^ 조르지오 바사리, 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의 삶, 제9권: 회화 예술
- ^ 기치아르디니, 1567, 페이지 79a-81a
- ^ Hubenne, in: de Beyer & de Fau(2018), 페이지 8-29
- ^ [1]
- ^ (en) Anne Van Oosterwijk 등. 잊혀진 주인들. 1525년부터 1625년까지 피터 푸부스와 브루즈 그림을 그린다. [겐트]: 스누크, [2017] ISBN 9789461614155. 2017년 10월 13일 - 2018년 1월 21일 336페이지의 브뤼주 그로닝메뮤지엄에서 열린 전시회 카탈로그. 246페이지
- ^ (en) Anne Van Oosterwijk 등. 잊혀진 주인들. 1525년부터 1625년까지 피터 푸부스와 브루즈 그림을 그린다. [겐트]: 스누크, [2017] ISBN 9789461614155. 2017년 10월 13일 - 2018년 1월 21일 336페이지의 브뤼주 그로닝메뮤지엄에서 열린 전시회 카탈로그. 253페이지
출판물
- 폴 휴븐, 1984년, 겐트 대학교 박사 논문.
- 폴 휴벤, 피에르 푸부스, 핀트레 브루호주아, 1524–1584, 고양이 엑스포, Musée Memling (Hepital Saint-Jean), 29 juin-30 septembre 1984, Bruges, Crédit Common, 1984.
- Paul Philipot, La Peinture dans les Anciens Pay-Bas-xve – xvie siles, Paris, Flammarion, 1994, 303 p, (ISBN 978-2-08010-937-8) 페이지 230–231.
- 마리안 W. 아인스워스, 윈 블록맨스, 틸 홀저 보르체르트(et al.), 브루게스 외 라 르네상스. 드 멤링 아 푸부스, 고양이 엑스포, 브루즈, 15 aoot-6 décembre 1998 Gand, Ludion; 파리, Flammarion; 브루즈, 스티칭 쿤스트보크, 1998, 319 p, (ISBN 90-5544-232-1)
- Irene Smets, Le Musé Groeninge a Bruges: un choix des plus belles ,uvres, Ludion, 2000, 127 p. (ISBN 978-9-05544-257-7)
- (nl) Anne Van Oosterwijk, Maarten Bassens, Till-Holger Borchert, Heidi Deneweth, Brecht Dewilde (et al.), Vergeten Meesters, Pieter Pourbus en de Brugse schilderkunst van 1525 tot 1625, éd. : SNOECK GENT. Catalogue of the exposition at the Groeningemuseum, Bruges Oct.13, 2017 – Jan.21, 2018. 336 pages.
- (en) Anne Van Oosterwijk 등. 잊혀진 주인들. 1525년부터 1625년까지 피터 푸부스와 브루즈 그림을 그린다. [겐트]: 스누크, [2017] ISBN 9789461614155. 2017년 10월 13일 - 2018년 1월 21일 336페이지의 브뤼주 그로닝메뮤지엄에서 열린 전시회 카탈로그.
- (en) (nl) 마크 드 비이어와 조세피나 드 푸우, 피터 푸우버스: 미스터-실더 우잇 고다 = 피터 푸부스: 고다의 명화가. Gouda: Museum Gouda, 2018. ISBN 9789072660121. 2108년 2월 17일 ~ 6월 17일, 박물관 고다에 전시된 카탈로그. 86쪽.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Pieter Poubus 관련 매체
위키미디어 커먼즈에서 피터 푸부스의 회화와 관련된 매체
- DPG 미디어 개인 정보 보호 게이트
- 고다 박물관의 베르크 게보렌 고드 마에스터-스키터 보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