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가티라

Rangatira
19세기 랑가티라 이하이아키리쿠마라

마오리 문화에서 랑가티라(마오리 발음: [aaatiatiaa])하푸의 세습된 마오리 족장이다.현대적 의미로는 '아오 마오리'[citation needed]를 옹호하는 영향력 있고 강력한 지도자라는 의미도 있습니다.이상적으로 랑가티라는 부족을 대표하여 권위를 쥐고 한 부족의 땅과 다른 부족의 땅 사이의 경계를 유지하는 위대한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들이었다.19세기 토지소유법의 변화, 특히 토지 소유권의 개별화는 랑가티라의 힘을 약화시켰고, 식민지 정부 하에서 광범위한 토지 손실도 마찬가지였다.그러나 랑가티라와 랑가티라탕가의 개념은 여전히 강하며, 랑가티라탕가로의 회귀와 시스템에 의한 마오리족의 부흥은 마오리 르네상스 이후 널리 주장되어 왔다.모아나 잭슨, 랭기누이 워커, 티펜 오레건은 이러한 [1]지지자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들이다.

랑가티라의 개념은 직접 민주주의[1]통한 모든 민족의 필수적인 지도력에 바탕을 둔 통치, 자기 결정, 주권의 마오리 체제인 랑가티라탕가의 중심이다.

어원학

랑가티라는 "두목(남성 또는 여성)"을 의미하며, 중앙 폴리네시아조어 *랑가틸라("제2의 [2]지위의 우두머리")에서 유래했습니다.모리오리, 타히티어, 쿡 제도 마오리어, 투아모투안어, 마르케어,[citation needed] 하와이어에서 동족어가 발견된다.

해석

랑가티라에 대한 세 가지 해석은 마오리족 단어 "랑가"와 "티라"의 합성어로 간주한다.첫 번째 경우, "랑가"는 모래톱으로, "티라"는 상어 지느러미로 고안되었습니다.우화 모래톱은 모래언덕(또는 사람)의 침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지느러미는 모래톱의 외관과 더 중요한 것은 "보호자로서 물리적, 의도적 지배력"을 반영한다(Gray-Sharp, 2011, 페이지 195).[3]랑가티라는 커뮤니티를 강화하고 커뮤니티 없이 존재하지 않으며("모래가 없는 모래톱이란 무엇인가?") 보호 능력을 [4]갖추고 있습니다.

민족학자 존 화이트(1826-1891)는 마오리 [5]풍습에 대한 그의 강의 중 하나에서 다른 견해를 보였다.그는 마오리족이 전통적으로 역사나 와카파파를 논의하기 위해 함께 모이는 두 명의 카후이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카후이의 각 족장은 그가 가진 지식의 양에 따라 자신의 지위를 부여받았다.이 자리는 그가 속한 카후이의 지도자가 그에게 준 것이다.이 지도자의 행동은 랑가, 즉 질서정연하다고 불렸습니다.사원에 온 사람들은 모두 함께 티라(tira), 즉 회사(company)라고 불렀고, 지도자는 각각의 티라(tira)에 장소를 할당하거나 랑가(ranga)라고 불렀는데, 여기서 마오리어로 족장을 뜻하는 랑가티라(rangatira)[5]가 나왔습니다.

이 해석은 "ranga"가 라랑가(또는 직조)의 줄임말이고 "tira"가 [4]그룹을 의미하는 두 번째 번역과 잘 맞는다.

세 번째 해석은 '티라'의 정체성과 관련된 개념을 연계하여 이 번역과 동일하게 잘 들어맞습니다.우선, 손님의 「티라」를 위해 짜는 형태로 제공되는 조건부 접대[6][7][8].두 번째 예에서는 호스트의 '[11]티라'를 엮는 과정에서 집단적 의도가[9][10] 작용했습니다.이 개념들은 함께 리더와 그들의 [11]그룹 사이의 "개인 관계"에 부수되는 가치를 강조한다.이런 유형의 관계는 빅토리아 여왕와이탕기 조약의 서문에서 제시한 마하라 아타와이(종말 또는 "존속적 관심")와 유사하며, 이는 19세기 이전의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의 개인적 유대"를 반영한다.[12]

레퍼런스

  1. ^ a b https://teatawhai.maori.nz/wp-content/uploads/2021/03/Rangatiratanga-Chapter.pdf[베어 URL PDF]
  2. ^ Adams, T.; Benton, R.; Frame, A.; Meredith, P.; Benton, N.; Karena, T. (2003). "Te matapunenga: A compendium of references to concepts of Maori customary law" (PDF). The University of Waikato. p. 15.
  3. ^ Gray-Sharp, K (2011), "Ō rātou kāinga: Tino rangatiratanga and contemporary housing policy", in Tawhai, V MH; Gray-Sharp, K (eds.), Always speaking: The Treaty of Waitangi and public policy, Wellington, New Zealand: Huia, pp. 191–212, ISBN 9781869694814
  4. ^ a b 그레이 샤프 (2011, 페이지 195)
  5. ^ a b 화이트, J.(1826–1891)뉴질랜드 북섬의 원주민 문제 및 토지 매입과 관련된 공식 문서의 개요.존 화이트 씨의 마오리 세관에 관한 강연 11부.NZETC, 2001년 11월 13일 취득.
  6. ^ Derrida, J. (2000)환대(R. Bowlby, Trans.)스탠포드, 캘리포니아: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7. ^ Bell, A. (2010). "Being 'at home' in the nation: Hospitality and sovereignty in talk about immigration". Ethnicities. 10 (2): 236–256. doi:10.1177/1468796810361653. S2CID 145583138.
  8. ^ Westmoreland, M. W. (2008). "Interruptions: Derrida and hospitality" (PDF). Kritike. 2 (1): 1–10. doi:10.3860/krit.v2i1.566.
  9. ^ Searle. J. R.(1990).집단적인 의도와 행동.P. R. 코헨, J. 모건, & M. E. 폴락 (Eds.)에서 의사소통의 의도(p. 401-416).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MIT 프레스.
  10. ^ Tuomela, R. (2003). "Collective acceptance,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 reality".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62 (1): 123–165. doi:10.1111/1536-7150.t01-1-00005.
  11. ^ a b 그레이 샤프 (2011, 페이지 196)
  12. ^ 맥휴, P. G. (1991)변호사의 주권 개념, 와이탕이 조약, 뉴질랜드의 법적 역사.W. Renwick (Ed.)에서 주권과 원주민 권리: 국제적인 맥락에서 와이탕이 조약 (170-189페이지)웰링턴(뉴질랜드):빅토리아 대학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