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헤어스타일

Regular haircut
배우그래디가 평범한 헤어스타일을 뽐내고 있다.

일반 헤어스타일은 서양 패션으로 윗부분을 빗을 수 있을 정도로 긴 머리, 정의되거나 해체된 옆면, 짧고 반 짧고 중간, 길거나 또는 특별히 긴 뒷면과 옆면을 가진 남녀의 헤어스타일이다.[1]: 129–131 [2]: 98–101 이 스타일은 또한 테이퍼 컷, 일반 테이퍼 컷, 사이드 파트 및 표준 커트, 짧은 등과 옆면, 비즈니스맨 컷프로페셔널 컷을 포함한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뒷면과 옆면의 특정 테이퍼에 대한 국가, 지역 및 지역적 해석에 따라 다르다.[3]: 188 [1]: 122 [4][2]: 97 [5][6][7]

오리진스

엘리스 울 미국 장군 1825년 일반 헤어스타일

짧은 등과 옆구리는 로마 제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군단 군대의 규정 이발이다. 이가 퍼지는 것을 막는 것 외에도 짧은 머리와 깨끗이 깎은 얼굴은 적군이 수염을 잡고 있는 것을 막았다. AD 1세기까지 로마의 헤어스타일은 로마가 가져다 준 문명화에 감탄한 비로마 피실험자들에 의해 모방되었다. 예를 들면, 갈로 로마인과 성 바울과 같은 로마화된 유대인들은 머리 자르기가 금지된 전통주의자들과 구별하려고 한다.

긴 턱수염을 기른 이 규칙적인 머리 모양은 르네상스 시대에 유럽 남성들이 재발견된 고전 그레코로만형 예술품들에 새로이 매료되었기 때문에 재기되었다. 댄디들이 윌리엄 피트 더 젊은이헤어 파우더 세금에 대응해 실용적이지 못하고 비싼 파우더 가발을 버리면서 c.1810-1830 리젠시 시대에 두 번째로 부활했다.

게이 90년대 동안, 규칙적인 헤어스타일은 1840년대 이후부터 1910년까지 전문직 남성들의 표준이 될 때까지 점점 더 긴 머리와 양털 구레나룻을 대체했다. 언더컷으로 알려진 극단적인 버전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과 독일 군인들을 위한 규정이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후기에는 콤보버 형태의 비즈니스맨 헤어스타일은 서양 전역의 화이트칼라 직장 환경에서 남성 헤어스타일의 표준 복장 규정이 되었다(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2010년대 패션에서 짧은 등과 옆구리는 많은 전문직 남성들이 계속 착용하는 반면, 관련[9] 언더컷은 힙스터 하위문화에 의해 전용되었다.[10]

요소들

일반 헤어스타일의 필수 요소는 에딩, 사이드, 토핑이다.[1]: 118 [2]: 61–62

  • 에딩(Edging)은 귀 주위의 구레나룻에서 목덜미를 가로질러 모발 성장의 하단 가장자리를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1]: 118 [2]: 62–63
  • 사이딩은 가장자리와 상단 사이에 있는 뒷머리와 옆머리의 디자인을 말한다.[1]: 118 [2]: 68 일반적으로 테이퍼링(tapering)이라고 하는 에딩(edging)과 측면(sideing)은 함께 또는 따로따로 테이퍼링(taper)을 만든다(crew cut 참조).[2]: 68
  • 토핑은 앞머리와 앞머리의 머리 모양을 말한다.[1]: 118 [2]: 70

에딩이 먼저고, 사이딩과 토핑이 그 뒤를 잇는다.[1]: 118 [2]: 61 에딩은 전형적으로 클리퍼로 한다; 편드는 것, 빗보다 까는 것, 토핑하는 것, 손가락보다 까는 것.[2]: 62–63 [1]: 118–120 다른 방법으로는 모든 클리퍼 컷, 모든 쉬어 컷, 모든 면도칼 컷을 사용할 수 있다. 이발사는 두 줄 헤어스타일과 한 줄 헤어스타일을 구분한다.[1]: 133–134 [2]: 97 두 줄의 커트는 표준 테이퍼 컷이다. 머리카락은 귀 둘레에 윤곽을 그리고 나서 목의 옆쪽으로 곧게 내려간다.[1]: 113–115 [2]: 97 목덜미 가장자리는 가는 칼날(0)으로 피부에 가늘어진다.[1]: 103 [2]: 110–111 흔히 블록컷이라고 불리는 원라인 헤어컷은 나페 윤곽에서 모발 생장의 가장자리가 삭발되어 머리카락과 피부 사이에 즉각적인 전환이 이루어지며 오른쪽 구레나룻부터 나페를 가로지르는 왼쪽 구레나룻까지 윤곽을 연결한다.[1]: 115 [2]: 97 가장자리의 윤곽은 정사각형 또는 둥근 패턴일 수 있다. 네모꼴은 모서리가 사각형 또는 둥근 형태를 가질 수 있다.[1]: 115 [2]: 97 [11]: 90 로터리, 테이퍼, edger 클리퍼는 에딩 또는 사이드 커트 시 활용할 수 있다. 절단 길이를 달리하는 가드 및/또는 블레이드를 부착할 수 있다.[1]: 54

테이퍼

뒷머리와 옆머리는 일반적으로 머리모양으로 윤곽이 잡혀 있다. 머리 윗부분의 긴 머리에서 뒷머리와 옆머리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짧은 머리까지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진다.[3]: 259 짧은 시간에서 긴 시간까지 가능한 다양한 테이퍼들이 있다.[1]: 129–131 [2]: 98–101 중간 길이와 긴 테잎은 트리밍이라고 할 수 있지만, 트리밍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테이퍼 스타일에 상관없이 마지막 헤어컷으로 다시 다듬을 것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1]: 131 [2]: 96 구레나룻과 목 가장자리의 모양과 높이는 얼굴, 목, 턱, 귀, 프로필, 전체적인 스타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다.

대부분의 경우, 짧은 목이나 턱은 다소 높은 목 가장자리에 적합하며, 긴 목이나 턱은 다소 낮은 목 가장자리에 적합하다. 여분의 넓은 목은 다소 좁은 목 가장자리에 어울리는 반면, 얇은 목이나 돌출된 귀는 넓은 목 가장자리에 잘 어울린다.[2]: 132–137 구레나룻이 스타일에 적합한 것보다 약간 길면 얼굴의 외관을 짧게 할 수 있고, 약간 짧은 구레나룻을 착용하면 얼굴의 외관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특히 턱의 길이로 인해 평균보다 짧거나 긴 얼굴의 외관을 길게 할 수 있다. 또는 얼굴 아래는 구레나룻의 길이를 변경하여 정상화할 수 있다.[1]: 128, 131 [2]: 89–90, 135–136

짧다

Half vs full crown.png
Short taper cut.JPG

이 스타일의 테이퍼의 다른 이름으로는 풀 크라운, 타이트 컷, 페이드 등이 있다.[12][13]: 50 [14]: 40–43 [11]: 41–45, 100 [3]: 282 [15]: 133 옆머리와 뒷머리는 모발성장의 아래쪽 가장자리부터 왕관까지 또는 거의 꽉 차 있는 굵은 칼날로 자른다. 클리퍼는 테이퍼를 얻기 위해 모자 밴드에서 점차 머리에서 아치형으로 다듬어진다. 구레나룻부터 귀 위 약 1인치까지 가는 가는 칼집을 쓴다. 클리퍼 라인은 외부로 혼합되어 길이 간 원활한 전환이 가능하다.[11]: 100–103 [15]: 129 [2]: 98

사용하는 모발의 색과 두께, 밀도에 따라 커트 당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구레나룻, 피부톤, 가는 클리퍼 블레이드 등은 커트 사이사이에 짧게 유지된다. 짧은 구레나룻은 귀 연골이 두개골에 부착된 부위까지 연장되거나 귀 모양이 구레나룻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하려면 약간 더 낮은 곳에 위치한다.[1]: 128, 129 [2]: 89–90, 135–136 담쟁이덩굴 리그, 높고 팽팽한 플랫 탑 크루 컷, 부치 및 기타 스타일과 함께 착용할 수 있으며, 여름에는 종종 이러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1]: 129, 132, 133, 135, 142, 143 [2]: 108, 110, 113 [11]: 94

세미 쇼트

Semi-short.PNG

반관이라고도 한다.[13]: 51 [14]: 41–45 [11]: 91 옆머리와 뒷머리는 왕관 중간쯤에 굵은 칼날로 자르고, 머리털은 귀 윗부분에서 점차 곱슬곱슬하게 나오기 시작한다. 가는 칼날은 구레나룻과 머리카락에서 나온 나팔 아칭에 사용되어 귀밑과 윗부분 사이의 지점에서 혼합을 만든다.[11]: 91–99 [1]: 130 [2]: 99

구레나룻은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이 자랄 [1]: 128, 130 [2]: 89–90, 135–136 때 짧게 쓰거나 짧지만 중간 정도는 아니다. 윗면 블렌딩은 빗보다 클리퍼를, 빗 기술보다는 칼집을 활용할 수 있다.[1]: 118, 119 세미 쇼트 테이퍼는 일반 헤어컷으로 착용할 수 있지만 아이비리그, 크루컷, 플랫탑 크루컷, 부치, 브러쉬컷, 버러 등이 매우 일반적이다.[1]: 130, 132, 133, 142–143 [2]: 108, 110, 113

중간

Medium Taper Cut. Kennedy.jpg

구레나룻에는 굵은 클리퍼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클리퍼는 즉시 머리카락에서 아크를 뽑아 귀 윗부분의 테이퍼를 완성한다. 나페 영역에서는 굵은 클리퍼가 귀의 윗부분에서 테이퍼가 완성된 상태에서 귀의 중간에서 호를 그리기 시작한다. 가는 칼날은 머리카락 선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살갗으로 가린다.[1]: 130 [2]: 99 나페의 모발 성장의 하단 가장자리는 대안으로 사각형 또는 둥근 패턴으로 차단될 수 있다.[1]: 115

중간 크기의 구레나룻은 얼굴 모양이 길지도 짧지도 않은 것이 적당하다. 중간 크기의 구레나룻은 이어 오리피스 상단으로 확장된다.[1]: 128 [2]: 89–90, 135–136 뒷머리와 옆머리의 중간 부분은 빗살 위로 깎는 칼집, 빗살 위로 깎는 칼집, 가느다란 칼집 방법, 표준 이발사로 미끄러지는 방법, 전단 포인트 테이퍼링 또는 면도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짧아지고 얇게 하고 혼합할 수 있다.[1]: 118–119, 121 [2]: 68–69 일반 헤어스타일, 미디엄 폼파두르 또는 아이비리그가 있고, 또한 크루 컷이나 플랫톱과 함께 착용하는 일반적인 스타일이다.[1]: 130, 132–133, 144 [2]: 108, 110

Long Taper Cut 1943.JPG

거친 클리퍼 블레이드는 귀밑머리에서 아치형으로, 귀의 중간 부분에 테이퍼가 완성되어 있다. 가는 칼날은 가장자리의 가장자리를 가는 데 사용된다.[1]: 131 [2]: 99 긴 테이퍼는 피부에 테이프로 붙이는 대신 정사각형이나 둥근 패턴으로 나프에서 자주 막힌다.[1]: 115 평균적인 얼굴 모양에는 긴 구레나룻이 적당하다. 긴 구레나룻은 귀의 중앙까지 뻗어 있다. [1]: 128, 131

뒷면과 옆면의 중간 부분은 대부분 빗살 위로 깎거나 손가락 위로 깎는다. 또한 면도칼로 자를 수도 있다. 뒷면과 옆면의 중간 부분을 얇게 하고, 층을 내고, 블렌딩하는 것은 얇은 가위, 슬라이더링 또는 면도 기법으로 할 수 있다.[1]: 118–119, 121 [2]: 68–69 보통 헤어스타일이나 긴 폼파두르와 함께 가장 자주 입는 옷이다.[1]: 131, 145–146 [2]: 99–101

엑스트라 롱

Extra long taper.PNG

굵은 클리퍼 블레이드는 머리카락에서 즉시 아치를 뽑아낸 후 귀밑부분 아래로 테이퍼가 완성된다. 가는 클리퍼 블레이드는 머리카락 선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피부에 테이퍼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99–100 여분의 긴 테이퍼는 종종 사각형이나 둥근 패턴으로 나프에서 막힌다; 귀 둘레에 있는 탈구축된 아치와 나프에서 탈구축되거나 텁수룩한 블록 또한 꽤 흔하다.[2]: 99–101

구레나룻은 길고, 구레나룻은 귀엽의 윗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이 적절하다.[2]: 89–90, 135–136 뒷면과 옆면의 중간 부분은 대부분 빗살 위로 깎거나 손가락 위로 깎는다. 또한 면도칼로 자를 수도 있다. 뒷면과 옆면의 중간 부분을 얇게 하고, 층을 내고, 블렌딩하는 것은 얇은 가위, 슬라이더링 또는 면도 기법으로 할 수 있다.[1]: 118–119, 121 [2]: 68–69 규칙적인 헤어스타일을 하는 것 외에도, 또한 추가적인 긴 폼파두어를 입는다.[2]: 99, 101

토핑

토핑에는 원하는 길이, 부피, 윤곽 정도, 졸업, 레이어링 등을 얻기 위해 왕관과 앞부분의 머리카락을 짧게 깎고, 레이어링하고, 얇게 깎는 것이 포함된다.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고, 겹치고, 졸업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손가락 위로 깎는 방법이며, 손가락 작업으로도 알려져 있다.[2]: 70 [1]: 119 핑거작업은 처음에 빗으로 자를 머리카락을 들어올린 다음, 반대편 손의 집게와 가운데 손가락 사이로 들어올린 머리카락을 잡고, 빗을 처음 잡은 손에 쥐고 있던 칼집을 자르는 것이다. 빗은 다시 칼집을 쥔 손으로 옮겨지며 앞쪽에서 뒤쪽으로, 바깥쪽에서 위쪽의 오른쪽과 왼쪽 안쪽까지 가는 스와스로 반복된다.[2]: 70–71 [1]: 111–112

잘린 머리카락이 어떻게 졸업을 하고 층을 이루는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두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각도는 매우 중요하다. 두피 부위와 원하는 자른 모발의 모양에 따라 각도가 45~135도 정도로 다양해진다.[2]: 73–75 빗물 위로 칼집을 내는 기법에는 상하좌우 방식과 전단 리프팅 방식이 포함된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머리를 빗에 받쳐 칼집을 낸다.[2]: 69, 72 [1]: 119, 121

위쪽과 위쪽은 앞쪽 헤어라인에서 뒤로 또는 옆쪽 헤어라인에서 위로 잘라낸 머리카락의 가닥이 이어지는 연속적인 과정이다.[2]: 72 [1]: 119 전단 리프팅 방법에서, 프로세스는 연속적이지 않고 머리 윗부분을 가로질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크라운에서 전면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머리 윗부분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3개, 왕관 앞쪽으로부터 5개 등 15개의 별도 부분이 있을 수 있다.[1]: 121 [2]: 72 커팅 수익금은 왼쪽에서 오른쪽,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커밍한다. 손가락보다 까는 방법처럼 잘라낼 때 두피까지 가는 모발의 각도는 잘라낸 모발의 레이어드·졸업한 외관에 매우 중요하다.[2]: 73, 75

모발의 두께와 원하는 부피에 따라 토핑에는 얇아지는 방법, 일반 이발용 가위로 미끄러지는 방법 또는 일반 가위로 푸시백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얇아지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가늘어지는 털은 손가락이나 빗으로 잡을 수 있다.[2]: 84–85 [1]: 110 Whorls, cowlicks 및 두피의 불규칙성은 전단 포인트 테이퍼링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문제 부위에는 머리카락 몇 개만 칼집의 끝부분만을 사용하여 빗으로 자른다.[1]: 137 측면뿐만 아니라 토핑도 면도날 절단 기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2]: 138–149

가드 및 블레이드

클리퍼는 테이퍼 클리퍼, 로터리 클리퍼, 아웃라이너/에저 클리퍼의 세 가지 타입으로 일반 커트를 할 수 있다.[1]: 54 테이퍼 클리퍼는 선형 또는 피벗 모터로 구동된다. 그 칼날은 쉽게 교환할 수 없다. 테이퍼 레버를 사용하면 특정 범위 내에서 절단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길이 #000부터, 미세한 면의 길이가 #1에 이르는 150 인치(0.51 mm), 거친 면의 332 인치(2.4 mm)이다. 더 긴 길이를 위해 클리퍼 가드를 부착한다. 가드는 테이퍼 레버가 최단 절삭 위치에 있을 때 번호가 매겨진 가드 길이로 절단한다. 클리퍼 가드는 클리퍼 가이드 빗으로도 알려져 있다.[16][17] 페이드 클리퍼는 테이퍼 클리퍼와 동일하지만 전체적으로 미세한 블레이드 범위 내에 있는 절단 길이의 범위를 제외한다. 대부분의 페이드 클리퍼는 #00000 블레이드 길이, ½인치(0.20 mm)와 #000 블레이드 길이, ½인치(0.51 mm) 사이에서 절단된다. 일반 테이퍼 클리퍼와 마찬가지로 클리퍼 가드를 부착하여 절단 길이를 늘릴 수 있다.[18]

로터리 클리퍼는 쉽게 왔다 갔다 하는 날을 가지고 있다. 클리퍼 블레이드의 톱니가 두피에 닿은 상태에서 클리퍼 블레이드를 머리 위로 안내할 때 두피에 털이 1250 인치(0.10 mm)에서 34 인치(19 mm)까지 남아 있는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칼날은 경비원과 다르게 번호가 매겨진다. 로터리 클리퍼는 특정 표준 블레이드 유형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특정 표준에 따라 설계된 다양한 제조업체의 블레이드를 제조업체에 관계없이 해당 표준에 따라 설계된 클리퍼에 활용할 수 있다.[19][1]: 55 아웃라이너/에저 클리퍼는 매우 미세한 커팅 블레이드와 테이퍼 레버가 없으며 귀 둘레에 정의된 아치 윤곽을 그리고 목 가장자리인 블록 컷의 경우 사용된다.[20][21][22][23][24][1]: 54

근위대

인간의 두피 털은 일주일에 평균 약 8분의 1인치 또는 한 달에 0.5인치씩 자란다.[25] 대부분의 클리퍼 가드는 8분의 1인치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가드 수는 일정한 번호가 매겨진 가드가 있는 클리퍼를 두피와 접촉한 상태에서 머리 위로 안내할 때 두피에 남아 있는 모발 성장 주수를 나타낸다. #1 가드는 1주일의 머리카락 성장인 18 인치(3.2 mm)를 두피에 남기고 #2 가드는 2주간의 머리카락 성장인 2/8 인치(6.4 mm)를 두피에 남기고 #3 가드는 3/8 인치(9.5 mm), 3/3 가드는 3/8 인치(9.5 mm), 두피에 모발 성장 등을 남긴다.[26]

블레이드

커팅 블레이드 유형 블레이드 잔털
인치 밀리미터 성장
미세절삭날개
(제로 블레이드라고도 함)
#000000 1250 0.10 5시간
#00000 1125 0.20 10시간
#0000 1100 0.25 15시간
#0000A 175 0.34 20시간
#000 150 0.51 1일
#00 130 0.85 1.5일
#0 125 1.0 이틀
#0A 364 1.2 2.5일
중저절삭날개
(#1, #1A, #1.5)
#1 332 2.4 5일
#1A 18 3.2 1주
#1.5 532 4.0 9일
굵은 풀커팅 블레이드
(#2, #3.5, #3.75)
#2 14 6.4 2주
#3.5 38 9.5 3주
#3.75 12 13 4주
더 긴 커팅 블레이드
5/8 H/T 58 16 5주
3/4 H/T 34 19 6주

[19][1]: 54

갤러리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소프 1967.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신뢰로 1971번길
  3. ^ a b c 스칼리-스니피스 1999.
  4. ^ 스튜어트 & 포드 2003, 페이지 188.
  5. ^ "Steven Gerrard's Liverpool career in stickers".
  6. ^ "short back and sides".
  7. ^ "short back and sides".
  8. ^ 1930년대부터 머리를 자른 것이 돌아온다.
  9. ^ 힙스터? 나치?
  10. ^ 모든 남자들이 이 머리를 자르고 있다.
  11. ^ a b c d e f 몰러 1928.
  12. ^ 1892년, 페이지 24.
  13. ^ a b 모던 바버 칼리지 1946.
  14. ^ a b 몰러 1905.
  15. ^ a b 소프 1958.
  16. ^ Andis (2003), Model ML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5-01
  17. ^ Oster (2013), Model 76023-510
  18. ^ Andis (2004), Form 01604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4-01-11
  19. ^ a b Oster (2013), Classic 76 Clipper Blades
  20. ^ Andis (2003), Form 04942 (PDF)
  21. ^ Andis (2003), Form 04941 (PDF)
  22. ^ Andis (2007), Form 15341 (PDF)
  23. ^ Oster (2013), Model 76059-010
  24. ^ Oster (2013), Model 76059-030
  25. ^ Victoria Sherrow (2006), Encyclopedia of hair, ISBN 9780313331459
  26. ^ John Oster (2013), Universal Comb Attachments

참고 문헌 목록

  • Booker, Benjamin (1892). The Secret of Barbering. Unattributed Publisher.
  • Modern Barber College (1946). Modern Textbook of Barbering. Modern Barber College.
  • Moler, A.B. (1905). The Barbers', Hairdressers' and Manicurers' Manual. Unattributed Publisher.
  • Moler, A.B. (1928). Standardized Barbers' Manual. Unnattributed Publisher.
  • Scali-Snipes, Mara (1999). Milady's Standard Textbook of Professional Barber Styling. Milady Publishing Corporation.
  • Stewart, Helen; Ford, Gilly (2003). Hairdressing with Barbering.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s.
  • Thorpe, S.C. (1958). Practice and Science of Standard Barbering. Milady Publishing Corporation.
  • Thorpe, S.C. (1967). Practice and Science of Standard Barbering. Milady Publishing Corporation.
  • Trusty, L. Sherman (1971). The Art and Science of Barbering. Wolfer Printing Co.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