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급 초계함

Pohang-class corvette
2007년12월3일-함정기동 (7193822678).jpg
2007년 한국 속초, 부천 진행 중
클래스 개요
이름포항반
빌더
연산자
선행자동해반
성공자 인천반
사용중1984년 12월 17일 - 현재
완료된24
활동적인
로스트1
은퇴한9 (-2)
보존된1
일반적 특성
유형코르벳
변위
  • 950 t (950 t)
  • 1,220 t(전체)
길이88.3m(289ft 8인치)[3]
10m(32ft 10인치)[2]
초안2.9m(9피트 6인치)[3]
추진
속도
  • 최대 속도: 32노트(59km/h)
  • 순항: 15노트(28km/h)[2]
범위4000해리(7400km)[2]
크루95 (10명의 장교)
센서 및
가공 시스템
  • 화재 제어 시스템:
  • 시그나알 SEACO ZK(Batch II - III)
  • 삼성/페란티 WSA-423(Batch IV - VI)
  • 표면 검색 레이더:
  • Raytheon AN/SPS-64(Batch II - IV)[4]
  • 삼성/마코니 S1810(Batch V - VI)[4]
  • STX SPS-300K (Batch IV - VI, 2014년 이후)[5]
  • 사격통제레이더:
  • 시그널 WM28(Batch II - III)
  • 삼성/마코니 ST1802(Batch IV - VI)
  • 옵트로닉 디렉터:
  • 시그널 LIOD(Batch II - III)
  • 삼성/Radamec 2400(Batch IV - VI)
  • 음파탐지기:
  • EDO 786(바치 II)[4]
  • Raytheon AN/SQS-58(Batch III - VI)[4]
전자전
& 디코이즈
  • Mk 36 SRBOC
  • 골드스타 ULQ-12K ESM
  • SLQ-261K TACM (Batch IV - VI, 2012년 이후)[4]
  • Victek SLQ-201K ESM (Batch IV - VI, 2019년 이후)
무장을

포항급 PCC(한국어: 포항급급포, 한자: 項級哨艦艦艦 ()는 대한민국 국군 제1차 율곡사업(1974~1986)에 따른 대한민국 해군의 고저복합 국내 해군 건조계획의 보급형 보완형이다. 당초 동해급 코르벳의 배치Ⅱ 생산으로 계획됐으나 울산급 호위함의 선체 설계를 적용하는 등 전반적인 설계에 많은 변화가 발생해 배를 자체 등급으로 재분류했다. 이 배는 북방한계선(NLL) 등 해상경계선을 순찰하고 연근위 보호, 북한 선박과의 전투 등을 위해 설계됐다.[6]

1984년 이후 대한민국 해군에서 위탁 운영한 포항급 산호초는 총 24종이다. 2009년에 시작된 이 수업의 해체는 일련의 FFX 프로그램으로 대체되고 있다. 2022년 현재 7척은 해군에 남아 있고, 7척은 다른 해군으로 이양되었다.

개발

동해급 설계 단계에서는 설계사들 사이에 선박의 형태에 대한 분쟁이 있었다. 울산급 호위함 건설을 총괄하던 엄도재 대위는 초계함 설계와 비슷하게 좁은 V자 모양의 선체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However, based on experiences from the ships operated by the ROKN, the Noryang-class PCEC (Patrol Craft Escort & Combatant) (ex-PCE-842-class) had the best size for the mission, and the Sinseong-class PCE (Patrol Craft Escort) (ex-Auk-class MSF), which had U-shape hull, showed great ship stability at the patrol speed (5-8 knots). 또 V자형 선체에는 핀 안정기를 설치해야 하는데, ROKN은 백구급 PGM(패트롤 건보트 모터)의 골치 아픈 핀 안정제(수정 아셰빌급)로부터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철도청은 동해급에 필요한 핀 안정제 없이 최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U자형 설계를 진행했다.[6]

엄 대위의 해군 지휘부의 설득 끝에 동해급 2차 배치 공사에 대한 설계 변경 승인이 났다.[7] 선체는 울산급과 모양이 비슷해졌고, 내외부 구조물 상당수가 재설계됐다. 포항급 핀 안정기 설치는 핀 안정기 없이 시공된 ROKS 울산에서 피드백을 받아 ROKN이 포항 출범 한 달여 전에야 결정했다.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빠듯한 일정에 따라 장비 설치를 위해 내부 부품을 재배치하였다.[8]

포항급은 동해급보다 약 10m길이에 100t 무게, 1매듭이 빠르고 최대 속도는 32노트나 빠르다. 해상 시험에서 포항 ROKS는 35노트의 속력을 달성했다. 또 핀 스태빌라이저 테스트가 성공하면서 포항과 울산급 전 지역에 설치가 추진됐다.[8]

일반적 특성

포항급일반전기LM2500가스터빈 엔진 1개, MTU 프리드리히샤펜 12V 956TB82 디젤 엔진 2개로 디젤 또는 가스(CODOG) 복합추진시스템(CODOG)을 탑재해 최대 32kn, 순항속 15kn으로 선박 1,220t을 완전 변위시킬 수 있다. 주요 무장은 레이시온 AN/SPS-64 해상 수색레이더, 시그나알 WM28 소방통제레이더, 시그나알 LIOD 옵트로닉 디렉터와 결합한 시그나알 SEACO ZK 사격통제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는 수많은 소형 북한 선박에 대항하기 위한 표면전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잠수함 임무를 위해 EDO 786 음파 탐지기를 설치하고 마크 46 어뢰를 발사하는 트리플 마크 32 어뢰관 2개로 무장했다.

하지만 포클랜드 전쟁으로 세계 군대에서 가장 큰 화두가 됐던 대공 무기와 함께 공중 수색 레이더가 부족한 것은 예산 부족 때문이다. 이 함정은 공·미사일 공격에 대한 방어 능력이 제한돼 골드스타 ULQ-12K ESM(전자지원 대책)과 Mk 36 SRBOC(슈퍼 래피드블룸 오프보드 대책)의 지원만 받는다.

포항급은 공사 기간 중, 대한민국 해군과 함께 여러 차례 변경과 업그레이드를 받았다. ESM과 기타 민감한 시스템은 수취인에 따라 배에서 하역되며, 일부는 다른 나라로 이송될 때 설치된다.

배치 I

배치 II

4척의 배가 건조되었다. Batch II는 보퍼스 쌍둥이를 40mm/60개 포탄으로 제거하고, Aérospatiale MM38 Exocet 지대지 미사일 발사대 2기를 장착했다.

배치 III

4척의 배가 건조되었다. Batch III는 OTO Melara 76 mm/62 대포를 추가로 설치하고, 에머슨 EMERLEC 30 트윈 Oerlikon 30 mm/75 KCB 대포를 2 x 브레다 DARDORDO CIWS 트윈 보퍼스 40 mm/70 대포로 교체하여 항공기와 순항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는 총기 시스템을 대폭 강화했다. 음파탐지기를 레이시온 AN/SQS-58로 개량해 대잠전 능력을 높이고, MM38 엑소켓을 배에서 제거했다.

배치 IV

10척의 배가 건조되었다. 배치 4는 포항급 업그레이드와 변화가 가장 중요했다. 이 배는 삼성항공우주산업(한화시스템)과 영국 페란티가 합작해 전투체계를 WSA-423(Weapon Ship Automation-423)으로 변경해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 전투체계 '해군실드'의 중추로 자리 잡았다. 검증되지 않은 이 시스템의 설치로 인해 선박 운송이 지연되었다.[9] 추가 시스템 변경으로는 마르코니 ST1802 화재통제레이더와 라다메크 2400 광전자 이사가 있는데, 둘 다 삼성이 현지화했다.

배치 V/VI

6척의 배가 건조되었다. 배치 V/VI는 이전 배치와 구조 차이가 있다. 화재통제레이더는 삼성/마르코니 ST1802로 변경됐다.

운영이력

그것은 NLL은 일본해를 가로지른 경고를 무시했다 1986년, ROKS 포항 무장 북한 선박을 침몰시키다.[10][11]

1991년 김천은 순찰을 하던 중 포항 동부에서 소련 잠수함이 물에 잠긴 것을 발견했고, 그 배는 잠수함을 감시하고 추적했다.[12]

1996년 4월 20일 오전 11시 50분 북한 경비정 7명 중 2명이 훈련 도중 NLL을 넘어왔다. 이 코벳들은 요격용으로 보내졌고, 오후 1시 20분 북한 함정이 NLL로 후퇴할 때까지 대치했다.[13]

1996년 9월 18일 오전 1시 30분 강릉 앞바다에서 현지 택시기사가 북한 상오급 잠수함을 발견했다. 경주는 다른 선박들과 함께 북한 공작원들이 해상을 통해 활주로를 차단하고 이 지역의 적 함정을 감시하기 위해 파견됐다.[14]

1997년 5월 29일 오후 2시 5분, 북한 경비정이 NLL을 넘어왔다. 초계함 3척과 함께 초계함 1척을 보내 요격했다. 북한 선박은 오후 3시 NLL로 귀환했다.[15]

1998년 6월 22일 오후 4시 33분, 속초 동쪽 20.7km 해상에서 북한 유고급 잠수함이 그물에 엉켜 있다는 남한 어선의 신고가 접수되었다. KNN은 군산목포로크 등 선박과 항공기를 급파해 현장을 확보했다. 오후 7시25분 군산은 인근 해군기지로 잠수함을 견인하기 시작했다. 모든 북한 운영자들이 그 잠수함 안에서 죽은 채 발견되었는데, 이는 붙잡히기 전에 집단 자살을 운운하는 것이다.[16][17][11]

1988년 12월 17일 오후 11시 15분, 한 육군 일병이 TOD를 이용해 여수 근교에서 북한 반 잠수함을 발견했다. 남원광명은 반잠수함 수색과 포획을 위해 파견됐다. 이 잠수함은 추격하는 선박에 기관총 사격을 개시했다가 한국광명에 의해 격침되었다.[11]

1999년 6월 7일 오전 9시 10분, 북한 경비정이 어선을 보호한다는 핑계로 NLL을 넘어왔다. 이후 북한 어선들과 경비정 여러 척이 앞뒤로 줄을 넘었다. 북한 선박 2척에 큰 피해를 입힌 해군 2명이 며칠째 서로 충돌하며 싸웠다. 지난 6월 15일 참수리급에서 북한 어뢰정 1척이 수류탄과 소총, 25㎜ 대포 등으로 사격을 개시했다. 이 전투는 남한의 승리로 14분간 지속되었는데, 북한은 10척의 배 중 어뢰정을 잃고 1척의 중상, 2척의 중상, 2척의 경상을 입었다. 한국은 참수리급천안함 등 4개 부문에서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18][11] 이 사건에는 록스 진해, 록스 천안, 록스 영주 등이 연루되었다. ROKS 영주는 OTO 멜라라 76mm/62 포탄으로 치명타를 받아 어뢰정을 침몰시켰다.

1999년 배치 4호는 RGM-84C 하푼 지대지 미사일을 장착하기 시작했다.[19] 이 시스템은 충북급 구축함(ex-Gearing-class)의 폐로에서 꺼내어 코벳에 설치했다.

2000년에는 MBDA 미스트랄 맨패드(Mustral MANPADS)를 대공(對空) 무기로 함정에 설치했다.[11]

2002년 6월 29일 참수리급 PKM-357이 북한 경비정의 기습 공격을 받았다. 현장에 진해, 제천 등이 파견돼 조력했으며, 작전 중 함정들은 스틱스누에 미사일 레이더에 의해 위협받고, 방어측정으로 Mk 36 SRBOCs를 사용했다.[20][21]

RIMPAC 2002에서 ROKS 원주RGM-84C 하푼을 발사한 최초의 포항급이 되었다. 미사일이 목표물을 성공적으로 명중시켰다.[11]

2006년 K745 블루 샤크 경량 대잠 어뢰는 완전한 운용 능력을 달성했다. 새 어뢰는 코벳의 무기에 추가될 것이다.[22]

2006년 9월 29일, 방위사업청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SSM-700K C-Star 지대지 미사일의 배치 2 생산을 승인했다. 생산 부분은 코벳에 적용될 것이다.[23]

2009년 11월 10일 대청해전에서는 순천참수리급 경비정에 대한 지원을 위해 참가했다.[24][25]

2010년 3월 26일 21:21:57 (12:21:57 UTC)에서 천안 ROKS 선미에서 1~2초간 폭발(또는 2개의 폭발)이 일어나 동력 중단과 기름 및 바닷물 유입을 일으켰고, 배는 매우 빠르게 우현으로 90도 기울었다. 선원들이 갑판으로 나갔을 때 선미가 이미 물에 잠긴 것을 발견했다. 22시 40분 해군과 해경은 선장 등 선원 58명을 104명 중 구조해 46명이 숨졌다.[26] 그 배는 2010년 3월 27일 01시경에 침몰했다. 활은 폭발 지점에서 남동쪽으로 6.4km(3.5nmi)를 띄운 뒤 2010년 3월 27일 22시 30분에 완전히 물에 잠겼다.

2010년 5월 20일, 한국 주도의 조사단은 모든 증거가 천안함 침몰의 원인이 북한 어뢰라는 것을 가리켰다고 발표했다.

포항급은 북한 잠수함 공격에 대한 대응책으로 2012년부터 배치 4호 이상 변종에서 SLQ-261K TACM(토르페도 어쿠스틱 카운터메이트)을 설치하고 노후 구조선을 RIB(강화줄리듬 팽창보트)로 바꾸는 등 대잠전 능력을 업그레이드했다.[27][4]

2014년 3월 23일 익산에서 잠수함 잠망경 등 소형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STX엔진 SPS-300K 해상검색레이더 개발이 발표됐다. 2015년까지 15개의 코벳(Batch IV - VI)이 추가로 새 레이더를 받게 된다.[5]

안동은 2019년 6월 SLQ-201K ESM(전자지원 대책) 시험을 완료했다. ESM은 적대적 미사일과 레이더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탐지해 Mk 36 SRBOC와 같은 방어수단을 추적, 분석, 식별, 경고할 수 있다. 모든 가동 코벳은 2020년까지 업그레이드를 받을 것이다.[28][29]

2020년 2월 17일 BRP 콘라도 야프인민해방군 해군 056A형 초계함 류판수이호를 초계 임무에서 마주쳤다. 콘라도 야프호 승무원들은 자신들을 가리키고 있는 류판수이 총통제국장을 육안으로 관찰했다.[30]

국가별 등급별 선박

대한민국 해군

이름 헐 번호 빌더 시작됨 배달했다 커미셔닝됨 해체됨 상태
배치 II
ROKS 포항 PCC-756 한국조선공사 1984년 2월 7일 1984년 10월 31일 1984년[31] 12월 18일 2009년[10] 6월 30일 2010년 6월 12일부터 포항시에서 박물관 선박으로 이용되었다.[31]
록스 군산 PCC-757 한국타코마조선소 1984년 3월 27일 1984년 11월 30일 1984년 12월 17일 2011년[32] 9월 29일 2017년 [33]폐기
록스 경주 PCC-758 현대중공업 1984년 6월 8일 1985년 4월 30일 1985년[34] 5월 1일 2014년[34] 12월 30일 페루 해안 경비대[35] 이동했지만 현재 페루 해군과 BAP 페레로 복무 중이다.
록스 목포 PCC-759 대우조선 1984년 10월 12일 1985년 5월 10일 1985년[34] 5월 17일 2014년[34] 12월 30일 2018년 폐기
배치 III
김천 록스 PCC-761 한국조선공사 1985년 11월 29일 1986년 8월 31일 1986년[12] 9월 1일 2015년[12] 12월 31일 HQ-18베트남 인민해군으로 이양되었다.[36]
충주 록스 PCC-762 한국타코마조선소 1986년[37] 1월 24일 1986년[37] 9월 30일 1986년[37] 11월 30일 2016년[37] 12월 27일 BRP Conrado Yap (PS-39)으로 필리핀 해군으로 전출되었다.[38]
록스진주 PCC-763 현대중공업 1986년[37] 2월 12일 1986년[37] 10월 29일 1986년[37] 11월 1일 2016년[37] 12월 27일 ENS 샤밥 Misr이집트 해군으로 이송됨.[39][40]
ROKS 여수 PCC-765 대우조선 1986년[41] 6월 14일 1986년[41] 11월 30일 1986년[42] 12월 1일 2017년[42] 12월 27일 HQ-20으로 베트남 인민해군으로 이양되었다.
배치 IV
진해군 PCC-766 한국조선공사 1987년[41] 3월 18일 1988년[41] 7월 2일 1988년[42] 9월 30일 2017년[42] 12월 27일 해군 전투 훈련 그룹 8이 예비함과 훈련 함정으로 사용한다.[42] 진해에서 박물관 배로서 이용된다.[43]
순천시 록스 PCC-767 한국타코마조선소 1987년 4월 3일 1988년 7월 30일 1988년[44] 9월 30일 2019년[44] 12월 24일 CM-28 BAPMize페루 해군으로 이송됨.[45]
익산 록스 PCC-768 현대중공업 1987년 3월 24일 1988년 9월 13일 1988년 9월 2018년 12월 31일 콜롬비아 해군에 ARC 알미란테 [46]토노로 이송됨
원주 록스 PCC-769 대우조선 1987년 10월 23일 1988년 9월 29일 2021년[47] 12월 28일 해군 전투 훈련 그룹 8이 예비함과 훈련 함정으로 사용한다.
록스 안동 PCC-771 한국조선공사 1987년[48] 4월 30일 1988년[48] 11월 7일 1989년[49] 1월 5일 2020년[49] 12월 31일 2022년 또는 2023년 필리핀 해군으로 이양될 예정.[50]
천안 록스 PCC-772 한국타코마조선소 1987년[51] 7월 24일 1988년[51] 12월 30일 1988년[51] 12월 31일 2010년[52] 6월 2010년 3월 26일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해 침몰되었다. 기르고 위령선으로 쓰였다.
부천시 록스 PCC-773 현대중공업 1988년 12월 30일 1989년 4월 28일 1989년[53] 5월 4일 2021년[53] 3월 31일 해군 전투 훈련 그룹 8이 예비함과 훈련 함정으로 사용한다.[54]
성남 록스 PCC-775 대우조선 1987년 12월 11일 1989년 5월 3일 2021년[47] 12월 28일 해군 전투 훈련 그룹 8이 예비함과 훈련 함정으로 사용한다.
록스 제천 PCC-776 한국타코마조선소 1987년 12월 8일 1989년 5월 3일 2021년[47] 12월 28일 해군 전투 훈련 그룹 8이 예비함과 훈련 함정으로 사용한다.
록스대천 PCC-777 현대중공업 1988년 1월 22일 1989년 4월 28일 1990년 1월 7일 활동적인
배치 V
록스 속초 PCC-778 현대중공업 1989년 7월 7일 1990년 2월 28일 1990년 3월 2일 활동적인
영주 록스 PCC-779 현대중공업 1988년 7월 27일 1990년 3월 31일 1990년 4월 20일 활동적인
남원 록스 PCC-781 대우조선 1989년 10월 17일 1990년 4월 30일 1990년 5월 1일 활동적인
록스 광명 PCC-782 한국타코마조선소 1989년[55] 10월 27일 1990년[55] 6월 30일 1990년 7월 9일 활동적인
배치 6
ROKS 신성 PCC-783 한진중공업 1991년 10월 8일 1992년 3월 28일 활동적인
ROKS공주 PCC-785 한국타코마조선소 1992년 9월 21일 1993년 7월 31일 활동적인

외국계 사업자

이름 헐 번호 빌더 집단 시작됨 배달했다 커미셔닝됨 해체됨 상태
콜롬비아 해군
ARC 알미란테 토노 CM-56 현대중공업 IV 1987년 3월 24일 2020년[56] 9월 28일 2021년[57] 1월 6일 활동적인
이집트 해군
ENS 샤밥 Misr 1000 현대중공업 III 1986년 2월 12일 2017년 9월 19일 활동적인
페루 해군
BAP 페레 CM-27 현대중공업 II 1984년 6월 8일 2018 2018 활동적인
BAP 마이스 CM-28 한국타코마조선소 IV 1987년 4월 3일 2021년[58] 11월 26일 2022년[59] 1월 5일 활동적인
필리핀 해군
BRP 콘라도 야프 PS-39 한국타코마조선소 III 1986년 1월 24일 2019년[38] 8월 5일 2019년[38] 8월 5일 활동적인
안동 출신 한국조선공사 IV 1987년 4월 30일 전송 대기 중.[50]
베트남 인민해군
김천 HQ-18 한국조선공사 III 1985년 11월 29일 2017년[60] 5월 28일 활동적인
여수의 전 의원 HQ-20 대우조선 III 1986년 6월 14일 2018년[60] 10월 8일 2018년[60] 10월 26일 활동적인

참고 항목

참조

  1. ^ "Indonesia Siap Terima Hibah Tiga Unit Pohang Class, Korvet Laris Dari Korea Selatan". indomiliter.com (in Indonesian). January 21, 2022. Retrieved January 22, 2022.
  2. ^ a b c d "Patrol Combat Covtte (PCC)". Republic of Korea Navy. Retrieved March 26, 2010.
  3. ^ a b John E. Pike (January 9, 2010). "Pohang (PCC Patrol Combat Corvette): Specifications". GlobalSecurity.org. Alexandria, Virginia. Retrieved May 25, 2010.
  4. ^ a b c d e f "포항급 초계함". 디펜스투데이 (in Korean). February 28, 2020. Retrieved December 4, 2021.
  5. ^ a b "[천안함 폭침 4주기] "제2 천안함은 없다"…초계함에 '30cm 물체 탐지' 레이더 탑재". hankyung.com (in Korean). March 23, 2014. Retrieved December 7, 2021.
  6. ^ a b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동해급과 포항급 초계함(1부), retrieved December 2, 2021
  7. ^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동해급과 포항급 초계함(2부), retrieved December 2, 2021
  8. ^ a b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동해급과 포항급 초계함(3부), retrieved December 2, 2021
  9. ^ "[첨단국가의 초석 방위산업] 동해급과 포항급 초계함(4부)". www.dema.mil.kr. Retrieved December 12, 2021.
  10. ^ a b 최병길 (June 30, 2009). "국산 초계함 동해함.포항함 `역사속으로'". 연합뉴스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11. ^ a b c d e f 국방일보. "[군함이야기] 포항급, 작지만 다재다능… 반잠수정 격침 등 30년 맹활약". 국방일보. Retrieved December 8, 2021.
  12. ^ a b c "30년간 동해 수호의 주역 김천함, 현역에서 은퇴 - 더코리아뉴스 : 30년간 동해 수호의 주역 김천함, 현역에서 은퇴". thekoreanews.com. Retrieved December 5, 2021.
  13. ^ "북한 경비정 2척 북방한계선 월선(종합)".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14. ^ "무장간첩 수색작전 이모저모-국방부".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15. ^ "北 고속경비정 1척 북방한계선 침범".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16. ^ "北잠수정 해군기지로 예인,합신조 가동".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17. ^ "北잠수정 승조원들 언제 집단자살했나".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18. ^ "제1연평해전". Republic of Korea Navy. Republic of Korea Navy.{{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9. ^ 황대일기자. "향후 북 무력도발 전망과 우리군 대응전략".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4, 2021.
  20. ^ "국방부 "초계함 접근하자 北 미사일준비"".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8, 2021.
  21. ^ "서해교전 조사끝..6일 대통령보고".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8, 2021.
  22. ^ "유도무기 국산화 시대".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4, 2021.
  23. ^ "함대함 크루즈 미사일 `해성-I' 100여기 추가생산".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4, 2021.
  24. ^ 최평천 (December 24, 2019). ""전역을 명받았습니다"…국산 전투함 3척, 30여년 군생활 마감". 연합뉴스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6, 2021.
  25. ^ 뉴스, SBS (November 10, 2009). "북한, NLL 침범 '치열한 전투'…인명피해 없어". SBS NEWS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7, 2021.
  26. ^ "軍 "사고시각 26일 21시22분" 재확인". April 7, 2010.
  27. ^ "초계함에도 장착한 어뢰음향대항체계(TACM)". panzercho.egloos.com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4, 2021.
  28. ^ 김수한 (July 18, 2019). "'위협감지 즉시 자동 유도탄 대응' 소형전자전장비, 해군 초계함에 첫 실전배치". 헤럴드경제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29. ^ NEWSIS (July 18, 2019). "함정용 유도탄 전자파 탐지경보장비, 안동함에 첫 작전 배치". newsis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30. ^ Mangosing, Frances (April 23, 2020). "Wescom says Chinese warship readied guns vs PH Navy ship in PH territory". INQUIRER.net. Retrieved December 8, 2021.
  31. ^ a b 기자, 임상현. "퇴역 '포항함' 포항 동빈내항 영구 정박".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32. ^ 유형재. "해군 1함대 군산함 "전역을 명 받았습니다"". new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33. ^ 국방일보. "퇴역함 부품, 교육 실습장비로 재탄생". 국방일보. Retrieved November 29, 2021.
  34. ^ a b c d ""첫 국산 전투함, 임무완료하고 물러갑니다"… 울산함 경주함 목포함 퇴역". 국민일보 (in Korean). December 29, 2014. Retrieved November 29, 2021.
  35. ^ En Corea, El Comandante General de la Marina firmor de la transferencia del Proximo B.A.P. "Feré"(https://web.archive.org/web/20160303220215/https://www.marina.mil.pe/noticias/3252 2016년 3월 3일, 웨이백 머신(스페인어)에 보관
  36. ^ "MaxDefense Philippines". www.facebook.com.
  37. ^ a b c d e f g h 국방일보. ""필승! 20년 구조 임무 마치고 퇴역합니다"". 국방일보. Retrieved November 29, 2021.
  38. ^ a b c Nepomuceno, Priam (August 6, 2019). "PH Navy commissions first modern corvette into fleet". Philippine News Agency. Retrieved August 6, 2019.
  39. ^ "بالصور..صبحى يعود الى ارض الوطن بعد زيارته لكوريا الجنوبية أخبار مصر". أخبار مصر (in Arabic). September 15, 2017. Retrieved September 16, 2017.
  40. ^ "Egyptian Navy receives Pohang-class corvette as gift from South Korea". Naval Today. October 26,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9, 2017. Retrieved October 29, 2017.
  41. ^ a b c d "한국형 1세대 전투함 충남함 · 여수함 · 진해함 · 참-293, 296, 297호정 전역". 디펜스투데이 (in Korean). March 1, 2020. Retrieved December 6, 2021.
  42. ^ a b c d e ""필승! 국산 전투함 3척, 전역을 명 받았습니다"". 국제뉴스 (in Korean). December 28, 2017. Retrieved December 6, 2021.
  43. ^ 이정훈 (October 26, 2021). "퇴역 '진해함' 시민 곁으로…창원 진해해양공원에 전시". 연합뉴스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9, 2021.
  44. ^ a b 해군, 마산함·경북함·순천함 전역식, retrieved December 5, 2021
  45. ^ "Proxima incorporacion corbeta BAP Guise (CM-28) a la Marina de Guerra del Peru". November 26, 2021. (스페인어)
  46. ^ "Colombia recibe oficialmente su nueva corbeta la ARC Almirante Tono" (in Spanish). InfoDefensa. September 29, 2020. Retrieved September 29, 2020.
  47. ^ a b c "South Korea decommissions 3 Pohang-class corvettes, 5 Chamsuri-class fast patrol boats". Asia Pacific Defense Journal. December 30, 2021. Retrieved December 30, 2021.
  48. ^ a b 해군, 초계함‘안동함’ 및 고속정 참수리 298ㆍ299ㆍ311ㆍ312호 전역, retrieved December 5, 2021
  49. ^ a b "[단독]퇴역 초계함 '안동함', 필리핀에 이르면 연말 무상공여". www.donga.com (in Korean). November 25, 2021. Retrieved November 28, 2021.
  50. ^ a b "Philippine Navy To Acquire 2nd Pohang-Class Corvette From South Korea". Naval News. November 24, 2021. Retrieved November 25, 2021.
  51. ^ a b c "천안함 기념관". 네이버 블로그 곰돌이의 so so한 일상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7, 2021.
  52. ^ 헤럴드경제 (May 18, 2010). "천안함 생존병사 전원 희망 부서 배치될듯". 헤럴드경제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7, 2021.
  53. ^ a b 국방일보. "해군2함대사령부, 부천함 전역식". 국방일보. Retrieved December 7, 2021.
  54. ^ 국방일보. "[박노호 기고] 부천함을 떠나 보내며…". 국방일보. Retrieved December 7, 2021.
  55. ^ a b [전격 인터뷰 : 대한민軍 TOP-CLASS] ② 바다의 탑건! 포술 최우수 전투함, 광명함, retrieved December 5, 2021
  56. ^ "함정 '익산함', 콜롬비아 영해 지킨다 - 익산열린신문". www.iksanopennews.com (in Korean). Retrieved November 28, 2021.
  57. ^ "[G-Military]포항급 익산함, 콜롬비아서 '알미란테 토노'함으로 공식 취역". 글로벌이코노믹 (in Korean). January 11, 2021. Retrieved November 28, 2021.
  58. ^ "Peru takes delivery of corvette BAP Guise". Janes.com. Retrieved December 2, 2021.
  59. ^ "B.A.P. Guise arribó al Callao y se suma a las unidades de superficie de la Marina de Guerra". El Peruano. Retrieved January 5, 2022.
  60. ^ a b c 민영규 (October 22, 2018). "전역한 한국 초계함 '여수함', 베트남에 무상양도…다낭항 도착". 연합뉴스 (in Korean). Retrieved December 5,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