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화칼륨
Potassium fluoride![]() | |
이름 | |
---|---|
IUPAC 이름 불소화칼륨 | |
식별자 | |
| |
3D 모델(JSmol) | |
켐벨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29.228 ![]() |
EC 번호 |
|
펍켐 CID | |
RTECS 번호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KF | |
어금질량 | 58.0967 g/㎥(무수) 94.1273 g/㎥(수화물) |
외관 | 무색의 |
밀도 | 2.48 g/cm3 |
녹는점 | 858°C(1,576°F, 1,131K) (무수) 41°C(수화물) 19.3°C(트리하이드레이트) |
비등점 | 1,502 °C(2,736 °F, 1,775 K) |
무수: 92 g/100 mL(18°C) 102 g/100 mL(25 °C) 디하이드레이트: 349.3 g/100 mL(18°C) | |
용해성 | HF에 녹는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
자기 감수성(magnetic susibility) | -23.6·10cm−63/190cm |
구조 | |
입방체의 | |
위험 | |
GHS 라벨 표시: | |
![]() | |
위험 | |
H301, H311, H331[1] | |
P261, P264, P270, P271, P280, P301+P310, P302+P352, P304+P340, P311, P312, P321, P322, P330, P361, P363, P403+P233, P405, P501 | |
NFPA 704(화재 다이아몬드) | |
플래시 포인트 | 불연성 |
치사량 또는 농도(LD, LC): | |
LD50(중간 선량) | 245mg/kg(도덕, 랫드)[2] |
관련 화합물 | |
기타 음이온 | 염화칼륨 브롬화칼륨 요오드화칼륨 |
기타 양이온 | 플루오르화 리튬 플루오르화 나트륨 불화 루비듐 플루오르화 세슘 플루오르화 프랑슘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 ![]() ![]() | |
Infobox 참조 자료 | |
불소화칼륨은 KF라는 공식을 가진 화학 화합물이다. 불소화수소 다음으로, KF는 제조와 화학에 응용하기 위한 불소화 이온의 1차 공급원이다. 알칼리 할로겐화물로 희귀 광물 카로비아이트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용액은 HF가 더 효과적이지만 수용성 불소화합물이 형성돼 유리를 에칭한다.
준비
불화칼륨은 탄화칼륨을 불산에 녹여 제조한다. 용액의 증발은 이플루오르화 칼륨의 결정체를 형성한다. 가열 시 분플루오르화물은 플루오르화 칼륨을 산출한다.
- K2CO3 + 4HF → 2KHF2 + CO2↑ + H2O
- KHF2 → KF + HF↑
이러한 작업에는 백금이나 내열성 플라스틱 용기가 종종 사용된다.
염화칼륨은 불화수소 처리 시 KF로 전환된다. 이런 식으로 불소화칼륨은 재활용이 가능하다.[3]
결정성
KF는 입방 NaCl 결정 구조로 결정된다. 상온에서 격자 매개변수는 0.266nm이다.[4]
유기화학분야의 응용
유기화학에서 KF는 핀켈슈타인(알킬 할리드)[5]과 헤일렉스 반응(아릴 클로라이드)을 통해 클로로카탄소를 플루오르화탄소로 전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3] 그러한 반응은 보통 디메틸 폼아미드, 에틸렌 글리콜, 황산화 디메틸과 같은 극성 용제를 사용한다.[6] 아세트나이트릴 용매에 크라운 에테르와 부피가 큰 디올의 조합으로 알피나틱 할로겐화물의 보다 효율적인 불소를 얻을 수 있다.[7]
안전 고려 사항
불소가온의 다른 공급원과 마찬가지로 F−, KF도 독성이 있다. 비록 치사량이 인간에게 그램 수준에 근접하지만 말이다. 그것은 흡입과 섭취에 의해 해롭다. 부식성이 강해 피부에 닿으면 심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참조
- ^ "Potassium Fluoride". sigmaaldrich.com. Retrieved 2018-12-20.
- ^ Chambers, Michael. "ChemIDplus - 7789-23-3 - NROKBHXJSPEDAR-UHFFFAOYSA-M - Potassium fluoride - Similar structures search, synonyms, formulas, resource links, and other chemical information". chem.sis.nlm.nih.gov.
- ^ a b Siegemund, Günter; Schwertfeger, Werner; Feiring, Andrew; Smart, Bruce; Behr, Fred; Vogel, Herward; McKusick, Blaine (2002). "Fluorine Compounds, Organic".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11_349..
- ^ "Potassium fluoride". University College London.
- ^ Vogel, A. I.; Leicester, J.; Macey, W. A. T. (1956). "n-Hexyl Fluoride". Organic Syntheses. 36: 40. doi:10.15227/orgsyn.036.0040.
- ^ Han, Q.; Li, H-Y. John Wiley & Sons, 2001년 뉴욕 유기합성 시약 백과사전 "불화칼륨". doi:10.1002/047084289X.rp214
- ^ Silva, Samuel L.; Valle, Marcelo S.; Pliego, Josefredo R. (2020-12-04). "Nucleophilic Fluorination with KF Catalyzed by 18-Crown-6 and Bulky Diols: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85 (23): 15457–15465. doi:10.1021/acs.joc.0c02229. ISSN 0022-3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