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하르트 부세

Reinhard Busse
라인하르트 부세
태어난1963년 3월(58~59)
모교
로 알려져 있다.
과학 경력
기관베를린 공과대학교
샤리테

라인하르트 부세 (Rinhard Busse, 1963년 3월 26일 출생)는 독일의 의사보건 경제학자다.그는 베를린 공과대학대학교수로, 2002년부터 경제경영학부 의료경영학부장을 맡고 있다.[1]

그는 현 과학부장이자 베를린 보건경제연구센터(Berlin HECOR)의 창립 멤버로 샤리테 - Universitatethtsmedizin 베를린의 교수진이다.는 또한 유럽 보건 시스템정책 전망대의 베를린 허브의 공동 이사 겸 대표를 맡고 있다.그의 부서는 WHO 보건 시스템 연구 및 관리 협력 센터로 지정되었다.그리고 그는 베네치아에 있는 천문대 연례 여름 학교의 이사다.[1][2]

또한, 부세는 몇몇 과학 자문단의 일원이며 독일과 세계보건기구(WHO), 유럽 위원회, 세계은행, OECD 등 다양한 국제기구의 국민보건연구기관 정기 컨설턴트다.[1]

그의 연구는 비교 건강 시스템 분석, 보건 서비스 연구, 보건 경제보건 기술 평가(HTA)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3]

부세는 또한 그의 가르침과 다른 활동들을 통해 전세계 공공 의료 전문가들의 엄격한 훈련을 지원한다.2015년부터 2018년까지 베를린 3개 대학의 새로운 협업 이니셔티브인 베를린 보건대학원 이사회 의장으로 활동했다.보다 최근에는 가나 쿠마시에 있는 콰메 은크루마 과학기술대학의 공중보건학교를 지원하고 있다.[4]

그는 2011년부터 국제 안전 점검 저널 건강 정책편집장을 맡고 있다.[5]

2013년부터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은 그를 독일의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하나로 꼽고 있다.2017년과 2018년 각각 8위와 11위로 보건경제학자 중 가장 높았다.[6][7][8]

부세는 저널 기사, 책장, 책을 포함한 무수한 출판물의 저자다.[9]

조기생활과 교육

부세는 독일 로어 작센 주의 하멜린에서 태어났다.로어 작센배드 넨도르프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후, 그는 구급대원구급차 운전사시민 봉사를 마쳤다.1984년 마르부르크필립스 대학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그는 하버드 의대와 가이 병원과 세인트 토머스 병원 연합 의과 치과 대학(United Medical and Dental School of Guy's Hospitals, United Medical and Dental School of Guy and St Thomas's Hospitals, University of London)에서 1990년에 졸업했다.부세는 의학박사(의학 박사) 외에도 인구 의학 및 공중 보건학 석사학위(마지스터 소니타티스 Publicae; M.S.P.)가 있다.1994년 평생의학면허를 받아 의사로 활동했으며 1999년 하노버 의과대학에서 역학, 사회의료, 보건시스템 연구 등을 성공적으로 마쳤다.[10]

경력

부세는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베를린 자유대학 루돌프 비르초 병원(Reformstudiengang Medizin)에서 베를린 의료 연수 개혁 기획단(Reformstudiengang Medizin)에서 독일인 교사, 소아 신경학자, 간질 연구가인 디터 셰프너(Dieter Scheffner) 밑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이어 하노버 의대 내과피부과 류마티스내과에서 연구와 의학을 진행했다.그 후, 하노버 의과대학 공중보건센터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슈워츠의 지휘를 받아 역학, 사회 의학, 보건 시스템 연구부의 연구원이자 내과의사가 되었다.거기 있는 동안, 그는 또한 건강 시스템 연구소의 단장을 맡고 있었다.[11]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부세는 런던 경제 정치학 대학 보건부의 방문 연구원이었습니다.1999년부터 2002년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스쿠엘라 나시오날 사니다드에서 초빙교수직을 맡았으며, 유럽 건강관리시스템 전망대 마드리드 허브 대표를 지냈다.부세는 2002년부터 베를린 공과대학 의료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11]그의 부서는 현재 30여 의 연구원과 4명의 행정직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3] 이들과 함께 국가 및 국제 프로젝트를 협력하고 감독하고 있다.[14]

자문직 및 커미션 참여

부세는 세계보건기구(WHO), 유럽위원회, 세계은행, OECD, (독일)과학아카데미 레오폴디나, 독일과학인문학회, 독일 번데스타그(의회), 독일 보건부, 독일 의학협회, 독일 의료협회, 독일 등 다양한 상임 및 특별 위원회 소속이거나 소속이다.의료 품질 효율성, 연방법률건강보험기금협회, 미국법률건강보험의사협회 및 다른 질병 기금.[15]

수상

부세는 2013년부터 '독일의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로 F.A.Z 경제학자 순위에 올라 2017년과 2018년 각각 8위와 11위에 올라 보건경제학자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6][7][8][16][17][18]

연구이익

부세의 연구는 방법론적 진보와 정책적 타당성을 결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제간, 의학, 경제, 정치, 공중 보건이다.그는 이러한 연구 분야를 연계하여 독일의 병원 입지와 병상 수를 현저히 줄이자는 그의 권고를 포함한 명확한 정책 권고안을 제시하고, 임상 인력 수준을 유지하는 한편, 이는 진료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다.[3]

Busse의 주요 연구 분야는 보건 시스템, 보건 서비스, 보건 경제보건 기술 평가(HTA)이다.[2][3]

상태 시스템:부세 교수의 연구는 독일의 개혁, 중유럽과 동유럽을 포함한 다른 나라 보건 시스템의 체계적이고 비교적인 설명과 평가(성과 평가)와 사회보험제도의 설계, 유익성 바구니, 시장과 r사이의 긴장에 관한 연구를 특히 강조해 왔다.국제 및 국가 맥락에서의 자아도취그는 또한 의료 분야에서 EU의 역할을 연구한다.주제 영역을 넘어, 부세의 연구는 비교 건강 시스템 분석 방법에 초점을 맞추기도 했다.이런 점에서, 그의 연구는 국제 보건 시스템 연구를 진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Busse가 설계한 [19]커버리지 큐브는 유니버설 건강 커버리지(Universal Health Coverage)를 설명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사용된다(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목표 3 참조).[20]

보건 서비스:Bussee는 특히 진단 관련 그룹(DRG-시스템s),[21] 의료 품질,[22] 통합 진료[23] 모델 및 간호 직원의 역할 [24]등 그가 1990년대 이후 개발한 일련의 연구 중 특히 지급 메커니즘의 설계와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5]

보건 경제학:Busse의 건강경제학 연구는 일반적으로 건강 시스템의 평가와 특히 의약품의료기기와 같은 건강 기술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6]

HTA: 보건 기술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Busse의 연구는 이 활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예를 들어, 오늘날 유럽 전역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은 2002년 부세 출판사에서 '건강기술 평가 수행 및 보고에 관한 BEST Practice IN IN PROGNATION TECHNATION: Working Group 4 Report)'[28]라는 제목으로 통보되었다.[27]

기타 활동 및 구성원 자격 발췌

  • 2003: 영국[10] 왕립 의사대학 공중보건학부 펠로우십에 선출
  • 2006-2009: 베를린[11] 공과대학 교수진 VII 경제경영학부 학장
  • 2007–2008: 위험구조 보상의 추가적 발전에 관한 보건부 지정 과학자문위원회 위원(2008년 자문위원회 집단 사임 전까지)
  • 2009~2011년: EU 지원 프로젝트 "EuroDRG: 유럽 내 진단 관련 그룹: 효율성과 품질을 지향"[29]의 수석 조사관(조정자)
  • 2011년 이후: 국제 안전 점검 저널 건강 정책[5] 편집장
  • 2012년 이후: 독일 연방 교육 연구 기금 지원 베를린 보건 경제 연구 센터장(BerlinHECOR)[30]
  • 2016~2017년 독일 보건경제학회 회장

또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부세는 앨리스 살로몬 대학교 베를린 응용과학대학, 샤리테, 베를린 기술대학 등이 참여한 당시 신설된 대학간 베를린 공중보건대학(BSPH)의 이사회 의장직을 맡아 Ge에서 차세대 공중보건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활동했다.r다수와 세계Busse는 BSPH의 공중보건 마스터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부세는 2017년부터 가나 쿠마시콰메 은쿠마 과학기술대학(KNUST) 공중보건대학을 지원해 건강시스템 연구 및 관리에 새로운 석사과정을 개설했다.[2][4]

선택한 게시물

참조

  1. ^ a b c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Head of Department".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2. ^ a b c d e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Fachgebietsleiter".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3. ^ a b c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Research".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4. ^ a b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News".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5. ^ a b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Editorship and membership of editorial boards".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6. ^ a b F.A.Z. "F.A.Z.-Rangliste der Ökonomen: Deutschlands einflussreichste Ökonomen 2018".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in German). ISSN 0174-4909. Retrieved 27 March 2019.
  7. ^ a b "F.A.Z.-Rangliste der Ökonomen: Deutschlands einflussreichste Ökonomen 2017".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in German). ISSN 0174-4909. Retrieved 27 March 2019.
  8. ^ a b "F.A.Z.-Ökonomenranking: Die einflussreichsten Ökonomen in der Forschung".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in German). ISSN 0174-4909. Retrieved 27 March 2019.
  9.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Publications". www.mig.tu-berlin.de (in German). Retrieved 27 March 2019.
  10. ^ a b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Curriculum Vitae".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11. ^ a b c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Professional experience".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12.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Research fellows".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13.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Administrative office".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14.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Current Projects".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15. ^ a b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Advisory activity (a selection)".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16. ^ F.A.Z. "F.A.Z.-Rangliste der Ökonomen: Deutschlands einflussreichste Ökonomen".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in German). ISSN 0174-4909. Retrieved 27 March 2019.
  17. ^ "F.A.Z-Ökonomenranking 2015: Deutschlands einflussreichste Ökonomen".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in German). ISSN 0174-4909. Retrieved 27 March 2019.
  18. ^ "Ökonomenranking 2014: Die einflussreichsten Ökonomen in der Forschung".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in German). ISSN 0174-4909. Retrieved 27 March 2019.
  19. ^ Schreyögg, J.; Stargardt, T.; Velasco-Garrido, M.; Busse, R. (November 2005). "Defining the 'Health Benefit Basket' in nine European countries". The Europ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6 (S1): 2–10. doi:10.1007/s10198-005-0312-3. PMC 1388078. PMID 16270212.
  20.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Health Systems and Policies".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21. ^ Diagnosis-related groups in Europe : moving towards transparency, efficiency and quality in hospitals. Busse, Reinhard, 1963-,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EuroDRG.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2011. ISBN 9780335245581. OCLC 771999471.{{cite book}}: CS1 maint : 기타(링크)
  22. ^ Pross, Christoph; Geissler, Alexander; Busse, Reinhard (March 2017). "Measuring, Reporting, and Rewarding Quality of Care in 5 Nations: 5 Policy Levers to Enhance Hospital Quality Accountability". The Milbank Quarterly. 95 (1): 136–183. doi:10.1111/1468-0009.12248. PMC 5339388. PMID 28266076.
  23. ^ Busse, Reinhard; Stahl, Juliane (September 2014). "Integrated Care Experiences And Outcomes In Germany, The Netherlands, And England". Health Affairs. 33 (9): 1549–1558. doi:10.1377/hlthaff.2014.0419. PMID 25201659.
  24. ^ Aiken, Linda H.; Clarke, Sean P.; Sloane, Douglas M.; Sochalski, Julie A.; Busse, Reinhard; Clarke, Heather; Giovannetti, Phyllis; Hunt, Jennifer; Rafferty, Anne Marie; Shamian, Judith (May 2001). "Nurses' Reports On Hospital Care In Five Countries". Health Affairs. 20 (3): 43–53. doi:10.1377/hlthaff.20.3.43. PMID 11585181.
  25.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Versorgungsforschung".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26.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Health Economics".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27. ^ Busse, Reinhard; Orvain, Jacques; Velasco, Marcial; Perleth, Matthias; Drummond, Michael; Gürtner, Felix; Jørgensen, Torben; Jovell, Albert; Malone, Jim; Rüther, Alric; Wild, Claudia (21 May 2002). "Best practice in undertaking and reporting health technology assessments. Working group 4 re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18 (2): 361–422. doi:10.1017/S0266462302000284. PMID 12053427.
  28. ^ "Fakultät VII Wirtschaft & Management: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29. ^ "Euro DRG About". eurodrg.projects.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30. ^ "MiGHecor: Berlin Centre of Health Economics Research (BerlinHECOR)". www.mig.tu-berlin.de. Retrieved 27 March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