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어 데이
Remember a Day"리멤버 어 데이" | ||||
---|---|---|---|---|
싱글 바이 핑크 플로이드 | ||||
앨범에 수록된 A Pascerful of Secrets | ||||
A측 | "더 많은 빛이 있게 하라" | |||
방출된 | 1968년 8월 19일(미국) | |||
녹음된 | 1967년 5월 9일 10월 | |||
스튜디오 | 런던 데 레인 리아 스튜디오 | |||
장르. | ||||
길이 | 2:40(단일 버전) 4:33 (앨범 버전) | |||
라벨 | 탑 | |||
작곡가 | 리처드 라이트 | |||
프로듀서 | 노먼 스미스 | |||
핑크 플로이드 싱글 연대기 | ||||
| ||||
뮤직비디오 | ||||
유튜브에 올린 '리멤버 A데이('사메디 엣 콤파니')'는 "리멤버 A데이를 기억하라"고 했다. |
"Rememember a Day"는 영국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곡으로, 그들의 키보드 연주자 리처드 라이트가 작사, 부른 곡으로, 그들의 두 번째 앨범인 "A Pascerful of Secrets" (1968년)에 출연한다.[2][3] 1968년 5월에 앙코르로 핑크 플로이드에 의해 단 한 번 공연되었다. 이후 2008년 9월에 데이비드 길무어가 최근 암으로 사망한 라이트를 추모하여 공연하였다. 호올스 홀랜드와 닉 메이슨이 비밀의 수호자 투어를 하는 동안. 몽환적이고 시적인 가사는 어린 시절의 잃어버린 낙원에 대한 향수에 관한 것이다.[4]
녹음
라이트가 작사하고 부른 이 노래는 두 개의 다른 세션 동안 녹음되었다. 제1세션 (1967년 5월)에는 라이트의 보컬, 피아노, 파피사 오르간 등이 녹음되었고, 제2세션 (1967년 10월)에는 런던의 드레인 리아 스튜디오에서 베이스와 드럼 섹션뿐만 아니라 시드 배럿의 어쿠스틱과 슬라이드 기타가 녹음되었다. 이 세션은 또한 "Jugband Blues"[5]를 제작했다.
핑크 플로이드의 매니저인 앤드류 킹은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나는 De Lane Lea를 기억한다... 거기서 '채식주의자'를 했는데... '리멤버 어 데이를 기억해'가 있어 시드가 솔로 기타를 연주하는 거야
1968년에 바렛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독학했고 나의 유일한 그룹은 핑크 플로이드였다. 나는 'Corporal Clegg'에 출연하지는 않았지만 리처드 라이트가 쓴 다른 트랙에서 연주를 했다. 타이틀은 잊어버렸는데 뒤에 스틸 기타가 있었어. LP에 대한 합병증이 있었지만 이제 거의 끝나가고 몇 달 안에 EMI가 발행해야 한다. 지금은 대부분의 시간을 글쓰기에 쓴다"고 말했다.
이 노래의 세션 동안, 밴드의 드러머 닉 메이슨은 그가 올바른 드럼 부분을 생각해 낼 수 없다고 동요했다. 그러나 프로듀서 노먼 스미스는 드럼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직접 그 역을 맡았다.[6]
해제 및 후폭풍
희귀한 미국의 싱글 앨범(Tower 440)에는 앨범 "Let There Be More Light"에서 이것과 그 이전의 곡의 편집된 모노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이 싱글은 "애플과 오렌지"[7][failed verification]로 대체되기 전에 싱글을 의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에서 발매된 적이 없다.
스튜디오 버전의 기악 버전은 같은 이름의 영화 "Rememember a Day"에 등장했다.[8]
1971년 음반 《Rememember a Day》에 수록되었다.
리셉션
'비밀의 방탕함'에 대한 부정적인 리뷰에서, 롤링스톤의 짐 밀러는 "Rememember a Day"를 "무욕적이지만 다소 비참한 병목현상 기타, 2류 피아노, 공허하게 들리는 어쿠스틱 기타 작업을 특징으로 한다."[9] 밀러는 더 나아가 [노먼 스미스]의 드럼을 "바쁘고 비효율적"[9]이라고 묘사했다.
2008년 실적
2008년 9월 23일, 데이비드 길무어는 Late...의 생방송으로 이 노래를 공연했다. 8일 전에 사망한 릭 라이트를 기리기 위해 조올스 홀랜드와 함께 BBC 2에 출연했다. 길무어는 쇼 후반부의 인터뷰에서 라이트가 그날 함께 공연할 예정이었으나 죽기 몇 주 전에 길무어에게 SMS 메시지를 보내 그가 참석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조언했다고 말했다. 이 곡을 녹음한 오리지널 라인업은 한 명도 공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밴드의 어느 멤버도 이 곡을 라이브로 연주한 것은 1968년 이후 처음이다. 길무어의 밴드는 필 만자네라, 가이 프랫, 존 카린, 스티브 디스타니슬라오 등으로 구성되었다.
인원
다음 항목 포함:
- Norman Smith – 드럼, 백 보컬
참조
- ^ Perna, Alan Di; Kitts, Jeff; Tolinski, Brad (2002). Guitar World Presents Pink Floyd. Hal Leonard Corporation. p. 10. ISBN 978-0-634-03286-8.
- ^ Strong, Martin C. (2004). The Great Rock Discography (7th ed.). Edinburgh: Canongate Books. p. 1177. ISBN 1-84195-551-5.
- ^ Mabbett, Andy (1995).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 of Pink Floyd. London: Omnibus Press. ISBN 0-7119-4301-X.
- ^ Palacios, Julian (2010). "Vegetable Man". Syd Barrett & Pink Floyd: Dark Globe (Rev. ed.). London: Plexus. p. 285. ISBN 978-0859654319.
- ^ Jones, Malcolm (2003). "The Making of The Madcap Laughs" (21st Anniversary ed.). Brain Damage. p. 25.
- ^ 블레이크, 마크 편안히 저림: 핑크 플로이드의 인사이드 스토리. 썬더스 마우스 프레스, 2008, 페이지 117.
- ^ Jones, Malcolm (2003). "The Making of The Madcap Laughs" (PDF) (21st Anniversary ed.). Brain Damage. p. 23.
- ^ "Pink Floyd news :: Brain Damage - Remember A Day (with rare Pink Floyd instrumental)". Brain Damage. Retrieved 8 December 2012.
- ^ a b Miller, Jim (26 October 1968). "A Saucerful of Secrets". Rolling Stone. Retrieved 27 July 2017.
외부 링크
![]() | 위키포트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비밀의 방탕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