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먼드 소크예스

Richmond Sockeyes
리치먼드 소크예스
RichmondSockeyesLogo.jpg
도시브리티시 컬럼비아 리치먼드
리그퍼시픽 주니어 하키 리그
회의톰 쇼
설립됨1972 (1972)-73
홈 아레나미노루 아레나
색상블랙, 레드, 실버, 화이트
총지배인Canada 리처드 페트로스키
수석 코치Canada 브렛 러쉬 (2018)
웹사이트richmondsockeyes.com
프랜차이즈 이력
1972–1979리치먼드 소크예스(PJ"A")HL)
1979–1990리치먼드 소크예스(BCJ)HL)
1990-현재리치몬드 소크예스(PJHL)

리치먼드 소크예스는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리치먼드에 본부를 둔 주니어 'B' 아이스하키팀이다.이들은 1972년 리치몬드 원소유주이자 오랜 거주자인 리치몬드와 B.C.하키 자원봉사자 겸 리더인 브루스 앨리슨에 의해 "Sockeyes"로 명명되었다.앨리슨은 리치먼드에게 최고 수준의 주니어 하키를 데려오는 동시에 국내 선수들이 홈에서 더 가까이 경기하고 학교에 머물도록 격려하는 동기가 부여됐다.[citation needed]팀의 첫 번째 주장은 리치몬드 제품인 더그 패터슨이었다. 그는 팀의 현재[when?] 구단주 중 한 명이다.[when?]Sockeyes 프랜차이즈는 주니어 B 팀으로, 몇 년 동안 PAC-A 리그와 이후 BC 주니어 하키 리그에서 최고의 주니어 A 팀으로 성공을 거두었다.Sockeyes는 9번의 PJHL 우승, 6번의 사이클론 테일러 주니어 B 챔피언십 우승, 2번의 키스톤 컵 전국 주니어 B 챔피언십 우승, 2번의 모왓 컵 BC 주니어 A 챔피언십 우승(PAC-A 주니어 리그와 BCJ의 우승자)을 달성했다.HL 우승자), BCHL 챔피언으로 프레드 페이지 챔피언십, 내셔널 주니어 A 챔피언으로 센테니얼 컵(둘 다 1987년).그들은 또한 1987년 애벗 컵과 도일 컵에서 우승하여 알버타와 서스캐처원 주니어 A 챔피언들을 전국 타이틀로 가는 길에 물리쳤다.

리치몬드 소크예스는 현재[when?] 주니어 B 퍼시픽 주니어 하키 리그(PJHL)의 톰 쇼 콘퍼런스에서 뛰고 있다.Sockeyes는 리치몬드 중심부에 있는 Minoru Arena에서 홈경기를 한다.Richard Petrowsky는 그 팀의 총감독이다.

PAC-A 및 BCJHL (주니어 A) 역사

리치몬드 소크예스는 1973-1974년 노르 웨스 캡스, 코키틀람 코메츠, 서리 스탬퍼스, 칠리왁 브루인스, 케리스데일 쿠리어스, 밴쿠버 주니어 카누크스와 함께 새로운 퍼시픽 주니어 A 하키 리그의 창단 멤버 중 한 명이었다.Sockeyes는 빠르게 주니어 A 리그에서 가장 강한 팀 중 하나가 되었고 PJHL 챔피언스로서 Sockeyes는 BCJ를 물리쳤다.1977년과 1979년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니어 A 하키 챔피언으로 모왓컵에 출전하는 HL 챔피언스.1977년 Sockeyes는 서부 캐나다 챔피언으로 도일컵에서 알버타/BC 챔피언으로 우승한 후 서스캐나다 컵에서 Saskatchewan Junior Hockey LeagueAlbert Raiders에게 패했다.

1979년 PJHL은 BCJ와 합병하였다.HL과 함께 리치몬드 소크예스가 왔다.1979년부터 1990년까지, Sockeyes는 리그에서 3번 1위를 했고 1987년에 리그에서 우승했다.리그 우승 후, 그들은 피스 카리부 주니어 하키 리그퀘스넬 백만장자를 2게임 대 1로 격파하여 모왓컵에서 우승했다.그리고 나서 그들알버타 주니어 하키 리그레드 디어 러슬러를 4 대 3으로 물리쳤다.그들은 거기서 나아가 SJHL의 훔볼트 브론코스를 꺾고 애벗 컵에서 우승하고 센테니얼 컵을 탄생시키기 위해 나아갔다.

그들은 메트로 밸리 주니어 하키 리그다트머스 연료 키즈를 7-3으로 물리침으로써 내셔널 타이틀 퀘스트를 시작했다.그 후 그들은 험볼트 브론코스를 6 대 1로 물리쳤다.그들은 라운드 로빈 결승전에서 힘을 모아 센트럴 주니어 A 하키 리그펨브로크 목재 킹스를 4-1로 물리쳤다.다음날 리치몬드와 펨브로케가 다시 맞붙어 소케예스의 9 대 3 승리를 이끌었다.이로써 한 달도 안 돼 서로 9번째 맞대결인 험볼트-리치먼드 결승전이 열렸다.리치몬드 소키예스는 강력한 활약을 펼치며 5대 2로 승리를 거두며 유일한 내셔널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1990년 브리티시 컬럼비아 칠리왁 마을에서는 팀의 프랜차이즈 권리를 사들여 칠리왁 치프스를 만들어 칠리왁 이글스의 소유권을 브리티시 컬럼비아래드너로 이전했다.Sockeyes는 Junior "B" Pacific International Junior Hockey League에서 개혁되었다.

PIJHL 역사

리치먼드는 1990-1991 PIJHL 플레이오프에서 애브보츠포드 파일럿스를 꺾은 뒤 사이클론 테일러컵에서 넬슨 리프스를 2경기 만에 꺾었다.

2003년 키스톤컵에서 동메달을 따낸 뒤 골득실률로 타이틀 게임을 놓쳤다.[1]

이듬해인 2004년에는 PIJHL 리그 챔피언십과 사이클론 테일러 컵 지방 챔피언십에서 다시 우승했고 이번에는 키스톤 컵에서 2위를 차지했다.

2009년 Sockeyes가 PIJHL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였고[2], 사이클론 테일러 컵 지방 챔피언십과 키스톤 컵을 개최하여 우승하였다.

2010-11년 PIJHL 시즌, Sockeyes가 PIJ에서 우승했다.Abbotsford Pilots를 상대로 한 HL 챔피언쉽.

2011-12 PIJHL 시즌에, Sockeyes가 2년 연속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플레이오프에서의 수많은 부상과 뛰어난 플레이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Sockeyes는 결국 그들의 라이벌인 Delta Ice Hawks에게 Tom Shaw Conference Final을 4대 2로 패했다.

2012~2013시즌도 리치몬드의 40년차였다.리치몬드 소크예스는 2012/2013년 PIJHL로 이름이 바뀌면서, 톰 쇼 콘퍼런스 결승에서 델타 아이스 호크스에 4-2로 패하면서 지난해보다 더 좋은 시즌을 희망했다.Sockeyes는 또 한번의 뛰어난 정규시즌을 3년 연속 1위로 마감하고, 32–8–4의 기록으로 5년 만에 네 번째로 끝마칠 것이다.플레이오프는 노스 델타 데블스의 4-0 완승을 시작으로 델타 아이스 호크스와 7연전을 치렀다.리치먼드는 결국 PJHL 9번째 우승을 차지하기 위해 4경기에서 알더그로브 코다이크스를 압도하게 된다.

리치먼드는 이어 코목스밸리 빙하 킹스가 주최하는 사이클론 테일러컵에 출전해 라운드 로빈에서 3-0으로 뒤진 뒤 챔피언결정전에서 VIJHL 소속 빅토리아 쿠거스와 맞붙었다.리치몬드는 결국 4-1로 승리하고 2013년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리는 키스톤티켓을 예매하게 된다.말로, 매니토바.

코목스에서 나흘 동안 4번의 힘든 경기를 치른 후, 위니펙으로 비행하고 세인트로 가는 팀 버스를 타기 전까지 며칠 밖에 휴식을 취하지 못했다. 2013년 키스톤 컵 – 웨스턴 캐나다 주니어 B 챔피언십에서 브리티시 컬럼비아를 대표할 마니토바 말로.나흘 동안 6경기를 포함, 벅찬 여행과 경기 일정에 직면하면서, Sockeyes는 토너먼트 클래스로 증명되었다.그들은 라운드 로빈에서 5-0으로 앞서며 알버타, 사스카처원, 매니토바, 온타리오의 지방 챔피언 팀을 총 39-10으로 앞섰다.그들은 4월 21일 일요일 결승전에서 사스카툰 로얄스와 두 번째로 맞붙었다.0-0으로 끝난 빠른 1차 시기 이후, Sockeyes의 깊이와 집중력 있고 끈질긴 플레이는 다시 한번 빠른 골로 이어졌고 두 번째 경기 이후 3-0으로 리드했다.큰 사스카툰 팀은 마지막 틀에서 열심히 싸웠지만, Sockeyes는 5 대 2의 승리와 프랜차이즈 역사상 두 번째 Keystone Cup 우승을 위해 버텼다.조던 앤드루스, 데릭 휴즈, 브렛 하이햄, 윌리엄 라티머와 제휴사 선수 오스틴 애덤슨의 귀중한 기여가 결정적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에 Sockeyes의 깊이는 다시 힘든 일정에서 그들의 성공에 큰 요인이 되었다.레드라인은 토너먼트에 불을 지폈고 MVP 루디 토르스틴슨은 6경기(정규시즌 7득점 이후) 동안 무려 11골을 기록했다.토르스틴슨은 자신과 제이크 로더, 제레미 하마구치 등이 놀라운 39점을 합작하며 16점으로 토너먼트를 이끌었다.슈퍼 신인 댄턴 하인넨과 다니엘 랜지도 각각 5골을 넣었고 베테랑 스티븐 캠벨은 4골을 넣었다.2012~2013년 팀의 정규시즌이자 플레이오프 선두인 득점왕이자 팀 최우수선수(MVP)인 딘 앨리슨과 팀 주장 샘 치차크는 모범적인 양방향 하키를 펼치며 다른 팀들의 탑 포워드를 폐쇄했다.앨리슨이 리치몬드 소크예스의 원소유주인 고(故) 브루스 앨리슨의 손자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키스톤 컵의 모든 팀에는 매우 재능 있는 선수들이 있었지만, Sockeyes는 뛰어난 페널티 킬링과 4개 라인 모두를 플레이할 수 있는 두 개의 치명적인 파워 플레이 유닛을 가지고 있었고, 양 골키퍼는 그들을 다른 지방 챔피언들과 분리시켰다.총 19개의 다른 Sockeyes가 토너먼트에서 최소한 1점을 기록했고, 모든 선수들이 키샷 블록, 페이스오프 승리, 강력한 팀 우선 플레이로 기여했다.

이 대회에서 리치몬드는 상대 팀을 44 대 12로 앞설 수 있었고 264 대 125로 앞설 수 있었다.Sockeyes도 900분 하키에서 871분 25초 동안 비기거나 선두를 달렸으며, 이는 15번의 하키 경기에서 28분 35초밖에 뒤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톰 쇼 파이널 6차전 이후 소크예스가 다운된 것은 사이클론 테일러컵 빅토리아와의 1차전에서 2:06으로, 빅토리아와의 금메달 경기에서는 24:10으로, 키스톤컵에서는 2:06으로, 선더베이 노던 호크스에 0:13으로 잠시 머물렀다.

시즌별 기록

참고: GP = 게임, W = 승리, L = 손실, T = 동점, OTL = 연장전 손실, Pts = 점수, GF = 목표, GA = 목표 대비 목표

계절 GP W L T OTL PTS GF GA 마무리 플레이오프.
1974–75 40 21 16 3 45 178 158 3번째, PJHL 준결승에서 패배
1975–76 40 21 18 1 43 175 154 3번째, PJHL 준결승에서 패배
1976–77 47 42 5 0 84 308 140 첫째, PJHL PJHL, 모왓컵, 도일컵 챔피언
1977–78 48 41 5 2 84 353 140 첫째, PJHL PJHL 챔피언스
1978–79 48 39 9 0 78 377 191 첫째, PJHL PJHL, 모왓컵, 도일컵 챔피언
1979–80 66 30 35 1 61 320 327 4번째, 해안 디비전 결승에서 패배, 3–4(클립퍼)
1980–81 42 33 9 0 66 271 167 2번째, 해안 디비전 8강전 패배, 4-5(플라이어)
1981–82 48 23 25 0 46 255 282 4번째, 해안 디비전 준결승에서 패배, 0–4 (로얄)
1982–83 56 21 33 2 44 265 314 해안로5번길 자격이 없음
1983–84 50 29 20 1 59 293 243 3번째, 해안 디비전 준결승에서 3-4로 패배(클리퍼)
1984–85 52 31 19 2 64 342 279 2번째, 해안 디비전 준결승에서 3-4로 패배(비행기)
1985–86 52 39 13 0 76 367 200 첫째, 해안 결승전에서 패배, 1-4(나이트)
1986–87 52 38 14 0 76 347 192 첫째, 해안 프레드 페이지 컵, 모왓 컵, 도일 컵,
애벗컵, 센테니얼컵 챔피언
1987–88 52 34 16 2 70 325 216 첫째, 해안 결승전 패배, 1-4(레이커스)
1988–89 60 33 27 0 66 325 289 4번째, 해안 디비전 준결승에서 2-4로 패배(로얄)
1989–90 59 21 35 3 45 307 352 해안로5번길 디비전 라운드 로빈에서 1 대 6으로 패함
1990–99 PIJHL 순위 사용 불가
1999-00 42 24 14 4 52 219 174 2위 PIJHL 8강전 패배, 1-4(스틸러스)
2000–01 42 16 151 204 5번째, PIJHL 준결승에서 패배, 0–3 (버카루)
2001–02 42 20 17 3 2 45 184 159 4번째, PIJHL 준결승전 패배, 2-4(필로트)
2002–03 42 18 20 3 1 40 159 174 5번째, PIJHL PIJHL 챔피언스, 4–3(필로트)
사이클론 테일러컵 챔피언, 2–1 (스톰)
2003–04 42 26 10 5 1 58 184 111 2위 PIJHL PIJHL 챔피언스, 4–1 (아이스 호크)
사이클론 테일러컵 챔피언(스톰)
2004–05 48 27 15 5 1 60 189 142 4번째, PIJHL 8강전 패배, 3-4(버카루)
2005–06 48 21 18 4 5 51 177 150 5번째, PIJHL 8강전에서 패배(스틸러)
2006–07 48 23 14 5 6 57 186 179 4번째, PIJHL 준결승에서 패배, 0–4(필로트)
2007–08 48 35 8 5 75 220 144 2위 PIJHL 준결승전 패배, 3-4(스틸러스)
2008–09 48 39 8 1 79 268 115 첫째, 톰 쇼 PIJHL 챔피언스, 4–1(필로트)
사이클론 테일러컵 챔피언(리프스)
키스톤챔피언(울버린)
2009–10 48 33 9 6 72 186 117 2위, 톰 쇼 컨퍼런스 결승에서 1-4로 패함(아이스 호크)
2010–11 46 37 5 4 78 223 106 첫째, 톰 쇼 PIJHL 챔피언스, 4-0(필로트)
2011–12 44 37 7 0 74 231 69 첫째, 톰 쇼 컨퍼런스 결승에서 2-4로 패함(아이스 호크)
2012–13 44 32 8 4 68 197 97 첫째, 톰 쇼 PJHL 챔피언스, 4-0(코디악스)
사이클론 테일러컵 챔피언(쿠거스)
키스톤챔피언(로얄)
2013–14 44 34 5 3 2 73 196 98 첫째, 톰 쇼 로스트 파이널, 3-4(코디악스)
2014–15 44 32 10 2 66 193 106 2위, 톰 쇼 로스트 디브.4강, 3-4(강조)
2015–16 44 20 16 3 5 48 150 143 3번째, 톰 쇼 로스트 디브.준결승, 2-4(강조)
2016–17 43 22 13 3 5 52 139 104 3번째, 톰 쇼 로스트 디브.4강, 3-4(강조)
2017–18 44 33 8 1 2 69 215 125 5월 2일 톰 쇼 원디브.준결승, 4–1 (늑대 팩)
로스트 디브.결승 1-4(아이스 호크)
사이클론 테일러컵 개최지로
2018–19 44 30 10 2 1 63 192 98 6월 3일 톰 쇼
PJHL 12번지 3번지
8강 탈락, 1-4(스틸러)
2019–20 44 27 12 1 4 59 209 136 6월 2일 톰 쇼
PJHL 12번지 2번지
8강 탈락, 3-4(스틸러스)

사이클론 테일러 컵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니어 B 지방 선수권 대회

계절 라운드 로빈 기록하다 스탠딩 준결승 동메달 결정전 골드 메달 게임
2003 -
-
-
- - - 골드 메달
2004 -
-
-
- - - 골드 메달
2009 -
-
-
- - - 골드 메달
2011 L, 반도 팬더 4-6
L, 페르니 고스트라이더 0 대 1
W, 오소유스 코요테스 4-3
1–2–0 4/3 L, 오소유스 코요테 0–3 n/a 자격이 없다.
2013 W, 빅토리아 쿠거스 5-2
W, 코목스 밸리 빙하 킹스 6-2
W, 카스트레거 반란군 3-2
3–0–0 4월 1일 W, 코목스 밸리 빙하 킹스 5-4 n/a W, 빅토리아 쿠거스 4-1
골드 메달
2018
호스트
W, 캠벨 리버 스톰 4-1
L, 킴벌리 다이너마이터 1 대 6
W, 델타 아이스 호크 5-3
2–1–0 4월 1일 n/a W, 델타 아이스 호크 5-1
골드 메달

NHL 동문

수상 및 트로피

참조

  1. ^ http://www.yourlibrary.ca/community/richmondreview/archive/RR20030417/sport.html[데드링크]
  2. ^ "Sockeyes celebrate Cyclone Taylor Cup championship". BC Daily Buz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6-10.

외부 링크

선행자 센테니얼챔피언
1987
성공자
선행자 키스톤챔피언
2009
성공자
선행자 키스톤챔피언
2013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