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31°58'39°N 35°00'35°E/31.9774°N 35.0097°E/ 31.9774; 35.0097
Page extended-protected

치비야 대학살

Qibya massacre
쇼샤나 작전
팔레스타인 페다인 반군보복 작전일부
이스라엘 학살 후 치브야 마을로 돌아온 팔레스타인 마을 주민들
Qibya massacre is located in Israel
Qibya massacre
치비야 학살 (이스라엘)
위치치비야, 서안 지구
좌표31°58'39°N 35°00'35°E/31.9774°N 35.0097°E/ 31.9774; 35.0097
날짜.1953년 10월 14일; 69년 전 (1953-10-14)
대상팔레스타인 민간인
공격형
박격포와 다이너마이트 공격
데스팔레스타인 민간인 69명
가해자 이스라엘 방위군 아리엘 샤론
모티프예후드 공격에 대한 보복

치비야 학살은 1953년 10월 아리엘 샤론 휘하의 이스라엘군이 요르단의 통제 하에 있던 요르단강 서안지구 치비야 마을을 공격해 팔레스타인 민간인을 살해한 보복 작전인 '쇼샤나 작전' 중 발생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69명 이상의 팔레스타인 [1]마을 주민들을 학살했으며, 이들 중 3분의 2가 여성과 [2]어린이들이었습니다.45채의 집과 학교, 모스크가 [3]파괴되었습니다.이번 공격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국경을 넘나드는 습격에 이어 일어난 것으로 이스라엘은 이스라엘 여성과 [1][4]두 자녀가 살해된 예후드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치비야 학살을 비난했습니다.

이 법은 미국 국무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그리고 [5]전 세계 유대인 공동체들에 의해 비난을 받았습니다.국무부는 이번 공습을 "충격적"이라고 표현하며, 1949년 정전협정과 관련한 다른 미준수 조치로 이스라엘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이전에 중단된 사실을 공개적으로 확인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배경

이 공격은 1949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시작된 이스라엘과 이웃 국가들 간의 국경 충돌의 맥락에서 발생했습니다.1949년 휴전선을 따라 무장을 했건 그렇지 않았건 간에 양측에서 침투가 빈번했습니다.요르단 강 서안 지역의 요르단 영토에서 들어온 많은 잠입자들은 무장하지 않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그들의 가족들과 다시 합류하려고 시도했습니다.1948-49년 동안, 대부분의 침입자들은 남겨진 농작물을 수확하고, 버려진 땅에 새로운 농작물을 심고, 상품을 회수하기 위해 국경을 넘었습니다.다른 많은 사람들은 오래된 마을이나 이스라엘 내부의 다른 곳에 재정착하거나, 친척들을 방문하거나, 단순히 그들의 버려진 집과 밭을 잠깐 보기 위해 왔습니다.그 후 몇 년 동안, 대다수는 농작물, 관개 파이프, 농장 동물, 혹은 정착민들의 소유인 다른 재산을 훔치거나 그들의 양떼를 방목하기 위해 왔습니다.베두인 의류와 같은 특정 물품들을 이스라엘에서는 종종 밀수하거나 우편물을 이용할 수 없었고,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사이에는 우편 서비스가 없었습니다.다른 사람들은 다른 아랍 국가들, 가장 자주 가자 지구에서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이르기 위해 이스라엘 영토를 통해 이동했습니다.대부분의 잠입자들은 무장하지 않은 사람들이었지만,[6] 1950년 이후 무장하고 단체로 온 사람들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요르단 교도소 인구의 절반은 이스라엘 영토로 돌아가거나 불법으로 들어가려다 체포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잠입한 것에 대해 제기한 불만 건수는 1952년 첫 9개월 동안 233건에서 1953년 같은 기간 동안 172건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공격 직전에이러한 현저한 감소는 요르단군의 [7]순찰 효율성 증가의 좋은 결과였습니다.1949년 6월부터 1952년 말까지 요르단 서안 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잠입자들에게 살해된 이스라엘인은 모두 57명으로 대부분 민간인이었습니다.1953년 첫 9개월 동안의 이스라엘 사망자 수는 [8]32명이었습니다.1950년 11월부터 1953년 11월까지 혼합정전위원회는 이스라엘의 공습을 [7]44차례나 비난했습니다.같은 기간 1949-1953년 동안 요르단은 이스라엘의 침공과 국경 간 폭탄 [7]공격으로 인해 629명이 사망하고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했습니다.베니키 [9]장군이 임의로 작성한 문서에 근거한 이 기간의 유엔 정보원은 두 가지[10][clarification needed] 추정치를 모두 낮춥니다.

공습이 시작되기까지 1년 동안, 이스라엘 군대와 민간인들은 많은 징벌적 원정을 감행하여 팔레스타인 마을들에 대한 기반시설과 농작물들의 파괴와 많은 민간인 사상자들을 야기시켰으며, 라트룬, 팔라메, 란티스, 칼킬리야, 키르벳 알 데이르, 키르벳 라스름 노팔, 키르벳 베이트 에민, 카타나, 와디 푸킨, 이드나,그리고 수리프가 가장 주목할 만한 [10]예입니다.한편 팔레스타인 게릴라의 이스라엘 공습은 계속됐습니다.지난 5월 말과 6월 초 2주 동안 이스라엘에서 팔레스타인 페다인의 4차례 습격으로 이스라엘과 요르단 [11]정부 모두 크게 우려했던 베이트 아리프, 베이트 나발라, 티라트 예후다, 크파르 헤스에서 3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습니다.

이스라엘 정부가 치브야 공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한 구체적인 사건은 1953년 10월 12일, 유대인 여성 수잔 키냐스와 그녀의 두 자녀가 그린 라인에서 약 10km 안쪽에 있는 이스라엘 마을 예후드에서 그들의 집에 던진 수류탄에 의해 사망한 사건입니다.이 공격은 처음에 [7]혼합정전위원회로부터 요르단에 대한 강한 비난을 받았습니다.이스라엘 정부는 즉각 팔레스타인 잠입자들이 살인을 저질렀다고 주장했습니다. 요르단 관리들은 이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고, 그들은 죄를 지은 당사자들을 체포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협력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모셰 샤렛은 나중에 "요르단 군단장 글럽 파샤는 야후드 공격자들을 [12]추적하기 위해 이스라엘에서 건너오는 블러드하운드 경찰을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한편, 몇 주 후, 11월 1일에 예루살렘의 아랍 지역에 공급하는 송전선을 폭파한 사람의 흔적을 따라 유엔과 요르단 팀을 돕는 동안, 스코퍼스 울타리로 연결된 선로는조사단에 파견된 이스라엘 조사관은 스코푸스 산 주변의 유대인 지역에 들어가 조사를 [7]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이스라엘은 처음으로 요르단의 지원 제안을 받아들였고, 범인의 흔적은 국경 너머 1400m 지점, 란티스 인근 도로까지 추적됐지만, 그곳은 말라버렸습니다.유엔 옵서버 팀의 조사는 누가 범죄를 저질렀는지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고,[13][14] 10월 14일 혼합 위원회의 요르단 대표는 강력한 언어로 이 행위를 비난했습니다.암만에 있는 아랍 군단 참모총장은 예루살렘으로 날아가 [10]국경에서 진행 중인 요르단 수사에 타협할 수 있는 보복 조치가 취해지지 말 것을 요청했습니다.

예루살렘의 전 타임 특파원 도날드 네프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벤 구리온은 이스라엘이 중동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아랍인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무력을 사용해야 했고, 이를 위해 자신의 보복 정책이 [15]계속되어야 한다고 강하게 느꼈습니다.

피냐스 라본 국방장관은 데이비드 벤구리온 총리와 함께 이 같은 지시를 내렸습니다.이스라엘의 선출된 통치 내각은 이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했고, 모셰 샤렛 외무장관은 그러한 징벌적 공습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전 심의에 관심이 있었지만, 그는 이 제안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고,[16] 그 결과를 듣고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어택

학살 이후 치브야로 돌아가는 팔레스타인인들

작전 직후 오후에 승인되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전달된 혼합정전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치브야 공습은 1953년 10월 14일 저녁 9시 30분경에 이루어졌습니다.그리고 이스라엘 정규군에서 약 의 대대 병력에게 점령당했습니다.나중의 자료에 따르면 이 부대는 130명의 IDF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7] 그 중 3분의 1은 101부대에서 왔다고 합니다.미국의 혼합정전위원회 위원장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250명에서 300명 사이의 이스라엘 군인들이 이번 공격에 [18]가담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이번 공습은 당시 IDF 소령이자 [19]101부대장이었던 아리엘 샤론 미래 이스라엘 총리가 직접 지휘했습니다.

공격은 이스라엘군이 마을 외곽에 도달할 때까지 마을에 대한 박격포 공격으로 시작되었습니다.이스라엘군은 방갈로르 어뢰를 동원해 마을 주변 철조망을 뚫었고, 요르단군의 개입을 막기 위해 도로를 뚫었습니다.동시에 최소 25발의 박격포탄이 이웃 마을 버드루스를 향해 발사되었습니다.이스라엘군은 동시에 3면에서 마을로 진입했습니다.IDF 병사들은 병사들과 마을 경비병들의 저항에 부딪혔고, 이어진 총격전에서 마을을 지키던 병사들과 경비병 10-12명이 사망하고 이스라엘 병사 1명이 가벼운 부상을 입었습니다.군인들은 주민들이 있는지 마을의 주택들을 철저히 점검하지 않았고, 군 공병대가 마을을 가로질러 수십 채의 건물들을 기동시키면서 수십 명의 민간인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새벽이 되자 작전은 완료된 것으로 여겨졌고, 이스라엘군은 [20]귀국했습니다.

아리엘 샤론은 나중에 자신의 일기에 자신이 치브야에 있는 아랍 군단 병력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썼습니다. '명령은 완전히 명백했습니다.치비야는 모든 사람들의 본보기가 될 것이었습니다.당시의 원본 문서에는 샤론이 직접 군대에 "최대의 살상과 재산상의 피해"를 달성하라고 명령한 것으로 나와 있으며, 작전 후 보고서에는 집에 침입해 수류탄으로 치우고 [21]총격을 가했다고 나와 있습니다.샤론은 이후 "집들이 비어있는 줄 알았다"며 폭발물을 터뜨리기 전에 모든 집을 점검했다고 말했습니다.그의 자서전 워리어(1987)에서 샤론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전 제 귀를 믿을 수가 없었어요.수술의 각 단계를 돌아보면서 무슨 일이 일어났어야 하는지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몇 년 동안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은 몇 개의 외딴 건물을 폭파하는 것 이상으로 성공한 적이 없었습니다.같은 예상이지만, 몇몇 아랍 가족들은 도망가기 보다는 집에 머물렀을 것입니다.그 큰 돌로 만든 집들 중 일부는 지하실과 뒷방에 숨어서 낙하산 부대원들이 들어가서 확인하고 경고를 외칠 때 조용히 있을 수도 있었습니다.그 결과 일어난 비극이 일어났습니다.

유엔 관측통들은 출입문 근처에서 시신을 관찰했고, 철거된 주택 문에 총탄 자국이 발견됐다며,[11] 이후 주민들이 화재로 인해 집에 머물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국제적 반응

10월 15일 오후 혼합정전위원회(MAC)의 긴급회의가 열렸고, 이스라엘-요르단 일반정전협정 제III조 2,62/항을 위반한 것으로 치브야 공격에 대한 이스라엘 정규군을 비난하는 결의안이 다수결로 [citation needed]채택되었습니다.

그 공격은 국제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비난을 받았습니다.미 국무부는 1953년 10월 18일자 회보를 내고 치브야에서 "사망자 가족들에 대한 가장 깊은 동정"과 함께 "책임자들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앞으로 [22]이러한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확신을 표명했습니다.국무부는 이번 공습을 "충격적"이라고 표현하며, 이스라엘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이전에 [23]중단된 사실을 공개적으로 확인하는 계기로 삼았습니다.이스라엘이 9월 18일에 통보한 대로, 원조는 이스라엘이 브낫 야코프 [24]다리 근처에서 진행중인 물 전용 작업과 관련하여 비무장지대에서 유엔과 협력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연기되었습니다; 그 장소는 이스라엘의 내셔널 워터 캐리어의 원래 취수 장소로 선택되었지만, 그렇게 될 것입니다.이 미국의 [25]압력에 따라 에셰드 킨로트에 있는 갈릴리 바다로 하류로 이동하게 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953년 10월 27일 결의안 100을 채택했습니다.11월 24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안 101을 통과시키고 "이 행동에 대해 가장 강력한 비난"을 표명했습니다.

이스라엘의 반응

작전으로 인한 국제사회의 항의는 이스라엘의 공식적인 답변을 요구했습니다.격론이 벌어졌고, 모셰 샤렛은 10월 16일 자신의 일기에서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정리했습니다.

이제 군대는 우리(외교부)가 이 문제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알고 싶어합니다.군과 외무부 관리들의 합동 회의에서, 우리는 군은 이 작전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이전의 사건들에 분노하고 복수를 추구하는 국경 마을 주민들은 스스로 작전을 수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그런 버전은 우리를 우스꽝스럽게 보이게 만들 것입니다. 어떤 어린이라도 이것이 군사 작전이라고 말할 것입니다.([26]1953년 10월 16일)

이 버전을 방송하면 이스라엘이 명백하게 "어리석은" 것처럼 보일 것이라는 샤렛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10월 19일 벤구리온이스라엘 민간인에 의해 공습이 이루어졌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했습니다.

이스라엘 정부보다 더 개탄스러운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무고한 피가 흘렀다...이스라엘 정부는 IDF의 600명이 이 행동에 참여했다는 터무니없고 환상적인 주장을 강력하게 거부하고 있습니다.우리는 수색 조사를 벌였고 치비야 공격이 있던 날 밤 단 한 명의 육군 부대도 기지를 떠나지 않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명백합니다.(David Ben-Gurion 총리 성명, ISA FM 2435/5)

같은 날 이스라엘 라디오 방송에서 벤구리온은 이스라엘 민간인들이 학살을 자행했다는 비난을 되풀이하며 대국민 연설을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유대인] 국경정착민들은, 대부분 난민들, 아랍 국가들의 사람들, 그리고 나치 강제 수용소의 생존자들로, 수년 동안 살인적인 공격의 표적이 되어 왔고, 대단한 억제력을 보여주었습니다.당연히, 그들은 정부가 그들의 생명을 보호할 것을 요구했고 이스라엘 정부는 그들에게 무기를 주고 그들이 스스로를 보호하도록 훈련시켰습니다.그러나 트란스요르단에서 온 무장세력은 일부 국경 정착촌 주민들이 인내심을 잃고 야후드에서 어머니와 두 자녀를 살해한 후 지난 주 살인조직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인 국경 너머 키비아 마을을 공격할 때까지 범죄행위를 멈추지 않았습니다.우리 모두는 어디든 피를 흘릴 때 후회하고 고통받고 있으며, 이스라엘 정부만큼 키비아에서 무고한 사람들이 보복 행위로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을 후회하는 사람은 없습니다.하지만 모든 책임은 트란스요르단 정부에게 있습니다. 트란스요르단 정부는 수년간 이스라엘 [27]국민들에 대한 자국 내 무장세력의 살인과 강도 공격을 묵인하고 조장해 왔습니다.

이스라엘 역사학자 아비 쉴라임은 공식적인 이스라엘 판본은 믿지 않으며, 이스라엘의 이미지 손상을 줄이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이것은 벤구리온이 본 나라의 이익을 위한 첫 번째 거짓말도 아니었고, 마지막 거짓말도 아니었지만 가장 [28]노골적인 거짓말 중 하나였습니다."

잡지 하올람 하제(HaOlam HaZeh)의 창간자이자 편집자인 우리 아브너리(Uri Avnery)는 자신의 [29]신문에서 치브야 대학살을 비난한 이유로 매복 공격을 당했을 때 두 손이 부러졌다고 진술했습니다.

결과.

Daniel Byman에 따르면, "논쟁의 여지가 있고, 잔인하며, 피비린내 나는" 공격이 효과가 있었고, 요르단이 1,000명 이상의 페다인을 [4]체포하고 국경 순찰을 강화하도록 이끌었습니다.

공격 이후 아랍 군단은 치비야 인근 국경지대에 군인들을 배치해 추가 침투를 막고 이스라엘의 추가 침공을 저지했습니다.국경을 따라 침입이 잠시 감소했습니다.

이 사건 이후 이스라엘은 민간인 표적에 대한 공격을 제한했습니다.관련자들의 책임을 추궁해 달라는 미국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샤론은 기소되지 않았습니다.101호기의 독립은 취소되었고 몇 주 후에 [30]완전히 해체되었습니다.

1954년 7월, 피냐스 라본 국방장관이 참모총장에게 한 말은, "여러분들은 가장 위대하고 성공적인 군사 작전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정치적 실패로, 결국 군사적 실패를 의미합니다.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치비야."[31]

참고 항목

원천

  • 지브 쉬프, 이스라엘 육군 렉시콘
  • 1953년 치비야 습격 사건 재검토:모셰 샤렛의 일기에서 발췌한 것

참고문헌

  1. ^ a b Ganin, Zvi (2005), An Uneasy Relationship: American Jewish Leadership And Israel, 1948–1957, Syracuse University Press, p. 191, ISBN 9780815630517
  2. ^ Shlaim, Avi (1999). The Iron Wall. Norton. p. 91. ISBN 0-393-04816-0.
  3. ^ 베니 모리스, 이스라엘의 국경전쟁, 1949-1956: 아랍의 침투, 이스라엘의 보복과 수에즈 전쟁 카운트다운,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93, pp. 258-9.
  4. ^ a b Byman, Daniel (2011). A High Price: The Triumphs and Failures of Israeli Counterterrorism. Oxford University Press. p. 22. Retrieved 14 October 2014.
  5. ^ Avi Shlaim (2001). The Iron Wall: Israel and the Arab World. W. W. Norton & Company. p. 91. ISBN 0-393-32112-6. The Qibya massacre unleashed against Israel a storm of international protest of unprecedented severity in the country's short history.
  6. ^ Benny Morris (1999). Righteous Victims. First Vintage Books. pp. 469–470. ISBN 0-679-42120-3.
  7. ^ a b c d e "S/635/Rev.1".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9 November 1953.
  8. ^ "Which Came First- Terrorism or Occupation – Major Arab Terrorist Attacks against Israelis Prior to the 1967 Six-Day W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06. Retrieved 2 August 2007.
  9. ^ 사령관 EH Hutchison USNR "Violent Truce: A Military Observer to the Arab-이스라엘 분쟁 1951-1955" 제XI장 분쟁 전체에 대한 조사 p. 90-100
  10. ^ a b c "S/636/Rev.1".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6 November 1953.
  11. ^ a b "S/PV.630".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7 October 1953.
  12. ^ 예루살렘 포스트, 1965년 10월 31일
  13. ^ 사령관 EH 허치슨 USNR "폭력적 휴전: 아랍-이스라엘 분쟁을 바라보는 군사적 관찰자" (HJKIMAC 의장 직무대행) 부록 B
  14. ^ 아비 쉴레임, 의 벽, pp 90–93
  15. ^ 도날드 네프, 수에즈의 전사들: 아이젠하워가 미국을 중동으로 진출시켰습니다.린든 프레스/사이먼 & 슈스터.뉴욕, 1981, 페이지 48–50):
  16. ^ 샤렛의 일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읽었습니다. '나는 라본에게 이 [공격]은 중대한 실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여러 선례를 인용하면서 보복 조치가 그들의 선언된 목적에 부합한다는 것이 결코 증명되지 않았다고 상기했습니다.라본은 미소를 지으며 자기 생각을 고수했습니다.벤 구리온은 내 견해를 같이하지 않았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1953년 10월 14일, 페이지 37) (2) '내가 그 행동에 반대했을 때 나는 그런 피바다를 조금도 의심하지 않았다는 것을 강조해야 합니다.저는 과거에 일상화된 행동 중 하나를 반대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만약 내가 그런 학살이 행해질 것이라고 원격으로 의심했더라면, 나는 진짜 지옥을 키웠을 것입니다.' (1953년 10월 16일, 44쪽), 이스라엘의 신성한 테러, AAUG Press, 매사추세츠 벨몬트, 제3판 1986년을 인용했습니다.
  17. ^ Morris, Benny (1993) 이스라엘 국경 전쟁, 1949–1956 아랍의 침투, 이스라엘의 보복 그리고 수에즈 전쟁 카운트다운.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ISBN 0-19-827850-0246페이지
  18. ^ Hutchinson, E.H. (1958) 폭력적 휴전: 1951-1955년 아랍-이스라엘 분쟁을 바라보는 군사적 관찰자 Devin-Adair Co.뉴욕.161페이지.
  19. ^ Creveld, Martin van (30 April 2015). Moshe Dayan. Orion. ISBN 978-1-78022-752-8.
  20. ^ Ariel Sharon – 전기: 1953년 보상법(Pe'ulot Tagmul) 2009년 9월 27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21. ^ 베니 모리스, 이스라엘 국경 전쟁, ibid. pp. 257-276. 특히 pp. 249,262
  22. ^ 국무부는 1953년 10월 18일 웨이백 머신(Wayback Machine)에서 2007년 8월 9일 성명서발표했습니다(Department of State Bulletin, 1953년 10월 26일, 페이지 552).
  23. ^ 뉴욕 타임즈, 1953년 10월 19일, 1:5, 인용, 스티븐 그린, 편을 들다: 호전적인 이스라엘과의 미국의 비밀 관계, 페이지 87
  24. ^ 스티븐 그린, 편을 들다: 호전적인 이스라엘과의 미국의 비밀 관계 p.80
  25. ^ Sosland, Jeffrey (2007) 협력 라이벌: Jordan River Basin SUNY Press, ISBN 0-7914-7201-9 p 70
  26. ^ 리비아 로카흐, 이스라엘의 신성한 테러, ibid.
  27. ^ 1953년 10월 20일 다바르가 보도하고 이스라엘의 성스러운 테러에서 리비아 로카흐가 번역한 바와 같이 ibid.부록 1
  28. ^ Avi Shlaim (2001). The Iron Wall - Israel and the Arab World (Updated edition 2014). Penguin Books. p. 97. ISBN 978-0-141-03322-8.
  29. ^ "Uri Avnery Bi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September 2007.
  30. ^ 베니 모리스, 정의로운 희생자들, 시온주의-아랍 분쟁의 역사 1881-2001, 퍼스트 빈티지 북스, 2001. p. 279. "Qibya 이후 IDF는 민간에서 군사 목표로 전환되었습니다.아랍 민간인 희생자 눈에 띄게 줄어 이스라엘의 무차별 보복에 대한 서방의 비난이 줄어들었습니다.하지만 이들은 규모와 화력 면에서 증가했습니다.요새화된 군영이나 경찰 요새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마을을 점령하는 것보다 더 많은 병력과 총이 필요했습니다."
  31. ^ Gil-li Vardia (2008). "'Pounding Their Feet': Israeli Military Culture as Reflected in Early IDF Combat History".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31 (2): 295–324. doi:10.1080/01402390801940476. S2CID 155047014.

추가열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