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족

Rai people
라이
राई
사켈라 축제에서 지얌타를 연기하는 라이보이
총인구
c. 110만
네팔 640,674[1]

인도 500,000 (위)[2][3]

부탄 18,000[4]
인구가 많은 지역
네팔:바그마티 주마데쉬 주에 있는 코시 주와 그보다 작은 숫자

인도:서벵골주 : 300,000 (추정)[5]
식킴: 77,954명 (2006년) 전체 식킴 인구의 13.04%
아쌈과 다른 북동부 주들은
비하르(Bihar): 수폴(Supaul)과 마데푸라(Madhepura) 구역의[7] 일부 마을

부탄: 주로 남부와 서부 지역
언어들
종교
주로:
67.6% 키라티즘 또는 애니미즘
기타 종교:
힌두교 27.5%, 기독교 5.3% (2011년)
관련 민족

라이족(Rai)은 키라트족에 속하는 민족 언어 집단이며, 주로 티벳-부르만어족 언어 민족입니다.[9]그들은 주로 네팔의 동부, 인도시크림 , 서벵골 주(주로 다르질링칼림퐁 언덕), 그리고 부탄 남서부에 거주합니다.[10][11]

낙충 또는 낙소래이족 무당
사켈라 우바울리 축제 카트만두의 라이우먼

집단으로 구성된 라이족은 네팔에서 가장 오래된 부족 중 하나입니다.그들은 네팔의 두드 코시타무르사이의 지역에 거주했습니다.그들은 현대의 키라트데쉬라고 불리는 그들의 나라가 네팔, 시킴, 서벵골에 퍼져있다고 주장합니다.[12]라이는 또한 "캄부" 라고도 알려져 있고 어떤 곳에서는 "지미" 혹은 "짐다르" 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짐"은 "땅"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그들이 땅을 소유하고 다른 부족들이 짐다르에게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그들은 그들의 전통적인 직업으로 동물 농장과 농업 식물을 시작했습니다.그들은 자연과 조상의 영혼을 숭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H.H. 리즐리는 라이족과 짐다르족을 캄부스족과 동의어로 취급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라이족은 캄부족과 짐다르족을 같은 민족 집단을 의미하는 동의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라이족은 키라티족의 지배적인 부족 중 하나이며, 네팔의 투쟁적인 부족입니다.그들은 고르카족의 침략에 대해 강력한 저항을 했다고 일반적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13]키란티 라이(Kiranti Rai)는 한때 상당한 권력과 영토를 소유했지만 네팔 정복 이후 프리스비 나라얀 샤(Prithvi Narayan Shah)에 의해 굴복한 언덕 부족입니다.[14]네팔의 동쪽 언덕의 키라티 통치는 1772년부터 1773년까지 고르카 왕국의 정복 이후 끝이 났습니다.[15]

지리적 분포

네팔

약 75만 명의 라이족은 네팔 동부에 주로 거주하고 있습니다.언어학자들은 최대 28개의 서로 다른 라이어를 발견했는데, 대부분은 서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16]

네팔 동부 지역의 서로 다른 라이 언어 집단의 분포 지역 1번 지역에는 호탕, 보즈푸르, 솔루캄부, 단쿠타, 산쿠와사바, 우데이푸르, 오할드헝가, 일람, 판흐타르 지역이 있습니다.

2011년 네팔 인구조사에 따르면 라이족은 마운틴/힐 야나자티족의 넓은 사회집단에 속합니다.[17]2011년 네팔 인구조사 당시 라이족은 620,004명(네팔 인구의 2.3%)이었습니다.라이족의 지방별 빈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족의 빈도는 다음 지역에서 전국 평균(2.3%)보다 높았습니다.[18]

인도, 부탄 및 기타 국가

라이는 서벵골시킴, 다질링, 칼림퐁, 쿠르성, 미리크, 두아르스 등 인도의 주에서 우세합니다.[19]라이는 시킴에서 가장 큰 단일 민족 공동체입니다.[20]라이족은 시킴의 남쪽, 서쪽, 동쪽에서 주로 발견됩니다.[21]많은 수의 Rai 또한 아삼과 다른 북동부 주, 부탄 왕국과 일부는 최근 영국, 홍콩, 미국 및 기타 국가로 이주했습니다.

역사

라이족 신화

라이족의 전통에 따르면, 키라티족의 첫 번째 조상은 코시 계곡의 바라하체트라 협곡을 통해 네팔의 동쪽 언덕으로 들어갔으며, 언덕이 많은 배후지와 평원을 구분하는 마하바라트 산맥을 통해 네팔로 들어오는 자연적인 관문이라고 합니다.[22][23]문둠에 따르면, 구전 역사에서 키라티 조상들은 "쿠왈룽"에서 나와 삽타코시의 작은 강을 따라왔다고 합니다.그들은 아룬강, 두드코시강, 손코시강, 타마코시강을 거쳐 마침내 보테코시 계곡에 정착했습니다.[24][25]

투와충 자야점 라이족 역사 순례지

키라티라이족의 신화에 따르면 키라티라이 문명의 조상은 키야마(Tayama)와 키마야(Khimaya)의 동생인 라이차쿨레(Raichhakule)라고 합니다.자매는 "투와충"에 살았고 형제는 헤일로시 동굴에 살았다고 여겨집니다.타야마와 키야마는 베틀 짜기에 능했습니다.그들은 직물의 선구자로 여겨집니다.타야마(Tayama)는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쿠, 토야마, 토마, 타야마, 탕와마, 자우마, 자우모, 다와, 까까 등의 언어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키야마는 키란티어로 케마, 키와마, 클루마, 클레모, 케와, 카우마, 로스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헤치하쿠파, 헤치하쿠와, 콕칠리파, 학칠립 등으로도 알려진 라이차쿨레(타야마와 키마야의 동생)는 키라티라이족의 문화사에서 농경시대의 시작으로 여겨집니다.[26][27][28][29][30]

네팔 동부 보즈푸르 지역의 살파 포카리(연못)와 실리충산

살파 포카리는 키라티라이의 기원이라고 여겨집니다.살파 포코리는 키라티 라이의 문화적 믿음의 중심이며, "살파"와 "리브리마"(살파 왕과 왕비)라는 신화와 관련이 있습니다.키라티라이는 이 조상 살파와 리브리마에게서 태어났다고 믿었습니다.살파 포코리는 키라티 라이족의 신화에 따르면 문화적, 종교적 관점에서 키라티 라이족 사이에서 매우 중요하고 인기가 많은 곳으로, 이곳은 키라티 라이족의 기원입니다.키라티 신화에 따르면 주공으로 알려진 실리중산이 '문둠'의 기원이라고 합니다.[31][32][33]

카트만두 계곡의 키라트 왕조

네팔은 키라티스 강에 의한 카트만두 계곡 정복으로 진정한 역사의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키라티스족은 네팔 동부에 거주하는 원주민들로, 자신들만의 행정구역을 설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그들의 족장 "얄룽" 혹은 "얄람바르"의 유능한 지도력 아래, 키라티스는 아히르 왕조의 마지막 왕인 부완 싱을 물리치고 카트만두 계곡을 그들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34]기원전 8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 1225년 동안 네팔을 통치했던 키라티 왕 29~32명을 포함한 긴 기간을 언급하는 여러 자료들이 있습니다.고팔 족보는 네팔을 통치했던 32명의 키라티 왕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른 족보들은 마지막 키라티 왕의 다른 이름들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고팔 족보에 따르면 네팔에서 리하비 왕정은 마지막 키라티 왕 '키구'를 물리치고, 언어-계보에 따르면 '갈리즈', 라이트 족보에 따르면 '가스티'를 물리치고 성립되었습니다.치아살은 키라티스와 리하비스의 최후의 전장입니다.서기 250년쯤.키라티의 통치는 카트만두 계곡에서 끝나고 키라티는 동쪽으로 이동했습니다.[35]카트만두 계곡의 키라티스와 키라티 시대의 역사와 관련된 고대 유적지로 치아살, 파탄두르바르, 파툭돈, 고카르나, 산코트, 비루팍샤, 랄릿푸르, 아카시 바이라브 등이 있습니다.[36]

동쪽의 키라트 왕국

역사학자들에 의하면 리치하비스는 카트만두에 승리만 거뒀다고 합니다.동부 국가의 다른 지역에서는 키라티의 통치가 아직도 유지되고 있습니다.카트만두 계곡에서 키라티스가 리하비스에게 패배한 후 키라티스는 작은 영토를 지배하며 점차 동쪽으로 이동했습니다.키라티스는 확장 과정에서 바네파, 둘리켈, 신두팔촉, 다라와란다, 돌라카, 차리코트에서 키라티합까지 확장되었습니다.[37]키라티차프에 요새를 짓고 다시 통치하기 시작했지만, 돌라카지리 "키라티차프"에 나오는 "키라트 써르사"처럼 신두팔촉 지역 돌라카에서 키라티 고대 유적 묘지의 많은 증거들이 발견됩니다.[38][39] 여러 민간 전승과 구전 역사에 따르면 리하비는 돌라카에서 키라티를 다시 공격하고 도망쳤다고 합니다.비옥한 땅을 추구하기 위해 일부 키라티스는 선코시 강을 따라 수누와르가 되었습니다.타마코시 강, 두드코시 강, 아룬 강, 타무르 강을 따라간 다른 사람들은 오늘날의 라이 강, 약카 강, 수누와르 강, 림부 강이 되었습니다. 여러 지역에 정착한 후, 키라티스는 적절한 '키팟', '그 지역'을 만들었고, 수세기 동안 키라티스는 동쪽 언덕들을 지배했습니다.지정학적 분열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3개의 키라티 주(키라트 인근), 마즈 키라트(미들 키라트), 팔로 키라토르(극동 키라트)가 탄생했습니다.[40]

키라트의 고르칼리 정복

1743년경 고르카의 왕 프리스비 나라얀 샤는 네팔 통일 운동을 시작하여 많은 작은 주들을 정복했습니다. 고르칼리스 또한 키라트 지역에서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41]역사학자들에 따르면, 네팔이 바네파에서 트리슐리 강과 키라트데쉬로 알려진 테스타주변에 의해 통일되기 전에, 키라트데쉬라는 영토로 알려진 프리스비니안 샤에 의해 네팔이 통일되었다고 합니다.프리스비나라얀 샤가 고르카 왕국을 확장한 시기의 증거를 살펴보면, 돌라카, 라메합, 신둘리가 왈로 키랏에, 선코시에서 아룬강 상류에 이르는 부분이 만지 키랏에 해당합니다.어퍼아룬아룬강에서 이스트테스타강에 이르는 지역은 팔로키랏에 속합니다. 서기 1768년 Prithvi Narayan Shah가 Dulikhel 국경지역(Wallo Kirat)을 침공했을 때,그 때에 둘리헬의 기랏 왕 차우갓 마힌드라 싱라이와 그의 형 남싱라이는 오랫동안 프리티비나라얀 샤의 거대한 군대와 용감하게 저항하고 싸웠습니다.[42][43]프리스비 나라얀 샤 국왕은 사르다르크리슈나 쿤와르를 팔로 키란트, 왈로 키란트, 마즈 키란트로 구성된 키란트 지역 침공에 투입했습니다.왈로 키라트와 마즈 키라트 지역 아래에는 많은 왕들과 세례자들과 요새들이 있습니다.그것은 책 "Mechi to Mahakali" Part-1 (Wallo Kirat) Okhaldhunga, 즉 붕남, 탈루와, 차남, 솔루, 틸풍, 치산쿠, 추플루 그리고 차우라스의 여덟 개의 엄지손가락 부분에 언급되어 있습니다.[44]마즈기랏에 있는 다른 요새들은 하투와, 차우단디, 무칼리, 할레시, 호테항, 쿨룸, 마즈와, 캄텔, 파마캄, 라와, 케필라스이며, 고할리스들은 왈로와 마즈기랏에 있는 모든 요새들을 차례로 정복했습니다.

프리티비 나라얀 샤가 키라트 지역을 정복했을 때.이 역사적 시기에 아룬강 건너편에 있는 하투와가 ḍ히(마즈 키라트)에서 왈링항이 왕이었습니다.하투와의 왕들은 칼사의 일부를 통치했습니다.현재의 칼사 지역은 붓다항왕이 통치하는 단쿠타 지역안키살라입니다.붓다항은 프리티비 나라얀 샤가 공격했을 때 사라졌습니다.샤 왕과의 전쟁 동안, 그는 그의 신의 힘을 이용하여 죽은 모든 키라티 전사들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45]1772년 8월 29일, 람 크리슈나 칸와르는 두드호코시 강을 건너 차우단디로 들어가 아브히만 바스냐트와 함께 키란트와 삽타리 지역을 침공했습니다.

숙련된 궁수였던 캄부 키라티 청년들은 화살로 모든 걸음마다 고르칼리 군대의 진격을 막았습니다.그들은 고르갈리 가문에 큰 손실을 입혔고, 그리하여 프리디비나라얀 샤는 수베달 시바 나라얀 가트리의 칭호를 받고, 지원군을 보내야 했습니다.라와 콜라의 차팀 라이와 파마캄의 아탈 라이는 두 명의 주요 캄부스 키라티가 이전에 효과가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고르칼리스의 활과 화살은 효과가 없었습니다.5개월 안에 고르칼리스는 라와, 할레시, 마주와, 쿨룸, 딩라를 점령하여 마즈 키랏의 구멍을 정복했습니다.[46]

문화

라이 커뮤니티에는 고유의 전통 문화와 의식이 있습니다.모든 Rai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같은 삶의 의식을 행합니다. 그러나 Rai 공동체에는 다른 장소에 살고 있는 의식과 의식에 약간의 변화가 있습니다.

'숲툴렁'에서 조상제사를 하는 라이족 '숲툴렁'은 라이 공동체의 모든 라이프사이클 문화제사 활동이 이루어지는 성지입니다.

결혼제도

라이 집단에서의 결혼은 단순히 부부 사이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관계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간주됩니다.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한, 그들은 그들의 부부 관계가 불안정하다고 생각합니다.결혼 후에, 그 여자의 집안은 변하지 않고, 남편과 함께 지내지만, 그 여자의 집안은 자녀들이 남편의 집안을 따르고 있습니다.일부일처제와 일부다처제의 관행은 모두 라이 사이에서 발견되지만, 일부다처제의 체계는 법적인 이유와 태도의 변화로 인해 크게 쇠퇴했습니다.

라이에서 발견되는 전통적인 중요한 결혼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초리 비하(절도 결혼):그것은 라이에 의해서 초리 비하라고 불립니다.만약 남자가 여자를 부모님께 알리지 않고 몰래 집에서 데려가 버리면 이를 '절도 결혼'이라고 합니다.이런 식의 결혼은 남녀가 연애결혼에서 발견되는 개인적인 관계가 오랫동안 발전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연애결혼'과는 조금 다릅니다.남자는 갑자기 여자를 좋아할 수도 있고, 여자는 눈치채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갑자기, 남자는 박람회나 시장 같은 어떤 행사나 모임에서 그녀를 만나면 그녀와 결혼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합니다.그런 경우, 만약 그녀의 친척이나 가까운 친구들 중 일부가 그녀에게 그 남자와 함께 도망치라고 권유한다면, 그녀는 확신하고 그 남자와 함께 갈 준비가 될 것입니다.

요즘 절도 결혼은 점차 '연애 결혼'으로 대체되고 있는데, 이 결혼은 관계가 있는 소년과 소녀가 누구의 영향이나 개입 없이 서로를 알기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두 당사자가 서로를 얼마나 좋아하고 싫어하는지에 따라 결혼을 결정하거나, 그냥 우정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중단할 수 있습니다.

b) 자리 비하(벌금을 내고 결혼):결혼을 목적으로 다른 남자의 아내를 동의 하에 데려가는 것을 라이 공동체에서는 자리 비하라고 합니다.이런 경우에는 여성의 새 남편이 앞선 남편에게 위약금으로 일정 금액의 현금을 지급합니다.

c) 센지 자리 비하 (과부 결혼):라이 공동체에서는 과부들이 결혼하는 것을 사회적으로 금지하지 않습니다.과부나 홀아비는 강제 결혼은 아니지만 결혼을 할 수 있습니다.이 혼인에서 과부의 장인이나 연로한 가족에게 가족을 잃은 보상금으로 일정한 위약금을 지급합니다.

d) 마지 비하 (중략결혼):결혼 준비는 남자 쪽과 여자 쪽 양쪽 가족의 상호 이해와 준비로 이루어집니다.그것은 마지 비하라고 불립니다.이번 결혼에서는 다가오는 신부인 소녀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47][48]

죽음의 의식

라이 공동체의 죽음은 그들의 통과 의식에서도 자연사와 부자연스러운 죽음으로 구분됩니다.자연사의 경우 사망자의 의사에 따라 시신을 매장하거나 화장합니다.그러나 부자연스러운 죽음의 경우에는 시신을 매장해야 합니다.죽음의 의식에는 자연사라면 많은 격식이 있지만, 부자연스러운 죽음의 경우에는 그러한 격식이 덜합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죽음은 사람을 악으로 만든다고 믿어지기 때문입니다.

아기가 치아가 자라기 전에 죽으면 장례식은 아주 간단하게 치릅니다.그러한 죽음은 나쁜 징조로 여겨지며 부자연스러운 죽음으로 분류됩니다.이 경우 오염 및 정화 의식은 당일에 완료됩니다.

임산부가 죽으면 죽칼로 하복부를 이등분하고 아이를 몸에서 떼어냅니다.어머니와 아이는 부자연스러운 죽음의 의식에 따라 각기 다른 매장지에 묻힙니다.오염과 정화 의식은 당일에 마칩니다.자연사의 경우 완전한 장례의식을 지키고 오염과 정화의식을 철저히 지킵니다. 라이 공동체 중에서는 사망 3일 후에 소금을 먹고 기름을 마시는 의식을 거행합니다.망파(샤먼)는 9일과 10일에 고인을 위한 공훈의식을 거행합니다.이 의식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쉬게 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 그렇지 않으면 죽은 사람의 영혼이 가족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고 믿습니다.[49]

가족 및 친족관계

Rai는 핵가족과 공동가족 모두에서 생활하는 관행을 가지고 있습니다.핵가족은 2세대가 함께 사는 반면 공동가족은 3세대 이상이 한 집과 부엌을 함께 쓰며 함께 살고 있습니다.보통 아들은 결혼 후 바로 헤어지지 않습니다.하지만 동생의 결혼 후에는 따로 살고 싶어할지도 모릅니다.부모의 재산은 별거 시 부모와 아들이 균등하게 분할합니다.

주로 세 가지 형태의 친족관계가 Rai들 사이에서 발견됩니다: i) 혈연에 의한 친족관계; 예를 들어 형제자매, ii) 혼인에 의한 친족관계; 예를 들어 장인, 처제 등, iii) 사회관계에 의한 친족관계; 예를 들어.미테리(특별한 의식 후에 맺어진 우정) 관계.

친족의 행위는 친족의 지위에 따라 다릅니다.어떤 친척들은 다른 친척들보다 더 존경스럽고, 반면에 어떤 친척들은 '장난 관계'에 있습니다.예를 들어, 아버지, 어머니, 삼촌과 고모는 존경스럽지만, 솔티 솔티니, 살리베나는 모두 농담을 하는 사이입니다.라이 공동체에서 사위와 며느리는 가족의 아들 혹은 딸로서 동등한 대우를 받습니다.

성별 문제 및 의사결정 절차

가족과 공동체에서 동등한 지위를 가진 남녀가 라이 사회에서는 성차별이 거의 없습니다.남자가 보통 가정의 가장이긴 하지만, 여자의 역할은 가정 문제에 대한 계획과 의사 결정에서 똑같이 중요합니다.남편은 아내가 없을 때는 거의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습니다.그들은 일반적으로 저녁 식사 후에 가족들의 일상적인 활동들을 집단적으로 계획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을 내립니다.

남편이 죽은 지 1년이 지나면 과부는 평상복을 입을 수 있습니다.과부나 홀아비는 복장에 제한이 없습니다.그들은 또한 재혼할 자유가 있지만, 결혼을 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과부나 홀아비의 희망에 달려 있습니다.결혼하지 않은 성인 여성은 가족 내에서 매우 강한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녀의 말은 모두 들립니다.

남성과 여성 가족 구성원들은 모든 종류의 활동에서 그들의 노동력을 공유합니다.그러나 몇 가지 경우는 예외입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 여성의 책임으로 간주되는 요리 식사 같은 경우입니다.하지만 여자들이 매우 바쁠 때는 남자들도 요리를 책임집니다.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밭을 경작하는 것은 남성들의 일로 여겨지지만, 미혼의 소녀들 또한 그들의 일에 남성들을 지원하기 위해 밭을 경작하는 것으로 발견됩니다.

복장 및 장식품

여성들.

라이족 여성들은 카디, , 양모, 알로네틀 식물로 홈스펀 천을 짜곤 했습니다.[50][51][52]

라이 여인들의 직조 그림

라이 여성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숄(무제트로,버키,탕도마)
  • 블라우스(cholo, yamlung)
  • sari (guniu, tamphay)
  • mekl
  • 허리밴드 하울(헴바리)
  • 허리띠 (파투키차치마)

부속품:

  • 모든 Rai-Kirati 여자들은 Khurpi (조각된 작은 칼)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돼지털 원형솔 (쿠치)
  • 악기(비나요 또는 동)
  • (Marchunga Dotengwa)
  • 헤어밴드(라차, 탕키)

여자들은 따끔따끔한 쐐기풀의 껍질로 만들어진 목화, 양모, 섬유로 만든 나무 직조 기계인 태닝 위에 자신의 옷을 짜냅니다.

  • Sirful, शिरफुल
  • Dhungri-Bulaki, ढुंग्री-बुलाकी
  • Chepteysun, चेप्टेसुन
  • Chandrahaar, चन्द्रहार
  • Naugedi, नौगेढी़
  • Renji Hari, रेजी/पैसाको हारी
  • Kalli,चाँदीको कल्ली
  • Balla, चाँदीको बाला,ठेका चुरा
  • Godawari, गोदावरी
  • Tariwoon, तारीवान्
  • Puwalo Mala, पुवालो माला
  • Jantar, जन्तर
  • Hansuli, हसुली
  • Dhajura-Pechuri, धजुरा-पेचुरी

남자들

레이먼들은 와치나리 말라(찌 구슬), 포틀룽(푸왈로 말라) 화관, 동물 이빨 목걸이를 착용합니다.남성 드레스는 헤드기어(페타, 파가리, 사야붕)로 구성됩니다.베테붕 셔츠(dawm; lockchham); 팬트(suruwal; langsup); 따끔따끔한 쐐기풀 식물 섬유로 만든 민소매 코트(chakchha; fenga); 허리띠(narimokty); (patuki, chakchinma), 큰 칼(khukuri, dabhay).[53]

종교

Rai는 고대부터 Kirat 종교를 따라왔습니다.키라트 종교는 동물적인 본성과 조상 숭배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라이는 천국이나 지옥을 믿지 않습니다.종교적 위계질서는 없습니다.Kirati Rai는 Nakchong, Mangpa, Bijuwa, Nakso를 종교 의식에 참여시킵니다.그들의 최근 역사 동안, 라이족은 그들이 접촉했던 주요 종교들로부터 그들 자신의 부족 전통을 포기하지 않고 점점 더 많은 요소들을 라마교 불교나 네팔 힌두교로부터 빌려오고 있습니다.[54]

섭툴룽: 신성한 예배 장소

섭툴룽/삼할룽:십대 출라똥가, 라이족의 3대 석축 신성한 예배 장소

십대출라 또는 출라똥가 "돌을 만든 세 개의 난로" 다야훌룽 또는 섭툴룽이라고 불리는 중심부는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행해지는 모든 의식 또는 의식이 십대출라 '섭툴룽'에서 행해집니다. 모든 라이의 주요 신은 '십대출라'입니다.세 개의 난로가 집을 돌로 만들어 놓았습니다."Lu 또는 Lung이라는 용어는 돌을 가리키기 때문에 Lu 또는 Lung과 같은 접미사는 집에 있는 오븐의 대부분의 이름인 Taplelung, Suptulung, Mayalung, Ghewalung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출생의 올바른 시작부터 거의 모든 것이 틴 출라 없이 성스러운 틴 출라에서 행해집니다. 어떤 의식도 할 수 없습니다.라이 문화에서 틴 출라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일상 생활에 들어갈 수 있는 관문입니다.[55]Rai의 모든 집에는 'Teen Chula'가 있습니다.그것은 집의 안쪽 구석 한 쪽에 묻혀 있습니다.Dash Rai Dash Basa Ek Chula "모든 10개의 다양화된 라이의 동일한 10개의 10개의 10개의 10개의 10개의 10개의 10개의 10개의 10개의 '타르'만이 있다고 믿어지지만 나중에 Rai는 많은 '타르'의 하위 그룹으로 나뉘게 됩니다. 틴 출라(Suptulung)는 Rai의 부족 정체성이며 하나의 민족에서 분화된 키라티 라이의 통합의 상징입니다.ic가족[56]반타와 라이 방언으로 삼할룽이라고도 알려진 틴 출라 "삼카"는 조상을 의미하고 "룽"은 돌을 의미합니다.삼할룽은 주석 세 개와,

  1. 파파룽: 남성 조상을 상징하며,
  2. 마마룽: 여성 조상을 상징하며,
  3. 라미룽: 사회의 정신적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틴 출라는 라이족들이 가장 중요한 성지로 여기는 곳입니다 틴 출라는 라이족의 죽은 영혼의 조상들이 이 곳에서 살고 있는 사후의 신성한 장소입니다.라이의 독특한 독창적 정체성으로 틴 출라 철학(세 가지 지식 관점)[57]

민속신과 여신

키라티 라이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가정신자연신을 숭배하는 애니미스트입니다.

Sumnima-Paruhang 원형의 원생 여성이자 원생 키라티 라이의 최고 신은 Sumnima-Paruhang입니다.섬니마는 대지(대자연)라고 믿어지는 여성 여신이고 파루항은 하늘의 신이라고도 알려진 남성 신입니다.

키라티 라이는 섬니마와 파루항에게 조상신이자 여신으로 숭배합니다.'헝캄마'라고도 불리는 섬니마와 '니남마' 하늘의 신 파루항.섬니마는 파루항의 아내인 최고의 여성 신입니다. 그녀는 땅과 조상의 어머니를 나타냅니다.파루항은 최고의 남성 신이며 섬니마의 남편이며 꽃의 군주입니다.섬니마-파루항은 창조자, 수호자, 유지자의 신이자 라이족의 여신입니다.그러므로 이 존경받는 신과 여신을 시바(힌두교의 파괴자 신)와 파르바티(시바의 수호자)와 동일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요즘 라이 문학에서는 이것이 단순히 덜 알려진 라이 믿음 체계의 힌두교화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58][59][60]

라이무교

네팔 동부 라이 샤먼

라이 무속은 라이족처럼 다양하지만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양한 무속 전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동네팔의 라이족은 다양한 하위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고유한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공통된 언어적, 문화적 유산을 공유하고 있습니다.림부어와 함께 키라티라이어족은 티벳-부르만어의 하위 집단인 키란티어족에 속합니다.문화적으로 라이족은 힌두교와 티베트 불교 모두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러한 영향은 샤머니즘적 특징이 여전히 두드러지는 조상 전통에 미미하게 영향을 미쳤을 뿐입니다.[61]

문덤

"문둠"은 라이족들 사이의 구전 전통이며, 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오래되고 고대의 의례적인 관습이기도 합니다.문둠은 또한 "리둠", "무덤" 또는 "펠람"으로 불립니다.말 그대로 '무나'는 '사람'을, '덤'은 '말'을 뜻하는데, 사람을 말하는 것, 또는 구술을 말하는 것을 '문덤'은 구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mundum이라는 용어는 네팔어 사용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mundhum으로 발음됩니다.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에서 mundhum이라는 용어를 기록했습니다.mundum의 /dh/ 소리는 많은 kirati 언어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다른 키라티어족 언어에서 발견된다면, 종종 차용음입니다.그러므로 mundhum이라는 용어는 네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그래서, 토착어는 "mundhum" 입니다.이 경우, 폐포가 네팔어의 영향일 수도 있기 때문에 치과용 흡인식 /dh/로 바뀌기 때문에 mundum이라는 용어가 mundhum으로 바뀝니다.[62]개념은 동일하지만, mundum이라는 용어는 라이의 다른 하위 그룹들 사이에서 다른 변형을 가지고 있습니다.키라티 의식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해온 가엔즐(Gaenszle, 2002: 40-42)은 이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하고 다양한 용어를 수집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족 씨족

라이는 독특한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공동체는 "타르"라고 불리는 다양한 하위 부족들로 나뉘어져 있는데, 모두 그들만의 독특한 언어나 방언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이를 다양한 하위 부족들로 나누는 것은 전통의 본질이 대체로 균질하게 유지되는 동안, 의례적인 관습의 약간의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타르족" 안에는 "파차"(pa= papa/아버지와 cha= 자녀)라고 불리는 씨족 구분이 있습니다.씨족은 외가적입니다."사멧"(Samet)으로 알려진 파차어군 내에 더 많은 분류가 있습니다.사멧은 사람의 관계를 조상까지 추적합니다.파차와 사멧은 모든 의식 수행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라이의 주요 의식 정체성입니다.[64][65]

Rai 하위 커뮤니티 또는 언어학 그룹

Rai 하위 커뮤니티 또는 언어학 그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참링
  2. 반타와
  3. 툴룽
  4. 쿨룽
  5. 칼링
  6. 삼팡
  7. 뉴아항 또는 므와항
  8. 로호룽
  9. 얌푸
  10. 바융 또는 바힝
  11. 윔블레
  12. 아트파리야
  13. 두미
  14. 똥말리
  15. 퓨마
  16. 나흐히링
  17. 제릉
  18. 틸룽
  19. 무갈리
  20. 코이
  21. 코유
  22. 칠링
  23. 친탕게
  24. 팡두왈리
  25. 드와스
  26. 소탕
  27. 링킴 또는 룽킴
  28. 롱가바

라이족/하위 공동체의 씨족

  • 참링라이 씨족: (추파남짜, 압릉짜, 리보호짜/리풍짜, 니남봉짜, 라나호짜, 거성짜, 핏릉짜, 콜라파짜, 왈렘짜도발리짜, 등보호짜와바짜, 담디하, 비라짜, 부막함짜, 나가사짜, 디부짜, 부와이파짜, 할룽짜, 포토함짜, 라페용짜, 디칼리짜, 세라룽짜,호미하차, 라성차, 부수리차, 파티성차, 니남릉차, 로돌레차하라성차, 말릉차, 링갈릉차용차, 하와붕차마이등차부테파차, 프로모차, 심한차, 남라차, 심한차, 하왈차, 문심차)
  • 반타와 라이 씨: (아와이, 항킴 반타와; "카루랑 항킴, 용총 항킴, 왈룽 항킴, 수비 항킴, 립추 항킴, 덩랑 항킴, 삼송 항킴, 니라 항킴"; 섭티항, 소롱, 수프롱, 용차와, 랑리사, 룽마항, 루첸붕, 탕루와, 루훈, 항붕 에사라 반타와;에사라, 다와 에사라, 다라나 상성 에사라, 마카라 반타와, 캄둥 마카라, 덥덴 마카라, 랑사크와-마카라, 락콰-항 마카라, 타라크후크-마카라, 왈리-항, 렝묵, 니쿤타, 롱각하, 알리하라, 가웅, 소혼와, 캄문, 캄루와, 소용, 시리-항, 가홍, 남랑욱, 망파-항, 망팡, D.히창차, 와레도와, 스차, 탕루와, 니남탈리, 무카룽, 라첸붕, 강망, 홍첸, 기무똥, 디쿠크파, 라탕카, 양마, 와랄룽, 소나항, 랑치항, 캄둥, 까믈레, 금상, 하성차, 호쿵카, 가울라, 차말룽, 탐라, 따릉이, 쪼끄항, 취라세, 치차항차, 뚝까, 텐쿰, 탈렘, 탈렘, 탈레, 탈레, 탈레, 탈레, 탈레, 탈레, 탈레, 탈레, 탈레, 탈레, 데야마,텐치파, 두덩항디왓팡, 낙충, 파웬, 푸와이, 와치하나, 부탕, 막크리항물라항, 망국, 뚝치항, 용첸, 데와항아와이, 디스심붕, 룰라항, 렉나두, 박망, 십퉁카삼수얀, 살렌, 시와항, 소용, 항왕, 지지, 칫파항만두파, 풀라항, 항성, 킴부, 딜룽차, 무르마항, B웅취항, 삭텐, 항둥, 강망, 캄로, 캄토, 삼소항, 라라항, 묵수, 킴불, 케스항)
  • 툴룽 래이 씨족: (체상, 항케, 롤미, 리프도, 응가르초, 리티모, 셀장, 망구, 하우파, 라이주, 지모, 응가르효, 파야효, 하룰, 라지두, 하디캄, 합추리, 랑차교, 라두르, 탐달, 톨린디, 하다일리요)
  • 쿨룽라이 씨족: (홍글루, 모로쿠 소렘바, 하림부, 룽겐다, 호차로우, 파넬루, 린호, 피디무스, 응오포가, 토모초, 맛음부, 토르노, 피디사이, 왈라캄, 포호티, 짜브꼬티, 짜브둘루, 니남, 라오위티, 호니티, 힌두쿠, 톰로스, 토모차, 토르노, 첸호, 홀림부)
  • 칼링 라이 클랜: (막피야, 딕프야, 카르상, 카르방, 별요루, 킴리암, 항크르와프, 두탐두사, 루나, 위생, 물쿠, 할록수, 마하이캄, 한라교, 므물루성, 라잘루, 응메, 주부, 항쿨라, 살라교, 도룽, 고템부, 쿠르상, 항상, 초치미, 키압치루, 짜미알루, 템모스)
  • 삼방래씨(발리, 렙수나, 게타피, 피트룽, 불팀, 랑캄, 삼릉제, 사마룬, 토리호, 토리마, 바라무키, 담므르와, 팔룽, 라덴게, 라두쿠, 하디쿠, 사두두다, 다망차, 담므르차, 비카차, 남무호, 에사라, 베쿰, 카야, 박취할리, 히라두, 호흐무하, 히라항, 마티항, 항룽, 북성, 북성,, 마렘룽과 비랑과 와성마와 통그레바와 훌루붕과 발루삼팡과 라나삼팡)
  • 뉴아항/메와항라이 씨족: (옹룽, 랑차와, 룸무마, 락차와, 욕차룽, 비크식, 샤펜, 마링고, 와취항, 템모라, 카와항, 락페와, 붕라와, 염팡, 케타라, 왈라, 템모라, 우통마, 람다카와, 아이옥, 랑다파, 렌다, 롱텝파, 왈룽, 랑홍, 초프초항, 포용, 릉미, 싱글가, 톡남, 림킴, 카와ng, 삼베와, 득중, 양독중, 말룽, 밥탕)
  • 로호룽 라이 씨족: (가송, 데힘, 람송, 창가메차바, 미케렝, 케트라, 항렝바, 양구릉, 닥스, 멘나와, 럼벤, 텐사, 킴푸, 싱글가, 염팡, 아앙랄람총, 비크식, 딩구와, 세파)
  • 얌푸라이 씨족: (끄야스바, 멘나바차, 융사바, 멘나바, 카쿠라, 기쿠라, 기쿠라, 콤부와, 프리디리야, ty사, 미링가, 망바킴, 아알라, 울링, 세파, 칭카, thipp, ungl, thenana, sibaba, 아엔다바, 텐각, 타렌, 차바, 시바우, 카이셀리, 소양, 럼방사, 뉴아, 밍글레, 덩생, 게타라, 웨어-킴, 미쿠와, 와룽, 융바, 다딩, 염팡, 기푸, 라음송, 럼벤, 양키라, 징구와, 할렘바.)
  • 바영/바흥라이 씨족: (딜링파차, 세초차, 뤼티미, 피야차, 타르카스야, 톨로차, 하라디부흐라, 치아스쿠차, 디우리차, 놈웨스라, 둥모차, 치토파, 호주파차, 모스라차탐로차, 하울차무푸차, 카라엘차, 리포차카룰차, 랄로차, 남이스라차프롱모차, 염부차, 치엠차라키차, 모플로차, 탕도차, 톨로차)
  • Wambule Rai 씨족: (묵가초, 브롱헬초, 루와리, 동기즈초, 낙꼬차초가와라초, 틸파차, 숨디차, 풀라초, 워돔초, 리우와차, 크겸파초, 가웅, 호마이, 랍도, 도롱, 하타초, 부와차, 묵히와, 라봉와, 타르부자, 살로초)
  • 앗파리야 라이 씨족: (망붕, 팡성, 홈바락, 차라, 포킴, 하와둡, 치틀링게, 김당, 청덴, 차링메, 로두와, 렝수와)
  • 두미 라이 씨족: (하바추, 딤추 바알락파, 라이추, 리플라추 카루우, 란카수, 라트쿠, 무로하, 사르추, 투라추, 하암루추, 지푸추 왈라푸, 삿마, 튀르추, 차충, 할락수, 하주르추, 루포, 하디)
  • 둥말리 라이 씨 : (항방, 풍왓, 파웬, 초캉, 살루카텐와, 창차, 덤차)
  • 푸마래 씨족: (용두항, 통말릉, 두그라항, 호홍, 하디라, 메타항, 렘마칫, 기리항, 가라자, 바비항, 항땡가, 멜롱똥, 두막룽, 헨룡차)
  • 나흐히링 라이 씨족: (두두와 항겔과 합테말루와 비바스코와 템수와 사티바와 람두와하레루차와 만테브루와 템두와하디치와 시기리고와라세파와 호체렙과 호멜과 람라이와 와드믈루와 람모와추와 낫스미와 나흐효오파와 탐로와 호포디와 라지포와 홀라티와 드람과 목드울과 라쿠포와 몰도와 te도바와 야아티항과 사이포와 요이사와 살리치와am, 첸호, 라와티, 호니디, 구베디, 톰남, 도심, 리베디, 렉과또, 한두쿠, 위에디, 구루티, 놉차, 느디치)
  • 제룽라이 씨족: (톨루페, 수트라프레이크, 수리야방시레이크)네티치.)
  • 틸룽라이 씨족: (묵충차, 라잉차, 와영차, 할루미차)
  • 무갈리 라이 씨족: (람비총, 고토라, 궁차, 캄레, 유피칭, 촉항, 구라)칼루미-차(Khalumi-Chha.
  • 고이 라이 씨족: 문두파, 디룰, 사포보, 하두쿠, 템메비, 라이파차, 나파차, 가웅파차, 로와차, 쿠이미차)
  • 코유 라이는 반타와어를 구사합니다. 선겔에서 보즈푸르로 떠난 말입니다.
  • 칠링라이 씨족: (간추, 팡푸, 롱가와, 청카, 라즈방시)
  • Chintange Rai Clan: (나이카, 텔레, 달라항, 삼팡)
  • 팡두왈리 라이 씨족:덤차, 양방, 나멕, 망프항, 왈링, 축하당, 망붕, 함부)
  • 드와스 래이 씨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하팔리와 가드갈레와 빔다레와 도닝과 바가울레와 만단네와 고기다레와 비갈다레와 팔다레와 시말다레와 방다레)
  • 소탕라이 씨족: (응고보초와 호베르메와 쿠비티와 파야티와 폰기리와 톰남과 루쿠포와 히우시와 리위디와 호물라와 라다쿠와 홀룸부)
  • 링킴/룽킴 라이 씨 : (라그방, 마링가, 랑닥파,

언어들

라이어족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합니다.그들은 중국-티베트어족의 티벳어-버만어파의 키란티어군에 속합니다.2011년 네팔 인구조사에서 약 800,000명의 응답자가 키란티어를 모국어로 선언했습니다.아마 스피커 수가 이보다 적을 겁니다.인도 인구조사(2001)는 인도의 림부어와 라이어 사용자 50,000명(대부분 시킴어 조사)을 보고했습니다.[66][67]

페스티발

사켈라

사켈라는 키라티 라이의 주요 축제입니다.라이족은 사켄와(Sakenwa), 사켈라(Sakela), 토시(Toshi), 부메(Bume), 사켈(Sakel), 와스(Wass), 세그로(Segro), 사케와(Sakwa), 두울루(Dhuulu), 파굴락(Phagulak), 겔랑(Gelang), 가야푸자(Gayapuja)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이 이름을 부릅니다.이 축제는 1년에 두 번 바이삭 보름날에는 수바울리(디리남)로, 키라티라이 마을에서는 망시르 보름날에는 우다울리(치리남)로 기념됩니다.

사켈라의 주요 철학은 자연 숭배입니다; 현 세대가 그들의 존재를 빚지고 있는 조상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68]키라티 사람들은 자신들을 자연의 추종자로 여기기 때문에, 그들은 사켈라를 기념하여 한편으로는 하늘, 땅, 강, 숲을 숭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의 죽은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사켈라 기간 동안, 실리라고 알려진 춤이 공연됩니다.실리는 마을마다 짜임타 심벌즈을 연주하는 방식이 다릅니다.실리의 안무는 중요한 일상적인 일들을 묘사하고, 땅을 파고, 경작하고, 잡초를 뽑고, 목화를 경작하는 것과 같은 농업 행위의 전통적인 기원을 설명합니다.마찬가지로, 새와 동물의 모방 또한 생동감 있는 실리에서 행해집니다.수도꼭지와 태양을 숭배하는 것과 같은 다른 활동들이 실리스에 묘사되어 있고, "타야마-키야마", 사냥꾼, 차숨, 나라와, "파루항-나유마"와 같은 조상인 정신적인 실리스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키라티의 조상 "헤치하쿠파"는 실리의 첫 번째 연주자로 여겨집니다.오늘날에도 약 45마리의 실리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응와기

Nwagi는 수확한 음식 작물을 먹기 전에 기념되고, Kirati Rai는 조상의 방(Suptulung)을 청소하고, Nwagi puja 동안 다양한 새로운 작물들이 조상들에게 바칩니다.Nwagi puja 또는 (Pirtri puja) 조상 숭배, 새로운 식량 작물은 Nwagi puja 또는 조상을 바치지 않으면 먹을 수 없다고 여겨집니다.응와기푸자는 조상들에게 바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음식(술을 포함한)을 요리하는 사람들에게 그 해의 새로운 음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제사장이나 집안의 노인들(남성)에 의해 행해지는 이 푸자는 모든 의식을 행합니다.Nwagi 축제 기간에는 집안의 가족 친척들을 초대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음식과 술은 친척들이 이야기를 나누며 하루를 마무리합니다.Kirati Rai는 Nwagi puja를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다른 방식으로 연주합니다.[69]

옐레

라이족 마제 산크란티(Maghe Sankranti)의 "예동"으로도 알려진 옐레 삼밭(Yele Sambat)도 같은 날을 기념합니다.옐레 삼밭 달력은 첫 번째 키라트 왕 얄람바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이 달력은 키라트 왕 얄람바르카트만두 계곡에서 고팔 왕조를 무찌르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옐레 삼밭 달력은 1월 15일에 시작합니다.이 새해 첫날은 네팔에서 사람들이 고구마와 다양한 종류의 얌과 셀로티를 먹는 마헤 산크란티로 기념되기도 합니다.[70]

기타축제

  • 와당미 축제:와당미는 단쿠타 지구 칼사 지역의 라이 커뮤니티의 주요 축제로 "파파니"라고도 불리는 이 축제는 카르틱 푸르니마에서 시작하여 최대 15일까지 계속됩니다.[71]
  • '황금축제': '황금'은 왐불레 라이(Wambule Rai)의 기원지에서 기념되는 문화 축제입니다.그것은 또한 dh쿰이라고 불립니다.힌두교 달력에 따르면, 자나이 푸르니마는 데이트를 기념합니다.보통 8월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것은 Bhadau Purnima라고도 불립니다.왐불레는 이 날짜를 "황금푸르네"라고 부릅니다. 황금모에서는 Libju Upo (립주 바제), Bhumju Upo (품주 바제), Dibju Upo (Dibju Baje), 시시 시카리 (Sisi Sikari), 지구 (Dharti), 하늘 (Akash)과 조상들을 숭배합니다.[72]

민요춤

네팔 음악, 성악 가사 춤과 기타 예술 분야에서 투디(Tody) 키라티라이(Kirati-Rai.특히 동부 네팔의 민속 음악은 라이족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73]

민요

라이 공동체는 풍부한 문화 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어떤 것들은 초기부터 잘 보존되어 있는 반면, 어떤 것들은 죽어가고 있고, 어떤 것들은 이미 죽었습니다.커뮤니티에는 수많은 cham 'songs', 즉, 많은 수의 cham 'songs'룽푸와참, 학파레참, 야리/히야리참, 사이마참, 사켈라참, 돌로쿱마참, 리시야/리시와, 호파참, 주와리, 살마야, 라이바리/람바리참, 라담레 등.특정한 상황에서 다른 목적으로 불려지는 노래들.

  • "Hiyari Cham"은 라이 커뮤니티에서 결혼식을 맞이하여 부르는 특별한 노래입니다.이 노래는 결혼식 때 남자와 여자 둘 다 부르는 질문과 대답 노래입니다.이 노래는 성힘(손님을 위한 임시 또는 새집)에서 부릅니다.심지어 손님들이 떠날 때도 노래를 부르는 곳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4]
  • '사이마 참'은 탄생과 삶과 삶을 노래한 노래로 직장과 워터포인트 등에서 부릅니다.여자들이 특별히 부르는 Saimachham.[75]
  • 리시야 참(Risiya Cham)은 낙총, 망파, 비주와, 낙소, 리시야 참(Risiya Cham)이 부르는 무가입니다.그것은 많은 의식 작품에서 행해지는 리드미컬한 스타일로 불려집니다.
  • "Hopmachham"은 키라트 라이의 경전 음악을 바탕으로 한 훌륭한 노래입니다.어원적으로, 그것은 홉마 '술'과 참 '노래'라는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술을 마시는 노래, 혹은 더 정확하게는 그것의 매력으로 당신을 취하게 만드는 노래.즉, 이 노래를 듣는 것은 마법에 걸리고 마법에 걸린다는 것입니다.이 노래를 부르기 위해서는 키란티 구전(Mundum)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키라티라이 신앙에 의하면, 그 노래를 안다고 해도 아무도 부를 수 없고, 꿈에서 그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지식을 얻고 그것을 배우지 못한 사람만이 그 노래를 부를 수 있다고 합니다.
    • a) 홉마참의 시작; 홉마참은 놀라운 노래라고 널리 믿어지고 있습니다.적절하게 노래하면 비, 불을 밝히고 푸른 나무를 말리고 죽은 나무에 생명을 주고 동물들의 관심을 끌며 강제로 모이게 하고, 사람을 울리고 춤추거나 웃게 하고, 식물과 나무가 복종하게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옛날에는 홉마컴 가수가 나무들이 그들의 윗부분을 묶게 하고 다시 그들을 풀어줄 수 있었습니다.
    • b) Hopmachham을 부르는 방법들; Hopmachham은 독백이나 듀엣으로 두 가지 방법으로 부를 수 있습니다.그 가수는 독백적이거나 "싱글"로 신 파루항과 섬니마 여신의 이야기를 이야기합니다.따라서 홉마참은 라이 공동체가 부르는 찬송가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오늘날 키란티 의식으로 알려진 최초의 남성 파루항과 최초의 여성 섬니마의 행적뿐만 아니라 창조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노래입니다.홉마참을 부르는 그 가수는 선사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기원의 역사를 말해줍니다.당연히 완성하는데 여러 날이 걸립니다.일반적인 생활 방식도 이런 종류의 노래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사람들은 직장에서, 퇴근길에서, 그리고 잠자는 시간 전에 집에서 저녁에 싱글 홉 마챔을 부르곤 했습니다.[76]
  • "릉푸와참"은 홉마참의 한 갈래로서, 가수가 역사적, 문화적 사건과 선조들의 용맹함을 묘사하는 것입니다.룽푸와참은 요즘 거의 멸종되었습니다.
  • "Sakela/Sakenwa Cham"은 Ubhauli와 Udhauli에서 사켈라 춤을 추는 동안 불려집니다. 라이족들은 사켈라 노래와 멜로디를 통해 그들의 일상적인 일들과 안녕을 표현합니다.이 노래는 전통의상을 입은 댄서들이 미디엄 비트의 리듬으로 연주합니다.사켈라 노래와 춤은 네팔 문화권에서 매우 인기가 많습니다.
  • "학파레 참"은 키란트 라이 공동체의 민요로도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이 노래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부를 수 있는 노래입니다.학파레챔은 특히 Yamphu, Lohorung, Mewahang Rai 커뮤니티에서[77] 인기있는 포크송입니다.
  • "라이바리/람와리 참"은 라이족의 고대 민요 중 하나입니다.반타와 라이어로 "람"은 뿌리 "와"는 물을 의미하고 "리"는 노래 "강과 개울의 생명 노래"를 의미합니다.이 민요는 요즘 이미 멸종된 멸종위기에 처해있습니다.[78][79]
  • "람데일 살랑"은 왐불레 라이 공동체에서 주로 불려지는 가장 인기 있는 민요들 중 하나입니다 마달 그리고 바수리는 람데일 살랑 민요에 사용되는 주요 악기들입니다.
  • "살마야"는 전형적인 문화 노래로 특히 제릉과 왐불레라이 공동체는 조상 숭배 의식인 카우마 사마 푸하스 때 살마야 노래를 공연했습니다.
  • "아요사"는 키라트 라이 지역에서 인기가 많습니다.아요사는 형제자매나 소년소녀들이 무리 속에서, 무리 속에서, 숲 속에서, 또는 결혼식에서 부르는 노래입니다.특히 아요사 노래는 삶의 경험을 표현한 것입니다.현대음악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무르춘가, 비나요, 빠트(잎악기), 바수리의 가락에 맞춰 아야사를 부르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민속춤

  • "실리춤": 우드하울리, 우브하울리 사켈라 축제 실리춤은 다양한 라이의 하위 그룹들 사이에서 다른 스타일과 종류입니다.실리춤에서 주요 악기들은 Jhyamta를 사용했고 Dholome Rai 그룹은 그들의 실리춤에서 Jhyamta만을 사용했습니다.쿨룽(Kulung), 칼링(Khaling), 툴룽(Tulung), 나흐히링링 라이(Nachhiring Rai) 또한 실리 댄스에서 동물의 뿔(Pung Baja)을 사용했습니다.
    신리춤의 전통악기
    실리는 주로 인간의 활동과 비슷한 일상 활동을 하며, 수도꼭지와 태양을 숭배하는 것과 같은 다른 활동을 모방합니다. 실리는 어떻게 사람들이 경작, 잡초 뽑기, 목화 농사와 같은 농업을 시작했는지 보여줍니다.마찬가지로 새와 동물의 모방, 사냥, 전쟁 등의 묘사는 실리춤에서 볼 수 있습니다.[80]
  • 파파니 또는 와당으로도 알려진 "와당미 파파니"는 와당미 축제 동안 이 춤 공연을 만났습니다.와당미는 단쿠타 지역의 칼사 지역에 있는 라이 공동체의 위대한 축제입니다.와당미의 춤사위는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는데, 세 걸음 뒤 어깨의 도움을 받아 돌과 잠타박자에 맞춰 몸이 소통하고 춤을 추며 사랑과 화합, 헌신의 노래를 부릅니다.그것은 사랑의 축하와 같습니다.이때 조상신 붓다항을 꾸짖거나 싸우면 누구도 꾸짖거나 싸워서는 안 됩니다.이때 남자아이가 여자아이에게 사랑을 바치거나 여자아이가 남자아이에게 사랑을 바치면 불평하지 말아야 한다는 통념이 있습니다."이 축제의 춤은 여성의 자유의 문제를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으며, 여성들이 이 시기에 어떤 압박도 감수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81]
  • "청락"(Chonglak)은 단쿠타칼사 지역의 라이족 언어입니다."우첨박마"와 "락왓"이라는 말은 영혼에서 나와 행복해지고, 모든 슬픔을 잊고 일어나라는 뜻입니다."Lak"은 즐겁게 춤춘다는 뜻입니다.칼사 지방에 신과 여신들이 올 때가 되었다고도 합니다.이것은 신과 여신들의 영혼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청락제 기간 내내 행해지는 와당미춤의 첫 무대입니다.
  • "홉차"는 라이족의 전통적인 고전 무용으로 주로 단쿠타 지역에서 행해집니다.
  • "헐라"는 상후와사바구 얌푸라이의 문화춤으로 망시르의 달(11~12월)에 행해집니다. 헐라춤은 논에서 벼 수확기에 노래와 함께 행해집니다.패디 댄스(Dhan Nach)[82]라고도 불리는 이 춤.
  • 라이 공동체의 비주와, 낙충, 낙초, 비주와 망파 무당들이 다양한 의식 활동에서 선보인 '샤머니즘 댄스'.
  • "마루니 춤"은 네팔의 인기 있는 민속 춤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마루니 춤이 있습니다. Rai 커뮤니티 또한 다양한 경우에 마루니 춤을 공연합니다. Adhiya Maruni, Madale Maruni는 Rai 커뮤니티에서 매우 인기 있는 마루니 춤입니다.[83]

민속악기

라이 커뮤니티에서 볼 수 있는 악기는 다음과 같습니다.돌, 지얌타비나요, 무르춘가, 무랄리/반수리, 만다라(마달), 지얄리, 마지라, 빔빌리아, 숨박), 하쿠마, 풍,[84] 실리미, 얄람베르바자 등.

콩콩마 또는 비나요는 숨겨진 말링고 종의 대나무로 만들어진 전통적인 키라티라이 악기입니다.비나요는 6인치 정도의 작은 대나무 줄기 가운데를 파서 혀를 빼고 양쪽에 실을 묶고 아름다운 무늬를 새깁니다.이렇게 만들어진 비나요는 혀 앞에서 바의 긴 줄을 흔들면서 연주합니다. 이렇게 연주할 때 비나요를 입의 양쪽 입술에 올려 여러 가지 바카를 만들고 안에서 공기가 밀려오면서 발생하는 진동은 혀의 영향을 받습니다.이 악기는 키랏 라이(Kirat Rai) 여성이 콜로의 참치에 매달린 채로 들고 있습니다.

  • 돌부북켄

키랏라이의 주요 리듬 악기는 돌로르(부북켄)입니다.이 악기는 주로 사케와(사켈라 춤)에 사용되는 곳도 있고 망파와 비주와는 그 곳에 앉아 예배를 드리기도 합니다.그것은 네팔에서 인기있는 악기이기도 하답니다.

돌과 함께 사케와 사켈라 춤에서도 지암타(무니코마)가 연주됩니다.비주와와 망파는 그 자리에 앉아 예배를 드리기도 합니다.

여러 가지 대나무 악기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독창적인 것이 바로 얌바인데, 대나무 양 옆에 눈을 고정시켜 같은 대나무의 초야를 꺼내어 대나무 초이채 중간에 네 개의 구멍을 만듭니다.이 악기는 음악문명의 지표이기도 합니다.

무르춘가 쇠로 만든 까꿍은 키랏라이의 원래 전통 악기입니다.키랏라이의 젊은이들은 이 악기를 좋아하는 친구들에게 선물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숨박 또는 잎사귀 악기는 매끄러운 잎사귀의 면을 두 입술 사이에 쥐고 여러 가지 바카를 꺼내 연주하는 악기입니다.이 악기는 네팔 동부의 키라티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많습니다.시킴, 다즐링 지역.

하쿠마나 차리바자는 대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입니다.이 악기는 입에서 새소리가 나기 때문에 Charibaja 또는 (Khakuma)라고 불립니다.

풍(風)은 맨 위에 구멍이 뚫린 동물 들소의 뿔을 불어서 그 작은 구멍에 말링고 파이프를 넣어 연주하는 악기입니다.이 바자는 돌잠타와 함께 녹초(샤만 사제)와 함께 토시나 와스(사켈라)에서 예배를 드리러 갈 때 연주됩니다.이 악기는 캄부라이 지역에 널리 퍼져있는 전통악기입니다.이 악기는 라이 공동체의 쿨룽, 칼링, 툴룽, 나흐헤링에서 특히 중요하게 사용됩니다.그것의 소리는 소라 껍데기와 비슷합니다.

  • 무랄리 비비림마

무랄리 (비빌림마) 플루트는 말링고 종의 작은 대나무로 만들어집니다.니갈로 말링고 대나무는 무랄리 플루트를 만드는데 아주 좋습니다.한쪽 면을 가로로 자른 뒤 얇은 대나무 초야나 박키밀라 나무를 놓고 구멍을 낸 것입니다.반대쪽에는 6~7개의 홀이 놓여있습니다.그것을 연주하기 위해서 피리의 옆구리를 입에 넣고 천천히 불면, 소리가 거기서부터 흐르기 시작합니다.흐르는 이 소리를 음악으로 바꾸기 위해 손가락이 덮고 있는 구멍들을 순서대로 덮고 엽니다.이런 식으로 플루트를 연주할 때는 아주 선율적인 목소리가 흘러갑니다.그것은 키라트 라이의 가장 사랑 받는 악기입니다.

  • 자르키 탈 참비켄

참비켄(자르키탈) 청동판은 특히 망파, 비주와, 낙충들이 문둠 진언을 외칠 때 연주합니다.

  • 조르 무랄리

Jor Murali (투 인 원 플루트)는 키라트 라이의 멸종 위기에 처한 민속 악기입니다.죠 무랄리는 대나무로 만든 두 줄을 같은 소리로 묶어서 연주합니다.Jor Murali Baja의 Kirat Rai 스타일은 현재에 남아있습니다.이 기기는 이미 소멸되었습니다.

드향로어(상라켄)는 캄부 라이 샤만스, 망파, 비주와, 그들의 동맹인 켄차라와가 주로 사용합니다.

  • 실리미

이 실리미는 12개의 고리를 쇠로 만든 납작한 길쭉한 모양으로 나란히 놓고, 아래쪽 손잡이 아래에 4개의 고리를 놓아 만듭니다.실리미바자는 손에 실리춤을 들고 춤사위와 함께 흔들면서 연주합니다.이것은 라이 공동체의 전통 악기입니다.

마달은 오늘날 네팔 음악에서 가장 인기있는 악기 중 하나입니다.이 마달나무 돌은 동물의 가죽, 석탄, 왕겨 등의 재료로 만들어졌습니다.마달은 키라티스의 얄람바르 바하를 따라 만들어졌다고 믿어집니다.마달은 Wambule Rai 커뮤니티에서 특별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수리는 키랏라이 중에서도 대표적인 민속 악기입니다.바수리는 왐불라이 커뮤니티에서 중요한 특별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85]

  • 수셀리 수이실라

키라트 라이족은 감미로운 음악으로 수술라/설리를 사용했습니다.휘파람은 어떤 물체의 도움 없이 입으로만 할 수 있고, 입 안에 있는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은 신호를 멀리 그리고 넓게 전달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86]

캉링은 주로 라이(사만) 망파, 비주와, 낙총 등이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합니다

직업들

붕혼구계곡 주변 테라스농원 구릉지 라이족 솔루캄부 우성 거주지역 쿨룽 하위집단

농업은 라이족 대다수의 주요 직업입니다.주로 옥수수, 기장, , 겨자를 건조한 테라스에서 재배하고, 을 젖은 들판에서 재배합니다.재배되는 곡물들은 대부분 축제에서 사용하거나 동물들에게 먹이를 주기 위한 것과 같은 그들만의 일상적인 필요를 위한 것입니다.게다가 그들은 술과 맥주를 만들기 위해 그것을 사용하고 일부는 지역 시장의 바자르에서 팔기도 합니다.거의 모든 가정에서 여성인 Raie buffalo, 돼지, 닭 등이 있으며, 특히 집에서 만든 맥주와 술을 판매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소득을 위해 소규모 공급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Lee, 2005:16).

예전에 라이족들은 사냥에 관심이 많았고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했고, 방라로 만든 옷을 직접 짜서 입곤 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상당수의 Rai들이 외국의 군복무와 외국의 고용에도 고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의 고르카 연대, 영국의 구르카 연대, 싱가포르 경찰의 구르카 파견대 등이 있습니다.그들의 친척들과 함께 그들은 영국,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그리고 인도와 같은 나라들에서 일하고 살 기회를 가졌습니다.그 때문에, 재정적으로, 다른 토착 집단들에 비해, 그들은 상대적으로 더 잘 살고 있습니다.

일부 Rai들은 최고의 국가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정치적, 관료적, 학술적, 외교적 지위들 (아래 주목할 만한 Rai족 참조)

전통적으로 요리와 같은 일상적인 집안일은 젊은 여성들, 특히 소녀들의 책임입니다.그들은 주로 남자들이 농업 활동에 참여하는 반면, 숲에서 땔감을 모으고 공동 상수원에서 물을 나르는 사람들인 경향이 있습니다.

과거 Kirati Rai 사람들은 사람들이 땅에 대해 공동의 권리를 행사하는 Kipat 제도 하에서 땅을 사용하곤 했습니다. 그것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그 경계 안에 있는 모든 경작지, 숲, 개울, 강에 대한 지배권을 포함하는 땅이었습니다(Bista, 1967:38).키팟 제도 하에서 다른 민족들은 라이족의 땅 소유자들에게 세금을 내야 했습니다.사람들은 자신들의 땅을 스스로 경작하곤 했고, 소유자 외에는 누구도 경작하거나 임대하지 않았습니다.

거의 모든 라이 마을에는 군인, 경찰, 공무원, 나이든 연금 수급자들이 몇 명 있습니다.그들의 용감함, 두려움, 정직함 그리고 솔직한 성격 때문에 그들은 군대에 가기가 쉽습니다.오늘날 많은 Rai들도 정부 서비스와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몇몇은 높은 지위와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ibid: 39)이런 종류의 직업들은 정말로 라이족들이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임을 보여줍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심고 수확하는 계절은 그들에게 할 일을 많이 주고 겨울에는 마을 사람들이 중요한 마을로 여행을 가서 소금, 기름 그리고 옷을 위한 재료들과 같은 필수품들을 구입합니다.그들은 이 여행에서 돈보다는 무역을 위해 물건을 나릅니다.한 농부는 여러 개의 밭을 가졌을 수도 있고 계절에 따라 다른 밭으로 옮겨갑니다.전통적인 불록은 땅을 갈 때 사용되며, 풀과 마른 덤불은 태워버리고, 흙에 재 잔여물을 공급합니다(ibid: 38).대부분의 사람들이 빚을 지고 있는데, 이 땅의 보안에 대항하여 금전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입니다.[87]

저명한 라이족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Census Nepal caste-ethnicity results".
  2. ^ "Sikkim University: Ethnographic Report of the Kirat Khambu Rai Community of Sikkim".
  3. ^ "Rai(Kings)-Peoplegrouporg".
  4. ^ "Kirati Rai, Lhotshampa in Bhutan".www.people 그룹
  5. ^ "An Anthropological Venture into the Rai Community of Darjeeling Hills West Bengal India". Retrieved 24 June 2020.
  6. ^ "LINGUISTIC AND RELIGIOUS MINORITIES UNDER SSP LED GOVERNMENT" (PDF).
  7. ^ "Language Contact and Survival: An Example of the Rai Migrants". 6 August 2013.비슈누 라이 (트리부반 대학교)
  8. ^ "Caste ethnicity and religion of Nepal Ministry of Health"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1 May 2022. Retrieved 21 June 2021.
  9. ^ "The Tibeto-Burman Languages of Nepal A General Survey" (PDF).
  10. ^ "Kirat Khambu Rais of Sikkim and Eastern Himalayas". 23 March 2005 – via Internet Archive.
  11. ^ "Rai Culture LandNepal". 12 June 2021.www.landnepal.com
  12. ^ "Census Of India Sikkim 2011 Rai" (PDF).
  13. ^ "Village surevy monograph on upper Pedong" (PDF). 인도의 인구조사 1961 서벵골 & 시킴 제15권 제6편 (10)
  14. ^ "Gurkhas (1915) by Vansittart Eden". 6 September 2023.archive.org
  15. ^ "New Past for the Sake of a Better Future: Re-inventing the history of the Kirant in East Nepal" (PDF).히말라야소캔스캠
  16. ^ "Following the Ancestors and Managing the Otherness".
  17. ^ 네팔 인구 모노그래프, 제2권 [1]
  18. ^ "2011 Nepal Census, District Level Detail Repor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March 2023. Retrieved 21 March 2023.
  19. ^ 철학석사(사회학과) 학위수여 요건 일부 이행으로 식킴대학교에 제출한 "Social Structure, Cultural Value and Transformation: A Study of Rai Community in Sikkim" (PDF).학위논문
  20. ^ "LINGUISTIC AND RELIGIOUS MINORITIES UNDER SSP LED GOVERNMENT" (PDF).
  21. ^ "Population of Sikkim:A Geographical Analysis" (PDF).
  22. ^ "Significance of "thar"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Khambu Rais: Some Observations" (PDF).ir.nbu.ac.in
  23. ^ "WHERE THE WATERS DRY UP THE PLACE OF ORIGIN IN RAI MYTH AND RITUAL MARTIN GAENSZLE".
  24. ^ Origins and Migrations in the Extended Eastern Himalayas. BRILL. 3 February 2012. ISBN 9789004228368.books.google.co.in
  25. ^ "Why all Nepalis should care about a rock in the Koshi River".www.recordnepal.com
  26. ^ "Tuwachung-Jayajum Pilgrimage".HAV Himalaya 아카이브, 동부 네팔의 라이 중 의식, 공간, 미메시스(FWFP 23204-G15) 사이트
  27. ^ "Jau Khleu Proto-history : Orphans Thulung Rai version audio record Thulung language & English translation".pangloss.cnrs.fr
  28. ^ "Social Reality in Oral Literature: A Study of the Rai Folk Narratives from Sikkim" (PDF).
  29. ^ "The Sacred Complex of Halesi: A Hindu, Buddhist and Kirata Spiritual Interface" (PDF).saarcculture.org
  30. ^ "Tuwachung Jayajum".www.indigenousvoice.com
  31. ^ "Salpa Pokhari: The Holy Lake of High Nepal". 9 February 2012.www.monkboughtlunch.com
  32. ^ "Culture, Religious and Spiritual values of Sacred Salpa Pokhari (Lak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Nepal" (PDF).www.env.go.jp
  33. ^ "Salpa Pokhari Booklet". wwf.panda.org.
  34. ^ "The History of Anciant and Medieval Nepal" (PDF). 외국사의 몇가지 비교적인 흔적을 가지고 있는 간단히 말해서.
  35. ^ "The Lichhavi and Kirat kings of Nepal". telegraphnepa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17. Retrieved 9 December 2017.
  36. ^ Sudarshsn Raj Tiwari. "Ancient Towns of Kathmandu Valley A Survy of legends Chronicles and Incriptions" (PDF).
  37. ^ "Kirat Pahichan Historical Documentry". YouTube.m.youtube.com
  38. ^ "Department of archaeology yet to study ruins recovered in dolakha".kathmandupost.com
  39. ^ "Ruines of anciant chutaras(resting places)".roundsimaging.com
  40. ^ "KIRAT RAI HISTORICAL DOCUMENTARY". m.youtube.com.
  41. ^ The Gorkha conquests :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the unification of Nepal,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astern Nepal (PDF). Calcutta: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ISBN 978-0-19-562723-7. OCLC 24874742.
  42. ^ Pavana Cāmaliṅa: zamīna se juṛe eka rājanītijña kā safaranāmā. Atmaram & Sons. 2009. ISBN 9788170437512 – via books.google.co.in.
  43. ^ Singh, Nagendra Kr (1997). Nepal: Refugee to Ruler : a Militant Race of Nepal. APH. ISBN 9788170248477 – via books.google.co.in.
  44. ^ "फिचर : अतिक्रमणमा परे ओखलढुंगाका गढी".
  45. ^ Gaenszle, Martin; Bickel, Balthasar; Banjade, Goma; Lieven, Elena; Paudyal, Netra P; Rai, Ichchha; Novel Kishore, Rai; Stoll, Sabine (2005). "Worshiping the King God:A Preliminary Analysis of Chintang Ritual Language in the Invocation of Rajdeu".
  46. ^ "Regmi Research (Private) Ltd, Lazimpat, Kathmandu" (PDF).
  47. ^ Victor Barnouw (1955). "Eastern Nepalese Marriage Customs and Kinship Organization". Southwestern Journal of Anthrop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1): 15–30. doi:10.1086/soutjanth.11.1.3628994. JSTOR 3628994. S2CID 147405858.
  48. ^ "Changes in Marriage and Kinship Systems Among Bantawa Rai in Eastern Nepal".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1979635
  49. ^ "Rai funerary rites three days". av.mandala.library.virginia.edu.
  50. ^ "Khadi industry makes a comeback in Khotang".
  51. ^ "Voices From The Field: How SABAH Nepal And Krishna Kumari Rai Reimagined Traditional Allo And Took It To The World". hnsa.org.in
  52. ^ "Nettles in Nepal".www.transrural.org
  53. ^ "Rai male dress".알록달록한 옷
  54. ^ "Contesting Power, Negotiating Influence: Rai Shamans and New Religious Movements in Eastern Nepal".n book: 샤머니즘과 폭력 출판사:애쉬게이트 에디터: 다비드 토리, 다이애나 리볼리
  55. ^ "Kirat Rai Culture/Civilization and religion किरात राईहरुको संस्कृतिक संस्कार परम्परा" – via www.youtube.com.
  56. ^ "Suptulung Is The Indigenous Knowledge of Kirat Rai People".
  57. ^ "Khambu Rai "Chula": Spiritual Bio Geometry". 26 July 2020.
  58. ^ Subba, J. R. (2009). Mithology Of People Of Sikkim Jr Subba. Gyan Publishing House. ISBN 9788121210232.
  59. ^ "Puma and It's [sic] Ritual Performances" (PDF).elibrary.tucl.edu.np
  60. ^ "WHY KIRATS ARE CALLED NATURE WORSHIPPERS?". 3 June 2021.www.bungwakha.com
  61. ^ "Shamanism An Encyclopedia of World Beliefs,Practices And Culture" (PDF). 30 September 2023.
  62. ^ "Indigenous Knowledge In Mundum And Suptulung".
  63. ^ "Mundum : A Case Study of Chintang Ritual Language".
  64. ^ "Thar, Pacha & Samet : Khambu Clan System". 1 May 2020.
  65. ^ In Somnath, Taxi Service. "THE RAI TRIBE".
  66. ^ "Boyd Michailovsky. Kiranti Languages. The Sino-Tibetan Languages, 2017. halshs-01705023" (PDF).
  67. ^ "The Languages of India report on the census of India 1901" (PDF).
  68. ^ The Embodiment of Rai Ethnic Identity in Sakela Performance (PDF)
  69. ^ "पितृपुजा (न्वगी) KIRATRAI.ORG".
  70. ^ "Kirant Identity And Yele Sambat—indigenousvoice". www.indigenousvoice.com.
  71. ^ "WADHANGMI - किराती मौलिक लोक लयमा अाधारित (वाढाङमी लयमा अाधारित) पुर्खाको कथा पुर्खाको ब्यथा - 2076" – via www.youtube.com.
  72. ^ "संस्कृति : संकटमा किरात वाम्बुले राई जातिको महान् चाड 'ढ्वाङ्कुमो'". 15 September 2020.
  73. ^ "Rai Songs and Rituals". www.tirakita.com.
  74. ^ "HIYARI - किराती मौलिक लोक लयमा अाधारित (हियारी) अाईया नि साईमा च्यौ "रुङरीमा" - 2076" – via www.youtube.com.
  75. ^ "Saima Chham A Rai Wedding song". av.mandala.library.virginia.edu.
  76. ^ "Hopmachham In Puma Rai language". hav.univie.ac.at/media/24kbvd/
  77. ^ "Yamphu Hakpare songs". /www.isaiyamphu.com. 9 October 2019.
  78. ^ "पुर्वको मौलिक लोकभाका:लैबरी". m.youtube.com.
  79. ^ "LAIBARI (LAMWARI) MOVIE DILENDRA MUKARUNG RAI". m.youtube.com.
  80. ^ "Kirat Rai Culture/Civilization and Religion". m.youtube.com.
  81. ^ "Kirat Rai CommunityFacebook login". Faceboo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February 2022.
  82. ^ "Hurla Song of Yamphu movie Senungfu". m.youtube.com.
  83. ^ "isilim Maagazine of Dumi Kirat Rai Fansikhim" (PDF). himalaya.socanth.cam.ac.uk.
  84. ^ "Kirat Rai Folk Tune - किरात लोक धुन - Naulakha" – via www.youtube.com.
  85. ^ "वाम्बुले राई र बाँसुरी लोक परम्पराको सुनौलो कथा". 15 September 2020.
  86. ^ "New Lok Geet 2075/2018 Sunkoshi Bagyo Salala - Jeeten Rai" – via www.youtube.com.
  87. ^ "The impacts of Modernization on the traditional Sakawa Sili festival in the Rai Kirat community of Nepal: A case study of the Rai community" (PDF).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