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자 이온
Polyatomic ion![]() |
분자 이온이라고도 하는 다원자 이온은 둘 이상의 원자, 즉 금속 복합체의 공칭 결합한 세트로, 단일 단위로 동작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순전하가 0이 아니다. 순전하가 0인 분자와는 달리 이 화학종은 이온이다.(접두사 폴리종은 그리스어로 "다수"라는 뜻을 담고 있지만, 두 원자의 이온도 일반적으로 다원자라고 표현된다.)
오래된 문헌에서 다원자 이온은 대신 급진적(또는 덜 보편적으로 급진적 집단으로 지칭될 수 있다)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용어로 급진이라는 용어는 전자가 손상되지 않아 충전할 필요가 없는 종인 다양한 활성산소를 가리킨다.)
다원자 이온의 간단한 예로 수산화이온이 있는데, 수산화이온은 산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1의 순 전하를 공동으로 운반하고 있으며, 화학식은 OH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암모늄 이온은 1개의 질소 원자와 4개의 수소 원자로 구성되며 +1의 전하를 가지고 있으며, 그 화학식은 NH++이다.
다원자 이온은 종종 산-기초 화학의 맥락과 염분 형성에 유용하다.
종종, 다원자 이온은 중성 분자의 결합산 또는 염기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산의 결합 베이스24(HSO)는 다원자 수소 황산 음이온(HSO-4)이다. 또 다른 수소이온을 제거하면 황산염 음이온(SO2-4)이 생성된다.
다원자 음이온의 명명법
다원자 음이온의 명명법을 익히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규칙"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이름에 접두사 bi를 더하면 수소가 이온의 공식에 첨가되고 그 전하가 1씩 증가하는데, 후자는 수소 이온의 +1 전하의 결과물이다. bi 접두사의 대안은 수소라는 단어를 그 자리에 사용하는 것이다: H+ + CO2-3, HCO-3에서 파생된 음이온은 중탄산염 또는 수소탄산염으로 불릴 수 있다.
일반적인 다원자 음이온은 대부분 옥산염, 옥산염의 결합 베이스(비금속 원소의 산화물에서 파생된 산화물)이다. 예를 들어 황산염 음이온인 SO2-4는 HSO에서243 파생된 것으로, SO + HO로2 볼 수 있다.
두 번째 규칙은 이온의 옥시겐 수를 살펴본다. 염소 산화옥사니온 계열을 고려하십시오.
산화 상태 | −1 | +1 | +3 | +5 | +7 |
---|---|---|---|---|---|
음이온 이름 | 염화물의 | 차아염소산염 | 염소산염 | 염소를 함유하다 | 과염소산염 |
공식 | CL− | 클로− | ClO−2 | 클로-3 | 클로-4 |
구조화하다 | ![]() | ![]() | ![]() | ![]() | ![]() |
첫째, -ate 이온을 "base" 이름으로 생각하는데, 이 경우 접두사 1개를 추가하면 산소가 추가된다. -ate 접미사를 -ite로 변경하면 옥시겐이 1개 감소하고, 접미사 -ite를 유지하고 접두사를 차하로 추가하면 옥시겐 수가 1개 더 줄어든다. 어떤 상황에서도 전하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명명 패턴은 특정 시리즈에 대한 표준 루트에 기초하여 많은 다른 옥사니온 시리즈 내에서 따른다. -ite는 -ate보다 산소가 한 개 적지만, 다른 -ate 음이온은 다른 수의 산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이 규칙들은 모든 다원자 음이온과 함께 작동하지 않지만, 가장 흔한 음이온과 함께 작동한다. 다음 표는 이러한 일반적인 음이온 그룹 중 일부에 대한 예를 제시한다.
브롬화하다 | 하이포브로마이트 | 브롬산염 | 브롬화하다 | 과대망상하다 |
BR− | BRO− | BRO− 2 | BRO− 3 | BRO− 4 |
요오드화합물 | 차아하이드라이트 | 요오드산염 | 요오드산염 | 기간을 정하다 |
I− | IO− | IO− 2 | IO− 3 | IO− 4 또는 IO5− 6 |
황화시키다 | 하이포황산염 | 황산염 | 황산염 | 설황산염화하다 |
S2− | S 2O2− 2 | SO2− 3 | SO2− 4 | SO2− 5 |
셀레네이드 | 하이포셀렌산염 | 셀레나이트 | 자화자찬하다 | |
SE2− | 서오 22− 2 | 서오2− 3 | 서오2− 4 | |
텔루라이드 | 하이포텔라이트 | 텔루라이트의 | 텔루라이트의 | |
Te2− | 테오2− 2 | 테오2− 3 | 테오2− 4 | |
질화수소화 | 저포니트라이트 | 아질산염 | 질산염 | |
N3− | N 2O2− 2 | NO− 2 | NO− 3 | |
인산염의 | 저인산염 | 인산염 | 인산염의 | 인산염의 |
P3− | H 2PO− 2 | PO3− 3 | PO3− 4 | PO3− 5 |
비소화하다 | 피하산염 | 비산염 | 비소를 제거하다 | |
로서3− | 아소3− 2 | 아소3− 3 | 아소3− 4 |
일반적인 다원자 이온의 다른 예
다음 표에는 흔히 접하는 다원자 이온의 추가 예가 수록되어 있다. 실무에서 접하는 다원자 이온의 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소수의 대표자만이 주어진다.
테트라히드록시보레이트 | B(OH)−4 |
아세틸라이드 | C2−2 |
이산화물 또는 에탄올산염 | C2H5O− |
아세테이트 또는 에토노이트 | CHCOO3− 또는 CHO-223 |
벤조아테 | CHCOO65− 또는 CHO-275 |
구연산 | C6H5O3−7 |
탄산염 | CO2−3 |
옥살레이트 | C2O2−4 |
시안화 | 씨엔− |
크로마테 | CRO2-4 |
디크롬산염 | CRO2-72 |
중탄산염 또는 수소탄산염 | HCO−3 |
인산수소 | HPO2−4 |
이수소인산염 | H2PO−4 |
황산수소 또는 비황산수소 | HSO−4 |
망가나이트 | MnO2−4 |
과망간산염 | MnO−4 |
아자니드 또는 아미드 | NH−2 |
과산화물 | O2−2 |
수산화물 | 오− |
비황화물 | SH− |
티오시아네이트 | SCN− |
규산염 | SiO2−4 |
티오황산염 | S2O2−3 |
오늄 이온 | 카르베늄 이온 | 다른이들 | |||
---|---|---|---|---|---|
구아니디늄 | C(NH2)+3 | 트로피룸 | C7H+7 | 수성(I) | Hg2+2 |
암모늄 | NH+4 | 트리페닐카르베늄 | (C6H5)3C+ | ||
인산염 | PH+4 | 사이클로프로페늄 | C3H+3 | ||
하이드로늄 | H3O+ | ||||
플루오늄 | H2F+ | ||||
피릴리움 | C5H5O+ |
참고 항목
외부 링크
- 일반 화학 온라인: 동반자 노트: 성분: 다원자 이온
- 다원자 이온 목록
- PDB 파일을 포함한 일반 다원자 이온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