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A 라임베이(L3007)
RFA Lyme Bay (L3007)![]() 2020년 지중해의 RFA 라임베이 | |
역사 | |
---|---|
![]() | |
이름 | RFA 라임 만 |
네임스케이크 | 리메 만, 도르셋 |
주문된 | 2000년 12월 18일 |
빌더 | 스완 헌터 / BAE 시스템즈 |
눕다 | 2002년 11월 22일 |
시작됨 | 2005년 9월 3일 |
가동중 | 2007년 11월 26일 |
식별 | |
상태 | 현역으로서.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베이급 상륙함 선착장 |
변위 | 16,160 t (길이 15,905톤) 최대 하중 |
길이 | 579.4ft(제곱.6m) |
빔 | 86.6ft(26.4m) |
드라우트 | 19피트(5.8m) |
추진 | |
속도 | 18노트(33km/h; 21mph) |
범위 | 15kn(28km/h; 17mph)에서 8,000nmi(15,000km/9,200mi) |
보트 & 착륙 운반하는 공예 | 웰 데크에 LCU 1개 또는 LCVP 2개, 멕스플레코트 동력 래프트 |
역량 | |
군대 | 356 표준, 700 과부하 |
보완 | 60 |
무장을 |
|
운반된 항공기 | 일상적으로 운반하지 않고 임시 격납고를 장착할 수 있다. |
항공시설 | 치누크 크기까지 헬리콥터를 운용할 수 있는 비행 갑판 |
RFA 라이메 베이(Ryme Bay)는 영국 왕립함대 보조(RFA)의 베이급 보조 상륙함 부두(LSD(A)이다.2000년에 스완 헌터로부터 명령을 받은 이 배는 2005년에 취항했다.그러나 비용 초과와 지연으로 인해 조선업체는 프로젝트에서 제외되었고, 불완전한 선박은 BAE 시스템즈 해군 함정에 의해 마무리되기 위해 고반으로 견인되었다.Lyme Bay는 RFA에 합류한 마지막 배인 2007년 말에 취역했다.
설계 및 시공
베이 클래스는 RFA가 운항하는 라운드 테이블급 물류선의 대체선박으로 설계됐다.[1]이 새로운 디자인은 네덜란드와 스페인의 공동 프로젝트인 로테르담급과 갈리시아급 수륙양용 전함인 로얄 셸데 임페서(Royal Shelde Efpercer) 설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1]영국 선박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헬리콥터 격납고 부족이다.[2]당초 '보조상륙선 물류' 또는 ALSL로 지정됐으나 2002년 '상륙선박 부두(보조선박) 또는 LSD(A)'로 변경돼 운항 역할이 더 잘 반영됐다.[3]스완 헌터 2척과 BAE 시스템즈 해군 2척 등 4척의 배가 발주됐다.[1]
베이급 선박은 만재 배수량이 1만6,160톤(길이 15,900톤)이다.[1]각각 길이 579.4피트(176.6m)이며, 빔은 86.6피트(26.4m), 드러스트는 19피트(5.8m)이다.[1]추진력은 2대의 Wartsilae 8L26 발전기가 제공, 6,000마력(4.5MW), 2대의 Wartsilae 12V26 발전기가 9,000마력(6.7MW)을 제공한다.[1]이들은 두 개의 강력한 방위각 추진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며, 보우 추진 장치가 보완된다.[1]최고 속도는 18노트(33km/h; 21mph)이며, 베이급 선박은 15노트(28km/h; 17mph)에서 8000해리(1만5000km; 9200mi)의 사거리를 달성할 수 있다.[1]라이메베이는 30mm DS30B 대포 2문, Mk.44 미니건 4문, 7.62mm L7 GPMG 6문, Phalanx CIWS 2문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표준선박의 회사는 60명의 장교와 선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
봉인선박으로 라이메베이는 최대 24대의 챌린저 2호 전차나 150대의 경트럭을 1,150m의 공간에 실을 수 있다.[1]화물용량은 탄약 200t, 즉 20피트짜리 24개 단위 컨테이너에 해당한다.[1]정상 상태에서는 베이급 함선이 356명의 병사를 태울 수 있지만 과부하 상태에서는 거의 두 배인 700명을 태울 수 있다.[1]헬리콥터는 일상적으로 탑승하지 않지만 임시 격납고를 장착할 수 있으며 비행 갑판에는 멀린 헬리콥터와 오스프리 틸트로터 항공기는 물론 치누크 크기의 헬리콥터를 다룰 수 있다.[1][3]우물 선착장에는 LCU 마크 10 또는 LCVP 1개 또는 2개의 LCVP가 탑승할 수 있으며, 멕스펠로트 2개는 배의 측면에 매달릴 수 있다.[1][3]상부구조물과 비행데크 사이에 30톤급 크레인 2대가 장착돼 있다.[1]
2000년 12월 18일, 스완 헌터로부터 라이메 베이와 자매선인 라그스 베이가 명령을 받았다.[1]라임베이는 2002년 11월 22일 월젠드, 타인, 웨어에 있는 스완 헌터즈 조선소에 안치되었다.[1]이 배는 2005년 9월 3일에 취항했다.[1]베이 클래스 건설 프로젝트는 특히 프로젝트의 절반인 스완 헌터에게서 큰 지연과 비용 남발을 경험했다.[4]라그스 베이가 RFA에 넘겨진 직후, 스완 헌터는 2006년 6월 13일 수업을 전적으로 BAE가 책임지는 등 프로젝트에서 박탈당했다.[1][4]라이메베이는 완공을 위해 고반 소재 BAE의 조선소로 견인되어 7월 16일 출발하여 7월 22일 클라이드 강에 도착했다.[5][6]그 배는 타이네 강에 마지막으로 건조되었다.BAE는 공사를 완료하였고, 2007년 11월 26일에 Lyme Bay가 전용되었는데, 이것은 RFA 서비스에 입항한 클래스 중 마지막 배였다.[1]
운영이력
라이메 만은 바레인에 본부를 둔 페르시아만의 해상보안순찰대에 3년간 배치되어 연합군과 연합군의 지원 역할을 했다.2012년 6월, 라임베이는 바레인을 떠나 영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계획된 재장착과 재생 기간을 거쳤다.[citation needed]
2013년 8월, 그녀는 CUGAR 13 태스크 그룹에 가입했다.[7]2013년 10월 16일, 그녀는 소말리아에서 EU의 해적 퇴치 부대인 아탈란타 작전에 합류했다. 그녀는 11월 중순에 CUGAR 그룹에 다시 합류했다.[8]
Lyme Bay는 CUGAR 14 대응군 태스크 그룹 연습을 위해 배치되었다.[9]
2015년 6월과 12월 사이 이 배는 카리브해에서 허리케인 경계 근무를 서고 있었고, APT(북)에서는 볼 수 없었던 수륙양용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포트 앤 해양 레그트 RLC(Port & Marine Regt RLC) 소속 선원들과 함께 멕스페론테 및 전투지원보트(CSB)를 타고 있었다.이 기간 동안 815해군항공대대대의 234편에서 링스 HMA.8과 함께 다양한 기술력을 갖춘 로얄 마린스와 로얄 엔지니어 팀이 탑승했다.[10]9월에 그녀는 열대성 폭풍 에리카에 이어 도미니카에서 6일간 휴가를 보내 인도주의적이고 재난적인 구호 활동을 했다.[11]이를 통해 멕스페론은 차량 10대를 해안으로 이송하고 100톤의 물과 원조를 지원했으며, HADR 팀은 지역 주민들을 도왔다.허리케인 호아킨의 파괴적인 영향 이후 불과 몇 주 후 바하마에 의해 라이메 베이의 도움도 요구되었다.라임베이는 2015년 12월 애틀랜틱 순찰태스킹(북)을 마쳤다.[12]
라이메베이는 2016년 5월 19일 지중해 상공에서 추락한 이집트항공 804편의 수색과 복구를 도왔다.[13]
2015년 APT(북) 기간 중 멕스펠로테와 LSD(A)베이클래스 함정의 실제 능력을 입증한 17개 항만과 17개 항만·해양레지는 각각 LSD(A)와 멕스펠로테가 짝을 이룬 채 3년 배치를 확보했다.
팔마우스의 대규모 재장착은 2017년 후반으로 계획되어 있다.[14]라이메베이는 2018년 3월 8일 재장착과 해상재판이 끝난 뒤 함대로 복귀했다.[15]2019년 4월 RFA 라이메베이는 스코틀랜드 북서부 해안에서 연습 합동 전사에 19-1로 참가했다.[16]
라이메베이는 2021년 5월 바레인 HMS 주페어에서 작전 중인 9개 기뢰대책대대의 지휘함으로 부임했다.[17]
그녀는 2022년에 새 페인트칠을 할 예정이다.
인용구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Sunders (edd.), Jane's Fighting Ships 2008-2009, 페이지 876
- ^ 켐프, 새로운 영국 상륙함이 물 위로 떠오른다.
- ^ a b c 스콧, 영국 해군의 미래 함대
- ^ a b 브라운, 영국, LSD(A) 역할의 백조 사냥꾼 제거
- ^ 암스트롱, 타이네를 떠난 마지막 배
- ^ BBC 뉴스, 미완성 선박 클라이드에 도착
- ^ "Royal Navy sails for annual 'Cougar' deployment". Royal Navy. 9 August 2013. Retrieved 1 February 2016.
- ^ "UK Ship RFA Lyme Bay Joins EU Counter Piracy Naval Force off Somalia". EUNAVFOR Somalia. 21 October 2013.
- ^ "Royal Navy Task Force departs on Cougar 14". Royal Navy. 1 September 2014. Retrieved 1 February 2016.
- ^ "Royal Navy decoy flares light up Caribbean". Royal Navy. 27 July 2015. Retrieved 19 August 2015.
- ^ "RFA Lyme Bay receives praise from High Commissioner for Dominica Aid". Ministry of Defence. 8 September 2015. Retrieved 1 February 2016.
- ^ "RFA Lyme Bay home after successful Atlantic patrol". Royal Navy. 21 December 2015. Retrieved 1 February 2016.
- ^ "EgyptAir Jet Disappears Over Mediterranean Sea". Sky News. 19 May 2016. Retrieved 19 May 2016.
- ^ Barnicoat, David (9 March 2017). "A&P tender for part of a ten-year, £900 million MoD contract to repair and refit ships". Falmouth Packet. Retrieved 5 April 2017.
- ^ "RFA Lyme Bay returns to fleet". Retrieved 11 September 2019.
- ^ "Royal Navy Reports on Exercise Joint Warrior 19-1". Retrieved 11 September 2019.
- ^ https://twitter.com/rfacardiganbay?lang=en[bare URL]
참조
- 책들
- Saunders, Stephen, ed. (2008). Jane's Fighting Ships 2008-2009. Jane's Fighting Ships (111th ed.). Surrey: Jane's Information Group. ISBN 978-0-7106-2845-9. OCLC 225431774.
- 저널 기사
- Brown, Nick (13 July 2006). "UK strips Swan Hunter of LSD(A) role". Jane's Defence Industry. Jane's Information Group.
- Kemp, Ian (25 July 2003). "New UK landing ship takes to the water". Jane's Defence Weekly. Jane's Information Group.
- Scott, Richard (4 September 2003). "The Royal Navy's Future Fleet - Taking Shape". Jane's Defence Weekly. Jane's Information Group.
- 뉴스 기사
- Armstrong, Jeremy (18 July 2006). "Last Ship Leaves the Tyne". Mirror.co.uk. Retrieved 15 April 2011.
- "Unfinished ship arrives on Clyde". BBC News. 22 July 2006. Retrieved 15 April 2011.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IMO 9240768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