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우두가마

Richard Udugama
알렉산더 리처드 우두가마
국회의원
마탈레용
재직중
1970년 6월 7일 – 1977년 5월 18일
선행자앨릭 알루위하레
성공자앨릭 알루위하레
개인내역
태어난1911년 11월 11일
마탈레
죽은1995년 5월 14일 (1995-05-14) (83)
국적스리랑카인
정당스리랑카 자유당
직업솔져
수상버마 스타,
디펜스 메달,
전쟁 메달 1939-1945
병역
얼리전스스리랑카
지점/서비스실론 디펜스 포스
실론 육군
근속년수1940-1946,
1949–1966
순위메이저 제너럴
구성 단위실론 경보병
명령육군 사령관님,
참모총장,
게리슨 사령관, 자프나 부대,
실론경보병 제1 대대
전투/와이어제2차 세계 대전

데스하만야 알렉산더 우두가마(Deshamanya Alexander Richard Udugama, MBE, 1911년 11월 11일 ~ 1995년 5월 14일)는 스리랑카의 군사 지도자, 정치인, 외교관이었다.육군사령관(1964~1966)으로 1970년부터 1977년까지 마탈레 국회의원에 선출됐으며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이라크 주재 스리랑카 대사를 지냈다.는 1966년 쿠데타로 기소되었다.

초년기

1911년 11월 11일 마탈레에서 우바 반란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 칸디안 라달라 집안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는 W. A. 우두가마 디사웨(Udugama Disawe)이며 어머니는 로쿠 쿠마리하미(Loku Kumarihamy)로 5남매를 두었다.우두가마는 캔디의 트리니티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그곳에서 럭비트리니티 라이온을 수상했다.트리니티 대학에서 학교를 다닌 후, 그는 학교 선생님이 되었다.[1][2]

군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함께 실론경보병대에 입대하여 실론방위대 내 연대의 전쟁시간 확대로 1940년 소위로 임관되었다.이후 실론경보병 제1·3·4대대를 거쳐 실론과 인도에서 여러 보병 코스를 맡았다.그는 1943년 1월 1일에 대위 임시 계급으로 승진했다.1943년 11월, 그는 영국 육군과 함께 버마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는 영국 14군으로 전출되었다.그곳에서 그는 아라칸7사단 산하 7대대대인 제2 펀자브 연대인 마유사거리 동쪽에 있는 제7대대에서 복무했다.아라칸 전쟁 중 일본인들에게 붙잡혀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포로수용소에 감금되었다.전쟁이 끝난 후, 그는 강등되었고 학교 교사로 복직되었다.[1][3]

실론 육군

1949년 실론군 편성으로 잠시 실론 보병 연대로 명명된 실론경보병 제1대대의 소령 계급과 함께 정규군으로 전보하였다.1949년부터 1951년까지 실론 정부철도 최고보안책임자(CTO)를 역임하기도 했다.그 후 육군 모병장교로 근무하고 신병 훈련소를 지휘했다.1956년, 경찰의 폭동 진압을 돕기 위해 실론 경보병대의 분대와 함께 집단 폭동이 일어나 암파라에 파견되었을 때, 그는 수비대 사령관 디야탈라와로 복무하고 있었다.이후 그는 바티칼로아 조정관을 지냈다.중령으로 진급하여 1959년 11월부터 1962년 11월까지 1대대대 실론경보병대 사령관을 지냈다.[4]1961년 2월, 연방당이 정부의 언어정책에 반하는 사티아그라하(Satyagraha)를 출범시킨 후, 1대대와 함께 자프나(Jaffna)로 파견되었다.정부는 공안법상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우두가마가 시위를 해산하고 지도자들을 체포하도록 했다.지휘본부를 설치하여, 현재 대령의 계급으로 승격된 우두가마의 자프나 카체리에는, 연방당의 시민 소요를 저지하기 위해 실론 경보병과 실론 신하 연대가 포함된 자프나 지구의 모든 군 부대를 지휘하는 위수령관, 자프나 부대가 임명되었다.그는 1962년 2월까지 자프나에 남아 있었는데, 그 때 그는 군 원로들과 경찰관들의 쿠데타 미수에 이어 군 참모총장 자리에 오르기 위해 콜롬보에게 소환되었다.[5]

육군 사령관

쿠데타 시도와는 연결되지 않았지만, 육군 사령관 H.W.G. 위제쿤 소령은 1963년 12월 31일 시리마 반다라나이케 총리 정부에 의해 퇴역할 수밖에 없었다.반다라나이케는 1964년 1월 1일 위례쿤의 뒤를 이을 우두가마를 브리아디에 승급시켰다.우두가마 준장은 육군 사령관에 임명된 최초의 신할라 불교계 및 전투 경험이 있는 장교가 되었다.쿠데타 시도에 연결된 장교들이 모두 기독교인이라는 점에서 반다라나이케는 그가 칸디안 라달라 가문 출신의 불교 신자 및 친족이라는 점에서 보다 상급자인 버트람 헤이엔 대령보다 우두가마를 임명하는 것을 선호했었다.그는 불교 사관들의 군입대를 늘렸고 유고슬라비아와 연계를 맺은 밀림전 훈련에 초점을 맞추었다.그는 또한 군대 내에서 스포츠를 장려한다.그는 후에 소장으로 진급되었다.[1]

1966년 쿠데타 시도 혐의

1966년 6월, 우두가마 소령은 영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의 군사 훈련 학교를 방문하여 유럽을 공식 순방하고 있었다.영국에 있는 동안, 그는 '화장실 쿠데타'로 알려진 더들리 세나나야케 총리 정부에 대한 쿠데타 시도 가능성에 대해 그를 심문한 범죄수사부장의 방문을 받았다.그 직후 그는 외무부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통해 실론에게 소환되었다.1966년 7월 7일, 그를 태운 BOAC 항공기가 반다라나이케 국제 공항에 착륙했고, 그는 Rohan Amerasekera 항공 총사령관과 만났다. 는 RCY의 장교들을 호위했다.존 애티걸레 경찰총장이 당시 효력을 발휘하던 긴급규정에 따라 발부된 구금명령을 제시하고 1966년 7월 7일부터 육군사령관 직무정지 사실을 통보받은 경호를 받고 있는 AF 카투나야케.웰리카다 교도소로 이송된 그는 재판이 진행돼 대법원이 무죄 판결을 내리고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면서 3년간 웰리카다 교도소에서 복역했다.그의 법률고문은 네빌 사마라쿤, QC, 티사 위여라트네였다.[6][7][8]

만년

무죄 판결 후, 그는 스리랑카 자유당마탈레 의석을 놓고 경쟁했으며, 1977년 총선에서 패배한 1977년까지 실시된 1970년 총선에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1970년대 후반에 그는 통합국민당의 지지자가 되었고 1979년에 이라크 주재 스리랑카 대사로 임명되어 1982년까지 근무했다.스리랑카 정부는 데사마냐라는 칭호를 부여했고 1995년 그의 사망에 따라 국가 장례식은 완전한 군사적 영예로 치러졌다.[9]

가족

우두가마는 티키리 반다 누가와라 누가와라, 우두 누가와라 레이트 마하트마야, 알란 누가와라 대령의 누이동생인 리타 누가와멜라 쿠마리하미와 결혼했다.그들에게는 아지스 라빈드라라는 아들과 딸 크샤니카가 있었다.

명예

1956년 새해 영예에서[10] 대영제국 훈장(MBE)이 되었고, 1993년 스리랑카 정부로부터 데사마냐라는 칭호를 받았다.그는 전쟁 봉사 활동으로 버마 스타, 국방 훈장, 1939-1945년 전쟁 훈장을 받았다.실론 군대에서 복무하는 동안 실론 군무원 취임 메달을 받았다.

Order of the British Empire (Military) Ribbon.svg Ribbon - Burma Star.png

Ribbon - Defence Medal.png Ribbon - War Medal.png Ceylon Armed Services Inauguration Medal ribbon bar.svg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Fernando, Lalin. "The General Udugama I knew". Island. Retrieved 27 August 2019.
  2. ^ Horowitz, Donald L. (1980). Coup Theories and Officers' Motives: Sri Lanka in Comparative Perspective.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54127.
  3. ^ "THE CEYLON GOVERNMENT GAZETTE" (PDF). natlib.lk. Retrieved 25 August 2021.
  4. ^ 스리랑카 경보병 제1 대대
  5. ^ "OPERATIONS". army.lk. Sri Lanka Army. Retrieved 27 August 2019.
  6. ^ 육군 지휘관이 2010년 2월 15일 웨이백 기계에서 아카이브된 것을 체포했다.
  7. ^ "Washed out 'bathroom coup'". Daily News. Retrieved 28 August 2019.
  8. ^ Udugama, Kshanika. "Major General Richard Udugama: Just and upright leader". Daily News. Retrieved 29 August 2019.
  9. ^ 리처드 우두가마 소령:정의롭고 바른 지도자[영구적 데드링크]
  10. ^ "The London Gazette Publication date:30 December 1955". The London Gazette. Retrieved 1 September 2019.

외부 링크

군청
선행자 실론군 사령관
1964–1966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