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제된 메모리

Repressed memory

억압된 기억은 논란의 여지가 많고, 대부분 과학적으로 신뢰받지 못하는 주장인데[1],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은 무의식적인 마음에 저장되고 정상적인 의식적인 [2]기억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원래 가정한 것처럼, 억압된 기억 이론은 비록 개인이 기억을 떠올릴 수 없을지라도, 행동과 감정 [3]반응에 대한 잠재의식의 영향을 통해 여전히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전문가와 [4]임상심리학자들 사이에 억압된 기억의 현상에 대한 널리 알려진 믿음에도 불구하고, 기억의 심리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연구심리학자들은 억압이 일어난다는 것에 [5][6][7][8][9][10]대해 이의를 제기한다.일부 심리학자들은 잠재된 기억이 정신 요법(또는 자발적으로 회복될 수 있을 때 억압된 기억은 특정 냄새, 맛, 또는 다른 식별자에 의해 유발되는 이벤트 후년 또는 몇 수십년이 잃어버린 기억과 관련된)[11]전문가들을 통해 기억의 심리학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보다는 주장한다.pr진짜 억압된 기억의 회복을 제외하면, 심리치료는 거짓 [12][13][9]기억의 생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미국 심리학회에 따르면, 증거 [3]없이는 억압된 기억과 거짓 기억을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고 회복된 억눌린 기억의 개념을 둘러싼 발생한 강렬한 논란 부분 때문이기도, 많은 임상 심리학자들 그런 용어를 사용하고 그 대신 임기 해리성 기억 상실 증상 또한 충격적인 사건의 추억의 장소, 기간 해리 inaccessible,[10][9]이 된 과정을 말하는 것을 멈췄다. 기억 상실증DSM-V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서 "자전적 정보를 불러올 수 없는 것"으로 정의됩니다.이 기억상실증은 국소화(즉, 사건이나 기간), 선택화(즉, 사건의 특정 양상), 또는 일반화(즉, 정체성과 삶의 역사)될 수 있다.그러나 기억 [10][9]분야의 전문가들에 따르면 용어의 변화는 이 현상에 대한 믿음을 덜 문제가 되게 하지 않았다.하버드 대학 심리학과의 교수이자 임상 훈련 소장인 리차드 J. 맥널리는 다음과 같이 썼다: "외상적인 사건들은 억압되고 나중에 회복될 수 있다는 생각은 심리학과 정신의학을 감염시키는 민속학에서 가장 해로운 부분이다.이는 뇌엽절제술 [14]시대 이후 정신건강 분야에 닥친 최악의 재앙인 '기억요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습니다."

역사

억압된 기억의 개념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1896년에세이 "히스테리의 병인에 대하여"[15]에서 비롯되었다.그의 에세이에서 발표된 연구들 중 하나는 안나 오라는 이름의 젊은 여성에 관한 것이었다.그녀의 많은 병들 중에서, 그녀는 몸의 오른쪽이 뻣뻣하게 마비되었다.프로이트는 그녀의 증상이 정신적 충격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아픈 기억들이 그녀의 의식에서 분리되어 그녀의 몸에 해를 끼쳤다.프로이트는 안나 O를 치료하기 위해 최면을 사용했다.오른쪽 [16]옆구리가 약간 움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들

도입 사례

정신과 의사 데이비드 코윈은 그의 사례 중 하나가 억압된 기억의 실체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이 사건은 코윈에 따르면 어머니로부터 심각한 학대를 당했던 환자(제인사건)가 6살 때 코윈과 함께 치료를 받는 동안 학대를 기억했다가 11년 후 학대에 대한 기억이 치료 [17]중 그녀의 마음속에 다시 떠오르기 전까지 학대를 기억하지 못했다고 한다.그러나 엘리자베스 로프터스와 멜빈 가이어의 사건 조사는 제인 도가 어머니에 의해 학대를 당했는지 여부를 포함해 코윈이 보고한 사건의 많은 핵심 세부 사항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고, 이는 암시하는 동안 "생성된" 어린 시절의 학대에 대한 잘못된 기억의 사례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신원미상의 6살 때 ve therapy를 받았죠로프터스와 가이어는 또한 6세 때 치료 중 학대에 대한 그녀의 첫 번째 "회고" 이후, 도가 11년 동안 학대에 대해 이야기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는데, 이는 학대가 실제로 발생했더라도 학대에 대한 기억이 [18][19]억제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더 일반적으로, 거짓 기억의 문제 외에도, 이 사건은 억압의 중요한 의존성을 강조한다.-이 사건은 그들이 이전에 충격적인 사건을 기억할 수 있었는지 아닌지를 기억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것이다; McNally가 지적했듯이, 사람들은 그런 종류의 [9]판단을 내리는 데 서투르기로 악명 높다.

억압된 기억의 현상의 타당성에 대해 제기된 주장은 19세기 이전의 역사 문헌에서 기억억제나 해리성 [20]기억상실증의 예로 적합할 만한 논의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그런 가 없다는 해리슨 포프의 2006년 주장에 대해 브라운 대학의 정치학자 로스 샤이트는 프랑스 작곡가 니콜라스 달레이락의 1786년 오페라 니나의 사례를 인용했다. 니나는 결투에서 애인이 살해되는 것을 본 것을 잊은 채 매일 [21]그를 기다리고 있다.포프는 이 하나의 허구적인 묘사조차도 정상적인 [22]기억의 다른 현상과 달리 기억 억제의 증거에 대한 모든 기준을 명확하게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외견상 충격적인 사건을 잊어버린 증거가 억압의 증거로 인정된다는 기억억제 현실의 지지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아동 성적 학대와 다른 외상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 때때로 [23][24]기억의 정상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잊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외상성 기억의 자발적 회복의 증거가 보여졌고,[25][26][27] 외상성 아동 학대에 대한 회복된 기억은 [28]입증되었다. 하지만, 외상 망각은 반드시 트라우마가 [23]억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외상" 경험을 잊어버리고 나중에 회복될 가능성이 특히 높은 한 가지 상황은 그 경험이 처음 일어났을 때 트라우마로 해석되지 않았지만, 그 후 인생에서 초기 [23]트라우마의 예로 재해석되었을 때입니다.

1996년 앨런 셰플린과 대니얼 브라운에 의한 리뷰는 아동 성학대의 기억상실증에 대한 25개의 이전 연구를 발견했다.무작위 표본 추출과 사전 [29]설계에 대한 보다 최근의 연구를 포함하여 25개 모두 "하위 집단에서 나타난 기억상실증"이다.반면에, 영국 의학 저널의 1998년 사설에서, 해리슨 포프는 "중요한 검사에서, 억압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무너진다"고 썼다.그는 이어 "개인에게 '잊었는지 기억하는지' 물어보는 것은 타당성이 의심스럽다"고 말했다.게다가, 대부분의 회고적 연구에서 외상성 사건에 대한 확증이 없거나 합리적인 과학적 [30]기준 아래로 떨어졌다."

진정성

기억은 정확할 수 있지만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비교적 최근의 극적인 사건들에 대한 목격자들의 증언도 믿을 [31]수 없는 것으로 악명 높다.사건에 대한 기억은 감정과 겹쳐진 사실의 혼합이고, 해석과 섞이고, 상상으로 채워진다.기억의 타당성을 사실에 입각한 세부사항으로 보는 회의론은 정당하다.[32]예를 들어, 문서화된 아동학대 피해자들이 수년 후 성인으로 재해석된 한 연구에서는 여성의 38%가 [33]학대에 대한 기억을 부인했다.

다양한 조작이 잘못된 기억(가짜 기억)을 이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심리학자 엘리자베스 로프터스는 환자들이 초기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을 회복하도록 돕기 위해 일부 치료사들이 사용하는 기술들 중 일부는 특히 거짓의 생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e 또는 의사 메모리.[2]그러한 치료로 만들어진 기억은 그것을 발전시키는 사람들에게 꽤 설득력 있고,[34] 다른 사람들에게 믿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세부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로프터스의 현재 고전적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가족들에 의해 쓰여진 실제 어린 시절의 사건에 대한 세 가지 설명과 쇼핑몰에서 잃어버린 전혀 가공의 사건에 대한 네 번째 설명이 담긴 책자를 받았다.피실험자의 4분의 1은 가공의 사건을 기억하고 있으며,[35] 상세한 정황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했습니다.이 실험은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그 중 하나에서, 포터 외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절반 가량이 어린 [36]시절에 잔인한 동물 공격에서 살아남았다고 확신시켰다.

이러한 실험 연구의[37] 비평가들은 그들의 발견이 현실 세계의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으로 일반화되는지 아니면 심리 치료적 [38]맥락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왔다.하지만, 기억상실증의 오랜 기간 후에, 특히 기억의 회복을 위해 특별한 수단이 사용되었을 때, 기억들이 거짓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실제로 [39]일어나지 않은 사건의 "기억"이다.따라서 잘못된 기억을 주입하는 위험은 유사한 유형의 치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전문 조직에 의해 인정된다.미국 심리학 협회는 "...이 분야의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비록 드문 일이지만, 잊혀진 어린 시절의 학대에 대한 기억은 나중에 기억될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이 지도자들은 또한 전혀 [40]일어나지 않은 사건에 대해 설득력 있는 유사 기억들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데 동의한다.

모든 치료사들이 거짓 기억이 심리 치료의 주요 위험 요소라는 것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그들은 이 생각이 데이터를 과장하고 검증되지 [25][41][42]않았다고 주장한다.몇몇 연구는 회복된 [43][44]기억의 확증에 대한 높은 비율을 보고했고, 일부 저자들은 회복된 기억의 [45]확증의 증거를 숨기거나 생략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분야에서 어려운 문제는 진실과 거짓 [46][47]기억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차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어떤 사람들은 최면 상태에서 "회복"된 기억이 특히 [48]거짓일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미국 의학 협회에 따르면, 최면 중 얻은 기억은 혼혈과 가성 기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최고혈압 [49]기억보다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브라운 외 연구진은 실험 대상자의 3~5%가 사건 후 잘못된 정보에 취약하다고 추정한다.그들은 일반 인구의 5~8%가 높은 인지성의 범위라고 말한다.이 범위에 속하는 사람들 중 25%는 주변 세부 사항에 대한 유사 메모리 제안에 취약하며, 이는 다른 사회적 영향 요소들의 조합으로 80%까지 증가할 수 있다.그들은 기억 오류 비율이 성인 연구에서 0-5%, 어린이 연구에서 3~5%이며, 아동 학대 혐의에 대한 거짓 주장 비율은 일반 [41]인구에서 4-8%라고 결론지었다.

메커니즘

억압된 기억의 현상에 대한 타당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기억 억제가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정상 기억의 세 가지 메커니즘을 알아냈다: 검색 금지, 동기 부여된 망각, 그리고 상태 의존적인 기억.[10]

검색 금지

검색 금지란 어떤 정보를 기억하면 다른 [50]정보를 잊어버리는 기억 현상을 말한다.앤더슨과 그린은 이 현상과 기억억제 사이의 연관성을 주장했습니다; 이 관점에 따르면, 다른 관련된 경험(또는 정신적 충격의 덜 충격적인 요소들)에 대한 적극적인 기억과 함께, 정신적 충격 사건에 대해 생각하지 않기로 한 단순한 결정은 정신적 충격 경험의 기억을 만들 수 있습니다.의식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집니다.[51]그러나, 이 관점의 두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1) 기본 현상에 대한 증거가 일관되게 복제되지 않았고, (2) 이 현상은 기억억제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으며, 특히 이러한 형태의 망각은 c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의 부족이다.트라우마 [10]경험 같은 건 없어요

동기부여 망각

동기부여된 망각현상은 때때로 의도적인 망각이나 지시적인 망각이라고도 불리며, 특정한 정보를 [52][53]잊기 위한 의식적인 목표에 의해 시작되는 망각을 말한다.전형적인 의도적 망각 패러다임에서 참가자들은 단어 목록을 보여주지만, 다른 단어를 잊어버리고 특정 단어를 기억하도록 교육받는다.나중에, 모든 단어에 대해 기억력을 테스트했을 때, 기억과 인식은 일반적으로 의도적으로 잊어버린 [54]단어에 대해 더 나쁘다.동기부여된 망각을 기억억제 메커니즘으로 보는 것의 문제는 의도적으로 잊어버린 정보가 처음에는 접근할 수 없게 되고 나중에는 (기억억억제이론에 [10]의해 요구되는) 검색 가능하게 된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상태 의존형 기억

상태 의존적 기억이라는 용어는 개인이 기억을 [55][56]형성했을 때와 같은 의식 상태에 있을 때 기억 회복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증거를 말한다.Radulovic은 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트라우마 경험을 위한 기억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경험을 위한 기억과 다른 신경 네트워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를 받는 경험을 위한 기억은 생물의 뇌가 신경학적 상태에 놓일 때까지 접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스트레스 받은 경험이 처음 [57]일어났을 때 일어난 일에 대해서요하지만, 현재 라둘로비치가 쥐와 함께 발견한 것이 인간의 기억 체계에서 일어난다는 증거는 없으며, 정신적 충격에 대한 인간의 기억이 일반적으로 원래의 정신적 충격 동안 경험했던 정신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회복"된다는 것은 명확하지 않다.

기억상실증

기억상실증은 단순히 잊어버리는 것을 넘어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기억상실이다.종종 그것은 일시적이고 한 사람의 경험의 일부만을 포함한다.기억상실증은 종종 머리에 타격을 입은 후, 그리고 때로는 정신적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망상증은 뇌의 손상 후에 일어나는 새로운 경험을 기억하는 데 실패하는 것이고, 퇴행성 망상증은 외상이나 부상 전에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기억을 잃는 것이다.해리성 기억상실증은 DSM-5에서 (a) "외상적 또는 스트레스 성격의" "자전적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 (b) "일반적인 망각과 일치하지 않음", (c) "성공적으로 저장됨", (d) 환자가 경험을 기억하지 못하는 기간, (e) 신경성 물질에 의해 유발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f)는 "항상 가역적"이다.McNally와[9] 다른[10] 사람들은 이 정의가 근본적으로 기억억제의 결정적인 특징과 동일하며, 기억억제의 실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모든 이유가 해리성 기억상실증에 관한 주장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언급했다.

트라우마가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기억억제 이론의 본질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계속 존재하면서도 의식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특히 높은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기억이라는 것이다.기억 억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론인 "배신 외상 이론"은 아동 학대에 대한 기억이 정서적, 육체적 지원을 위해 의존하는 누군가에 의해 야기된 강렬한 감정적 외상 때문에 가장 억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이 이론은,ciative emnersia는 강력한 학대자(자녀가 의존하는 대상)와의 관계가 어떤 형태로든 지속되도록 하기 때문에 적응적인 반응이다.

정신과 의사 베셀 [44] 콜크는 기억 기능에 대한 트라우마의 영향을 네 가지 세트로 나눴다.

  • 외상성 기억상실증; 이것은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기억 상실을 수반한다.피험자가 어리고 트라우마 사건이 길어질수록 심각한 기억상실 가능성이 커진다.그는 외상성 기억상실 후 기억의 회복은 자연재해와 사고에 이은 문서화된 사례, 전투병, 납치, 고문, 강제수용소 경험의 피해자, 신체적, 성적 학대의 피해자, 살인을 저지른 사람들에게서 잘 문서화되어 있다고 말했다.
  • 전지구적 기억력 장애: 이로 인해 피실험자가 현재와 과거 이력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구성하기가 어렵습니다."자전적 기억의 부족, 지속적인 분리, 그리고 희생, 무력감, 배신을 포함하는 의미 체계들의 조합은 이러한 개인들을 암시와 그들의 실제 현실과 거의 관련이 없을 수 있는 트라우마 관련 영향에 대한 설명의 구축에 취약하게 만들 것입니다.그들의 삶
  • 분리 과정. 이것은 기억을 단일 집합이 아닌 조각으로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 트라우마 기억의 감각 운동 조직이죠외상성 기억을 통합하지 못하는 것은 외상스트레스 장애(PTSD)[58]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 데 콜크에 따르면, 매우 중요한 사건들에 대한 기억은 대개 정확하고 시간에 따라 안정적이다; 충격적인 경험의 측면들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또는 뒤따를지도 모르는 경험들에 의해 마음에 고정되는 것으로 보인다.외상 경험의 인장 자국을 그nontraumatic의 사건들에서, 주의 focusing거나 사실 기억과 극단의 감정적인 각성 방해가 되개조가 아마도 때문에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44]밴 derKolk과 피슬러의 가설 극단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메모리를 범주화 시스템은 해마 fails,에 기초한다.이 기억들이 감정과 감각의 상태로 유지되는 거죠이러한 흔적들이 기억되고 개인적인 이야기에 들어갈 때, 그것들은 응축되고, 오염되고, 장식되기 쉽다.

기억억제 트라우마 이론의 중요한 문제는 트라우마 [23][9][10]경험의 기억의 실패가 트라우마와 비 트라우마 사건에 대한 기억에도 똑같이 잘 적용되는 기억의 정상적인 과정 이외의 어떤 것에서 비롯된다는 증거의 부족이다.게다가, 의식에서 밀려나기는커녕,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외상성 기억의 어려움은 그들이 정신적 충격을 잊을 수 없고, 정신적 충격의 경험의 기억이 문제 [59]있는 방식으로 의식에 침입하는 경향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심리학적 연구의 증거는 대부분의 정신적 충격적 기억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잘 기억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매우 부정적으로 평가된 자전적 기억은 매우 정확하고 [60]세밀하게 기억됩니다.이러한 관찰은 인간의 기억력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일맥상통하며, 이는 매우 두드러지고 독특한 사건들, 즉 부정적인 외상 경험의 일반적인 특징들이 [61]잘 기억된다는 것을 설명한다.매우 감정적이고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을 경험할 때, 변연계, 특히 편도체해마와 같은 생리적이고 신경학적인 반응들은 더 통합된 [62]기억으로 이끈다.증거는 스트레스가 스트레스를 받는 [63]사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측면과 세부 사항에 대한 기억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게다가, 기억들이 매우 [64]감정적일 때, 마음 속의 기억을 리허설하거나 다시 방문하는 것과 같은 행동과 인지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반응 또한 더 가능성이 높다.긍정적인 사건과 비교했을 때, 부정적이고 충격적인 경험에 대한 기억은 더 정확하고, 일관성 있고, 생생하고, 세밀하며,[65] 이러한 경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된다.이 방대한 증거의 샘플은, 전형적으로 유난히 잘 기억되는 외상성 기억들이 극단적인 망각의 패턴과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트라우마 사건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억은 단순히 실험실에 기초한 발견일 뿐만 아니라 아동 성학대나 전쟁 관련 잔혹행위의 생존자 등 실제 경험에서도 관찰되고 있다.예를 들어, 아동 성학대 생존자의 기억 정확도를 조사한 연구진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심각도가 기억 [61]정확도의 정도와 확실히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또한 아동 성학대를 인생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으로 지목한 모든 사람들은 그 사건에 대해 매우 정확한 기억력을 보였다.마찬가지로, 제2차 세계대전 생존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참가자들이 더 일관성 있고, 개인적으로 중요하고, 더 연습된 전쟁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연구원들은 매우 고통스러운 사건들이 주관적으로 접근하기 [66]쉬운 명확한 기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법적 상태

회복될 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만 잘못된 기억은 대중의 혐의를 낳는다; 잘못된 불만은 피고에게 심각한 결과를 가져온다.잘못된 주장의 특별한 유형인 잘못된 기억 증후군은 사람들이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학대에 대한 어린 시절의 기억의 "회복"을 보고할 때 전형적으로 치료 중에 발생한다.잘못된 "기억"과 잘못된 불만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 실무자들의 신념과 관행이 미치는 영향은 특히 [67]비판을 받고 있다.

일부 형사 사건들은 종종 어린 시절의 성적 학대로 추정되는 억압된 기억의 회복에 대한 목격자의 증언에 기초하고 있다.일부 국가에서는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가 다른 요인뿐만 아니라 억압된 기억의 현상을 수용하기 위해 연장되었다.억압된 기억의 개념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고 일련의 스캔들, 소송, 면허 취소 [68]이후 대중의 관심이 줄어들었다.

미국 지방법원은 억압된 기억을 [69]특정 사건의 증거로 받아들였다.달렌버그는 그 증거가 회복된 기억 사건들이 [42]법정에서 기소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피고인에 의한 기억의 부재가 아닌 고소인의 기억의 회복에 대한 법원의 명백한 의지는 "법원이 [70]두 집단에서 해리성 기억상실 문제에 대해 더 나은 지침을 필요로 하는 것 같다"고 평했다.

1995년, 제9순회 항소 법원이, 프랭클린 대 던컨과 프랭클린 대 폭스에, 머레이 기억을 억눌러(알.(312F3d.423, 보는 것도 8억 8400FSupp 1435년, N.D. Calif.)[71]소송에서 신뢰할 수 없음, 모순, 비과학적 자연, 경향이 치료적으로 evidence,이 유발되기 때문에 증거로 인정되지 않다는 판결을 내렸다.그리고.소문과 암시성의 영향을 받기 쉽다.법원은 9세 소녀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한 남성의 유죄 판결을 전적으로 단독 목격자에 의해 억압된 21세의 기억의 증거로 뒤집었다. 그는 또한 [72][73][74]피고에게 복잡한 개인적 원한을 품고 있었다.

1996년 미국 지방법원은 법정 소송에서 억압된 기억을 증거로 [75]삼는 것을 허용했다.제니퍼 프레이드는 로스 E라고 썼다. 갑자기 기억나는 치트의 성적 학대는 대중이 볼 수 있는 가장 문서화된 사례 중 하나이다.치트는 두 건의 소송에서 승소했고, 5명의 추가 희생자를 찾아내고 [27]자백서를 테이프에 녹음했다.

2005년 12월 16일 아일랜드 형사항소법원은 1999년 아동강간에 대한 유죄판결이 부분적으로 억압된 기억의 증거에 기초하고 있는 전 수녀 노라 월에게 '오산'을 확인하는 증명서를 발급했다.이 판단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76]

"플래시백" 및/또는 "기억 회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어떤 종류의 과학적 증거도 없었고, 또한 사전 통지가 없는 한 신청자는 그러한 사례에 응할 수 있는 어떠한 입장도 없었다.

2010년 8월 16일 미국 제2순회항소법원은 아동학대에 대한 피해자의 기억에 의존한 유죄판결을 뒤집었다.이 사건은 제시 프리드먼이 부당하게 유죄판결을 받았을 "합리적인 가능성"을 시사한다.이 사례에서 "신규하고 중요한 증거"는 시사적인 기억 회복 전술이 거짓 기억을 만들 수 있다는 사회과학계의 유죄판결 후 합의이다(27페이지 FREDIMAN v. REAL Docket No. 08-0297).이 판결은 계속해서 이전의 모든 유죄 판결과 공통의 기억 회복 기법을 사용하여 억압된 기억에 의존하는 유죄판결을 [77]재검토하도록 명령한다.

회복기억치료

"기억치료"라는 용어는 환자가 이전에 [78]잊혀졌던 학대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려는 시도를 안내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치료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DSM-V에는 "회복기억요법"이라는 용어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주류 윤리 및 전문 정신 건강 [79]협회에서 권장하는 회복기억요법도 아니다.회복기억요법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그 치료법이 강력한 암시 [80][81]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지적한다.또한 회복된 기억이 거짓이라고 판단한 후 주장을 철회한 환자들은 환상 기억의 [82]트라우마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요약

미국 심리학회 아동학대 기억 조사 작업 그룹은 5가지 주요 [83]결론에 도달했다.

  1. 성인의 회상에 관한 논란으로 아동 성학대가 역사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복잡하고 만연한 문제라는 사실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 된다.
  2. 어린 시절 성적 학대를 당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한다.
  3. 오랫동안 잊혀졌던 학대의 기억이 기억될 수 있다.
  4. 또한 발생하지 않은 이벤트에 대해 설득력 있는 의사 기억을 구성할 수도 있다.
  5. 아동 학대에 대한 정확하고 부정확한 기억을 이끌어내는 과정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는 차이가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Loftus, Elizabeth; Ketchum, Katherine (1994). The Myth of Repressed Memory: False Memories and Allegations of Sexual Abuse.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ISBN 0312114540.
  2. ^ a b Loftus EF (May 1993). "The reality of repressed memories". The American Psychologist. 48 (5): 518–37. doi:10.1037/0003-066x.48.5.518. PMID 8507050. S2CID 2015626.
  3. ^ a b 어린 시절의 추억에 관한 질의응답 Abuse.apa.org
  4. ^ Loftus, Elizabeth F. (1993). "The reality of repressed memories". American Psychologist. 48 (5): 518–537. doi:10.1037/0003-066x.48.5.518. PMID 8507050. S2CID 2015626.
  5. ^ McNally, R.J. (2004). "The Science and Folklore of Traumatic Amnesia".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 (1): 29–33. doi:10.1093/clipsy/bph056.
  6. ^ McNally RJ (2007). "Dispelling confusion about traumatic dissociative amnesia". Mayo Clin. Proc. 82 (9): 1083–90. doi:10.4065/82.9.1083. PMID 17803876.
  7. ^ McNally RJ (2004). "Is traumatic amnesia nothing but psychiatric folklore?". Cogn Behav Ther. 33 (2): 97–101, discussion 102–4, 109–11. doi:10.1080/16506070410021683. PMID 15279316. S2CID 22884436.
  8. ^ McNally RJ (2005). "Debunking myths about trauma and memory". Can J Psychiatry. 50 (13): 817–22. doi:10.1177/070674370505001302. PMID 16483114. S2CID 9069287.
  9. ^ a b c d e f g McNally, RJ (September 2007). "Dispelling confusion about traumatic dissociative amnesia". Mayo Clinic Proceedings. 82 (9): 1083–90. doi:10.4065/82.9.1083. PMID 17803876.
  10. ^ a b c d e f g h Otgaar, Henry; Howe, Mark; Patihis, Lawrence; Merckelbach, Harald; Lynn, Stephen; Lilienfeld, Scott; Loftus, Elizabeth (2019). "The return of the repressed: The persistent and problematic claims of long-forgotten trauma".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4 (6): 1072–1095. doi:10.1177/1745691619862306. PMC 6826861. PMID 31584864.
  11. ^ Albach, Francine; Peter Paul Moormann; Bob Bermond (December 1996). "Memory recovery of childhood sexual abuse". Dissociation. 9 (4): 261–273. hdl:1794/1774. ISSN 0896-2863.
  12. ^ Amicus Curie brief in (2006년 2월 21일 캘리포니아 대법원)
  13. ^ 메모리 전쟁 재검토:억제/복원된 메모리와 분리, ABC TV, Catalyst(2011년 9월 22일).
  14. ^ McNally, Richard. "Dr. Richard McNally Letter to the California Supreme Court". Religious Tolerance. Ontario Consultants on Religious Tolerance. Retrieved March 23, 2021.
  15. ^ Hinz P (1920). Die Verfassung des Freistaates Preussen. J. Bensheimer. pp. 55–57.
  16. ^ Boag S (2012). Freudian Repression. London: Karnac Books. ISBN 9781855757387.
  17. ^ Corwin D, Olafson E (1997). "Videotaped Discovery of a Reportedly Unrecallable Memory of Child Sexual Abuse: Comparison with a Childhood Interview Videotaped 11 Years Before". Child Maltreatment. 2 (2): 91–112. doi:10.1177/1077559597002002001. S2CID 143444117.
  18. ^ Loftus EF, Guyer MJ (2002). "Who Abused Jane Doe? The Hazards of the Single Case History Part 1". Skeptical Inquirer. 26 (3).
  19. ^ Loftus EF, Guyer MJ (2002). "Who Abused Jane Doe? The Hazards of the Single Case History Part 2". Skeptical Inquirer. 26 (4).
  20. ^ Pope HG, Poliakoff MB, Parker MP, Boynes M, Hudson JI (February 2007). "Is dissociative amnesia a culture-bound syndrome? Findings from a survey of historical literature". Psychological Medicine. 37 (2): 225–33. doi:10.1017/S0033291706009500. PMID 17156503. S2CID 27520532.
  21. ^ Baum D (July 7, 2009). "Brown Professor Continues Debate Over Recovered Memory". Brown University News.
  22. ^ Pope H, Poliakoff M, Parker M, Boynes M, Hudson J (2009). "Response to R. E. Goldsmith, R. E. Cheit, & M. E. Wood, "Evidence of Dissociative Amnesia in Science and Literature: Culture-Bound Approaches to Trauma in Pope et al. (2007)". Journal of Trauma & Dissociation. 10 (3): 254–207. doi:10.1080/15299730902956754. S2CID 144668245.
  23. ^ a b c d McNally RJ, Geraerts E (March 2009). "A New Solution to the Recovered Memory Debat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 (2): 126–34. doi:10.1111/j.1745-6924.2009.01112.x. PMID 26158939. S2CID 16462600.
  24. ^ Williams LM (December 1994). "Recall of childhood trauma: a prospective study of women's memories of child sexual abu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6): 1167–76. doi:10.1037/0022-006X.62.6.1167. PMID 7860814.
  25. ^ a b Chu JA, Frey LM, Ganzel BL, Matthews JA (May 1999). "Memories of childhood abuse: dissociation, amnesia, and corrobor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5): 749–55. doi:10.1176/ajp.156.5.749. PMID 10327909.
  26. ^ Duggal S, Sroufe LA (April 1998). "Recovered memory of childhood sexual trauma: a documented case from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1 (2): 301–21. doi:10.1023/A:1024403220769. PMID 9565917. S2CID 38808998.
  27. ^ a b Freyd JJ (1996). Betrayal Trauma – The Logic of Forgetting Childhood Abus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6805-6.
  28. ^ Cheit RE (1998). "Consider This, Skeptics of Recovered Memory". Ethics & Behavior. 8 (2): 141–160. doi:10.1207/s15327019eb0802_4.
  29. ^ Alan W. Sheflin, Daniel Brown (1996). "Repressed memory or dissociative amnesia: what the science says". J Psychiat Law. 24 (2): 143–88. doi:10.1177/009318539602400203. S2CID 149648250.
  30. ^ Harrison Pope (February 1998). "Recovered memories of childhood sexual abuse". BMJ. 316 (7130): 488–9. doi:10.1136/bmj.316.7130.488. PMC 2665644. PMID 9501699.
  31. ^ Gonsalves B, Paller KA (October 2002). "Mistaken memories: remembering events that never happened". The Neuroscientist. 8 (5): 391–5. CiteSeerX 10.1.1.24.8545. doi:10.1177/107385802236964. PMID 12374423. S2CID 6625293.
  32. ^ Schacter DL (March 2012). "Constructive memory: past and future".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14 (1): 7–18. doi:10.31887/DCNS.2012.14.1/dschacter. PMC 3341652. PMID 22577300.
  33. ^ Williams LM (December 1994). "Recall of childhood trauma: a prospective study of women's memories of child sexual abuse" (PDF).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6): 1167–76. doi:10.1037/0022-006X.62.6.1167. PMID 78608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4, 2015. Retrieved June 21, 2012.
  34. ^ Laney C, Loftus EF (November 2005). "Traumatic memories are not necessarily accurate memorie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0 (13): 823–8. doi:10.1177/070674370505001303. PMID 16483115. S2CID 27653977.
  35. ^ Loftus E (1997). "Creating false memories". Scientific American. 227 (3): 71–75. Bibcode:1997SciAm.277c..70L. doi:10.1038/scientificamerican0997-70. PMID 9274041.
  36. ^ Porter S, Yuille JC, Lehman DR (October 1999). "The nature of real, implanted, and fabricated memories for emotional childhood events: implications for the recovered memory debate". Law and Human Behavior. 23 (5): 517–37. doi:10.1023/A:1022344128649. PMID 10487147. S2CID 19385416.
  37. ^ Crook LS, Dean MC (1999). ""Lost in a shopping mall" -- a breach of professional ethics". Ethics & Behavior. 9 (1): 39–50. doi:10.1207/s15327019eb0901_3. PMID 11657487.
  38. ^ Pope KS (September 1996). "Memory, abuse, and science. Questioning claims about the false memory syndrome epidemic". The American Psychologist. 51 (9): 957–74. doi:10.1037/0003-066X.51.9.957. PMID 8819364.
  39. ^ Brandon S, Boakes J, Glaser D, Green R (April 1998). "Recovered memories of childhood sexual abuse.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2 (4): 296–307. doi:10.1192/bjp.172.4.296. PMID 9722329. S2CID 41360156.
  40. ^ "Memories of Childhood Abuse: What is the bottom lin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trieved March 23, 2021.
  41. ^ a b Brown DP, Scheflin AW, Hammond DC (1998). Memory, trauma treatment, and the law. New York: W.W. Norton. ISBN 978-0-393-70254-5.
  42. ^ a b Dalenberg C (October 2006). "Recovered memory and the Daubert criteria: recovered memory as professionally tested, peer reviewed, and accepted in the relevant scientific community". Trauma, Violence & Abuse. 7 (4): 274–310. doi:10.1177/1524838006294572. PMID 17065548. S2CID 9964936.
  43. ^ Kluft RP (1995). "The confirmation and disconfirmation of memories of abuse in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patients: A naturalistic study" (PDF). Dissociation. 8: 253–8.[영구 데드링크]
  44. ^ a b c van der Kolk BA, Fisler R (October 1995). "Dissociation and the fragmentary nature of traumatic memories: overview and exploratory study" (PDF). Journal of Traumatic Stress. 8 (4): 505–25. CiteSeerX 10.1.1.487.1607. doi:10.1002/jts.2490080402. PMID 85642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2, 2020. Retrieved June 21, 2012.
  45. ^ Cheit RE (1998). "Consider this, skeptics of recovered memory". Ethics & Behavior. 8 (2): 141–60. doi:10.1207/s15327019eb0802_4.
  46. ^ 아동학대의 추억에 대한 질의응답 미국 정신의학회
  47. ^ Stocks JT (September 1998). "Recovered memory therapy: a dubious practice technique". Social Work. 43 (5): 423–36. doi:10.1093/sw/43.5.423. PMID 9739631.
  48. ^ Kihlstrom JF (November 1997). "Hypnosis, memory and amnesi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2 (1362): 1727–32. Bibcode:1997RSPTB.352.1727K. doi:10.1098/rstb.1997.0155. PMC 1692104. PMID 9415925.
  49. ^ "Scientific status of refreshing recollection by the use of hypnosis.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JAMA. 253 (13): 1918–23. April 1985. doi:10.1001/jama.253.13.1918. PMID 3974082.
  50. ^ Anderson MC, Bjork RA, Bjork EL (1994). "Remembering can cause forgetting: Retrieval dynamics in long-term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0 (5): 1063–1087. CiteSeerX 10.1.1.119.3933. doi:10.1037/0278-7393.20.5.1063. PMID 7931095.
  51. ^ Anderson MC, Green C (March 2001). "Suppressing unwanted memories by executive control". Nature. 410 (6826): 366–9. Bibcode:2001Natur.410..366A. doi:10.1038/35066572. PMID 11268212. S2CID 4403569.
  52. ^ 앨런 배들리, 마이클 W아이센크 & 마이클 C앤더슨, 2009년기억.동기부여 망각(217-244페이지)뉴욕: 심리학 프레스
  53. ^ Johnson HM (1994). "Processes of successful intentional forgetting". Psychological Bulletin. 116 (2): 274–292. doi:10.1037/0033-2909.116.2.274.
  54. ^ MacLeod CM (1975). "Long-term recognition and recall following directed forgett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Learning and Memory. 1 (3): 271–279. CiteSeerX 10.1.1.383.9175. doi:10.1037/0278-7393.1.3.271. S2CID 8446979.
  55. ^ Girden E, Culler E (April 1937). "Conditioned responses in curarized striate muscle in dogs". Journal of Comparative Psychology. 23 (2): 261–274. doi:10.1037/h0058634.
  56. ^ Russell D (2007). "State-Dependent Memory". Psych Web.
  57. ^ Radulovic J, Jovasevic V, Meyer MA (August 2017).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state-dependent learning".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45: 92–98. doi:10.1016/j.conb.2017.05.013. PMC 5654544. PMID 28558266.
  58.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 증상으로는 플래시백과 악몽, 잠들거나 잠들기 어려운 경험, 공황이나 공포감, 우울증, 두통, 불규칙한 심장박동과 설사를 포함한 생리적인 증상 등이 있습니다.외상스트레스 장애(PTSD).영국 왕립 정신과의사 협회
  59. ^ McHugh PR (2008). Try to remember: Psychiatry's clash over meaning, memory and mind. Dana Press. pp. 45–6. ISBN 978-1-932594-39-3.
  60. ^ Berntsen D (October 2002). "Tunnel memories for autobiographical events: central details are remembered more frequently from shocking than from happy experiences". Memory & Cognition. 30 (7): 1010–20. doi:10.3758/BF03194319. PMID 12507366. S2CID 20459653.
  61. ^ a b Alexander KW, Quas JA, Goodman GS, Ghetti S, Edelstein RS, Redlich AD, et al. (January 2005). "Traumatic impact predicts long-term memory for documented child sexual abuse". Psychological Science. 16 (1): 33–40. doi:10.1111/j.0956-7976.2005.00777.x. PMID 15660849. S2CID 8750819.
  62. ^ Buchanan TW (September 2007). "Retrieval of emotional memories". Psychological Bulletin. 133 (5): 761–79. doi:10.1037/0033-2909.133.5.761. PMC 2265099. PMID 17723029.
  63. ^ Shields GS, Sazma MA, McCullough AM, Yonelinas AP (June 2017). "The effects of acute stress on episodic memory: A meta-analysis and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43 (6): 636–675. doi:10.1037/bul0000100. PMC 5436944. PMID 28368148.
  64. ^ Christianson SA (September 1992). "Emotional stress and eyewitness memory: a crit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2 (2): 284–309. doi:10.1037/0033-2909.112.2.284. PMID 1454896.
  65. ^ Peace KA, Porter S (2004).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reliability of memories for trauma and other emotional experience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18 (9): 1143–1159. doi:10.1002/acp.1046. ISSN 0888-4080.
  66. ^ Thomsen DK, Berntsen D (2009). "The long-term impact of emotionally stressful events on memory characteristics and life story".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3 (4): 579–598. doi:10.1002/acp.1495.
  67. ^ Boakes J (April 1999). "False complaints of sexual assault: recovered memories of childhood sexual abuse". Medicine, Science, and the Law. 39 (2): 112–20. doi:10.1177/002580249903900205. PMID 10332158. S2CID 156854.
  68. ^ Robbins SP (1998).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Satanic Ritual Abuse Allegations". Issues in Child Abuse Accusations. 10.
  69. ^ "복구된 메모리의 유효성:미국 지방법원의 결정" 판사 에드워드 F.해링턴, 짐 호퍼 박사 발표법적 문서 인용은 923 Federal Supplement 286 (D)입니다.Mass. 1996), 미국 지방법원 – 매사추세츠 지방법원 Ann Shahzade, 원고 민사소송 번호:V. 92-12139-EFH George Gregory, 피고: CS1 유지보수: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 (링크)
  70. ^ Porter S, Birt AR, Yuille JC, Hervé HF (2001). "Memory for murder. A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dissociative amnesia in leg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24 (1): 23–42. doi:10.1016/S0160-2527(00)00066-2. PMID 11346990.
  71. ^ Franklin v. Duncan 법원 명령 https://scholar.google.com/scholar_case?case=3066228776991890480
  72. ^ Holding R (June 23, 2011). "Repressed Memory Case Ruling / Appeals court refuses to restore murder conviction". The San Francisco Chronicle.
  73. ^ "국가의 희생자: 조지 프랭클린"Victimsofthestate.org 를 참조해 주세요.
  74. ^ "Articles about George Thomas Sr Franklin". Los Angeles Times.
  75. ^ 923 연방 부록 286 (D)1996년 Mass. 1996; 민사소송 제92-12139-EFH 비망록 및 명령; 1996년 5월 8일
  76. ^ "D.P.P.-v- Nora Wall [2005] IECCA 140 (16 December 2005)". Bailii.org. Retrieved November 10, 2012.
  77. ^ "FRIEDMAN v. REHAL [Docket No. 08-0297(16 August 2010)]".
  78. ^ Lief HI (November 1999). "Patients Versus Therapists: Legal Actions Over Recovered Memory Therapy". Psychiatric Times. XVI (11).
  79. ^ Underwager R, Wakefield H (October 1994). Return of the Furies: An Investigation into Recovered Memory Therapy. Open Court Pub Co. p. 360. ISBN 978-0-8126-9271-6.
  80. ^ Loftus EF, Pickrell JE (1995). "The formation of false memories" (PDF). Psychiatric Annals. 25 (12): 720–725. doi:10.3928/0048-5713-19951201-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December 3, 2008. Retrieved April 12, 2009.
  81. ^ Pezdek K, Hodge D (July–August 1999). "Planting false childhood memories: The role of event plausibility" (PDF). Child Development. 70 (4): 887–895. doi:10.1111/1467-8624.00064.[영구 데드링크]
  82. ^ Lambert K, Lilienfeld SO (October 1, 2007). "Brain Stains". Scientific Americ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5, 2007. Retrieved January 25, 2008.
  83. ^ Colangelo J (2007). "Recovered Memory Debate Revisited: Practice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Counselor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9 (2): 93–120. doi:10.17744/mehc.29.2.j0v220615259615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