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브릭
Rubric
루브릭(rubric)은 전통적으로 강조를 위해 붉은 잉크로 쓰거나 인쇄하는 단어나 텍스트의 한 부분을 말한다. 이 단어는 라틴어인 루브리카에서 유래되었으며, 붉은 오크레 또는 붉은 분필을 의미하며,[1] 13세기 이전부터 중세 조명을 받은 원고에서 유래되었다. 이 가운데 붉은 글씨로 초기의 대문자(특히 시편), 단면 표제, 종교의 의의의 이름 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원고 제작의 별도 단계였던 루브릭화(rubrication)라고 알려져 있다.
루브릭은 또한 루브릭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붉은 잉크나 페인트, 또는 그것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색소를 의미할 수 있다.[2] 비록 빨간색이 가장 자주 사용되었지만, 다른 색깔들은 중세 후반부터 계속 사용되었고, 루브릭이라는 단어는 이것들에도 사용되었다. 중세주의자들은 문자의 전통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문법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3]
그 낱말의 다양한 비유적 감각들이 본래 뜻에서 확장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감각은 "이 루브릭 아래[아무거나] 루브릭 아래[X는 참]" 또는 "Y의 루브릭 아래[X는 참]"과 같은 정해진 구절 내에서 사용된다. 그러한 감각은 다음과 같다: "권위적인 규칙",[4] "법령의 제목",[4] "사물을 분류하는 것":분류, [4]"설명 또는 입문 논평":광조,[4] "기설된 규칙, 전통 또는 관습",[4][4] "학업 [배정]:루브릭".
소송 지침대로
성직자가 리터러시 동안 해야 할 일을 설명하는 지침서는 또한 미스들과 다른 리터러시 서적에서도 문질러져 있었고, 큰 소리로 말할 본문은 검은색으로 되어 있었다.[5] 이것으로부터, "rubric"은 실제로 어떻게 쓰여졌는지에 관계없이, 텍스트에 있는 지시의 이차적인 변조를 가진다. 이것은 1375년에 발견된, 영어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정의다.[6] 덜 공식적으로, "구제"는 서면 지침에 따라 관습적으로 수행되는 모든 소송 행위를 가리킬 수 있다. 루브릭 내용의 역사, 지위, 권위는 소송 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하고 때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과거에, 몇몇 신학자들은 신성한 기원에 대한 루브릭스와 단지 인간의 기원에 대한 루브릭스를 구별했다. 루브릭스는 아마도 원래 구두로 쓰여진 것이고, 그 다음엔 별도의 책으로 쓰여진 것일 것이다. 현존하는 현존하는 가장 초기 소송 서적은 그것들을 포함하지 않지만, 첫 천년의 지문에서 언급된 것들로부터는 쓰여진 버전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7] 제단 외관, 특정 소송의 시기 및 이와 유사한 사항과 관련된 모든 문제는 별도로 발행할 수 있다. 현대의 소송 관련 서적에서는, 예: 가톨릭 로마 미살, 아마도 검은색으로 인쇄된, 긴 일반적 루브릭스가 그러한 문제와 관련되며, 여전히 일반적으로 루브릭된 더 짧고 구체적인 루브릭스를 포함하고 있는 리투르지의 실제 순서를 서문한다. 붉은색은 또한 종종 축하자와 신도들에 의해 또는 결혼과 같은 결혼과 관련된 다른 특정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어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인쇄 개발 후
인쇄가 도래하면서 이탤릭체, 볼드체형, 또는 다른 크기의 활자형 등의 다른 활자영향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한 부분을 강조하였고, 두 가지 색상으로 인쇄하는 것이 더 비싸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루브릭화는 신성한, 재판적인 책이나 다른 작품들의 고급 판본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윌리엄 모리스가 19세기 말 켈름스코트 프레스에서 의학적으로 영감을 받은 타이포그래피에는 챕터 제목과 기타 악센트가 붉은색 또는 드물게 푸른색, 잉크로 쓰여져 있었으며 영국과 미국의 예술과 공예 운동, 특히 아센덴의 작품과 관련된 작은 언론 예술 타이포그래피에 영향을 끼쳤다.베스, 로이크로프트 프레스.[8][9]
1900년경, 루브릭레이션은 도미니컬 단어, 즉 예수 그리스도가 지구상에서 육체의 삶에서 말하는 단어들을 구별하기 위해 성경의 킹 제임스 버전의 레드 레터 판에 통합되었다. 왜냐하면 그 번역에는 인용 부호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다른 버전의 성경은 그 이후로 대중적인 관행을 채택했다.
교육상의 어려움
루브릭은 특정 유형의 작업이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명시적인 기준 집합이며, 단일 등급 또는 마크보다 더 많은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루브릭스는 교사들이 좀더 객관적으로 점수를 매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10]
참고 항목
참조
- ^ OED는 1a를 의미한다.
- ^ 1b를 뜻하는 OED
- ^ Stephanie Viereck Gibbs Kamath (2010). "Rubrics". In Graeme Dunphy (ed.). Encyclopedia of the Medieval Chronicle. Leiden: Brill. pp. 1301–1303. ISBN 90 04 18464 3.
- ^ Jump up to: a b c d e f Merriam-Webster, "headword "rubric"",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11th ed.), Merriam-Webster.
- ^ "Rubrics". Catholic Encyclopedia.
- ^ OED는 3을 의미한다.
- ^ 카톨릭 백과사전이 인용되었다.
- ^ Jump up to: a b 패리, 린다: 윌리엄 모리스, 뉴욕: 해리 에이브럼스, 1996, ISBN 0-8109-4282-8.
- ^ 네일러, 길시언: "The Things That Maybe: British Design for Morris." 다이앤 웨고너에서, 에드: 생명의 아름다움: 윌리엄 모리스 & 디자인 예술, 뉴욕: 2003년 템즈강과 허드슨, ISBN 0-500-28434-2, 페이지 122–124.
- ^ "Rubrics for Assessment - NIU - Center for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Retrieved 2021-09-2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루브릭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무료 사전인 Wiktionary에서 루브릭을 찾아 보십시오. |
- Encyclopædia Britannica. 23 (11th ed.). 1911. p. 810. .
- 성공회 저미사의 루브릭 (1931년부터) 매우 완전한 루브릭 세트 (일반적인 서비스 책보다 더 많이 포함); 비뚤어지게, 여기서 말할 단어는 빨간색으로, 루브릭스는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 누가 말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카톨릭 교회는 붉은 색으로 되어 있고, 다른 교단은 작은 이탤릭체로 되어 있다.
- Kelmscott 프레스 예제: 빨간색 악센트 사용을 보여주는 Kelmscotthe Kelmscott 프레스 페이지.
- 그래서 이것은 Roycroft Press 에디션 c. 1913의 시카고 혓바닥 A "플립북"이라는 제목의 프리젠테이션으로 예술과 공예의 전통에서 루브릭의 사용을 보여준다.
- 좋은 요리법 1906년 위넷카 교단 여성회가 발간한 이 요리책은 20세기 초 예술과 공예품이 일상 타이포그래피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