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나토 데 빌라

Renato de Villa
레나토 S. 데 빌라
국방부 장관
재직중
1991년 7월 20일 – 1997년 9월 15일
대통령코라존 아키노
피델 라모스
선행자피델 라모스
성공자포르투나토아바트
필리핀 군 참모총장
재직중
1988–1991
대통령코라존 아키노
선행자피델 라모스
성공자로돌포 비아존
총무
재직중
2001년 1월 20일 – 2001년 5월 7일
대통령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선행자에드가르도 앙가라
성공자알베르토 로뮬로
개인내역
태어난 (1935-07-20) 1935년 7월 20일 (86세)
산후안, 바탕가스, 필리핀 제도
정당파르티도 ng 데모크라티콩 레포마-라피앙 망가와
배우자모니카 바리케이
아이들.4

레나토 "레네" 살루드 빌라 (1935년 7월 20일 출생)는 필리핀의 정치 인사로 우익 정당인 파르티도 ng 데모크라티콩 르포마-라피앙 망가와를 창시했다.

조기생활과 교육

레나토 데 빌라는 1935년 7월 20일 바탕가스의 산후안에서 태어났다.[1] 산후안 초등학교에서 초등교육을 수료하였고, 산후안에서도 바탕가스 동부학원에서 고등학교를 수료하였다.[1] 필리핀 육군사관학교 입학시험을 치르고 합격하기 전 마닐라산토 토마스 대학에서 1년간 공학을 공부했다.[1]

데 비야는 아시아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경력

필리핀의 군사

데 비야는 1986년 필리핀 경찰청장과 통합경찰국장을 지냈고 1987년 필리핀참모차장을 겸임했다. 1988년 코라존 아키노 대통령에 의해 육군참모총장으로 승진했다. 1989년에는 그레고리오 호나산 국군개혁운동(RAM)의 마닐라 쿠데타 음모, 잠보앙가 시 리잘 알리의 군대 수용소 포위 등에 맞서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을 두둔했다.

병역의무상

국방부 장관

1991년 피델 라모스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국방 장관직을 사임했다. 아키노는 데 빌라를 후임으로 임명했다. 1992년 라모스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데 빌라(De Villa)를 재임용했다.

1998년 대통령 선거

1997년에는 국방장관직을 사임하고 대통령직에 도전했다. 그는 같은 해에 라모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라카스-누크드에 가입했다. 데 비야는 필리핀 경찰서에서 오랜 기간 연고관계를 맺고 EDSA 혁명에 대한 경험을 공유했으며 국방장관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이 선호하는 후보자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2] 그러나 1997년 12월, 라모스는 당의 공식 대통령 후보가 된 호세베네치아 주니어 하원의장을 지지했다.[2]

데 비야는 당을 탈환하고 파르티도 ng 데모크라티콩 르포마(민주개혁당)라고 불리는 자기 당을 결성하고 라피앙 망가와(노동조직)와 르포마–로 동맹을 맺었다.LM. 그는 판가시난 주지사 오스카 오르보스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했고 라카스의 반란군 대원들을 그의 일당으로 데려왔다. 많은 이들이 그의 행동을 비판했는데, 대부분은 그가 기본적으로 라모스의 경력을 복제했다고 생각한다(라모스는 자민당 공천에서 졌을 때도 그랬다). 511 선거에서는 조지프 에스트라다 부통령에게 패해 11명의 후보가 모인 분야에서 종합 6위에 올랐다.

총무

데 비야는 2001년 제2차 EDSA 인민권력혁명이 고조되면서 다시 등장했고, 군 현역 장교들이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이 취임했을 때, 그녀는 드 빌라를 그녀의 비서로 임명했다. 그는 이듬해 건강 상태를 이유로 내각에서 물러났다. 2004년 선거에서 아로요와의 동맹을 정식으로 철회하고 라울 로코를 대통령으로 추대했다. 그의 당은 로코에 의해 지지된 것 외에는 어떤 후보도 채우지 않았다. 그러나 로코는 선거에서 현직 아로요에게 졌다.

2005년 7월, 야당이 아로요 대통령과 노리 카스트로 부통령을 성공적으로 축출하고 혁명 정부를 구성할 경우에 대비하여 드 빌라를 인수 대통령으로 선출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아로요 탄핵안이 하원에서 기각됐을 때 그런 계획은 일어나지 않았다.

사생활

1960년대 군대의 젊은 대장으로서, 드 빌라는 필리핀 육군사관학교 동창인 에두아르도 에르미타포트 보니파시오 숙소에서 여가를 보내곤 했다. 필리핀 항공 승무원이자 에르미타의 아내의 조카인 디폴로고 시티의 모니카 "모네" 바리카도 그곳에 머물렀다.[2] 드 비야는 베트남으로 출항하기 한 달 전인 1968년 바리케이와 결혼했다.[2]

데 비야와 바리케아에게는 네 명의 자녀가 있었다.[1]

  • 마. 메르세데스 요제피나 데 빌라 콜레
  • 패트릭 롤랜드 B. 데 빌라
  • 캐서린 요한나 데 빌라 마라빌라 - 바탄가스 이스턴 칼리지의 총장(2008-2020)이다.
  • 마이클 셀레스티노 B. 데 빌라

바리카는 1990년 악성암 3기 판정을 받았으며, 16년간의 투병 끝에 2006년 9월 사망했다. 그녀의 유해는 바탄가스 산후안의 로마 가톨릭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2]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Renato S. De VIlla".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Management Office,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Retrieved November 20, 2014.
  2. ^ a b c d e "Life without Monet". Philippine Daily Inquirer. April 2,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9, 2014. Retrieved November 20, 2014.

외부 링크

군청
선행자 필리핀참모총장
1988–1991
성공자
정치국
선행자 국방부 장관
1991–1997
성공자
정당정치국
먼저 르포마 지명자
필리핀 대통령을 위해

1998
비어 있음
다음에 보유하는 제목
판필로 라크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