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파머 비즐리
R. Palmer BeasleyR. 파머 비즐리 | |
---|---|
태어난 | |
죽은 | 2012년 8월 25일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 | (76세)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다트머스 대학교 하버드 의대 워싱턴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휴스턴 텍사스 대학교 보건 과학 센터 |
로 알려져 있다. |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간암과의 인과관계에 관한 선구적 연구 |
수상 | 킹 파이살 국제상 (1985) 찰스 S.모트상 (1987) 마히돌 왕자상 (1999) |
과학 경력 | |
필드 | 의학, 역학, 공중보건 |
기관 | 휴스턴 보건대학원 텍사스 대학교 보건과학센터 |
박사학위 자문위원 | 맥스웰 핀란드 |
저명한 학생 | 우시펑 |
로버트 팔머 비즐리(Robert Palmer Beasley, 1936년 4월 29일 ~ 2012년 8월 25일)는 대만에서 B형 간염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던 의사, 공중 보건 교육자, 역학학자였다.그 연구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가 간암의 주요 원인이고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산모에서 영아로 분만 중에 전염된다는 것을 입증했다.Beasley와 그의 동료들은 또한 HBV 모유간 전염이 출산 후 예방 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이 때문에 세계보건기구는 1992년 HBV를 7번째 글로벌 백신으로 지정했다.[1][2]그는 후에 세계보건기구의 HBV 면역 정책의 저자가 되었다.[3]
비즐리는 또한 공중보건교육의 권위자였다.1987년부터 2004년까지 휴스턴(UTHealth) 공중보건학교(UTSPH)에서 텍사스 대학교 보건과학센터 학장을 지냈다.[4]이 기간 동안 그는 현재 Herbert L이 이끌고 있는 전염병 센터를 설립했다.전염병 전문가 듀폰트.비즐리와 듀퐁은 국제 프로그램을 설립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책임져 왔다.
그의 당당한 태도 동안, 비즐리는 외국 공중 보건 학교들(예: 시안 자오퉁 대학)을 도와 그들의 공중 보건 석사 프로그램을 설립했다.2003년에 그는 사스 전염병 조사를 돕기 위해 중국과 대만을 여행했다.[5]
수상
그의 경력 동안, 비즐리는 1985년 킹 파이잘 국제 의학상,[6] 찰스 S상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상과 상을 받았다. 1987년 모트상,[7] 1999년 마히돌 왕자상,[8][9] 2000년 대만 국민건강훈장 제1훈장,[10] 2010년 B형간염재단의 저명한 과학자상,[11][12] 최근에는 국립감염병재단으로부터 2011년 맥스웰핀란드상까지 수상하였다.[10]
조기생활과 교육
비즐리는 1936년 4월 29일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에서 로버트 세스 비즐리와 버니스 팔머 비즐리 사이에서 태어났다.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은행가였고, 어머니는 강사였다.팔머 비즐리와 그의 남동생 브루스 밀러 비즐리는 공립학교에 다녔다.브루스 비즐리는 현재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살고 일하는 추상적인 표현주의 조각가다.[10]
팔머 비슬리는 1958년 다트머스 대학에서 인과응보를 집중적으로 받으며 철학 학사학위를 받았다.그는 하버드 의대에서 의학을 공부했는데, 그곳에서 맥스웰 핀란드의 학생이었고 1962년에 졸업했다.의대를 졸업하자마자 그는 시애틀의 킹 카운티 병원에서 인턴을 했다.1963년부터 1965년까지 그는 애틀랜타의 전염병 정보국에서 일했다.비즐리는 1965년 워싱턴 병원에서 레지던트를 시작하기 위해 시애틀로 돌아왔고 1967년 워싱턴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4학년이 되었다.[13]
학력
1969년부터 1986년까지 비즐리는 워싱턴 보건사회 의과대학에서 조교수, 그 후 부교수, 당시 역학과의 예방의학(내과 부속) 전 교수로 재직했다.1979년 그는 대만 타이베이에 있는 미국 대학 의료 센터(AUMC) 소장이 되었다.1986년부터 1987년까지 비즐리는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UCSF)의 의학 교수 겸 에이즈 및 만성 바이러스 감염 부서장으로 재직했다.1987년 휴스턴(UTHealth) 공립보건학교(UTSPH)의 텍사스대 보건과학센터에서 딘의 직책을 맡았고, 2004년까지 학장으로 재직했다.2005년 데스피크에서 물러나 2012년 8월 25일 사망할 때까지 UTHealths School of Public Health에서 애쉬벨 스미스 교수, 국제훈련연구센터(CITAR) 소장, 딘 에미리투스 교수를 지냈다.[13]현재 CITAR은 주로 베트남, 태국, 중국 등 아시아권 유학생을 유치해 강좌와 세미나에 참석시키고 감염요원에 의한 HIV/AIDS와 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4]
B형 간염 연구
B형 간염에 대한 비즐리의 연구는 1972년부터 1986년까지 대만에서 진행되었다.비슬리는 B형 간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기 전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초대 학장이자 워싱턴 공중보건대학의 설립자였던 토마스 그레이스턴과 함께 대만에서 풍진(풍진)에 대해 연구했으며, 그 효능에 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워싱턴대학교(UW)의 부총장이 되었다.풍진 백신을 접종한 비슬리는 "감염병 문제는 소아마비, 천연두, 홍역이 통제된 후에도 여전히 미수치 상태였던 사람들 중 가장 중요해 보이는 것"으로 간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5]
1964년 바루치 사무엘 블룸버그는 호주 원주민의 혈액에서 B형 간염에 대한 표면 항원을 발견했고 그의 팀과 함께 검사 검사를 개발했다.1974년 블럼버그는 이 발견으로 노벨상을 받았다.[16]아보트 연구소는 그 후 B형 간염의 표면 항원을 검출하기 위해 보다 민감하고 구체적인 방사성임문검사 기술을 개발했다.
비즐리는 이 기술이 B형 간염에 대한 그의 역학 연구에 새로운 도구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흥분했다.[15]당시 B형 간염은 혈액(수혈, 주사, 혈액제제, 부주의한 바늘봉)에서만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그러나 그에게 중요한 의문이 떠올랐다. "현대 기술이 등장하기 전에 바이러스가 어떻게 옮겨졌는가?"[15]
그는 "인간의 역사에서 수혈은 비교적 최근 일이기 때문에 그 전에 이 요원이 자연에서 어떻게 전염됐느냐"고 물었다.비즐리는 "궁금한 표정을 많이 지었다"고 말하지만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았다."나는 그것이 사람들 사이에 피가 공유되는 자연에서 가장 흔한 방법이기 때문에 그것이 엄마에서 아기에게로 전달되지 않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제안했다.그 가설로 나는 대만에 갔고, 애벗 연구소 실험으로 타이베이에 있는 병원 산부인과 병원의 산부인과에서 산부인과 임산부를 검진하고 탐지하기 시작했다.몇 달 만에 대만 산모들의 20% 가까이가 B형 간염 보균자라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 이는 놀랄 정도로 높은 비율이라고 말했다.이 수치는 미국에서 1% 미만의 비율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이들 산모들의 약 40%가 감염되었다"고 비슬리는 말했다.[15][17]
그 후 비즐리는 "E" 항원이 어미에서 새끼로 수직 전달을 위한 좋은 예측 변수임을 보여주었다.[18]이러한 관찰은 B형 간염 면역 글로불린(HBIG)이 신생아들의 산모로부터 수직으로 전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가설에 대한 새로운 임상실험으로 이어졌다.비즐리와 그의 팀은 출생 후 몇 시간 이내에 HBIG를 받는 아기들은 보호되는 반면 24시간 후에는 HBIG를 받은 아기들은 보호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HBIG는 출생 후 몇 분 이내에 모든 신생아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정제되었다.감염 발생률이 약 75%[19] 감소했기 때문에 결과는 놀라웠다.
동시에 비즐리는 B형 간염이 간암을 일으킨다는 가설을 시험해 보려고 했다.하지만, 그는 "거의 모든 사람들에 의해 엄청난 회의론에 부딪혔다" 그리고 "사람들은 내가 미쳤다고 말하고 있었다"[15]고 말했다.당시 개념은 간암의 원인이 이미 아프라톡신이라고 알려져 있다는 것이었다.1975년부터 시작된 '암과의 전쟁'이 시작되면서 암 연구의 주요 초점은 환경적 요인에 있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즐리는 B형 간염과 간암 사이의 연관성을 시험하기 위한 최초의 큰 코호트 연구 중 하나를 설계함으로써 논란이 되고 있는 그의 가설을 추구했다.공동 조사자인 황루유와 대만 조사단과 함께 1974년부터 공무원 2만2000여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현재까지 이들을 추적했다.그 장기 연구 결과 만성 HBV 감염자가 비 HBV 감염자보다 간암에 걸릴 위험이 60배 높았고,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감염된 남성은 40%, 여성은 15%로 나타났다.[20]간암과 HBV 보균자 사이의 연관성이 폐암과 흡연 사이의 연관성(즉, 20~25배)보다 더 강하다는 점에 주목했다.비슬리는 "누군가 본 상대적 위험 중 가장 높은 것 중 하나"라고 말했다.그러나 그는 "많은 사람들이 인과관계를 확립하려면 그 효과가 발생하는 그럴듯한 메커니즘을 해명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회의론은 여전했다"고 회고했다.[15]
1984년 대만에서 백신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 1997년 대만은 국가 보편적 신생아 예방접종 프로그램 채택 후 15세 미만 어린이의 간암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다고 보고했다.[10]1992년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HBV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돼 왔으며, 당시 주요 인체암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예방접종이었다.[10]2011년 7월말까지 전세계 179개국이 B형 간염 백신을 국가 예방접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용했다.[1]
비즐리의 연구와 그에 따른 다른 연구자들의 조사는 간염과 간암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증명했다.2005년에 HBV는 인간 암을 유발하는 58개의 알려진 물질 중 하나로 공식 인정되었다.[21]
허버트 L에 따르면 "비즐리 박사는 B형 간염의 역학 및 예방에 관한 연구를 통해 간경변과 간암으로부터 수많은 생명을 구했다"고 한다.듀폰 UTSPH 감염병센터장. "감염병 분야의 거인이다."[10]
듀크대 보건소 듀크아동병원 소아청소년과 명예의장인 새뮤얼 카츠는 "팔머가 14년간 대만에서 임상, 역학, 실험실 등 일련의 조사를 담당한 점이 가장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스펙트럼에 대한 충분한 이해이 연구들은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에 대한 인과관계를 포함한 바이러스학, 면역학, 전염, 임상적 발현 등을 규명했다.비즐리 박사는 "B형 간염 면역 글로불린(Globulin)이 감염, 특히 산모유아를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말했다.그의 종적 관찰은 대만 남성의 간세포암이 조기생명의 예방접종에 의해 예방되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입증한 것이었다.그 후의 연구에는 당시 새로 확인된 C형 간염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Katz는 쓰고 있다.[10]
Clad E에 따르면.비즐리와 함께 대만 연구에 참여한 전 워싱턴 대학교 제자인 스티븐스는 "비즐리 박사의 연구는 HBV 감염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효과적인 예방과 장기간의 결과를 전 세계적인 규모로 이끌어 간세포암과 간경변증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만들었다.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 개발 도상국의 상당 부분을 위한 죽음으로,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과거의 일이다.[10]
바루치 새뮤얼 블룸버그는 비즐리에게 2010 B형간염 재단의 저명한 과학자상을 수여한 시상식에서 "비즐리 박사의 연구가 없었다면 오늘날 적어도 100만 명의 사람들이 살아있을 것"이라고 말했다.[22]그 때, 로버타 T.네스 UTSPH 학장은 더 메디컬 뉴스에서 "B형 간염과 간암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비즐리 박사의 공헌이 수천 명의 생명을 구했다.그의 업적은 간암의 원인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백신 접종을 통해 해결의 선봉에 섰다."[23]
공중보건교육
Beasley는 거의 20년 동안 UTSPH를 공공보건학교연합(ASPH)에 대표했다.그 기간 동안 그는 현재 미국의 38개 공중 보건 학교의 대부분을 방문했고, ASPAS를 공중 보건 교육 위원회(CEPH)의 상담원/이사회 위원으로 대표했으며, 교육 위원회와 국제 보건 위원회를 포함한 ASPAS의 몇몇 주요 위원회들의 의장을 맡았다.그는 또한 ASPAS의 집행 위원회에서 재무부, 부통령, 그리고 후에 대통령으로 일했다.대통령으로서 그는 CEPH가 사용하는 인증 기준과 절차를 강화하고, MPH 수준 교육의 일환으로 실용성을 높이고, 공중 보건 전문가에 대한 자격 증명을 확립하고, 국립 보건원(NIH)과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에 대한 기금을 늘리고, CDC를 개혁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했다.학교 밖 조사원들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공공 보건의 외국 학교들과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한다.그는 많은 나라의 공중 보건 학교를 방문했고 ASPAS 총재로써 그는 공립 보건 국립 학교 설립을 통해 인도의 공중 보건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학교들이 협력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그는 또한 공공 보건의 여러 확립된 외국 학교(예: 런던 위생 및 열대 의과대학, 국립 대만 대학 보건대학원)와 진화 학교(예: 교토 대학)의 내부 고문을 역임했다.CEPH와 ASPAS에서의 그의 역할에서, 그는 미국의 모든 공중 보건 학교의 인증 서류를 검토했다.
2005년에 ASPAS는 UT와 Baylor 의과대학에 공동으로 FIC Framework 보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새로운 부서간 Global Health Program을 만들었을 때 국제 보건에 더욱 중점을 두었다.이 프로그램은 전세계 건강 문제에 대해 배우고 개발도상국에서의 경험을 찾기 위해 점점 더 많은 학생들과 교수진을 자극했다.
2005년 데스피크에서 물러난 뒤 비슬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글로벌 보건 연구와 훈련에 할애했다.2004년에 그는 존 E의 후원으로 CITAR을 만들었다. NIH 포가티 국제센터는 베트남에 처음 초점을 두고 HIV 연구와 관련된 대학원 수준의 숙련도를 원하는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훈련 초점을 제공한다.[24]2007년, 그는 국제 환경에서의 미국 학생들을 위한 여름 연구 인턴쉽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사생활
비즐리는 HIV와 HBV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로 UTSPH 역학 교수인 황루유 박사와 결혼했다. 그는 전혼의 자녀 2명과 황 박사와의 자녀 1명이 있다.
책들
비슬리는 헤아가 편집한 'B형 간염과 간암: B형, C형 간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이라는 책으로 국립과학원 의학연구소의 인구보건공중보건실천위원회 바이러스성 간염 감염 예방관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M. 콜빈과 아비가일 E.2009년에 출판된 미첼.[25]
죽음
비즐리는 췌장암과의 오랜 투병 끝에 2012년 8월 25일 텍사스주 휴스턴의 자택에서 사망했다.[26][27][28][29][30][31]
듀폰은 2012년 8월 27일 뉴욕타임스 부고에서 비슬리의 대만 선구적 작품에 대해 "아프리카를 알아내려는 알버트 슈바이처와 거의 같다.팔머 비즐리 같은 선배가 직접 그 전쟁을 치르고 살아간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매우 특이한 일이오."[26]
휴스턴 크로니클은 2012년 8월 27일 "파머 비즐리 박사가 간암, B형 간염을 연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라는 타이틀을 달았다.기사는 그가 "지금 우리가 B형 간염이라고 부르는 것이 세계에서 가장 잘 이해되지 않고 가장 절제되지 않는 전염병 문제처럼 보이며, 따라서 가장 중요한 국경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27]고 인터뷰 일부를 인용했다.
2012년 8월 29일자 대만의 일간지 리버티타임스는 '1984년 이후에 태어난 대만인들, 비즐리 박사님께 감사하다고 전해 달라'[32]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WHO Hepatitis B". Who.int. July 9, 2012. Retrieved August 28, 2012.
- ^ "JAMA Network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Development of Hepatitis B Vaccine". Jama.jamanetwork.com. Retrieved August 28, 2012.
- ^ R. Palmer Beasley, MD. "Hepatitis B Immunization Strategies"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Retrieved August 26, 2012.
- ^ "Office of the President – Leadership Timeline". Uthouston.edu. Retrieved August 28, 2012.
- ^ Mcneil, Donald G. (May 16, 2003). "The Outbreak – Number of Cases in Taiwan May Be More Than Reported".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August 28, 2012.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6, 2011. Retrieved April 11, 2010.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Happenings – The Scientist Magazine®". Classic.the-scientist.com. June 1, 1987. Retrieved August 28, 2012.
- ^ "Texas Medical Center NEWS". Tmc.edu. February 15,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3, 2013. Retrieved August 28, 2012.
- ^ Prince Mahidol Award Newsletter (Volume 2, Issue 1, July 2000). "Royal Speech by Her Royal Highness Princess Maha Chakri Sirindhorn on the Occasion of the Presentation Ceremony of the Prince Mahidol Award for the year 1999, with Dr. Adetokunbo Lucas of Nigeria and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in the United States, and Dr. Tore Godal of Norway" (PDF). Prince Mahidol Award Newslet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4, 2015. Retrieved August 23, 2012.
{{cite web}}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 a b c d e f g h The National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R. Palmer Beasley, MD – Recipient of the 2011 Maxwell Finland Award for Scientific Achievement" (PDF). The National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Retrieved August 23, 2012.[영구적 데드링크]
- ^ "B Informed" – The Newsletter of Hepatitis B Foundation (No. 58, Fall 2010). "Dr. R. Palmer Beasley Honored as Distinguished Scientist 2010" (PDF). The Hepatitis B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October 30, 2012. Retrieved August 23, 2012.
- ^ "ASPH Friday Letter #1604 – 15 January 2010". Fridayletter.asph.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13. Retrieved August 28, 2012.
- ^ a b R. Palmer Beasley. "R. Palmer Beasley, MD, MS Curriculum Vitae" (PDF). Th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Houston, School of Public Heal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18, 2011. Retrieved August 23, 2012.
- ^ Auto Draft. "CITAR-The UTSPH Program for Advanced Training on AIDS Research Database for Research Grants". Researchgrantdatabase.com. Retrieved August 28, 2012.
- ^ a b c d e f g "Epidemiology of Hepatitis B: From Carrier to Cancer". Washington.edu. May 10,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2, 2011. Retrieved August 28, 2012.
- ^ "Baruch S. Blumberg – Autobiography". Nobel Foundation. Retrieved August 28, 2012.
- ^ 비즐리 RP: 모유 수유를 통한 간염의 전염.N Eng J Med 1975;292:1354
- ^ Beasley RP, Trepo C, Stevens CE, Szmuness W.B형 간염 표면 항원의 e 항원과 수직 전달.Am J 역학 1977;105(2):94–98
- ^ 비즐리 RP, 황 LY, 린 CC, 스티븐스 CE, 왕 KY, 선 TS, 쉬 FJ, 즈무네스 W.B형 간염 바이러스 매개체 상태의 경막전송 중단 시 B형 면역 글로불린(HBIG) 효능무작위 이중 블라인드 위약 통제 재판의 최초 보고.란셋 1981;2(8243):388–393
- ^ 비즐리 RP, 황 LY, 린 CC, 치엔 CS.간세포암과 B형 간염 바이러스.대만 남성 2만2707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 연구.Lancet 1981;2(8256):1129–1133
- ^ "11th Report on Carcinogens". Ntp.niehs.nih.gov. June 9,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3, 2012. Retrieved August 28, 2012.
- ^ "Dr. R. Palmer Beasley Honored as Distinguished Scientist 2010". Hepb.webhealthyrecipes.com. Retrieved August 28, 2012.
- ^ "R. Palmer Beasley awarded Hepatitis B Foundation's Distinguished Scientist Award 2010". News-medical.net. January 9, 2010. Retrieved August 28, 2012.
- ^ Fogarty International Center. "Fogarty Grant: CITAR – The UTSPH Program for Advanced Training on AIDS Research – Fogarty International Center @ NIH". Fic.nih.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7, 2012. Retrieved August 28, 2012.
- ^ Heather M. Colvin and Abigail E. Mitchell, Editors. "Hepatitis and Liver Cancer: A National Strategy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Hepatitis B and C" (PDF). Institute of Medic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1, 2012. Retrieved August 23, 2012.
{{cite web}}
:author=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 ^ a b William Yardley (August 26, 2012). "R. Palmer Beasley, Expert on Hepatitis B, Dies at 76". New York Times (August 27, 2012). Retrieved August 27, 2012.
- ^ a b Terri Langford. "Dr. Palmer Beasley was instrumental in linking liver cancer, hepatitis B". Houston Chronicle (August 27, 2012). Retrieved August 27, 2012.
- ^ McClatchy Newspapers. "R. Palmer Beasley dies at 76; linked hepatitis B to liver cancer". Los Angeles Times (August 28,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9, 2012. Retrieved August 29, 2012.
- ^ Shon Bower. "UTHealth's Palmer Beasley, M.D., epidemiologist and infectious disease expert, dies at 76".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Houston (August 27, 2012). Retrieved August 30, 2012.
- ^ Carol M. Ostrom. "R. Palmer Beasley, whose UW research linked hepatitis B to cancer, dies at 76". The Seattle Times (August 30, 2012). Retrieved August 30, 2012.
- ^ "R. Palmer Beasley, hepatitis B expert, dies at 76". The Washington Post. The Washington Post (August 30, 2012). September 2, 2012. Retrieved August 31, 2012.
- ^ (沈政男(Shen Masao). "Those Taiwanese born after 1984, please say Thank You to Dr. Beasley". The Liberty Times (August 29,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8, 2012. Retrieved August 29, 2012.
외부 링크
- R. 팔머 비즐리의 CV
- UTSPH 휴스턴 40주년 심포지엄(2009년 10월 3일)에서 열린 R. 팔머 비즐리
- R. Palmer Beasley는 워싱턴 공중보건대학의 역사 프로젝트 인터뷰(2009년 12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