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구호 목록
List of political slogans구호와 캐치프레이즈는 정치인, 정당, 군대, 활동가 및 시위자가 특정 신념이나 행동을 표현하거나 장려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목록.
국제사용법
- 레드보다 더 나은 죽음 – 반공 구호
- 검은색은 아름답다 – 196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 의해 시작된 문화 운동의 정치적 슬로건
-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 – 2013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10대 트레이본 마틴의 총격 사망 사건에서 조지 짐머맨이 무죄 판결을 받은 후 시작된 탈중앙화된 사회 운동; 2014년 미주리주 퍼거슨 시위 이후 미국에서 대중화되었고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시위 이후 국제적으로 대중화되었습니다.
- 흑인의 힘 – 흑인을 위한 자기 결정권과 관련된 다양한 이념의 슬로건과 이름; 1960년대에 스토클리 카마이클에 의해 대중화되었습니다.
- 피와 흙 – 나치 독일의 인종 정책에 대한 민족주의적 구호; 나중에 북미의 백인 민족주의 및 극우 운동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 빵과 장미 – 참정권과 노동운동과 관련된 구호, 시, 노래
- 부자를 먹어라 – 반자본주의와 좌파 정치와 관련된 정치적 구호 – 원래 "사람들이 더 이상 먹을 것이 없을 때, 그들은 부자를 먹을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유명한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에게 추적되었습니다.[This quote needs a citation]
- 각자의 능력에 따라, 각자의 필요에 따라 – 마르크스주의 표어
- 자유를 주세요, 아니면 죽음을 주세요! – 미국 독립 전쟁 이전에 패트릭 헨리가 만든 구호;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버전과 번역이 사용되었습니다.
- 하나님은 아담과 스티브가 아닌 아담과 이브를 만드셨습니다 – 동성애를 반대하는 기독교인들이 종교적인 이유로 사용하는 동성애 반대 구호입니다; 텔레비전 천사이자 도덕 다수당 지도자 제리 팔웰이 사용했습니다.
- Inquilab Zindabad (힌두스타니어로 '혁명 만세'를 뜻함) – 인도와 파키스탄의[1] 공산당이 사용하는 어구
- Khela Hobe ('The game is on'이라는 뜻의 벵갈리) – 방글라데시와 인도에서 사용되는 구호
- 국날림(Naga) – Nagas가 사용하는 구호인 '국민과 국토에 대한 승리' 또는 '토지를 만세'를 의미합니다.
- 랄 살람(Hindustani 'Red Salute'의 약자) – 힌두스타니 어구로 'Red Salute'로 번역되며, 인도 아대륙의 공산주의자들이 경례, 인사 또는 암호어로 사용합니다.
- 전쟁이 아닌 사랑을 만들어요 – 반전 구호는 베트남 전쟁 중에 시작되었습니다.
- 신도, 주인도 없음 – 무정부주의 철학과 좌파 노동운동과 관련된 구절
- 우리가 없는 우리에 대한 것은 없습니다 – 폴란드의 1505년 헌법 제정법인 허무노비와 헝가리 법에 영향을 준 라틴어 슬로건(Nilh de nobis, sine nobis); 1990년대 장애 권리 운동을 위해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
- 우크라이나 없는 우크라이나는 없다 – 러시아 시절 관련된 외교 정책 원칙–우크라이나 전쟁, 특히 2022년[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 한 사람 한 표 –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 참정권을 위해 사용되는 표어로, 특히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사용됩니다.
- Piss On Passity – 장애인을 부담스럽고 무력한 사람으로 묘사하여 기금을 모으는 자선단체에 항의하기 위해 주로 배치된 구호
- 국민에 대한 힘 – 다양한 정치 집단에 의해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반체제 구호
- 스페인어로 "Yes, we can"을 뜻하는 Sis puede (스페인어로 "Yes, we can") – United Farm Workers의 모토; 2008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선거 캠페인에 의해 영어와 스페인어로 사용되었습니다.
- 부자들은 점점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집니다 – 퍼시 비쉬 셸리(Percy Byshe Shelley)에 의한 아포리즘(phorism); 부의 집중과 경제적 불평등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공짜 점심 같은 것은 없습니다 – 공짜로 무언가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전달하는 대중적 격언.
- 전 세계가 주시하고 있습니다 – 반전 시위자와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구
- 그들은 통과해서는 안 됩니다 – 적에 맞서 진지를 지키겠다는 결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호;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가 가장 많이 사용한 구호; 스페인 내전에서도 공화파가 사용한 구호.
- 전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합니다 – 도시 계획을 포함한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어구
- 백인 권력 –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구호와 구호
- 세계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 (독일어: Proletarier aler Länder, vereinigt Euch!, 문자 그대로 '모든 나라의 프롤레타리아인들이여, 단결하라!') –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1848년 공산당 선언에서 비롯된 노동자 계급의 집회 외침; 소련을 포함한 사회주의 국가와 공산당이 사용한 구호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 #FeesMustFall – 201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립 대학의 등록금 폐지를 요구하는 전국 학생 시위 때 사용된 구호
- 교육 이전의 해방 – 아파르트헤이트 아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분리된 반투 교육 시스템에 반대하는 구호
- 정착민 한 명, 총알 한 발 –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무장 투쟁 중에 아자니안 인민해방군의 구호를 외치는 소리.
- 로즈 머스트 폴 – 2015년 초 남아프리카 학생들의 시위 때 사용된 구호; 케이프타운 대학의 현재는 철거된 세실 로즈 동상에 반대하는 구호
짐바브웨
아메리카 대륙
캐나다
- 라스트 베스트 웨스트 – 프레리 지방으로의 이민을 장려하는 구호
쿠바
- Hassta la victoria siempre [ (스페인어로 '승리할 때까지, 영원히!'라는 뜻) – 마르크스주의 혁명가 체 게바라가 사용한 구호
- 파트리아오 무에르테(스페인어로 '고향 아니면 죽음'을 뜻함) – 1960년 피델 카스트로의 구호 라 쿠브레 폭발 추모식에서 처음 사용됨 쿠바 혁명의 모토가 됨
- Patriy Vida ('Homeland and Life'의 스페인어) – San Isidro Movement에서[3] 유래하고 2021년 쿠바 시위와 관련된 슬로건과 레게톤 노래; 슬로건은 쿠바 혁명 모토 Patria o Muerte ('Homeland or Death')를 뒤집은 것입니다.
미국
- 여성을 믿으세요 – 폭력과 성폭행에 관한 여성의 증언을 믿도록 사람들을 격려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호
- Build Back Better – 조 바이든 2020 대선 캠페인이 제시한 경제 회복 계획의 이름
- 장벽 건설 – 도널드 트럼프가 멕시코와 미국 사이의 국경 장벽을 건설하기 위한 구호로 사용한 구호
- 와서 가져가세요 – 1778년 미국 독립 전쟁 중 포트 모리스와 나중에 최후의 스탠드에서 사용된 문구; 나중에 무기를 보관하고 보유할 권리와 관련하여 사용되었습니다.
- 온정적 보수주의 – 조지 W. 부시 2000년 대통령 선거의[4] 슬로건
- 경찰에 자금을 지원합니다 – 경찰 부서의 자금을 경찰이 아닌 공공 안전 형태로 재배치할 것을 요구하는 구호
- 텍사스를 건들지 마세요 – 낭비 방지 캠페인으로 시작된 슬로건; 나중에 정치 및 기타 목적으로 채택되었습니다.
- 드릴, 베이비, 드릴 – 공화당이 국내 석유 및 가스 생산량 증가를 촉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호
- 에브리 매나 킹 – 보다 광범위한 부의 재분배 프로그램인 Share Our Wealth의 일환으로 루이지애나 주지사이자 미국 상원의원인 Huey Long의 슬로건; 또한 Long과 Castro Carazo가 작곡한 1935년 노래 제목.
- 54 40 혹은 투쟁 – 19세기 오리건주 경계 분쟁 당시 사용된 구호
- 저는 아이크를 좋아합니다. 20세기의 유일한 성공적인 정치 초안인 아이젠하워 초안 운동의 구호입니다. 이 운동은 드와이트 D 전 장군을 설득했습니다. 195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아이젠하워
- 가자 브랜든 – 공화당 정치인들과 조 바이든 대통령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의해 "Fuck Joe Biden"에 대한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되는 슬로건
-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 1980년 이후 미국의 다양한 보수 정치 후보들, 특히 로널드 레이건과 도널드 트럼프가 사용한 슬로건
- 뉴 내셔널리즘 – Theodore Roosevelt가 1912년 진보당과 함께 한 대통령 선거운동의 슬로건; Herbert Croly의 팸플릿 "The Promise of American Life"에서 파생되었으며 1910년 8월 캔자스주 오사와토미에서 연설한 후 루스벨트가 채택했습니다.
- 더 뉴 프리덤 – 우드로 윌슨의 1912년 대선 캠페인 구호
- 대표 없이 세금 부과 금지 – 미국 독립 전쟁 중에 처음 사용된 구호, 나중에 여성 참정권, 컬럼비아 특별구 투표권, 고등 교육 통치에 학생 포함 및 티 파티 운동 지지자들이 사용했습니다.
- 명예와 평화 – 몇몇 저명한 작가들과 정치인들이 사용한 문구; 1973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베트남 전쟁을 끝내기 위한 파리 평화 협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한 문구
- 내 입술을 읽어보세요. 새로운 세금은 없습니다 – 미국 대통령 후보 조지 H. W. 부시가 1988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행한 연설 중 가장 눈에 띄는 강력한 입질입니다; 나중에 부시 반대파들이 약속을 어겼다고 인용했습니다.
- 진주만을 기억하세요 – 1941년 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후 만들어진 슬로건과 노래
- 1982년 중간선거 때 공화당 후보들을 위해 선거운동을 하면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대중화되었고 나중에 그의 부통령 조지 H.W. 부시에 의해 사용된 구호입니다.
- Stop the Steal – 공화당 정치 공작원 로저 스톤이 2016년 사기 혐의로 도난당한 것으로 묘사될 수 있는 잠재적인 선거 패배를 예상하여 만든 슬로건
- 책임은 여기서 그칩니다 – 해리 S 대통령에 의해 대중화된 문구입니다. 트루먼은 정부의 책임과 관련하여
-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입니다 – 1960년대 제2의 물결 페미니즘과 관련된 구호입니다.
- 티페카노이와 타일러 투 – 윌리엄 헨리 해리슨 1840년 대통령 선거 캠페인의 노래; 슬로건은 휘그 후보 윌리엄 헨리 해리슨("티페카노이의 영웅")과 존 타일러를 나타냅니다.
- 유나이티드 위 스탠드 아메리카 – 로스 페로(Ross Perot)가 1992년 대선 캠페인 실패 후에 만든 시민 행동 단체로, 나중에 개혁당의[5] 슬로건으로 채택되었습니다.
- 여성과의 전쟁 – 여성의 권리, 특히 낙태를 포함한 생식권을 제한하는 특정 공화당 정책과 법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문구
- We are the 99% – 2011 Occupy Wall Street (월 스트리트 점령) 기간 동안 만들어지고 널리 사용된 슬로건; 이 슬로건은 미국의 소득과 부의 불평등을 나타냅니다.
- 약탈이 시작되면 총격이 시작됩니다 – 월터 E의 진술. 1968년 소요사태 대응 공화당 전당대회 전날,[6][7] 조지 플로이드 살해와 관련된 시위에 대응하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에 의해 재도입된 헤들리
- Whip inflation now (WIN) – 1970년대 불황기 스태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전임자들이 추구했던 최저임금과 가격 통제와는 반대로 자발적인 조치에 의해 대처하기 위한 제럴드 포드 대통령 행정부의 주도로, 이 캠페인은 대중에 의해 널리 조롱을 받았고 1974년 민주당의 승리에 기여했습니다.의회 선거와 1976년 대통령 선거 그리고 1976년 공화당 대통령 예비선거 동안 세금 감면[8] 프로그램에 찬성하여 포기되었습니다.
아시아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진다바드('방글라데시 만세'를 뜻하는 벵갈리) – 정치 연설과 크리켓 경기에서 종종 사용되는 방글라데시 애국심의 표현
- Joy Bangla ('Bengal의 승리' 또는 'Hail Bengal'을 뜻하는 Bengal) – 방글라데시와 인도 서벵골 주에서 벵골과 방가마타라는 지정학적, 문화적, 역사적 지역을 향한 민족주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구호이자 전쟁 외침; 2022년 방글라데시의 국가적 슬로건을 만들었습니다.
중국
- 공동번영 – 사회적 평등과 경제적 형평을 강화한다는 목표를 명시한 중국 공산당의 구호
- 4가지 새로운 발명 – 2017년 중국 본토가 고속철도, 모바일 결제, 전자상거래, 자전거 공유 등을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국영 매체들이 사용한 슬로건; 4대 발명을 기반으로 합니다.
- 혁명은 만찬회가 아닙니다 – 마오쩌둥이 1927년 후난 농민 운동 조사 보고서에서 만든 구절입니다; 이 구절은 혁명이 완만하거나 절제될 것으로 기대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민을 위해 봉사하라 (중국어: 全心全意为人民服务) – 마오쩌둥의 정치적 구호. 후에 마오쩌둥의 강력한 영향으로 신좌파, 홍위병당, 흑표당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일본
- 하코이치우 (일본어로 '한 지붕 아래의 모든 세계'라는 뜻) – 제2차 중일 전쟁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된 구호; 이 구호는 "세계의 여덟 구석을 통일"하는 일본 제국의 신성한 권리를 의미합니다.
인도
- 자이 빔(Hail Bhim 또는 'Victory to Bhim'을 뜻하는 힌두스타니) – 인도인들, 특히 암베드까리족들이 사용하는 구호로, B. R. 암베드까리를 가리킵니다.
- 자이 자완 자이 기산('군인을 만세, 농부를 만세') – 1965년 랄 바하두르 샤슈트리 총리가 사용한 구호; 이후 다른 정치인들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 마 마티 마누시('어머니, 땅, 사람'을 뜻하는 벵골어) – 모든 인도 트리나물 회의를 대표했던 서벵골의 최고 장관 마마타 바네르지(Mamata Banerjee)가 만든 구호
인도네시아
- 잉그리스 키타링기스, 아메리카 키타 세트리카 [ (인도네시아어로 '영국은 까마귀를, 미국은 쇠를 갈 것이다'라는 뜻) – 일본 점령 당시 수카르노가 사용했던 협력주의 구호; 나중에 콘프론타시와 인도네시아의 유엔 탈퇴 당시 사용되었습니다.
이란
- 여성, 삶, 자유 (쿠르드어로 진, 지얀, 아자드 î, ژن، ژیان، ئازادی) – 이란의 마흐사 아미니 시위 중에 마흐사 아미니의 죽음에 대한 대응으로 집회의 외침이 된 구호
파키스탄
- 고 나와즈 고 – 파키스탄 테흐리크-e-Insaf와 파키스탄 아와미 테흐리크 정당 지지자들이 나와즈 샤리프 정부에 반대하는 정치 운동을 하는 동안 사용한 구호
- 파키스탄 카페이 ('우리는 파키스탄을 원한다'는 뜻의 힌두어)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대통령이 만든 구절
- 파키스탄 진다바드('파키스탄 만세'를 뜻하는 우르두어) – 파키스탄 민족주의를 보여주는 구호
유럽
벨라루스
- 벨라루스 만세! – 벨라루스의 민주적이고 민족주의적인 반대파와 벨라루스 디아스포라의 구성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는 표어.
프랑스.
- Jesuis Charlie – 2015년 Charlie Hebdo 살인 사건 이후 언론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지지자들이 채택한 구호
- 자유, 에갈리테, 박애('자유, 평등, 박애'를 뜻하는 프랑스어) – 프랑스 혁명에서 유래한 프랑스의 국가 모토; 또한 아이티의 국가 모토
- Sous les pavés, plage! (프랑스어로 ' 조약돌 아래, 해변!' – 68년 5월 시위의 주목할 만한 구호)
- Vivre libreou mouir [ ('Live free or die'를 뜻하는 프랑스어) – 프랑스 혁명 구호; 또한 미국 뉴햄프셔 주의 모토이기도 합니다.
독일.
- Heimins Reich (독일어로 'Back home in the Reich') – 독일 제국의 모든 지역을 독일 민족과 함께 포함시키려는 아돌프 히틀러의 계획을 설명하는 구절
- Jedem das Seine lit.('각자의 것으로') – 프로이센의 라틴어 모토 suum cuique의 독일어 번역: '모든 사람을 위한 정의'를 의미하며 1937-1945년 나치 독일이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의 정문에서 사용한 이 용어는 비유적으로 "모든 사람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얻는다"를 의미하며 라틴어 문구는 고대 로마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Meine Ehrehei ßt Treue (독일어로 '나의 명예는 충성이라고 불린다') – 나치 독일의 Schutzstaffel의 모토; Strafgesetzbuch 섹션 86a에 따라 다른 나치 구호와 함께 현대 독일에서 금지됨
- 위르샤펜다스(독일어로 '우리는 이것을 관리할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우리는 이것을 처리할 수 있다'는 뜻) –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2015년 유럽 이주 위기 동안 그녀의 개방적인 국경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 사용한 구호
- 독일 민주 공화국의 붕괴와 독일 통일을 이끈 월요일 시위의 모토인 Wirind das Volk (독일어로 'We are the people')
그리스
아일랜드
- 에린고 브라흐(Eirinngo Brách, 아일랜드어로 'Ireland Forever'라는 뜻) – 아일랜드에 대한 충성심이나 아일랜드의 자부심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구; "에린고 브라흐"(Erinngo Bragh)로 영어화됨.
- Sinn Fein ('We ourself'라는 뜻의 아일랜드어) – 19세기에 시작된 아일랜드 홈 룰 운동의 모토; 북아일랜드에서 같은 이름의 정당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 Tiocfaidh alla (Irish 'Our Day Will Come') – 연합 아일랜드의 구호
포르투갈
- Deus, partria e familia [ ('신, 국가, 가족'을 뜻하는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 에스타도 노보 정권의 살라자르 반동 구호
우크라이나
- 슬라바 우크라이나어('우크라이나에 영광을!'을 뜻하는 우크라이나어) –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에서 유래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의 구호
영국
- 위험에 처한 교회 – 앤 여왕의 통치 기간 동안 선거에서 토리당이 사용한 구호
- 브렉시트 완료 – 2019년 영국 총선 보수당 구호
- 러시아에서 손을 떼다 – 연합국의 러시아 내전 개입에 항의하는 영국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구호
- 노동당이 작동하지 않는다 – 1978년 사치와 사치가 고안한 보수당 포스터는 실업 사무실 밖에 긴 줄을 서서 높은 수준의 실업률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보수당이 선거에서 승리하고 마가렛 대처가 총리가 되면서 성공적이었습니다.
- 매기 아웃 – 마가렛 대처 정부에 반대하는 집회와 행진에서 사용되는 대중적인 구호
- New Labour, New Danger – Tony Blair를 붉은 눈으로 묘사한 1997 보수당 캠페인 포스터의 슬로건; 이 캠페인은 부정적인 광고와 블레어의 허락 없이 이미지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반대파인 노동당과 광고표준청으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 강하고 안정적인 – 테레사 메이 총리가 2017년 총선 선거운동을 하면서 사용한 구호인 인터넷 밈이 되기도 했습니다.
- 통제를 되찾아라 –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에서[9]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지지하는 표어 탈퇴 캠페인에 의해 대중화된 슬로건
- 마가렛 대처가 자주 사용하는 친자본주의 구호는 대안이 없습니다.
루마니아
- 베사라비아, 루마니아 땅 – 베사라비아 지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제기하는 루마니아 민족주의자 및 이레덴티즘 문구
러시아
- Khuy Voyne! (러시아어로 'Fuck war!'를 뜻함) – 러시아 그룹 t.A에 의해 유명해진 이라크 전쟁 반대 문구.T.u.
- 푸틴은 반드시 가야 합니다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반대자들의 웹사이트 및 공개 캠페인; 2010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스코틀랜드
세르비아
- 코소보는 세르비아입니다 – 코소보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에 대한 항의로 시위자들이 사용하는 구호입니다.
스페인
- "Democracia Real YA!" (스페인어로 "Real Democracy NOW!") – 2011년 시위에서 사용된 풀뿌리 단체 및 구호
- Txapote가 여러분에게 투표하게 해주세요 – 2023년 스페인 총선에서 우파와 극우가 사용한 슬로건; 바스크 분리주의자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가르시아 가즈텔루("Txapote"라는 별명)를 언급하며, 이 슬로건은 페드로 산체스 총리를 반대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우나, 그란데 리브레 (스페인어로 '하나, 위대하고 자유로운' 또는 '하나, 위대하고 자유로운'을 뜻함) – 스페인 민족주의에 대한 프랑코주의 구호
유고슬라비아
- 형제애와 단결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이 사용한 구호
- 파시즘에는 죽음, 국민에게는 자유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저항운동이 사용한 반나치 구호
오세아니아
호주.
- It's Time – 1972년 연방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호주 노동당이 사용한 슬로건. 이 캠페인은 1949년 이후 처음으로 노동당이 다수당을 차지하는 등 성공적이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Chattopadhyay, Suhrid Sankar (October 18, 2019). "CPI(M) kick-starts centenary celebrations with call to resist communal forces". frontline.thehindu.com/.
- ^ "Closing press conference by NATO Secretary General Jens Stoltenberg at the end of the 2023 NATO Summit in Vilnius". NATO. 2023-07-12. Retrieved 2023-11-17.
- ^ Janetsky, Megan (2021-07-13). "'Patria y Vida' – Homeland and Life – Watchwords in Cuba's Protest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1-07-18.
- ^ Roberts, Robert North 등. "온정적 보수주의" 대통령 캠페인, 슬로건, 이슈 및 플랫폼: 완전한 백과사전, vol. 1: 슬로건, 이슈, 프로그램, 성격 및 전략, Greenwood, 2012, pp. 98-100. 게일 eBooks
- ^ Roberts, Robert North 등. "유나이티드 위스탠드 아메리카" 대통령 캠페인, 슬로건, 이슈 및 플랫폼: 완전한 백과사전, vol. 1: 슬로건, 이슈, 프로그램, 성격 및 전략, 그린우드, 2012, p. 503. 게일 eBooks.
- ^ "Words Fail; Miami Cops Get Tough with Negro Thugs". Standard-Speaker. December 27, 1967. p. 1. Retrieved May 29, 2020 – via Newspapers.com.
- ^ "How three violent days gripped a black Miami neighborhood as Nixon was nominated in 1968 – The Washington Post". The Washington Post.
- ^ Roberts, Robert North 등. "Whip Inflation Now (WIN)" 대통령 캠페인, 슬로건, 이슈 및 플랫폼: 완전한 백과사전, vol. 1: 슬로건, 이슈, 프로그램, 성격 및 전략, Greenwood, 2012, pp. 531-532. 게일 eBooks
- ^ Gamble, Andrew (3 August 2018). "Taking back control: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Brexit".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25 (8): 1215–1232. doi:10.1080/13501763.2018.1467952. ISSN 1350-1763. S2CID 158602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