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B. 일랑가랏네

T. B. Ilangaratne
T. B. 일랑가랏네
T. B. Ilangaratne.jpg
재무부 장관
재직중
1963년 5월 29일 – 1964년 6월 10일
수상시리마보반다라나이케
선행자P. B. G. 칼루갈라
성공자N. M. 페레라
개인내역
태어난
나바랏네 라자카루나 와살라 무디얀셀라게 티키리 반다라 일랑가랏네

(1913-02-27)27 1913년 2월
스리랑카
죽은1992년 5월 21일 (1992-05-21) (79세)
스리랑카
국적스리랑카인
정당스리랑카 자유당
배우자타마라 쿠마리 알루데니야
아이들.산디야, 로하나, 우펙샤, 우다야
모교갈라게데라 비디얄라야, 갈라게데라
캔디 성 앤서니 대학
직업정치인, 작가, 극작가, 배우

나바랏네 라자카루나 와살라 무디얀셀라게 티키리 반다라 일랑가랏네(1913년 2월 27일 ~ 1992년 5월 21일)는 스리랑카의 정치인, 작가, 극작가, 연극배우였다.[1] 그는 콜롬보 지구의 캔디, 갈라하, 헤와헤타, 코오롱나와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그는 30년 동안 스리랑카에서 노동, 주택, 사회 서비스, 금융, 상업, 식품, 무역, 해운 등의 장관직을 역임했다. 는 재임 중 직원프로비던트펀드, 실론석유공사, 스리랑카보험공사, 인민은행을 설립했다.[2] 작가로서 일랑가랏네는 인기 아동소설 암바 압록워(1957)를 쓴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소설 틸라카 사하 틸라카, 라산다, 네데요는 영화로 각색되었고 암바 압록보는 텔레비전 연속물로 만들어졌다.[3]

개인 생활과 교육

일랑가랏네는 1913년 2월 27일 하타랄리아다 실론에서 7남매를 둔 가정의 넷째 아이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성은 '나바랏네 라자카루나 와살라 티키리 무디얀셀라지'이다. 모당 '일랑간다분다 무디얀셀라게'의 성을 보면, '일랑가랏네'라는 이름과 아버지 당의 정식 성을 사용했다.[1] 그의 아버지는 전통적인 안과의의 유명한 일반의사였다. 1917년 갈라게데라 비디얄라야에서 학교를 다니기 시작했고, 으로부터 중등 교육을 받았다. 앤서니 칼리지,[3] 캔디 일랑가랏네는 재학 중에 3편의 희곡을 썼다(푸타 아키카루, 히민 히민, 안다난다).

1944년 9월 4일 일랑가랏네는 감폴라에서 타마라 쿠마리 알루데니야와 결혼했다.[4] 그의 아내는 캔디(1949-1952)와 갈라게다라(1970-1977)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들에게는 산디야, 로하나, 우펙샤, 우다야 4명의 자녀가 있었다.

1992년 5월 21일 7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관공서

Ilangaratne은 런던에서 공부를 더 이상 하지 않기로 한 런던 입학시험에 합격한 후 학교를 떠났고, 총서기국 사무원으로서 정부 서비스에 들어갔다. 1941년, 구나실라 위타난사의 동명 희곡에서 다타세나 왕을 연기하는데 두 손을 썼다.[1]

정치 경력

S. W. R. D. 반다라나이케(T. B. Ilangaratne)와 함께.

1947년 일랑가라트네는 총무원 직을 떠나 1947년 총선에서 사회주의 후보로서 칸디 유권자를 겨루었으나 통합국민당조지 E. 실바에게 패했다. 이듬해 칸디 유권자의 보궐선거에서 프레드릭 실바를 물리치고 무소속 사회당 후보로 출마, 실론 하원의원에 입성, 1948년 5월 18일 선서를 했다. S. W. R. D. 반다라나이케가 새로 결성된 스리랑카 자유당에서 합류한 일랑가라트네는 1956년 갈라하로부터 총선에 도전하여 스리랑카 자유당이 테오도어 브레이브룩 파나보케를 물리친 압승으로 하원의원에 재입당했다. 반다라나이케 총리는 노동, 주택, 사회 복지부 장관으로 내각에 임명했다. 그는 민간 부문의 직원들의 이익을 위해 직원 보호 기금을 설립하고 노동당의 날을 선포했다. 반다라나이케 암살에 이어, 일란가라트네는 다하나야케 신임 총리로부터 내무장관으로 임명되어 1959년 9월부터 다하나야케에 의해 내각에서 제명된 1959년 12월까지 재임했다. 그는 헤와헤타에서 1960년 3월1960년 7월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는 지난 7월 선거에서 스리랑카 자유당을 이끌던 총리가 된 반다라나이케 미망인 시리마 반다라나이케에 의해 상무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테너로 그는 인민은행, 실론석유공사, 정부, 민간보험회사, 스리랑카보험공사, 실론은행을 국유화했다.

1963년 재무부 장관, 1964년 내·외통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64년 정부는 로열더치셸과 같은 민간 석유회사를 국유화하여 그 자산을 실론석유주식회사로 이전하였다. 1965년 총선에서 통합국민당의 M. A. 다니엘에게 패해 의원직을 상실했다. 1967년 코오롱나와 유권자로부터 보궐선거를 마치고 의회에 복귀해 야당에 앉았다. 1970년 코오롱나와에서 재선된 그는 대외무역과 내통, 그 후 통상행정자치부 장관으로 내각에 임명되었다. 1974년 그는 총리대행을 지냈다. 일랑가랏네는 1986년 4월 12일 정계에서 은퇴했다.[4]

드라마 커리어

일랑가랏네는 하라미티야라는 희곡을 처음 출판했다. 이후 연극 만타리 하무두루우, 나타카 아타, 모카다 무달랄리, 니칸 아와를 만들었다. 그는 또한 W. A. Silva의 소설 Radala Piliruwa를 바탕으로 이 연극을 제작했다. 나중에 이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졌을 때, 그는 각본도 써야 했다. 1948년 정치 실패 후 영화 제작자 K에게 소개되었다. 친구 변호사 S에 의한 구나라트남. 나데산. 그 후 1953년 촬영차 인도에 갔고, 후에 영화 와라다 카게다에 출연할 기회를 얻었다. 일랑가랏네의 혁신적인 연기는 영화의 성공에 수반되는 정치와 풍자적인 대화 덕분이라는 지적이 나왔다.[1]

영화의 성공 후, 그는 그 후 영화 라달라 필리루와에 출연하였다. 그는 이 영화에서 각본을 썼고 부역도 했다. 1973년에는 티투스 소타와트의 영화 망갈라의 각본을 썼다.[1]

참고 문헌 목록

  • 암바 압록보
  • 시샤트와야
  • 윌람베타
  • 틸라카
  • 노다루우 사하 다루우우
  • 나야나
  • 로칸타야
  • 망갈라
  • 망갈라 포루와
  • 델로우아 시히나
  • 암발라마
  • 말사라바
  • 빌라시타보
  • 나다요
  • 유가야카 가마나
  • 아시타사하위니타
  • 네데요
  • 틸라카 하틸라카
  • 하파나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Ilangaratne who acted and wrote stories". sarasaviya. Retrieved 23 January 2021.
  2. ^ "Stranger than fiction". Daily News.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07. Retrieved 19 May 2007.
  3. ^ a b "T. B. Ilangaratne: Celebrating Kandyan middle-class life". Daily News.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07. Retrieved 19 May 2007.
  4. ^ a b c "T. B. Ilangaratne". Rupavahini. 2006. Retrieved 20 May 20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