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슬링상
Rhysling Award라이슬링상 | |
---|---|
수여 대상 | 전년도 최고의 투기시 |
나라 | 미국 |
제시자 | SF 시 협회 |
라이슬링 어워드는 그 해 최고의 공상과학 소설, 판타지 또는 공포 시로 매년 수여되는 상이다.대부분의 문학상들이 이 상의 창조자, 이 상의 주제 또는 이 분야의 저명한 구성원으로 명명되는 것과 달리, 라이슬링들은 공상과학 소설의 등장인물인 로버트 A에서 시각장애인 시인 라이슬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하인레인의 단편 "지구의 그린힐즈"[1]상은 50행 이상 작품인 '최고의 장편시'와 49행 이하 작품인 '최고의 단편시' 등 2개 부문으로 나눠 시상한다.[1]
매년 열리는 라이슬링 어워즈 후보작들은 SFA(Science Picture Association) 회원들이 선정한다.각 회원은 각 부문별로 1개의 작품을 지명할 수 있다.그리고 나서 지명된 작품들은 라이슬링 앤톨로지라는 안집으로 편찬되고, 협회 회원들은 최종 수상자들에게 투표한다.2005년부터 2011년까지, 이 상은 7월에 리더콘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수여되었다.'최고의 단시' 부문은 매우 짧은 시들이 SFA에 진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반면, 1행에서 10행까지의 시에 해당하는 '난쟁이별상'도 있다.[2]
2005년 SFPA는 수상작인 《별들의 연금술: 라이슬링상 수상작 쇼케이스》를 발표하였다.[3][4]
최우수 장편시상 수상자
- 1978: 진 울프, 위대한 트럼프를 괴롭히는 컴퓨터
- 1979년: 마이클 비숍, 물리학의 여인을 위하여
- 1980: 앤드류 조런, 프라임즈의 소닉 플라워폴
- 1981: 토마스 M. 디스치, 온 사이언스 픽션
- 1982년: 우슐라 K. 발른의 우물 르긴
- 1983: 아담 콘포드, 당신의 시간과 당신: 네오프롤의 데이트 가이드
- 1984: Joe Haldeman, 사울의 죽음: 투 세스티나스
- 1985: 시브 시더링, 캐롤라인 허셜의 편지(1750-1848)
- 1986년: 앤드류 조런, 데스티니 파이브에서 난파당
- 1987: W. 그레고리 스튜어트, 다이달로스
- 1988: 루치우스 셰퍼드, 화이트 트레인스
- 1989(타이):Bruce Boston, In the Darked Hours; John M. 포드, 동지, 카멜롯 역
- 1990: 패트릭 맥키넌, 친애하는 우주인
- 1991: 데이비드 메못, 정부의 품에 안겨 있는 노쇠한 극저온주의자는 불사조가 소비되는 동안 종의 생존을 심사숙고한다.
- 1992: W. Gregory Stewart, 버튼과 당신이 알고 있는 것
- 1993: William J. Daciuk, To Be from Earth.
- 1994: W. Gregory Stewart와 Robert Frazier, 지하실 플랫: 버지스 셰일 재정의
- 1995: David Lunde, 파일럿, 파일럿
- 1996: 마거릿 B. 사이먼, 구식 변종
- 1997: 테리 A. 개리, 토마토 캐닝 중 UFO 발견
- 1998: 로렐 윈터, 왜 금붕어가 전동 공구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가?
- 1999: 브루스 보스턴, 시체 도둑 고백
- 2000: 제프리 A. 랜디스, 크리스마스 (우리 모두 타임머신을 얻은 후)
- 2001: 조 할드먼, 1월 화재
- 2002: 로렌스 쉬멜, 사람 만드는 법
- 2003(타이):찰스 사플락과 마이크 앨런, 에픽스 오브 유배: 판타지 3부작; 소냐 타페, 마틀라시후아틀의 선물
- 2004: 테오도라 고스, 옥타비아는 가면의 전당에서 길을 잃다
- 2005: 팀 프랫, 소울 서치닝
- 2006년: 켄달 에반스와 데이비드 C. 코파스카-메르켈, 더 틴 맨
- 2007년: 마이크 앨런, 카일라쉬로의 여행
- 2008: Catherynne M. Valente, The Seven Devils of Central California.
- 2009년: 제프리 A. 랜디스, 검색
- 2010: 켄달 에반스와 사만다 헨더슨, 우주인 망명지
- 2011: C. S. E. 쿠니, 바다왕의 두 번째 신부
- 2012: 메건 아켄버그, 죽은 언어학과에서 강연하는 큐레이터
- 2013년: 앤드류 로버트 서튼, 비행[5] 속으로
- 2014: Mary Soon Lee, Interfinum
- 2015: F.J. 버그만, 외계인과 섹스를 해야 하는 100가지 이유
- 2016: (타이) 크리사다 파누시스 푸니시리, 그것은 허밍으로 시작한다; 앤 K. 슈와더, 케지야
- 2017년: 테오도라 고스, 로즈 차일드
- 2018년: 버섯 사냥꾼[6] 닐 게이먼
- 2019: 사라 톨미, 저승의[7] 우슐라 르 귄
- 2020: 레베카 부캐넌, "헬리오박테리움 다프네필룸"[8]
단편시 최우수상 수상자
- 1978(타이):듀안 애커슨, '스타맨', 앤드류 조런, '어머니의 품에서 잠들다', 소냐 도만, '금속 부패'
- 1979(타이):듀안 애커슨, "운명"; 스티브 엥, "스토리북과 보물 지도"
- 1980(타이):로버트 프레이저 "영원의 호박에 갇혔다" 피터 페이백 "어둠의 이주"
- 1981: 켄 더핀, "만남 장소"
- 1982년: 레이먼드 디자조, "시력의 속도"
- 1983년: 앨런 P. Lightman, "In Computers"
- 1984: 헬렌 에를리히, "두 소네트"
- 1985년: 브루스 보스턴, "코메트의 머리카락에 스내링한 스페이서들을 위해"
- 1986년: 수잔 팔윅, "이웃집 아내"
- 1987(타이):조나단 5세 포스트, "빅뱅 전:허블 우주망원경의 뉴스; 존 캘빈 레즈머스키, "유전의 꿈"
- 1988(타이):브루스 보스턴, "악몽 수집가", 수제트 하덴 엘긴, "로키 로드 투 괭이"
- 1989년: 로버트 프레이저, "샐리티"
- 1990: G. 서튼 브레이딩, "꿈을 위한 epitaph"
- 1991: Joe Haldeman, "80세, 10월 11일"
- 1992년 데이비드 룬드 "화성 크리켓의 노래"
- 1993: 제인 욜렌, "윌"
- 1994(타이):브루스 보스턴, "스페이스의 나침반", 제프 밴더 미어, "비행은 아직 넘어오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것"
- 1995: 댄 라파엘, "유리의 피부"
- 1996년 브루스 보스턴, "미래 선물: 기대의 교훈"
- 1997: W. 그레고리 스튜어트, "데이 오메가"
- 1998년: 존 그레이, "프랑켄슈타인을 어머니에게 설명"
- 1999: 로렐 윈터, "계란 공포시"
- 2000: 레베카 마제스다터, "그림이르"
- 2001: 브루스 보스턴, "내 아내는 그녀가 가질 수 있는 대로 돌아온다.
- 2002: 윌리엄 존 왓킨스, "우리는 천사처럼 죽는다"
- 2003: Ruth Berman, "Potherb Gardening"
- 2004: 로저 더처, "Just Distance"
- 2005년: 그레그 베티, "폐허가 된 음력 도시는 없다"
- 2006년: 마이크 앨런, "The Strip Search"
- 2007년: 리치 리스토우, "그라벤 아이돌의 대하트"
- 2008: F.J. 버그만, "먹는 빛"
- 2009: 아말 엘모타르, "고대 도시를 위한 노래"
- 2010: 앤 K. 슈와더, "To To To
- 2011년: 아말 엘모타르, "피크 크레이밍 허니"
- 2012년: 시라 립킨, "도서관, 그 후"
- 2013년: 테리 A. 개리, "고양이 별"[5]
- 2014년: 아말 엘모타르, "잎을 돌리다"[9]
- 2015년: 마지 사이먼, "셧다운"
- 2016: Ruth Berman, "시간 여행 어휘 문제"
- 2017년: 마지 사이먼, "조지 테쿰세 셔먼의 유령"
- 2018년 : 메리 순 리, "6살짜리에게 조언"[10]
- 2019년: 베스 카토, "동생이 종이 인형에서 머리를 뜯은 후"[11]
- 2020년: 제시카 조 호로위츠, "취급, 보관"[12]
참조
- ^ a b 데이비드 랭포드 "라이슬링 어워드"공상과학 백과사전, 제3판 (온라인)에드 존 클루트, 데이비드 랭포드, 피터 니콜스.2013년 2월 19일 액세스
- ^ 공상 과학 시 협회:왜성
- ^ Roger Dutcher and Mike Allen, ed. (2005). The Alchemy of Stars: Rhysling Award Winners Showcase. Science Fiction Poetry Association in cooperation with Prime Books. p. 170 pp. ISBN 0-8095-1162-2.
This collection presents more than twenty-five years of the best poetry in the field of speculative literature.
- ^ 엘리자베스 배렛, 리뷰: 2006년 2월 8일 (2016년 9월 16일 액세스) 로저 더처와 마이크 앨런이 편집한 '별들의 연금술: 라이슬링 어워드 수상자 쇼케이스'
- ^ a b Silver, Steven H (September 3, 2013). "Rhysling Award". SF Site. Retrieved September 5, 2013.
- ^ "2018 Rhysling Award Winners". 6 July 2018.
- ^ "Science Fiction Poetry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6-17.
- ^ "Science Fiction Poetry Association".
- ^ "News". 3 December 2013.
- ^ "Star*Line Editor's Choice Poem".
- ^ "Science Fiction Poetry Association".
- ^ "Science Fiction Poetry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