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pa (문자)
Koppa (letter)![]() | ||||||||||||||||||||||||||||||||||||||||||||||||
그리스 문자 | ||||||||||||||||||||||||||||||||||||||||||||||||
---|---|---|---|---|---|---|---|---|---|---|---|---|---|---|---|---|---|---|---|---|---|---|---|---|---|---|---|---|---|---|---|---|---|---|---|---|---|---|---|---|---|---|---|---|---|---|---|---|
| ||||||||||||||||||||||||||||||||||||||||||||||||
역사 | ||||||||||||||||||||||||||||||||||||||||||||||||
다른 언어로 사용 | ||||||||||||||||||||||||||||||||||||||||||||||||
관련 토픽 | ||||||||||||||||||||||||||||||||||||||||||||||||
캅파(Koppa, quoppa, 현대 숫자 기호: a)는 페니키아 콥(𐤒)에서 유래한 그리스 문자 중 하나이다.원래는 /k/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Kappa( ()를 사용하기 위해 알파벳 문자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모양이 바뀌긴 했지만 그리스 숫자 체계에서 숫자 기호(90)로 사용되고 있다.Koppa는 같은 이름의 키릴 숫자 기호(Koppa)뿐만 아니라 라틴어 Q의 근원이다.
알파벳
페니키아어에서는 qoph가 [q]로 발음되었고, 그리스어에서는 그러한 소리가[citation needed] 없는 qoph가 후모음 υ, ω, back 앞에 /k/로 대신 사용되었다.이 기능에서는 이탈리아어 알파벳으로, 궁극적으로는 라틴어로 차용되었다.그러나 /k/ 소리가 두 개의 중복 철자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koppa는 결국 그리스어에서 kappa(δ)로 대체되었다.그것은 기원전 [1]5세기까지 일부 도리아 지역에서 문자로 사용되었다.
The koppa was used as a symbol for the city of Corinth, which had the early spelling of Ϙόρινθος.
숫자
코파는 밀레시아 그리스 숫자 체계에서 계속 사용되었고, 그 값은 90이었다.시간이 지남에 [2]따라 모양이 바뀌었지만, 이 기능은 현대에까지 계속 사용되어 왔다.그리스 필기체 문자에서, Q자 모양 위에 닫힌 원(수기)이 있는 모양은 종종 옆면()이나
윗면()에서 깨졌다.이것들은 또한 초기 키릴 문자(ҁ)와 같은 숫자
기능을 가진 고딕()으로 차용된 형태이다.현대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유사해 보이지만 관련이 없는 문자 ч가 전자 대신 사용된다.마찬가지로 콥트 문자에서는 90을 나타내는 숫자로서도 같은 모양의 기호 is가 사용되고 있지만, 알파벳 문자로서는 이집트 민족으로부터 파생된 소리 값 /f/가 관련되지 않는다.이후 작은 글씨로 지그재그 선()
으로 바뀌었다.

타이포그래피
현대판 Koppa는 Z자형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단순한 기하학적 번개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단 부분이 오른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원래의 언리얼 형태를 연상시킵니다().
상단 암이 왼쪽으로 약간 구부러진 특징적인 모양()은 히브리 문자 라메데()
와 유사하며, 동일한 라메데 모양이 뒤집힌()
입니다.오래된 인쇄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른 변형으로는 오픈 언셜 형식()
에 기초한 도형이 있습니다.이 도형들 중 일부는 다른 그리스 숫자인 스티그마(Stimer)를 다른 글꼴로 인식한 것과 구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또한 Koppa는 때때로 소문자 "q", 대칭 대문자 "P" 또는 거꾸로 된 "5"로 대체되었다.
오명(digamma)과 삼피의 숫자 사용처럼, 현대의 인쇄 관행은 일반적으로 숫자 koppa의 [3]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컴퓨터 부호화
유니코드 문자 인코딩 표준(1993년 버전 1.1 이후)은 원래 Koppa에 대한 단일 코드 포인트만 가지고 있었는데, 이 코드 포인트는 대문자로 표시되었으며 글꼴 디자인에 따라 에피그래픽 또는 숫자 글리프에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소문자 형식은 버전 3.0(1999)[4][5]으로 인코딩되었습니다.원래의 닫힌 비문 형상에 특화된 두 번째 코드 포인트 쌍이 버전 3.2(2002)[4]에서 도입되었다.이것에 의해, 이전의 2개의 코드 포인트(U+03DE/U+03DF, δ)는 주로 숫자 글리프를 커버하게 되었습니다.
2010년 현재, 일반적인 컴퓨터 폰트에서의 이러한 코드 포인트의 적용 범위는 여전히 일관성이 없습니다.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글리프는 최근 폰트에서는 소문자 코드 포인트 U+03DF에 배치되지만, 오래된 폰트에는 문자가 전혀 없거나 그 위치에 닫힌 에피그래픽 형식의 버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반대로, 오래된 글꼴은 대문자 코드 포인트에 숫자 글리프가 있을 수 있지만, 새로운 글꼴에서는 이 위치가 몇 가지 덜 일반적인 글리프로 채워질 수 있습니다.특정한 대문자 숫자 코파에 대한 일관된 타이포그래피 전통이 없었기 때문에, 타이포그래피 작가 야니스 하랄람부스는 그것을 위한 두 가지 새로운 변형을 제안했고, 그 자신은 그것이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6]고 지적했다.그의 koppa와 유사한 세리프 버전이 무거운 곡선의 팔과 뾰족한 각도를 가진 소문자 형식과 함께 유니코드 코드 차트의 참조 문양으로 채택되었습니다.현재의 유니코드 글꼴 중 일부는 이러한 새로운 모양을 채택한 반면, 많은 글꼴 디자이너들은 유니셜과 같은 보다 전통적인 문양의 조합을 선택했습니다.라메드 모양의 것.[7]
프리뷰 | Ϟ | ϟ | Ϙ | ϙ | ||||
---|---|---|---|---|---|---|---|---|
유니코드명 | 그리스 문자 KOPA | 그리스어 작은 글자 KOPA | 그리스 문자 고풍스러운 캅파 | 그리스어 작은 글자 고풍스러운 코파 | ||||
인코딩 | 십진수 | 16진수 | 데크 | 16진수 | 데크 | 16진수 | 데크 | 16진수 |
유니코드 | 990 | U+03DE | 991 | U+03DF | 984 | U+03D8 | 985 | U+03D9 |
UTF-8 | 207 158 | CF 9E | 207 159 | CF 9F | 207 152 | CF 98 | 207 153 | CF 99 |
숫자 문자 참조 | Ϟ | Ϟ | ϟ | ϟ | Ϙ | Ϙ | ϙ | ϙ |
레퍼런스
- ^ Woodard, Roger D. (1997). Greek Writing from Knossos to Hom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0520-6.
- ^ Everson, Michael (1998). "On GREEK LETTER KOPPA" (PDF).
- ^ Holton, David; Mackridge, Peter; Philippaki-Warburton, Irene (1997). Greek: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modern language. London: Routledge. p. 105.
- ^ a b Unicode Consortium. "Unicode Character Database: Derived Property Data". Retrieved 2010-09-25.
- ^ Everson, Michael (1998). "Additional Greek characters for the UCS" (PDF).
- ^ Haralambous, Yannis (1999). "From Unicode to typography, a case study: the Greek scrip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6-15.
- ^ Nicholas, Nick. "Numera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8-05. Retrieved 2010-08-12.
추가 정보
- Powell, Barry B. (1991). Homer and the Origin of the Greek Alphabe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7157-0.
- Threatte, Leslie (1980). The Grammar of Attic Inscriptions. Berlin: Walter de Gruyter. ISBN 3-11-007344-7.
- Woodard, Roger D. (1997). Greek Writing from Knossos to Hom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0520-6.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