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배양
Cell culture
세포 배양은 통제된 조건, 일반적으로 자연 환경 밖에서 세포가 자라는 과정이다.대상 세포가 살아있는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후, 그것들은 세심하게 통제된 조건하에서 유지될 수 있다.이러한 조건은 세포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필수 영양소(아미노산,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성장인자, 호르몬 및 가스(CO2, O2)를 공급하고 물리적 화학적 환경(pH 완충제, 삼투압, 온도)을 조절하는 기질 또는 배지가 있는 적절한 용기로 구성됩니다.대부분의 세포는 단분자층(단세포 두께 1개)으로 접착배양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 또는 인공기질을 필요로 하는 반면, 다른 세포는 [1]부유배양으로 배지에 자유롭게 떠다니며 자랄 수 있다.대부분의 세포의 수명은 유전적으로 결정되지만, 일부 세포 배양 세포는 최적의 조건이 제공된다면 무한히 번식할 불멸의 세포로 "변환"되었다.
실제로, "세포 배양"이라는 용어는 식물 조직 배양, 곰팡이 배양, 미생물 배양과 같이 세포를 키우는 다른 유형의 배양과 대조적으로, 다세포 진핵생물, 특히 동물 세포에서 파생된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세포 배양의 역사적 발달과 방법은 조직 배양과 장기 배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바이러스 배양은 또한 바이러스의 숙주로서의 세포와 관련이 있다.
20세기 [2][3]중반에는 살아있는 세포주(단일 세포에서 유래하고 동일한 유전자 구성을 포함하는 세포군)를 원래의 조직원으로부터 분리하는 실험실 기술이 더욱 강력해졌다.
역사
19세기 영국의 생리학자 시드니 링거는 염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포함한 [4]염화물을 체외에서 고립된 동물 심장의 고동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염화물을 개발했다.1885년, 빌헬름 루는 배아 닭의 수판 일부를 제거하고 며칠 동안 따뜻한 식염수 용액에 보관하여 [5]조직 배양 원리를 확립하였다.존스 홉킨스 의과대학과 예일대학교에서 일하는 로스 그랜빌 해리슨은 1907년부터 1910년까지 그의 실험 결과를 발표하여 조직 [6]배양 방법론을 확립했다.
세포 배양 기술은 바이러스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1940년대와 1950년대에 크게 발전했다.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가 성장함에 따라 백신 제조를 위한 정제된 바이러스의 준비가 가능해졌다.조나스 솔크에 의해 개발된 주사형 소아마비 백신은 세포 배양 기술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된 최초의 제품 중 하나였다.이 백신은 원숭이 신장 세포 배양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은 존 프랭클린 엔더스, 토마스 허클 웰러, 프레드릭 채프먼 로빈스의 세포 배양 연구에 의해 가능해졌다.
포유동물 세포 배양에 관한 개념
세포 분리
세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체외 배양 조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세포는 혈액에서 쉽게 정제될 수 있지만, 오직 백혈구만이 배양에서 성장할 수 있다.세포를 현탁시키기 위해 조직을 [7][8]교반하기 전에 콜라게나아제, 트립신, 프로나아제 등의 효소를 사용하여 세포외 기질을 소화함으로써 세포를 고형 조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혹은 조직 조각을 배지에 넣어 배양할 수 있으며, 성장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이 방법은 익스트럭트 컬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피험자로부터 직접 배양된 세포는 1차 세포로 알려져 있다.종양에서 파생된 몇몇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1차 세포 배양은 제한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
확립 또는 불멸화 세포주는 텔로머라아제 유전자의 인위적 발현과 같은 무작위 돌연변이 또는 고의적 변형을 통해 무한 증식하는 능력을 획득하였다.특정 셀 타입의 대표로서 다수의 셀 라인이 잘 확립되어 있습니다.
배양 세포 유지
대부분의 분리된 1차 세포는 노화 과정을 거치며, 일반적으로 생존성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수의 모집단이 두 배로 늘어난 후 분열을 멈춘다(Hayflick 한계로 설명됨).
온도와 가스 혼합물을 제외하고, 배양 시스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다양한 요인은 세포 성장 배지입니다.배지의 조리법은 pH, 포도당 농도, 성장인자, 그리고 다른 영양소의 존재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배지를 보충하는 데 사용되는 성장 인자는 태아 소 혈청(FBS), 소 송아지 혈청, 말 혈청, 돼지 혈청과 같은 동물의 혈액 혈청에서 파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러한 혈액 유래 성분들의 한 가지 합병증은 바이러스나 프리온에 의한 배양물의 오염 가능성, 특히 의료용 바이오 테크놀로지 응용 분야에서의 오염 가능성이다.현재 관행은 가능한 한 이러한 성분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고 인간 혈소판 용해액(hPL)[9]을 사용하는 것입니다.이를 통해 FBS를 인간 세포와 함께 사용할 때 이종 간 오염의 우려를 없앨 수 있습니다. HPL은 FBS나 다른 동물 혈청을 직접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했습니다.또한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를 사용하여 혈청 미량(인간 또는 동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는 항상 다른 세포 유형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대체 전략에는 미국, 호주 및 뉴질랜드와 [10]같이 광우병/TSE 위험이 최소인 국가에서 동물 혈액을 조달하고 세포 [11]배양에 대한 전체 동물 혈청 대신 혈청에서 파생된 정제 영양소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도금 밀도(배지 부피당 세포 수)는 일부 세포 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도금밀도가 낮을수록 과립상세포는 에스트로겐 생성을 나타내며 도금밀도가 높을수록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는 세카루테인 [12]세포로 보인다.
세포는 현탁배양 [13]또는 접착배양에서 배양될 수 있다.어떤 세포들은 혈류 속에 존재하는 세포와 같이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현탁 상태로 살아간다.또한 현탁 배양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변형된 세포주도 있어 부착 조건이 허용하는 것보다 더 높은 밀도로 자랄 수 있습니다.접착성 세포는 접착성을 높이고 성장과 분화에 필요한 다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세포외 매트릭스(콜라겐과 라미닌과 같은) 성분으로 코팅될 수 있는 조직 배양 플라스틱 또는 마이크로 캐리어와 같은 표면을 필요로 합니다.고형 조직으로부터 파생된 대부분의 세포들은 접착되어 있다.또 다른 유형의 접착 배양은 2차원 배양 접시가 아닌 3차원(3D) 환경에서 세포를 성장시키는 유기형 배양이다.이 3D 배양 시스템은 생화학 및 생리적으로 생체 내 조직과 더 유사하지만, 많은 요인(예:[14] 확산) 때문에 기술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
세포배양기초배지
생명과학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배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세포 배양 배지의 구성 요소
요소 | 기능. |
---|---|
탄소원(글루코스/글루타민) | 에너지원 |
아미노산 | 단백질 구성 요소 |
비타민 | 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촉진하다 |
평형염 용액 | 세포 내에서 최적의 삼투압을 유지하고 효소반응, 세포접착 등의 보조인자로 작용하는 필수 금속이온을 제공하는 이온의 동위원소 혼합물. |
페놀 적색 염료 | pH 인디케이터페놀 레드의 색상은 pH 7–7.4에서 오렌지/레드에서 산성(낮은) pH에서 노란색, 기본(높은) pH에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
중탄산염/HEPES 버퍼 | 미디어에서 균형 잡힌 pH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일반적인 성장 조건
파라미터 | |
---|---|
온도 | 37 °C |
CO2 | 5% |
상대 습도 | 95% |
세포주 교차 오염
세포주 교차 오염은 배양된 [15]세포를 다루는 과학자들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연구에 따르면 실험에 사용된 세포가 잘못 식별되었거나 다른 [16][17][18]세포주에 오염되었다고 합니다.세포주 교차 오염의 문제는 약물 선별 [19][20]연구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NCI-60 패널의 라인에서도 감지되었다.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European Collection of Cell Cultures(ECACC), German Collection of Microganizons and Cell Cultures(DSMZ)를 포함한 주요 세포주 저장소는 [19][21]연구자들로부터 잘못된 세포주 제출을 받았다.이러한 오염은 세포 배양 라인을 사용하여 생성된 연구의 품질에 문제를 일으키며, 주요 저장소는 현재 모든 세포 라인 [22]제출을 인증하고 있다.ATCC는 Short Tandem Repeat(STR; 쇼트탠덤 반복) DNA 핑거프린트를 사용하여 셀 [23]회선을 인증합니다.
세포주 교차 오염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세포주 식별을 위해 조기에 세포주 인증이 권장된다.인증은 세포주 재고 동결 전, 활성 배양 중 2개월마다 한 번씩 세포주를 사용하여 생성된 연구 데이터를 공개하기 전에 반복해야 한다.세포주 식별에는 이소엔자임 분석, 인간 림프구 항원(HLA) 유형, 염색체 분석,[23] 핵형 유형, 형태학 및 STR 분석을 포함한 많은 방법이 사용된다.
중요한 세포주 교차 오염물질 중 하나는 불멸의 Hela 세포주입니다.
기타 기술적인 문제
일반적으로 세포는 배양에서 분열이 계속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영역이나 부피를 채우기 위해 성장합니다.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배지의 영양소 고갈
- 배지의 pH 변화
- 아포토시스/괴사(죽은) 세포의 축적
- 세포 간 접촉은 세포 주기 정지를 자극하여 세포 분열을 멈추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접촉 억제라고 한다.
- 세포간 접촉은 세포 분화를 촉진할 수 있다.
- 유전자 및 후생유전학적 변화, 변화된 세포의 자연선택은 분화가 감소하고 증식능력이 [24]증가하여 비정상적인 배양적응세포의 과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배양 배지의 선택은 영양소 구성과 [25]농도의 차이로 인해 세포 배양 실험의 발견의 생리학적 관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최근 CRISPR 및 RNAi 유전자 사일런싱 [26]스크린과 암 세포주의 [25]대사 프로파일링에 대해 생성된 데이터 세트의 체계적인 편향이 나타났다.영양소의 생리적 수준을 더 잘 나타내는 배지를 사용하면 체외 연구의 생리학적 관련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Plasmax[27] 및 Human Plasma Like Medium(HPLM)[28]과 같은 배지 유형이 개발되었습니다.
배양 세포의 조작
배양 세포에 대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조작 중에는 배지 변화, 통과 세포, 트랜스펙트 세포가 있습니다.이것들은 일반적으로 무균 기술에 의존하는 조직 배양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무균 기술은 박테리아, 효모 또는 기타 세포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조작은 일반적으로 오염된 미생물을 배제하기 위해 바이오세이프티 캐비닛 또는 층류 캐비닛에서 수행됩니다.항생제(예: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와 항진균제(예: 암포테리신 B 및 항생제-항균제 용액)도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세포가 대사 과정을 거치면서 산이 생성되고 pH가 감소한다.종종 영양소 고갈을 측정하기 위해 pH 지표가 배지에 첨가된다.
미디어 변경
접착 배양물의 경우 흡인에 의해 직접 배지를 제거한 후 교환할 수 있습니다.비접착성 배양에서의 미디어 변화는 배양물을 원심분리하고 신선한 미디어에서 세포를 다시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세포 패시징
패시징(아배양 또는 세포 분열이라고도 함)은 적은 수의 세포를 새로운 혈관으로 옮기는 것을 포함합니다.세포는 장기간 높은 세포 밀도와 관련된 노화를 피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분열되면 더 오랜 시간 배양될 수 있다.현탁액 배양은 더 많은 양의 신규 배지에 희석된 몇 개의 세포를 포함한 소량의 배양액으로 쉽게 처리됩니다.부착 배양물의 경우, 세포는 먼저 분리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트립신-EDTA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목적을 위해 다른 효소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그리고 나서 소수의 분리된 세포들이 새로운 배양물의 씨앗을 뿌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RAW 세포와 같은 일부 세포 배양물은 고무 스크래퍼를 사용하여 용기 표면에서 기계적으로 긁어냅니다.
감염 및 변환
세포를 조작하는 또 다른 일반적인 방법은 트랜스펙션에 의한 외래 DNA의 도입이다.이것은 종종 세포가 관심있는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최근에는 특정 유전자/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편리한 메커니즘으로서 RNAi 구조의 트랜스펙션이 실현되고 있다.DNA는 또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세포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변환, 감염 또는 변형이라고 한다.바이러스는 기생 물질로서 DNA를 세포에 도입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그들의 정상적인 번식 과정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확립된 인간 세포주
인간에게서 유래한 세포주는 생명 윤리학에서 다소 논란이 있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부모 유기체보다 오래 살 수 있고 나중에 수익성 있는 치료법의 발견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 분야의 선구적 결정에서, 캘리포니아 대법원은 캘리포니아 대학의 무어 대 레전츠에서 인간 환자들은 [29]동의하에 제거된 장기에서 파생된 세포주에 대한 재산권을 가지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정상 셀과 불멸화 셀 라인을 융합할 수 있습니다.이 방법은 모노클로널 항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간단히 말해서 면역된 동물의 비장(또는 가능한 혈액)에서 분리된 림프구는 불멸 골수종 세포주(B세포 계보)와 결합되어 1차 림프구의 항체 특이성과 골수종의 불멸성을 가진 하이브리드종을 생성한다.선택적 성장배지(HA 또는 HAT)는 미사용 골수종 세포에 대해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차 림프종은 배양 중에 빠르게 죽고 융합된 세포만 살아남는다.이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클로닝으로 시작한 후 이후 풀에서 필요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해 선별된다.
세포주
세포주는 정의되어야 하는 특정 특성 또는 특성을 가진 세포의 선택 또는 클로닝에 의해 1차 배양 또는 세포주로부터 유도된다.세포주는 배양에 적응한 세포이지만 세포주와는 달리 한정된 분열전위를 가지고 있다.불멸하지 않은 세포는 40에서 60명의 인구가 두 배로 늘어난[30] 후에 분열을 멈추고, 그 후에 증식하는 능력을 잃는다.[31]
세포 배양 응용
동물 세포주의 대량 배양은 바이러스 백신과 다른 생물 공학 제품 제조의 기본이다.인간줄기세포 배양은 세포 수를 늘리고 세포를 다양한 체세포 유형으로 분화시켜 [32]이식하는데 사용된다.줄기세포 배양은 또한 치료적 [33]발달의 목적으로 줄기세포가 방출하는 분자와 엑소좀을 수확하는 데 사용된다.
동물 세포 배양에서 재조합 DNA(rDNA) 기술로 생산되는 생물학적 산물은 효소, 합성호르몬, 면역생물학(단일클로널 항체, 인터류킨, 림포킨), 항암제 등이다.비록 많은 더 단순한 단백질들이 박테리아 배양에서 rDNA를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지만, 현재 글리코실화되어 있는 더 복잡한 단백질들은 동물 세포에서 만들어져야 한다.그러한 복합 단백질의 중요한 예는 에리트로포이에틴 호르몬이다.포유류의 세포 배양에 드는 비용은 높기 때문에 곤충 세포나 고등 식물에서 그러한 복잡한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입자 충격에 의한 직접적인 유전자 전달의 원천으로 단일 배아 세포와 체세포를 사용하는 것, 통과 유전자 발현과 공초점 현미경 관찰이 그것의 응용 중 하나이다.또한 체세포 배아의 단세포 기원과 그 과정을 시작하는 첫 번째 세포 분열의 비대칭성을 확인하는 것도 제공한다.
세포 배양은 또한 세포 농업의 핵심 기술로, 세포와 미생물로부터 우유, (배양된) 고기, 향기, 코뿔소 뿔과 같은 기존 농산물을 생산하는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그러므로 그것은 동물 없는 농업을 성취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진다.그것은 또한 세포 [34]생물학을 가르치는 중심적인 도구이다.
2차원 세포 배양
조직 공학, 줄기세포 및 분자 생물학 연구는 주로 평평한 플라스틱 접시에 있는 세포 배양과 관련이 있다.이 기술은 2차원(2D) 세포 배양으로 알려져 있으며, 1885년 빌헬름 루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그는 배아 닭의 수판 일부를 제거하고 평평한 유리 접시에 있는 따뜻한 식염수에 며칠 동안 유지했습니다.폴리머 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의 2D 세포 배양용 표준 플라스틱 접시는 흔히 페트리 접시로 알려져 있습니다.독일 세균학자 줄리어스 리하르트 페트리는 일반적으로 로버트 코흐의 조수로 일하면서 이 발명에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오늘날 다양한 연구자들은 배양 실험용 플라스크, 원추형 물질, 심지어 일회용 바이오 반응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봉투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페트리 접시 외에도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콜라겐이나 섬유소와 같은 생물학적으로 유도된 매트릭스 안에서 세포를 키워왔고 최근에는 폴리아크릴아미드나 PEG와 같은 합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해 세포를 키워왔다.그들은 기존의 단단한 기질에서 발현되지 않는 표현형을 유도하기 위해 이것을 한다.매트릭스 [35]강성 제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다음과 같은 분야의 발견으로 이어졌습니다.
3차원 세포 배양
3차원 세포 배양은 "생물학의 새로운 차원"[50]이라고 선전되어 왔다.현재, 세포 배양 관행은 [51]2D의 단일 또는 다중 세포 구조의 다양한 조합에 기초하고 있다.현재 약물발견, 암생물학, 재생의학, 나노물질 평가, 기초생명과학 연구 [52][53][54]등 연구분야에서 3D 세포배양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3D 세포배양도 발판이나 매트릭스를 이용하거나 발판 없이 배양할 수 있다.비계 기반 배양은 무세포 3D 매트릭스 또는 액체 매트릭스를 활용합니다.비계 없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55]서스펜션에서 생성됩니다.하이드로겔[56] 매트릭스, 고체 비계 등의 비계 시스템과 저접착판, 나노입자 촉진 [57]자기부상판,[58][59] 리프팅판 등의 비계 시스템을 포함한 3차원 세포 구조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플랫폼이 있다.3D로 세포를 배양하는 것은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의 큰 변화를 가져오고 생리적인 [60]상태의 조직을 부분적으로 모방한다.
발판의 3D 세포 배양
에릭 사이먼(Eric Simon)은 1988년 NIH SBIR 보조금 보고서에서 전기방전을 사용하여 시험관내 세포 기질로 사용하도록 특별히 의도된 나노 및 서브마이크론 규모의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섬유 발판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세포 배양 및 조직 공학을 위해 전기 방추 섬유 격자를 조기에 사용한 결과, 인간 포피 섬유아세포(HFF), 변형 인간 암종(HEP-2), 밍크 폐 상피(MLE)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 유형이 폴리카보네이트 섬유에 부착되어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D 배양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평탄한 형태와는 달리, 전기 스펀 섬유에서 자란 세포는 일반적으로 생체 [61]내에서 관찰되는 보다 조직형 둥근 3차원 형태를 보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하이드로겔의 3D 세포 배양
자연 세포외 매트릭스(ECM)는 세포의 생존, 증식, 분화 및 이동에 중요하기 때문에, 자연 ECM 구조를 모방한 다양한 하이드로겔 배양 매트릭스는 생체 내 [62]세포 배양에 대한 잠재적 접근법으로 간주됩니다.하이드로겔은 수분 보유율이 높은 서로 연결된 모공으로 구성되어 있어 영양소, 가스 등의 물질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습니다.3D 세포 배양에는 동물 ECM 추출물 하이드로겔, 단백질 하이드로겔, 펩타이드 하이드로겔, 폴리머 하이드로겔, 목재 기반 나노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 등 여러 가지 다른 유형의 천연 및 합성 소재 하이드로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기부상에 의한 3D 세포 배양
자기부상법에 의한 3D 세포배양법(MLM)은 네오디뮴 자기드라이버를 이용해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에서 자성나노입자 집합체로 처리된 세포를 유도하고 세포를 표준 페트리체의 공기/액체 계면까지 부양시켜 세포간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3D 조직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h. 자성산화철 나노입자, 금 나노입자 및 폴리머 폴리리신으로 이루어진 자성 나노입자 집합체.3D 세포 배양은 확장 가능하며, 500개의 세포를 수백만 개의 세포로 배양하거나 단일 접시에서 높은 처리량 저볼륨 시스템으로 배양할 수 있습니다.
조직 배양 및 엔지니어링
세포 배양은 체외에서 세포를 키우고 유지하는 기본을 확립하기 때문에 조직 배양과 조직 공학의 기본 구성요소이다.인간 세포 배양에 대한 주요 응용 분야는 줄기세포 산업에서 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미래 사용을 위해 저온 보존할 수 있다.조직 공학은 잠재적으로 연간 수십만 명의 환자에게 저비용 의료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백신
소아마비,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수두 백신은 현재 세포 배양에서 만들어진다.H5N1의 대유행 위협으로 인해, 인플루엔자 백신을 위한 세포 배양 사용에 대한 연구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이 분야의 새로운 아이디어로는 인간 아데노바이러스(일반 감기 바이러스)를 [63][64]매개체로 만든 것과 같은 재조합 DNA 기반 백신과 새로운 [65]보조제가 있다.
미세유체장치 내 세포배양
비유모세포 배양
잘 확립된 불멸화 세포주 배양 외에, 많은 유기체의 1차 탐사자로부터 얻은 세포는 노화가 발생하기 전에 제한된 기간 동안 배양될 수 있다(헤이플릭 한계 참조).배양된 1차 세포는 세포 이동 [66][34][67]연구에서 어류 각화세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식물 세포 배양법
식물 세포 배양은 일반적으로 액체 배지의 세포 현탁 배양 또는 고체 배지의 굳은살 배양으로 성장합니다.미분화 식물 세포와 칼리의 배양에는 식물 성장 호르몬인 옥신과 사이토키닌의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곤충 세포 배양
Drosophila melanogaster에서 유래한 세포(가장 두드러지게 Schneider 2 세포)는 생화학적 연구나 siRNA를 이용한 연구 등 살아있는 파리나 유충에 대해 하기 어려운 실험에 사용할 수 있다.군 벌레 Spodoptera frugiperda에서 유래한 세포주, Sf9 및 Sf21을 포함한 양배추 Looper Looper Lichophischoplus 5개의 하이 트리코플에서 유래한 세포주세포는 일반적으로 바쿨로바이러스를 [68]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에 사용된다.
세균 및 효모 배양법
박테리아와 효모의 경우, 소량의 세포는 보통 한천과 같은 겔을 포함한 고체 지지대에서 배양되는 반면, 대규모 배양물은 영양소 육수에 세포를 매달아 배양한다.
바이러스 배양법
바이러스의 배양은 바이러스의 성장과 복제를 위한 숙주로서 포유류, 식물,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 기원의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야생형 바이러스, 재조합형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제품은 적절한 조건하에서 자연 숙주 이외의 세포형에서 생성될 수 있다.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감염과 바이러스 복제는 숙주 세포 용융과 바이러스 플라크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공통 셀 라인
- 인간 세포주
- DU145(프로스테이트 암)
- H295R(신피질암)
- Hela(경부암)
- KBM-7(만성골수성백혈병)
- LNCaP(전국 암)
- MCF-7(유방암)
- MDA-MB-468(유방암)
- PC3(진행 암)
- SaOS-2(골암)
- SH-SY5Y(신경아세포종, 골수종에서 복제)
- T-47D(유방암)
- THP-1(급성골수성백혈병)
- U87(교아종)
- 국립암연구소 60개 암세포주 패널(NCI60)
- 영장류 세포주
- 마우스 셀 라인
- 식물 세포주
- 담배 BY-2 세포(세포 현탁 배양으로 식물 세포의 모델 시스템)
- 기타종 세포주
셀 라인 리스트
![]() |
셀선 | 의미. | 유기체 | 원점 조직 | 형태학 | 링크 |
---|---|---|---|---|---|
3T3-L1 | "3일간 이식, 접종 3 x 10^5 세포" | 마우스 | 배아 | 섬유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4T1 | 마우스 | 유선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1321N1 | 인간 | 뇌 | 성상세포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9L | 쥐. | 뇌 | 교아세포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172 | 인간 | 뇌 | 교아세포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20 | 마우스 | B림프종 | B림프구 | 셀로사우루스과 | |
A253 | 인간 | 하악관 | 두경부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A2780 | 인간 | 난소 | 난소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2780ADR | 인간 | 난소 | A2780의 아드리아마이신 내성 유도체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2780cis | 인간 | 난소 | A2780의 시스플라틴 내성 유도체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431 | 인간 | 피부상피 | 편평상피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549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B9 | 제브라피시 | 핀 | 섬유아세포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AHL-1 | 아르메니아 햄스터 폐-1 | 햄스터 | 폐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ALC | 마우스 | 골수 | 스트로마 | PMID 2435412[69] 셀로사우루스과 | |
B16 | 마우스 | 흑색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B35 | 쥐. | 신경아세포종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BCP-1 | 인간 | PBMC | HIV+ 원발성 삼출 림프종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BEAS-2B | 기관지 상피 + 아데노바이러스 12-SV40 바이러스 하이브리드(Ad12SV40) | 인간 | 폐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bEnd.3 | 뇌내피3 | 마우스 | 뇌/뇌피질 | 내피 | 셀로사우루스과 |
BHK-21 | 아기 햄스터 신장-21 | 햄스터 | 신장 | 섬유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BOSC23 | HEK 293에서 파생된 포장 셀 라인 | 인간 | 신장(배아) | 상피 | 셀로사우루스과 |
BT-20 | 유방종양-20 | 인간 | 유방상피 | 유방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BxPC-3 | 췌장암 3호선의 생체이종이식술 | 인간 | 췌장선암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C2C12 | 마우스 | 근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3H-10T1/2 | 마우스 | 배아간엽세포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6 | 쥐. | 뇌성세포 | 글리오마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6/36 | 곤충 - 아시아 호랑이 모기 | 유충 조직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aco-2 | 인간 | 콜론 | 대장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al-27 | 인간 | 혀 | 편평상피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칼루-3 | 인간 | 폐 | 선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CGR8 | 마우스 | 배아줄기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HO | 중국 햄스터 난소 | 햄스터 | 난소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CML T1 | 만성 골수성 백혈병 T림프구 1 | 인간 | CML 급성상 | T세포백혈병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CMT12 | 개 유방 종양 12 | 개 | 유선 | 상피 | 셀로사우루스과 |
COR-L23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OR-L23/5010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OR-L23/CPR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OR-L23/R23-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OS-7 | Cercopithecus aethiops, 원산지 결함 SV-40 | 구세계원숭이 - Cercopithecus aethiops (Chlorocebus) | 신장 | 섬유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COV-434 | 인간 | 난소 | 난소과립세포암 | PMID 8436435[70]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CT26 | 마우스 | 콜론 | 대장암 | 셀로사우루스과 | |
D17 | 개 | 폐 전이 | 골육종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DAOY | 인간 | 뇌 | 수아세포종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DH82 | 개 | 조직세포증 | 단구/대식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DU145 | 인간 | 안드로겐 불감성 전립선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DuCaP | 전립선 경막암 | 인간 | 전이성 전립선암 | 상피 | PMID 11317521[71] 셀로사우루스과 |
E14Tg2a | 마우스 | 배아줄기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EL4 | 마우스 | T세포백혈병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EM-2 | 인간 | CML 폭발 위기 | Ph+ CML 라인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
EM-3 | 인간 | CML 폭발 위기 | Ph+ CML 라인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
EMT6/AR1 | 마우스 | 유선 | 상피와 같은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EMT6/AR10.0 | 마우스 | 유선 | 상피와 같은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FM3 | 인간 | 림프절 전이 | 흑색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GL261 | 글리오마 261 | 마우스 | 뇌 | 글리오마 | 셀로사우루스과 |
H1299 | 인간 | 폐 | 폐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HaCaT | 인간 | 피부. | 케라티노사이트 | CLS 셀로사우루스과 | |
HCA2 | 인간 | 콜론 | 선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HEK 293 | 인간배아신장293 | 인간 | 신장(배아)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HEK 293T | HEK 293 유도체 | 인간 | 신장(배아)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헬라 | 헨리타 랙스 | 인간 | 자궁경부상피 | 자궁경부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헤파1c1c7 | 클론 1 간암 라인 1의 클론 7 | 마우스 | 간종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헵 G2 | 인간 | 간 | 간아세포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하이파이브 | 곤충(못) - 트리코플루스니 | 난소 | 셀로사우루스과 | ||
HL-60 | 인간 백혈병-60 | 인간 | 피 | 골수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HT-1080 | 인간 | 섬유육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HT-29 | 인간 | 대장상피 | 선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J558L | 마우스 | 골수종 | B림프구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유르캣 | 인간 | 백혈구 | T세포백혈병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JY | 인간 | 림프아세포 | EBV변환B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K562 | 인간 | 림프아세포 | CML 폭발 위기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KBM-7 | 인간 | 림프아세포 | CML 폭발 위기 | 셀로사우루스과 | |
KCL-22 | 인간 | 림프아세포 | CML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
KG1 | 인간 | 림프아세포 | AML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Ku812 | 인간 | 림프아세포 | 적혈구백혈증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KYO-1 | 교토 1호 | 인간 | 림프아세포 | CML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L1210 | 마우스 | 림프구성 백혈병 | 액시트 유체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L243 | 마우스 | 하이브리드마 | 기밀 L243 mAb (HLA-DR에 대하여)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LNCaP | 전립선 림프절암 | 인간 | 전립선암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MA-104 | 미생물학적 어소시에이션-104 | 아프리카그린원숭이 | 신장 | 상피 | 셀로사우루스과 |
MA2.1 | 마우스 | 하이브리드마 | 기밀 MA2.1 mAb (HLA-A2 및 HLA-B17에 대하여)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Ma-Mel 1, 2, 3...48 | 인간 | 피부. | 다양한 흑색종 세포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MC-38 | 마우스 콜론-38 | 마우스 | 콜론 | 선암 | 셀로사우루스과 |
MCF-7 | 미시간 암 재단-7 | 인간 | 유방. | 침습성 유방관암 ER+, PR+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MCF-10A | 미시간 암 재단-10a | 인간 | 유방상피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MDA-MB-157 | M.D. 앤더슨 - 전이성 유방-157 | 인간 | 흉수 전이 | 유방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MDA-MB-231 | M.D. 앤더슨 - 전이성 유방-231 | 인간 | 흉수 전이 | 유방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MDA-MB-361 | M.D. 앤더슨 - 전이성 유방-361 | 인간 | 흑색종(M14에 의해 오염됨)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MDA-MB-468 | M.D. 앤더슨 - 전이성 유방-468 | 인간 | 흉수 전이 | 유방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MDCK II | 매딘 다비 개 신장 II | 개 | 신장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MG63 | 인간 | 뼈. | 골육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MIA PaCa-2 | 인간 | 전립선 | 췌장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MOR/0.2R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모노맥-6 | 인간 | 백혈구 | 골수형 메타플라스틱 AML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
MRC-5 | 의학연구회 세포주 5 | 인간 | 폐(태아) | 섬유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MTD-1A | 마우스 | 상피 | 셀로사우루스과 | ||
마이엔드 | 심근내피 | 마우스 | 내피 | 셀로사우루스과 | |
NCI-H69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NCI-H69/CPR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NCI-H69/LX10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NCI-H69/LX20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NCI-H69/LX4 | 인간 | 폐 | 폐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신경-2a | 마우스 | 신경/신경아세포종 | 신경줄기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NIH-3T3 | NIH, 3일간의 이행, 접종 3 x 105 세포 | 마우스 | 배아 | 섬유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NALM-1 | 인간 | 말초혈액 | 블라스트 위기 CML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NK-92 | 인간 | 백혈병/림프종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NTERA-2 | 인간 | 폐 전이 | 태아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NW-145 | 인간 | 피부. | 흑색종 | ESTDAB 2011-11-16 Wayback Machine Cellosaurus 아카이브 완료 | |
네 알겠습니다 | 주머니쥐 신장 | 버지니아주머니쥐 - 디델피스버진시아나 | 신장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OPCN/OPCT 셀 라인 | 인간 | 전립선 | 전립선종양범위 | 셀로사우루스과 | |
P3X63Ag8 | 마우스 | 골수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PANC-1 | 인간 | 덕트 | 상피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PC12 | 쥐. | 부신수질 | 색소세포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PC-3 | 전립선암-3 | 인간 | 뼈 전이 | 전립선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또래 | 인간 | T세포백혈병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
PNT1A | 인간 | 전립선 | SV40 변환 종양선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PNT2 | 인간 | 전립선 | SV40 변환 종양선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페이지 K2 | 포토러스 트리닥틸리스에서 파생된 두 번째 세포주 | 긴코포토루 - 포토러스 트리닥틸루스 | 신장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라지 | 인간 | B림프종 | 림프아세포양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RBL-1 | 쥐 호염기성 백혈병-1 | 쥐. | 백혈병 | 호염기 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렌카 | 신장암 | 마우스 | 신장 | 신장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RIN-5F | 마우스 | 췌장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RMA-S | 마우스 | T세포종양 | 셀로사우루스과 | ||
S2 | 슈나이더 2 | 곤충 -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터 | 후기(20~24시간) 배아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SaOS-2 | 육종 OSteogenic-2 | 인간 | 뼈. | 골육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Sf21 |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퍼다 | 곤충 (못) - 포도프테라 프루기퍼다 | 난소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SF9 |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퍼다 | 곤충 (못) - 포도프테라 프루기퍼다 | 난소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SH-SY5Y | 인간 | 골수 전이 | 신경아세포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시하 | 인간 | 자궁경부상피 | 자궁경부암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SK-BR-3 | 슬론케터링 유방암 3 | 인간 | 유방. | 유방암 | DSMZ 셀로사우루스과 |
SK-OV-3 | 슬론케터링 난소암 3 | 인간 | 난소 | 난소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SK-N-SH | 인간 | 뇌 | 상피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T2 | 인간 | T세포 백혈병/B세포주 하이브리드종 | ATCC 셀로사우루스과 | ||
T-47D | 인간 | 유방. | 유방관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T84 | 인간 | 폐 전이 | 대장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T98G | 인간 | 교아세포종-성세포종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THP-1 | 인간 | 단구 | 급성단구백혈병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U2OS | 인간 | 골육종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U373 | 인간 | 교아세포종-성세포종 | 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U87 | 인간 | 교아세포종-성세포종 | 상피와 같은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U937 | 인간 | 백혈병단구림프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VCaP | 전립선 척추암 | 인간 | 척추 전이 | 전립선암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베로 | 에스페란토에서: 베르다(녹색, 녹색 원숭이용) reno(키드니) | 아프리카녹색원숭이 - Chlorocebus sabaeus | 신장상피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VG-1 | 인간 | 원발성 삼출성 림프종 | 셀로사우루스과 | ||
WM39 | 인간 | 피부. | 흑색종 | ESTDAB 셀로사우루스과 | |
WT-49 | 인간 | 림프아세포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YAC-1 | 마우스 | 림프종 |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야르 | 인간 | 림프아세포 | EBV변환B세포 | 인간 면역학[72] ECACC 셀로사우루스과 |
「 」를 참조해 주세요.
- 생물학적 불멸
- 세포 배양 분석
- 전기 셀-기판 임피던스 감지
- 오염된 세포주 목록
- NCI-60 셀 회선 목록
- LL-100 패널 셀 라인 목록
- 유방암 세포주 목록
- 미소생리학
레퍼런스 및 메모
- ^ Harris, AR; Peter, L; Bellis, J; Baum, B; Kabla, AJ; Charras, GT (9 October 2012). "Characterizing the mechanics of cultured cell monolay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9 (41): 16449–54. Bibcode:2012PNAS..10916449H. doi:10.1073/pnas.1213301109. PMC 3478631. PMID 22991459.
- ^ "Some landmarks in the development of tissue and cell culture". Retrieved 2006-04-19.
- ^ "Cell Culture". Retrieved 2006-04-19.
- ^ "Whonamedit - Ringer's solution". whonamedit.com. Retrieved 2014-06-09.
- ^ "Animals and alternatives in test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2-25. Retrieved 2006-04-19.
- ^ Schiff J (February 2002). "An unsung hero of medical research". Yale Alumni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1-14. Retrieved 2006-04-19.
- ^ Voigt N, Pearman CM, Dobrev D, Dibb KM (September 2015). "Methods for isolating atrial cells from large mammals and humans".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86: 187–98. doi:10.1016/j.yjmcc.2015.07.006. PMID 26186893.
- ^ Louch WE, Sheehan KA, Wolska BM (September 2011). "Methods in cardiomyocyte isolation, culture, and gene transfer".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51 (3): 288–98. doi:10.1016/j.yjmcc.2011.06.012. PMC 3164875. PMID 21723873.
- ^ Hemeda, H., Giebel, B., Wagner, W. (2014년 2월 16일) 간엽성 간질 세포 배양에 대한 인간 혈소판 용해액 대 태아 소 혈청 평가 p170-180호 doi.10.1016
- ^ "Post - Blog Boval BioSolutions, LLC". bovalco.com. Retrieved 2014-12-02.
- ^ "LipiMAX purified lipoprotein solution from bovine serum". Selborne Biological Services.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7-19. Retrieved 2010-02-02.
- ^ Portela VM, Zamberlam G, Price CA (April 2010). "Cell plating density alters the ratio of estrogenic to progestagenic enzyme gene expression in cultured granulosa cells". Fertility and Sterility. 93 (6): 2050–5. doi:10.1016/j.fertnstert.2009.01.151. PMID 19324349.
- ^ Jaccard, N; Macown, RJ; Super, A; Griffin, LD; Veraitch, FS; Szita, N (October 2014). "Automated and online characterization of adherent cell culture growth in a microfabricated bioreactor". Journal of Laboratory Automation. 19 (5): 437–43. doi:10.1177/2211068214529288. PMC 4230958. PMID 24692228.
- ^ Humpel C (October 2015). "Organotypic brain slice cultures: A review". Neuroscience. 305: 86–98. doi:10.1016/j.neuroscience.2015.07.086. PMC 4699268. PMID 26254240.
- ^ Neimark J (February 2015). "Line of attack". Science. 347 (6225): 938–40. Bibcode:2015Sci...347..938N. doi:10.1126/science.347.6225.938. PMID 25722392.
- ^ Drexler HG, Dirks WG, MacLeod RA (October 1999). "False human hematopoietic cell lines: cross-contaminations and misinterpretations". Leukemia. 13 (10): 1601–7. doi:10.1038/sj.leu.2401510. PMID 10516762.
- ^ Drexler HG, MacLeod RA, Dirks WG (December 2001). "Cross-contamination: HS-Sultan is not a myeloma but a Burkitt lymphoma cell line". Blood. 98 (12): 3495–6. doi:10.1182/blood.V98.12.3495. PMID 11732505.
- ^ Cabrera CM, Cobo F, Nieto A, Cortés JL, Montes RM, Catalina P, Concha A (June 2006). "Identity tests: determination of cell line cross-contamination". Cytotechnology. 51 (2): 45–50. doi:10.1007/s10616-006-9013-8. PMC 3449683. PMID 19002894.
- ^ a b Chatterjee R (February 2007). "Cell biology. Cases of mistaken identity". Science. 315 (5814): 928–31. doi:10.1126/science.315.5814.928. PMID 17303729. S2CID 13255156.
- ^ Liscovitch M, Ravid D (January 2007). "A case study in misidentification of cancer cell lines: MCF-7/AdrR cells (re-designated NCI/ADR-RES) are derived from OVCAR-8 human ovarian carcinoma cells". Cancer Letters. 245 (1–2): 350–2. doi:10.1016/j.canlet.2006.01.013. PMID 16504380.
- ^ MacLeod RA, Dirks WG, Matsuo Y, Kaufmann M, Milch H, Drexler HG (November 1999). "Widespread intraspecies cross-contamin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rising at source".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83 (4): 555–63. doi:10.1002/(SICI)1097-0215(19991112)83:4<555::AID-IJC19>3.0.CO;2-2. PMID 10508494.
- ^ Masters JR (April 2002). "HeLa cells 50 years 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Nature Reviews. Cancer. 2 (4): 315–9. doi:10.1038/nrc775. PMID 12001993. S2CID 991019.
- ^ a b Dunham J, Guthmiller P (2008). "Doing good science: Authenticating cell line identity" (PDF). Cell Notes. 22: 15–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10-28. Retrieved 2008-10-28.
- ^ Nguyen HT, Geens M, Spits C (2012). "Genetic and epigenetic instability in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uman Reproduction Update. 19 (2): 187–205. doi:10.1093/humupd/dms048. PMID 23223511.
- ^ a b Lagziel S, GottliebE, Shlomi T (2020). "Mind your media". Nature Metabolism. 2 (12): 1369–1372. doi:10.1038/s42255-020-00299-y. PMID 33046912. S2CID 222319735.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Lagziel S, Lee WD, Shlomi T (2019). "Inferring cancer dependencies on metabolic genes from large-scale genetic screens". BMC Biol. 17 (1): 37. doi:10.1186/s12915-019-0654-4. PMC 6489231. PMID 31039782.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Vande Voorde J, Ackermann T, Pfetzer N, Sumpton D, Mackay G, Kalna G; et al. (2019). "Improving the metabolic fidelity of cancer models with a physiological cell culture medium". Sci Adv. 5 (1): eaau7314. Bibcode:2019SciA....5.7314V. doi:10.1126/sciadv.aau7314. PMC 6314821. PMID 30613774.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Cantor JR, Abu-Remaileh M, Kanarek N, Freinkman E, Gao X, Louissaint A; et al. (2017). "Physiologic Medium Rewires Cellular Metabolism and Reveals Uric Acid as an Endogenous Inhibitor of UMP Synthase". Cell. 169 (2): 258–272.e17. doi:10.1016/j.cell.2017.03.023. PMC 5421364. PMID 28388410.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Moore v.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1990) 51 C3d 120". Online.ceb.com. Retrieved 2012-01-27.
- ^ Hayflick L (September 1998). "A brief history of the mortality and immortality of cultured cells". The Keio Journal of Medicine. 3. 47 (3): 174–82. doi:10.2302/kjm.47.174. PMID 9785764.
- ^ "Worthington tissue guide". Retrieved 2013-04-30.
- ^ Qian L, Saltzman WM (2004). "Improving the expansion and neuronal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culture surface modification". Biomaterials. 25 (7–8): 1331–7. doi:10.1016/j.biomaterials.2003.08.013. PMID 14643607.
- ^ Maguire G (May 2016). "Therapeutics from Adult Stem Cells and the Hype Curve".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7 (5): 441–3. doi:10.1021/acsmedchemlett.6b00125. PMC 4867479. PMID 27190588.
- ^ a b Prieto D, Aparicio G, Sotelo-Silveira JR (November 2017). "Cell migration analysis: A low-cost laboratory experiment for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courses using keratocytes from fish scale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Education. 45 (6): 475–482. doi:10.1002/bmb.21071. PMID 28627731.
- ^ Discher DE, Janmey P, Wang YL (November 2005). "Tissue cells feel and respond to the stiffness of their substrate". Science. 310 (5751): 1139–43. Bibcode:2005Sci...310.1139D. CiteSeerX 10.1.1.318.690. doi:10.1126/science.1116995. PMID 16293750. S2CID 9036803.
- ^ Gilbert PM, Havenstrite KL, Magnusson KE, Sacco A, Leonardi NA, Kraft P, et al. (August 2010). "Substrate elasticity regulates skeletal muscle stem cell self-renewal in culture". Science. 329 (5995): 1078–81. Bibcode:2010Sci...329.1078G. doi:10.1126/science.1191035. PMC 2929271. PMID 20647425.
- ^ Chowdhury F, Li Y, Poh YC, Yokohama-Tamaki T, Wang N, Tanaka TS (December 2010). Zhou Z (ed.). "Soft substrates promote homogeneous self-renewal of embryonic stem cells via downregulating cell-matrix tractions". PLOS ONE. 5 (12): e15655. Bibcode:2010PLoSO...515655C. doi:10.1371/journal.pone.0015655. PMC 3001487. PMID 21179449.
- ^ Engler AJ, Sen S, Sweeney HL, Discher DE (August 2006). "Matrix elasticity directs stem cell lineage specification". Cell. 126 (4): 677–89. doi:10.1016/j.cell.2006.06.044. PMID 16923388.
- ^ Paszek MJ, Zahir N, Johnson KR, Lakins JN, Rozenberg GI, Gefen A, et al. (September 2005). "Tensional homeostasis and the malignant phenotype". Cancer Cell. 8 (3): 241–54. doi:10.1016/j.ccr.2005.08.010. PMID 16169468.
- ^ Levental KR, Yu H, Kass L, Lakins JN, Egeblad M, Erler JT, et al. (November 2009). "Matrix crosslinking forces tumor progression by enhancing integrin signaling". Cell. 139 (5): 891–906. doi:10.1016/j.cell.2009.10.027. PMC 2788004. PMID 19931152.
- ^ Tilghman RW, Cowan CR, Mih JD, Koryakina Y, Gioeli D, Slack-Davis JK, et al. (September 2010). Hotchin NA (ed.). "Matrix rigidity regulates cancer cell growth and cellular phenotype". PLOS ONE. 5 (9): e12905. Bibcode:2010PLoSO...512905T. doi:10.1371/journal.pone.0012905. PMC 2944843. PMID 20886123.
- ^ Liu F, Mih JD, Shea BS, Kho AT, Sharif AS, Tager AM, Tschumperlin DJ (August 2010). "Feedback amplification of fibrosis through matrix stiffening and COX-2 suppression".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90 (4): 693–706. doi:10.1083/jcb.201004082. PMC 2928007. PMID 20733059.
- ^ Wipff PJ, Rifkin DB, Meister JJ, Hinz B (December 2007). "Myofibroblast contraction activates latent TGF-beta1 from the extracellular matrix".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79 (6): 1311–23. doi:10.1083/jcb.200704042. PMC 2140013. PMID 18086923.
- ^ Georges PC, Hui JJ, Gombos Z, McCormick ME, Wang AY, Uemura M, et al. (December 2007). "Increased stiffness of the rat liver precedes matrix deposition: implications for fibrosi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93 (6): G1147–54. doi:10.1152/ajpgi.00032.2007. PMID 17932231. S2CID 201357.
- ^ Li L, Sharma N, Chippada U, Jiang X, Schloss R, Yarmush ML, Langrana NA (May 2008). "Functional modulation of ES-derived hepatocyte lineage cells via substrate compliance alteration". Annals of Biomedical Engineering. 36 (5): 865–76. doi:10.1007/s10439-008-9458-3. PMID 18266108. S2CID 21773886.
- ^ Semler EJ, Lancin PA, Dasgupta A, Moghe PV (February 2005). "Engineering hepatocellular morphogenesis and function via ligand-presenting hydrogels with graded mechanical compliance".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89 (3): 296–307. doi:10.1002/bit.20328. PMID 15744840.
- ^ Friedland JC, Lee MH, Boettiger D (January 2009). "Mechanically activated integrin switch controls alpha5beta1 function". Science. 323 (5914): 642–4. Bibcode:2009Sci...323..642F. doi:10.1126/science.1168441. PMID 19179533. S2CID 206517419.
- ^ Chan CE, Odde DJ (December 2008). "Traction dynamics of filopodia on compliant substrates". Science. 322 (5908): 1687–91. Bibcode:2008Sci...322.1687C. doi:10.1126/science.1163595. PMID 19074349. S2CID 28568350.
- ^ Dupont S, Morsut L, Aragona M, Enzo E, Giulitti S, Cordenonsi M, et al. (June 2011). "Role of YAP/TAZ in mechanotransduction". Nature. 474 (7350): 179–83. doi:10.1038/nature10137. hdl:11380/673649. PMID 21654799. S2CID 205225137.
- ^ "drug [email protected]". Nature.com. Retrieved 2013-03-26.
- ^ Duell BL, Cripps AW, Schembri MA, Ulett GC (2011). "Epithelial cell coculture models for studying infectious diseases: benefits and limitations". Journal of Biomedicine & Biotechnology. 2011: 852419. doi:10.1155/2011/852419. PMC 3189631. PMID 22007147.
- ^ Barrila J, Radtke AL, Crabbé A, Sarker SF, Herbst-Kralovetz MM, Ott CM, Nickerson CA (November 2010). "Organotypic 3D cell culture models: using the rotating wall vessel to study host-pathogen interaction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8 (11): 791–801. doi:10.1038/nrmicro2423. PMID 20948552. S2CID 6925183.
- ^ Mapanao, Ana Katrina; Voliani, Valerio (June 2020). "Three-dimensional tumor models: Promoting breakthroughs in nanotheranostics translational research". Applied Materials Today. 19: 100552. doi:10.1016/j.apmt.2019.100552. S2CID 213634060.
- ^ Cassano, Domenico; Santi, Melissa; D’Autilia, Francesca; Mapanao, Ana Katrina; Luin, Stefano; Voliani, Valerio (2019). "Photothermal effect by NIR-responsive excretable ultrasmall-in-nano architectures". Materials Horizons. 6 (3): 531–537. doi:10.1039/C9MH00096H. ISSN 2051-6347.
- ^ Edmondson R, Broglie JJ, Adcock AF, Yang L (May 2014).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in drug discovery and cell-based biosensors". Assay and Drug Development Technologies. 12 (4): 207–18. doi:10.1089/adt.2014.573. PMC 4026212. PMID 24831787.
- ^ Bhattacharya M, Malinen MM, Lauren P, Lou YR, Kuisma SW, Kanninen L, et al. (December 2012). "Nanofibrillar cellulose hydrogel promotes three-dimensional liver cell culture".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64 (3): 291–8. doi:10.1016/j.jconrel.2012.06.039. PMID 22776290.
- ^ DeRosa MC, Monreal C, Schnitzer M, Walsh R, Sultan Y (February 2010). "Nanotechnology in fertilizers". Nature Nanotechnology. 5 (2): 91. Bibcode:2010NatNa...5...91D. doi:10.1038/nnano.2010.2. PMID 20130583.
- ^ Hsiao AY, Tung YC, Qu X, Patel LR, Pienta KJ, Takayama S (May 2012). "384 hanging drop arrays give excellent Z-factors and allow versatile formation of co-culture spheroids".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09 (5): 1293–304. doi:10.1002/bit.24399. PMC 3306496. PMID 22161651.
- ^ Mapanao AK, Santi M, Faraci P, Cappello V, Cassano D, Voliani V (September 2018). "Endogenously Triggerable Ultrasmall-in-Nano Architectures: Targeting Assessment on 3D Pancreatic Carcinoma Spheroids". ACS Omega. 3 (9): 11796–11801. doi:10.1021/acsomega.8b01719. PMC 6173554. PMID 30320273.
- ^ Ghosh, Souvik; Börsch, Anastasiya; Ghosh, Shreemoyee; Zavolan, Mihaela (6 April 2021). "The transcriptional landscape of a hepatoma cell line grown on scaffold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BMC Genomics. 22 (1): 238. doi:10.1186/s12864-021-07532-2. PMC 8025518. PMID 33823809.
- ^ Simon EM (1988). NIH Phase I Final Report: Fibrous Substrates for Cell Culture (R3RR03544A) (PDF Download Available). ResearchGate. Retrieved 2017-05-22.
- ^ Tibbitt MW, Anseth KS (July 2009). "Hydrogels as extracellular matrix mimics for 3D cell culture".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03 (4): 655–63. doi:10.1002/bit.22361. PMC 2997742. PMID 19472329.
- ^ "Quickie Bird Flu Vaccine Created". Wired. Wired.com. Reuters. 2006-01-26. Retrieved 2010-01-31.
- ^ Gao W, Soloff AC, Lu X, Montecalvo A, Nguyen DC, Matsuoka Y, et al. (February 2006). "Protection of mice and poultry from lethal H5N1 avian influenza virus through adenovirus-based immunization". Journal of Virology. 80 (4): 1959–64. doi:10.1128/JVI.80.4.1959-1964.2006. PMC 1367171. PMID 16439551.
- ^ "NIAID Taps Chiron to Develop Vaccine Against H9N2 Avian Influenza".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AID). 2004-08-17. Retrieved 2010-01-31.
- ^ Rapanan JL, Cooper KE, Leyva KJ, Hull EE (August 2014). "Collective cell migration of primary zebrafish keratocytes". Experimental Cell Research. 326 (1): 155–65. doi:10.1016/j.yexcr.2014.06.011. PMID 24973510.
- ^ Lee J, Jacobson K (November 1997). "The composition and dynamics of cell-substratum adhesions in locomoting fish keratocytes". Journal of Cell Science. 110 ( Pt 22) (22): 2833–2844. doi:10.1242/jcs.110.22.2833. PMID 9427291.
- ^ Drugmand, Jean-Christophe; Schneider, Yves-Jacques; Agathos, Spiros N. (2012). "Insect cells as factories for biomanufacturing". Biotechnology Advances. 30 (5): 1140–1157. doi:10.1016/j.biotechadv.2011.09.014. PMID 21983546.
- ^ Hunt P, Robertson D, Weiss D, Rennick D, Lee F, Witte ON (March 1987). "A single bone marrow-derived stromal cell type supports the in vitro growth of early lymphoid and myeloid cells". Cell. 48 (6): 997–1007. doi:10.1016/0092-8674(87)90708-2. PMID 2435412. S2CID 31499611.
- ^ van den Berg-Bakker CA, Hagemeijer A, Franken-Postma EM, Smit VT, Kuppen PJ, van Ravenswaay Claasen HH, et al. (February 1993).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7 ovarian carcinoma cell lines and one granulosa tumor cell line: growth features and cytogene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53 (4): 613–20. doi:10.1002/ijc.2910530415. PMID 8436435. S2CID 6182244.
- ^ Lee YG, Korenchuk S, Lehr J, Whitney S, Vessela R, Pienta KJ (2001).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human prostatic cancer cell line: DuCaP". In Vivo. 15 (2): 157–62. PMID 11317521.
- ^ Ou D, Mitchell LA, Décarie D, Tingle AJ, Nepom GT (March 1998). "Promiscuous T-cell recognition of a rubella capsid protein epitope restricted by DRB1*0403 and DRB1*0901 molecules sharing an HLA DR supertype". Human Immunology. 59 (3): 149–57. doi:10.1016/S0198-8859(98)00006-8. PMID 9548074.
추가 정보
- Pacey L, Stead S, Gleave J, Tomczyk K, Doering L (2006). "Neural Stem Cell Culture: Neurosphere generation, microscopical analysis and cryopreservation". Protocol Exchange. doi:10.1038/nprot.2006.215.
- Gilabert JA, Montalvo GB, Artalejo AR (2006). "Rat Chromaffin cells primary cultures: Standardization and quality assessment for single-cell assays". Protocol Exchange. doi:10.1038/nprot.2006.294.
- Losardo RJ, Cruz-Gutiérrez R, Prates JC, Moscovici M, Rodríguez-Torres A, Arteaga-Martinez M (2015). "Sergey Fedoroff: A Pioneer of the Neuronal Regeneration. Tribute from the Pan American Association of Anatomy". International Journal of Morphology. 33 (2): 794. doi:10.4067/S0717-95022015000200059.
- MacLeod RA, Dirks WG, Matsuo Y, Kaufmann M, Milch H, Drexler HG (November 1999). "Widespread intraspecies cross-contamin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rising at source".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83 (4): 555–63. doi:10.1002/(SICI)1097-0215(19991112)83:4<555::AID-IJC19>3.0.CO;2-2. PMID 10508494.
- Masters JR (April 2002). "HeLa cells 50 years 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Nature Reviews. Cancer. 2 (4): 315–9. doi:10.1038/nrc775. PMID 12001993. S2CID 991019.
- Witkowski JA (July 1983). "Experimental pathology and the origins of tissue culture: Leo Loeb's contribution". Medical History. 27 (3): 269–88. doi:10.1017/S0025727300042964. PMC 1139336. PMID 6353093.
외부 링크
라이브러리 리소스 정보 세포 배양 |
- 알베르트 4th ed의 공통 세포주 표.
- 암세포 배양
- 세포 배양 표면의 진화
- 셀 라인 데이터베이스의 하이퍼텍스트 버전
- GE 의료 생명과학의 마이크로 캐리어 세포 배양 핸드북
- 세포 배양 응용 프로그램 - 처음부터 세포 성장에 이상적인 환경을 만들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노트 및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리소스입니다.
- 셀 컬처 기본기-세포 배양에 대한 입문서, 실험실 설정, 안전과 기본적인 세포 배양 프로토콜과 비디오 훈련을 포함한 무균 기술과 같은 주제를 차지하고 있다.
- 데이터베이스는 누구야 누가 셀 컬처와 관련 연구에.
- Coriell 세포 Repositories
- 단백질 정화 핸드 북 전략
- 도입 셀 컬처.이 webinar. 역사, 이론, 기본적인 기법 및 포유류의 세포 배양의 잠재적인 pit-falls을 소개한다.
- 국립 센터 세포 과학(해군 지휘 통제 시스템), 푸네 인도의 세포 lines/hybridomas을 위한 국가 보관소 등
- 공중 보건 영국, 공중 보건 영국 문화 Collections(ECA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