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마금마
Ummagumma움마금마 | ||||
---|---|---|---|---|
![]() | ||||
스튜디오 앨범 / Live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69년 11월 7일 | )|||
녹음된 | 1969년 4월 27일, 5월 2일 (라이브 앨범) | |||
장소 | ||||
스튜디오 | 런던 애비 로드 | |||
장르. | ||||
길이 |
| |||
라벨 | 수확 | |||
프로듀서 |
| |||
핑크 플로이드 연대기 | ||||
| ||||
핑크 플로이드 라이브 앨범 연대기 | ||||
|
Ummagumma는 영국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더블 앨범으로 1969년 11월 7일 하베스트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4]첫 번째 디스크는 버밍엄의 마더스 클럽과 맨체스터의 커머스 대학 콘서트의 라이브 녹음으로 구성되며, 두 번째 디스크는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밴드의 각 멤버들의 솔로 작곡을 포함하고 있다.[5][6]이 작품은 플로이드 공동작업자 힙노시스(Hipgenosis)가 일반 플로이드 공동작업자 힙노시스(Hipgenosis)에 의해 디자인했으며, 이 밴드의 사진을 여러 장 결합해 드로스테 효과를 주는 것이 특징이다.그것은 밴드를 특집으로 한 마지막 앨범 표지였다.
비록 이 앨범은 발매 당시 좋은 반응을 얻었고, 영국 앨범 차트에서 상위 5위 안에 들었지만, 이후 인터뷰에서 이 앨범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표명한 밴드에 의해 불리하게 여겨졌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나머지 카탈로그와 함께 여러 차례 CD로 재발매되었다.
제목
이 앨범의 제목은 아마도 섹스를 위한 캠브리지 속어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되며,[7][3] 핑크 플로이드 친구나 때때로 로디인 이아인 "에모" 무어가 "나는 약간의 음마굼마를 위해 집으로 돌아간다"고 말하곤 했다.무어의 말에 따르면, 그는 스스로 그 용어를 만들었다.[8]
배경
라이브 앨범의 원래 아이디어는 이후 세트에서 삭제될 팬 애호가들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9]소매 노트에는 1969년 6월 실물을 녹음했다고 되어 있지만, 1969년 4월 27일 버밍엄의 마더스 클럽에서, 그 다음 주 5월 2일 맨체스터 상업대학에서 The Man and The Dravel Tour의 일환으로 실황 앨범이 실황 녹음되었다.[10][11]키보드 연주자 리처드 라이트는 후에 "비밀의 건방진"의 녹음은 두 공연의 합성이라고 말했다.[12]4월 26일 브롬리 기술대학에서 열린 쇼도 녹화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았다.[13]이 밴드는 라이브 앨범의 한 쪽에 배치할 예정이었던 인터스텔라 오버드라이브(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의 The Gates)와 밴드 멤버들이 각자 자신의 소재를 생각해내기로 결정하기 전에 스튜디오에 녹음된 "배아"의 라이브 버전도 녹음했다.[10]
이 스튜디오 앨범은 라이트가 네 명의 그룹 멤버가 있는 "진짜 음악"을 만들고자 한 결과 나왔다.라이트,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무어, 닉 메이슨)은 각각 절반의 LP 면을 갖고 있어 다른 사람의 개입 없이 솔로 작품을 만들었다.[10]라이트의 공헌인 '시시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으로, 보통 '시시포스'[14]라는 철자를 썼으며, 피아노와 멜로트론 등 다양한 키보드의 조합이 들어 있었다.처음에는 단독 기부에 열을 올렸지만,[15] 라이트는 나중에 그것을 "예절하다"[10]고 표현했다.
워터스의 "그랜체스터 메도우스"는 캠브리지 교외에서의 그의 젊음을 되돌아볼 수 있는 좀 더 목가적인 어쿠스틱 제의였다.그것은 때때로 라이브로 연주되었던 기악곡에서 유래되었으며, 보통 1969년 연주회의 오프닝으로 연주되었고, 보컬이 곁들여졌다.[16][12]그의 또 다른 트랙인 "동굴에서 함께 모여 그림으로 그린 작은 털북숭이 동물들의 여러 종"은 앞뒤로 다양한 속도로 처리되는 다양한 보컬과 타악 효과를 담고 있었고,[17] 후에 워터스와 핑크 플로이드와 협업을 하게 될 론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16][12]파리가 튀는 소리에 두 트랙이 연결되었다.[12]
길머는 1968년 12월 BBC 라디오에서 "The C좁은 길"의 일부가 이미 "Baby Blue Shuffle in D Major"로 공연되었음에도 불구하고,[18] 솔로 작품을 만드는 것에 대해 염려하고 있으며, "스튜디오에 들어가 조각들을 함께 고정시키면서" 싸우기 시작했다고 시인했다.[19]길무어는 그가 그 작품을 통해 "그냥 헛소리를 했다"고 말했다.[10]그는 워터스에게 작곡을 위해 가사를 좀 써달라고 부탁했지만, 그는 그것을 거절했다.[10]스위트룸의 세 번째 부분은 1969년 초에 잠깐 라이브로 공연되었다.[12]
메이슨의 3부작 '그랜드 비지어 가든파티'는 당시 아내 린디와 플루트를 연주하고 [17]메이슨이 7분짜리 드럼 솔로곡을 2부로 연주하는 모습이 담겼다.[10]라이브로 공연하지는 않았지만, 유사한 드럼 솔로곡인 "Work"이 The Man live 스위트룸에 통합되었다.[12]
포장
이 앨범은 하베스트 레이블에 발표된 밴드의 첫 앨범이었다.[20]커버 아트워크는 그룹이 등장하는 드로스테 효과를 보여주는데, 밴드 멤버들이 위치를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벽에 그림이 걸려 같은 장면을 보여준다.[11]원본 LP의 표지는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출시에 따라 다르다.영국판에는 '핑크 플로이드' 편지 바로 위에 앨범 기지가 벽에 기대어 있다.[11]'시티 웨이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스톰 토거슨은 이번 앨범이 논쟁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레드 청어로서 소개된 것이며 의도된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미국과 캐나다 판의 대부분의 복사본에서, 명백히 저작권 문제 때문에, Gigi 커버는 흰 소매에 에어브러쉬되어 있지만, 가장 초기의 미국 복사본은 Gigi 커버를 보여주었고,[21] 그것은 미국 리마스터된 CD 판을 위해 복원되었다.호주판에서는 기기 커버가 완전히 에어브러시로 되어 있어 하얀 사각형도 남기지 않는다.앨범의 전면 커버 장소로 사용되는 집은 캠브리지 근처 그레이트 쉘퍼드(Great Shelpord)에 있다.[22]
후면 표지에는 런던 빅긴 힐 공항의 유도로에 밴드의 장비가 배치된 로디 앨런 스타일즈('앨런의 사이키델릭 조찬'에도 등장)와트('앨런의 싸이키델릭 조찬'에도 등장한다.이 개념은 당시 유행했던 군용기와 그 탑재물의 "폭발된" 도면을 복제하려는 의도로 메이슨이 제안한 것이다.[11]내부 게이트폴드 아트에는 밴드 멤버들의 흑백 사진이 따로 나온다.길무어가 엘프인 오크 앞에 서 있는 것이 보인다.원래의 비닐 판은 워터스에게 그의 첫 번째 아내인 주디 트림이 보여주었지만, 그녀는 대부분의 CD 판에서 제외되었다(원본 사진의 캡션 "로저 워터스 (그리고 주드)"는 그에 따라 "로저 워터스"로 바뀌었다.앨범이 박스 세트인 오, 더 웨이(Oh, the Way)에 수록된 것을 위해 캡쳐되지 않은 사진이 복원되었다.[11]
미국과 캐나다 발매물에는 "A Spisterful of Secrets"라는 곡의 4개 섹션의 추가 제목이 있다.이 타이틀들은 영국판이나, 이전 앨범인 "A Pascerful of Secrets"의 어떤 카피에도 등장하지 않았다.[23][24]
발매이력
Ummagumma는 1969년 11월 7일과 8일에 각각 영국과 미국에서 개봉되었다.[4]이 밴드는 영국 앨범[25] 차트 5위, 미국 앨범 차트 74위에 올라 처음으로 100위권에 진입했다.[26]캐나다에서 비슷하게, 그것은 78위에 도달한 그들의 첫 번째 차트였다.[27]이 앨범은 1974년 2월 미국에서, 1994년 3월에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미국 버전의 카세트는 라이브 세트에서 "Astronomy Domine"만 유지하고 다른 3개의 트랙은 생략했다.[28]1987년 이 앨범은 2CD 세트로 다시 발매되었다.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은 1994년에 발행되었다.[29]
2009년 토르거슨은 앨범 발매 40주년을 맞아 전면 커버의 자필 서명이 들어간 석판화를 한정 판매했다.[30]비록 2011년 재출시 캠페인이 왜 핑크 플로이드인지...?는 2011년에 새롭게 리마스터된 14장의 앨범을 모두 선보였고, 오직 Ummagumma의 스튜디오 디스크만 리마스터되었으며, 라이브 디스크는 이전 1994년 버전이다.라이브 앨범과 스튜디오 앨범 모두 2016년 핑크 플로이드 레코드 레이블로 재발매되었다.[31]
리셉션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데일리 텔레그래프 | ![]() ![]() ![]() ![]() ![]() |
그레이트 록 음반 목록 | 7/10[33] |
대중음악 백과사전 | ![]() ![]() ![]() ![]() ![]() |
뮤직하운드 | 2.5/5[35] |
붙여넣기 | 5.0/10[36] |
롤링스톤 앨범 안내서 | ![]() ![]() ![]() ![]() ![]() |
스푸트니크 음악 | 4/5[38] |
톰 헐 | B[39] |
버진 백과사전 | ![]() ![]() ![]() ![]() ![]() |
개봉 즉시, Ummagumma는 호평을 받았다.[15][17]인터내셔널 타임즈는 이 라이브 앨범에 대해 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리뷰어는 이 앨범이 "내가 들어본 것 중 가장 좋은 라이브 음반 중 하나일 것"이라고 평했다.[4]복스는 이 앨범의 라이브 반을 "The Great Live Albums Ever" 목록에 포함시켰다.[33]스타일러스 매거진은 라이브 앨범이 "초기의 플로이드의 대기중 활발한 방해공작에 대한 본능적인 문서로서, 그것과 같은 것은 없다"면서 "어떤 면에서 스튜디오가 골절된 구조를 초월해 완전한 앨범 장문의 진술을 한다"[40]고 말하며 앨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그 이후 그 밴드는 그 작품에 대해 무시적이고 비판적이었다.워터스 씨는 말년에 이 앨범을 떠올리며 "음마금마, 정말 재앙이야!"[41]라고 말했고, 길무어는 1995년 이 앨범을 "끔찍한"[42]이라고 표현했다.1984년 인터뷰에서 메이슨은 "나는 그것이 매우 훌륭하고 흥미로운 작은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모든 사람들이 약간씩 하는 모든 사업이다.그러나 나는 여전히 그것이 부분보다 합이 크다는 것을 꽤 좋은 예라고 느낀다..."[43] 나중에 그는 그것을 "실패한 실험"이라고 설명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다시 그것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44]
2011년 재출시를 검토한 페이스트는 "Careful with that Axes, Eugene"[36]의 라이브 버전을 칭찬했지만, 이 앨범을 "최악의 록 오버"라고 묘사했다.로버트 크라이스토는 이 앨범의 "하이프토틱 멜로디"가 "잠든다는 것은 존경할 만한 기록"[45]이 되었다고 제안했다.
잠자리 종
2015년 12월 과학자들은 이 앨범의 이름을 따서 우마(Umma)의 새로 발견된 곤충의 이름을 스스로 댐(Damma)이라고 지었다.[46][47]
트랙리스트
더블-LP판
No. | 제목 | 작성자 | 리드 보컬 | 길이 |
---|---|---|---|---|
1. | "아스트로노미 도미네 | 시드 배럿 | 길무어, 워터스, 라이트 | 8:32 |
2. | 더 액스 조심 | 물(화성어, 비명)과 길무어(스캣노래) | 8:49 | |
총 길이: | 17:21 |
No. | 제목 | 작성자 | 리드 보컬 | 길이 |
---|---|---|---|---|
1. | "태양의 심장에 대한 제어 설정" | 물 | 물 | 9:27 |
2. | "비밀의 잔혹함" |
| 길무어 (말없는 보컬) | 12:48 |
총 길이: | 22:15 |
No. | 제목 | 작성자 | 리드 보컬 | 길이 |
---|---|---|---|---|
1. | "시포스 – (1-4부)" | 장인 | 기구의 | 13:28 |
2. | 그랜체스터 메도우스 | 물 | 물 | 7:26 |
3. | "동굴에 모여 그림으로 더듬는 작은 털북숭이 동물들의 여러 종" | 물 | 물(초점화) | 4:59 |
총 길이: | 25:53 |
No. | 제목 | 작성자 | 리드 보컬 | 길이 |
---|---|---|---|---|
1. | "좁은 길 – (1~3부)" | 길무어 | 길무어 | 12:17 |
2. | "그랜드 비지어 가든 파티"
| 메이슨 | 기구의 | 8:46
|
총 길이: | 21:03 |
영국 카세트판
No. | 제목 | 길이 |
---|---|---|
1. | "시시포스" | 13:28 |
2. | "아스트로노미 도미네 | 8:32 |
3. | 그랜체스터 메도우스 | 7:26 |
4. | "동굴에 모여 그림으로 더듬는 작은 털북숭이 동물들의 여러 종" | 4:59 |
5. | 더 액스 조심 | 8:49 |
총 길이: | 43:14 |
No. | 제목 | 길이 |
---|---|---|
6. | "좁은 길" | 12:17 |
7. | "태양의 심장에 대한 제어 설정" | 9:27 |
8. | "그랜드 비지어 가든 파티" | 8:46 |
9. | "비밀의 잔혹함" | 12:48 |
총 길이: | 43:18 |
미국 카세트판
No. | 제목 | 길이 |
---|---|---|
1. | "아스트로노미 도미네 | |
2. | "좁은 길: 제1, II, III편" | |
3. | 그랜체스터 메도우스 |
No. | 제목 | 길이 |
---|---|---|
4. | "동굴에 모여 그림으로 더듬는 작은 털북숭이 동물들의 여러 종" | |
5. | "시시포스: 제1부, 제2부, 제3부, 제4부" | |
6. | "그랜드 비지어 가든 파티: 1부: 입장, 2부: 엔터테인먼트, 3부: 퇴장" |
CD판
No. | 제목 | 길이 |
---|---|---|
1. | "아스트로노미 도미네 | 8:29 |
2. | 더 액스 조심 | 8:50 |
3. | "태양의 심장에 대한 제어 설정" | 9:26 |
4. | "비밀의 잔혹함" | 12:48 |
총 길이: | 39:33 |
No. | 제목 | 길이 |
---|---|---|
1. | "시시포스 (1부)" | 1:08 |
2. | "시시포스(2부)" | 3:30 |
3. | 시시포스 (3부) | 1:49 |
4. | "시시포스 (4부)" ()[a] | 6:59 |
5. | 그랜체스터 메도우스 | 7:19 |
6. | "동굴에 모여 그림으로 더듬는 작은 털북숭이 동물들의 여러 종" | 5:01 |
7. | "좁은 길(1부)" | 3:25 |
8. | "좁은 길(2부)" | 2:54 |
9. | "좁은 길(3부)" | 5:51 |
10. | "그랜드 비지어 가든 파티 (1부: 입장)" | 1:00 |
11. | "그랜드 비지어 가든 파티 (2부: 엔터테인먼트)" | 7:06 |
12. | "그랜드 비지어 가든 파티 (3부: 퇴장)" | 0:38 |
총 길이: | 46:40 |
인원
핑크 플로이드
- David Gilmour – 리드 기타, 보컬(라이브 앨범),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키보드, 드럼 및 보컬(The C좁은 길)
- 닉 메이슨 – 드럼 (라이브 앨범), 타악기, "The Grand Vizier's Garden Party" 파트 1 & 2
- 로저 워터스 – 베이스 기타, 보컬(라이브 앨범), 어쿠스틱 기타와 "그랜체스터 메도우"의 보컬, "작은 털북숭이 동물 종"의 모든 보컬.."
- Richard Wright – 키보드, 보컬(라이브 앨범), 오르간, 피아노, 멜로트론 및 "Sysyphus"의 타악기
추가인원
차트
|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프랑스(SNEP)[56] | 금 | 100,000* |
이탈리아(FIMI)[57] 2009년 이후 매출 | 금 | 25,000* |
영국(BPI)[58] 2011년 이후 매출 | 금 | 100,000![]() |
미국(RIAA)[59] | 백금 | 1,000,000^ |
* 인증만으로 판매 수치를 산출한다. |
메모들
참조
인용구
- ^ a b c d McCormick, Neil (20 May 2014). "Pink Floyd's 14 studio albums rated".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December 2014. Retrieved 27 December 2014.
- ^ Doyle Greene (17 February 2016). Rock, Counterculture and the Avant-Garde, 1966–1970: How the Beatles, Frank Zappa and the Velvet Underground Defined an Era. McFarland. p. 159. ISBN 978-1-4766-6214-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December 2016. Retrieved 29 October 2016.
- ^ a b 매닝 2006 페이지 160.
- ^ a b c 2007년 포비 페이지 115.
- ^ 2007년 포비 페이지 74.
- ^ Alistair Lawrence (2012). Abbey Road: The Best Studio in the World. A&C Black. p. 14. ISBN 97814088324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21.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샤프너 2005 페이지 157.
- ^ 블레이크 2008, 페이지 137.
- ^ 2007년 포비 페이지 88-89.
- ^ a b c d e f g 샤프너 2005 페이지 156.
- ^ a b c d e Mabbett 2010, 페이지 85.
- ^ a b c d e f 2007년 포비 페이지 89.
- ^ 포비 2007, 페이지 88, 107–108.
- ^ Mabbett, Andy (1995).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 of Pink Floyd. London: Omnibus Press. p. 27. ISBN 0-7119-4301-X.
- ^ a b 메이슨 2011, 페이지 129.
- ^ a b 메이슨 2011, 페이지 130.
- ^ a b c 매닝 2006, 페이지 161.
- ^ Fielder, Hugh (2013). Pink Floyd: Behind the Wall. Race Point Publishing. p. 48. ISBN 97819379942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21. Retrieved 22 November 2020.
- ^ "BBC – Radio 1 – Keeping It Peel – 02/12/1968 Pink Floyd". bbc.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y 2012. Retrieved 12 October 2012.
- ^ 2007년 포비 페이지 87.
- ^ Umphred, Neil (1994). Goldmine's Price Guide to Collectible Record Albums (Fourth ed.). Krause Publications. p. 548.
- ^ 2007년 포비 페이지 29.
- ^ Mabbett 2010, 페이지 86.
- ^ Ummagumma (Media notes). Capitol Records. 1969. STBB-3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27 August 2015.
- ^ "Pink Floyd Artist Official Charts". officialchart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ne 2013. Retrieved 12 October 2012.
- ^ DeRisto, Nick (25 October 2014). "45 Years Ago: Pink Floyd Tries to Find Its Way With 'Ummagumma'". Ultimate Classic Ro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5. Retrieved 27 August 2015.
- ^ "RPM Top 100 Singles – March 21, 1970"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1 May 2016. Retrieved 19 May 2020.
- ^ Ummagumma (Media notes). Capitol / EMI. 1973. 4XVV 3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5. Retrieved 27 August 2015.
- ^ "Ummagumma – Pink Floyd : Releases". All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5. Retrieved 27 August 2015.
- ^ "Pink Floyd News :: Brain Damage – Pink Floyd's Ummagumma – 40th Anniversary Marked with New Memorabilia". brain-damage.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December 2014. Retrieved 12 October 2012.
- ^ "Pink Floyd to Launch Massive Vinyl Reissue Campaign". Rolling Stone. 6 Ma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October 2017. Retrieved 25 October 2017.
- ^ Eder, Bruce. "Ummagumma – Pink Floyd: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AllMusic". All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December 2012. Retrieved 12 October 2012.
- ^ a b c "Pink Floyd Ummagumma". Acclaimed 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27 December 2014.
- ^ Larkin, Colin (2011).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ISBN 978085712595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21. Retrieved 22 May 2019.
- ^ Graff, Gary; Durchholz, Daniel, eds. (1999).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Farmington Hills, MI: Visible Ink Press. p. 872. ISBN 1-57859-061-2.
- ^ a b Deusner, Stephen (29 September 2011). "Pink Floyd: Ummagumma ("Why Pink Floyd?" Reissue) :: Music :: Reviews :: Paste". Pas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rch 2013. Retrieved 12 October 2012.
- ^ Sheffield, Rob (2 November 2004). "Pink Floyd: Album Guide". Rolling Stone. Wenner Media, Fireside 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February 2011. Retrieved 27 December 2014.
- ^ Campbell, Hernan. "Pink Floyd Ummagumma". Sputnik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21. Retrieved 26 August 2015.
- ^ Hull, Tom. "Grade List: pink floyd". Tom Hull – on the We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20. Retrieved 11 October 2020.
- ^ Howard, Ed (1 September 2003). "Pink Floyd – Ummagumma – On Second Thought". Stylus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2. Retrieved 12 October 2012.
- ^ "(CD) Pink Floyd: Ummagumma". audio-music.in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4. Retrieved 12 October 2012.
- ^ Wolfgang Huebel and Thomas Huetlin. "Total Silence or War". Brain-Damage.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5. Retrieved 15 July 2015.
- ^ "Gilmour, Waters, Mason, Wright: Shakes of Pink – The Source, 1984 – All Pink Floyd Fan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2. Retrieved 12 October 2012.
- ^ "Pink Floyd". Omnibus. November 1994. 60 minutes in. BBC.
- ^ Christgau, Robert. "Pink Floyd: Atom Heart Mother". Consumer Gui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3. Retrieved 18 December 2013.
- ^ 클라스두웨 B.디크스트라, 옌스 키핑, 니콜라스 메지에르: 아프리카(오도나타)에서 온 60종의 새로운 잠자리 및 댐 자기 종이다.오도나톨로지카 44(4), 2015년 9월; S. 457–461. 도이:10.5281/zenodo.35388.
- ^ http://science.orf.at/stories/2775782/은 2016년 5월 23일 웨이백 머신 샤우리그에 보관되어 있다. 쇤 und 스커릴, orf.at, 23.Mai 2016, abgerufen 23.Mai 2016. (독일어) – 사진
- ^ "최고 RPM 앨범: 발행물 3767". RPM. 캐나다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Dutchcharts.nl – Pink Floyd – Ummagumma"(네덜란드어)헝 메디엔.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Offiziellecharts.de – Pink Floyd – Ummagumma"(독일어)GfK 엔터테인먼트 차트.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핑크 플로이드 아티스트 공식 차트'영국 앨범 차트.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핑크 플로이드 차트 히스토리 (빌보드 200)"빌보드.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울트라톱.be – Pink Floyd – Ummagumma(프랑스어).헝 메디엔.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Les charts francais (01/11/2011)". lescharts.com. Retrieved 9 June 2016.
- ^ "Spanishcharts.com – Pink Floyd – Ummagumma".헝 메디엔.2016년 6월 9일 회수됨.
- ^ "French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Ummagumma" (in French). InfoDisc. Retrieved 9 November 2021. PINK 플로이드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십시오.
- ^ "Itali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Ummagumma" (in Italian). Federazione Industria Musicale Italiana. Retrieved 14 June 2016. "Anno" 드롭다운 메뉴에서 "2016"을 선택하십시오."Filtra" 필드에서 "Ummagumma"를 선택하십시오."Sezione"에서 "앨범 e 컴파일"을 선택하십시오.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Ummagumma".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 Retrieved 17 April 2021.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Pink Floyd – Ummagumm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Retrieved 9 June 2016.
원천
- Blake, Mark (25 November 2008). Comfortably Numb: The Inside Story of Pink Floyd. Da Capo Press Inc. p. 137. ISBN 978-0306817526.
- Povey, Glenn (2007). Echoes: The Complete History of Pink Floyd. Mind Head Publishing. ISBN 978-0-955-46240-5.
- Mabbett, Andy (2010). Pink Floyd- The music and the mystery. Omnibus Press. ISBN 978-0-857-12418-0.
- Manning, Toby (2006). The Rough Guide to Pink Floyd (1st ed.). London: Rough Guides. ISBN 1-84353-575-0.
- Mason, Nick (2011) [2004]. Philip Dodd (ed.). Inside Out – A Personal History of Pink Floyd (Paperback ed.). Phoenix. ISBN 978-0-7538-1906-7.
- Schaffner, Nicholas (2005). Saucerful of Secrets: The Pink Floyd Odyssey (New ed.). London: Helter Skelter. ISBN 1-905139-09-8.
외부 링크
![]() | Wikiquote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Ummagumm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