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라인

Rubicline
루비라인
Rubicline.jpg
일반
카테고리펠드스파
공식
(기존 단위)
(Rb, K)[AlSi3O8]
IMA 기호문지르다[1]
스트룬츠 분류9.FA.30
크리스털 시스템삼위일체
크리스털 클래스피나코이드(1)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P1
식별
공식 질량313.11 g/190
무색
클라바주{001}
루스터유리성
발데인성투명
밀도2.8 g/cm3
광학 특성양악의
굴절률nαγ = 1.1226β n = 1.524 n = 1.527
바이레프링스δ = 0.007
분산강하다
기타 특성방사능
참조[2][3]

Rb-microcline이라고도 불리는 루빅라인(Rubicline)은 중요한 텍토실산염 광물인 마이크로클린루비듐 아날로그다.화학식은 (Rb38, K)[AlSiO38]이며 RbAlSiO의 이상적인 구성이다.전자 마이크로프로브에 의한 화학 분석 결과 결정의 평균 중량은 56.66% SiO2, 16.95% AlO23, 23.77% RbO이며2,[4] 산화물(CsO)과2 산화철(III) 산화물(FeO23)[5]의 미량이다.

루비클린은 1998년 이탈리아 엘바에서 매니토바 대학교의 팀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그것은 루비듐을 필수 성분으로 하여 발견된 최초의 광물이었다.[5]그것은 또한 모잠비크[6] 러시아콜라 반도에서도 발견되었다.[7]루빅라인은 루비디아 마이크로클린의 정맥 안에서 발견되는 작고 풍부하고 둥근 알갱이로 발생한다.칼륨이 없는 이상적인 구성의 순수한 루빅라인은 자연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4]Rubicline은 RbCl의 용매에 분말을 넣어 2001년에 합성되었다.이 혼합물을 HO를 포함한2 은관에 넣어 400 °C로 가열하고 60 MPa로 가압했다.[4]

노랑이나 빨강, 초록색이 가능한 마이크로클라인과 달리 루빅라인은 무색이다.또한 투명하고 부서지기 [5]쉬우며 유리광택을 가지고 있다.[8]루빅라인(Rubicline)은 삼색체단색체로 모두 분류되어 왔다.[4][8]그 수정은 쌍동이 보이지 않는다.이 집단의 다른 미네랄로는 아둘라리아, 무정통클라아제, 버드도나이트, 셀리안, 히알로판, 마이크로클라인, 단염, 정형클라아제, 산니딘 등이 있다.[8]

모든 루비듐 화합물처럼 루비선은 가벼운 방사능이다.다양한 루비라인 양의 활성도와 선량률은 아래 표에 열거되어 있다.[2]

표본중량/크기 계산된
활동(Bq)
계산된
활동(Ci)
추정된
활동 GR(api)
추정된
노출(mRem)/hr*
1000 g / 8.79 cm 183,355 4.96×10−6 8,449.31 2.78
100 g / 4.08 cm 18,336 4.96×10−7 844.93 0.28
10g / 1.89cm 1,834 4.96×10−8 84.49 0.03
1 g / 8.79 mm 183 4.96×10−9 8.45 0.00
0.1 g / 4.08 mm 18 4.96×10−10 0.84 0.00
0.01 g / 1.89 mm 2 4.96×10−11 0.08 0.00
0.001 g / 0.88 mm 0 4.96×10−12 0.01 0.00
  • 한 시간 동안 손에 잡히면.
  • 연평균 노출에 대한 정부 추정치(360mRem)
  • 최대 허용 성인 선량 50,000mRem/yr(손), 15,000mRem/yr(눈금)
  • 치명적 노출 40만 ~ 50만 mRem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291–320.
  2. ^ a b 웹 미니어처에서의 루빅라인
  3. ^ 루비클린 앳 민다트
  4. ^ a b c d Kyono, A. & Kimata, M. (August 2001). "Refinement of the crystal structure of a synthetic non-stoichiometric Rb-feldspar" (PDF). Mineralogical Magazine. 65 (4): 523–531. Bibcode:2001MinM...65..523K. CiteSeerX 10.1.1.580.3483. doi:10.1180/002646101750377542. S2CID 95219083.
  5. ^ a b c Teertstra, David K.; et al. (December 2008). "Rubicline, a new feldspar from San Piero in Campo, Elba, Italy". American Mineralogist. 83 (11–12): 1335–1339. doi:10.2138/am-1998-11-1223.
  6. ^ Teertstra, D. K.; Cerny, P.; Hawthorne, F. C. (1999). "Subsolidus rubidium-dominant feldspar from the Morrua pegmatite, Mozambique: paragenesis and composition". Mineralogical Magazine. 63 (3): 313–320. Bibcode:1999MinM...63..313T. CiteSeerX 10.1.1.607.9008. doi:10.1180/002646199548538. ISSN 0026-461X. S2CID 53607085.
  7. ^ "Rubicline R070044". RRUFF. Retrieved 15 February 2010.
  8. ^ a b c Ralph, Jolyon & Chau, Ida (2010). "Rubicline". Mindat.org. Retrieved 15 February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