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 63
Rule 63
규칙 63은 인터넷 밈으로 "모든 주어진 남성 캐릭터에 대해 해당 캐릭터의 여성 버전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2006년 4chan에 대한 Netiquette 가이드로 시작하여 결국 의도적으로 조롱하는 규칙을 포함함으로써 확장된 "인터넷의 규칙" 중 하나이며, 그 중 규칙 63이 그 예입니다.[1]팬덤 커뮤니티에서 팬이 만든 용어와 기존 가상 캐릭터의 공식적인 성별 뒤집기를 모두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기원.
룰 63이 만들어지기 전인 1990년대에 뱀파이어인 다크스토커스 캐릭터 데미트리 맥시모프의 마무리 동작으로 비디오 게임에서 젠더 플립이 대중화되었습니다.미드나잇 블리스(Midnight Bliss)라고 불리는 이 영화는 캐릭터에 장미를 던져 그들을 무력한 처녀로 변화시키고 그들의 삶의 에너지를 완전히 고갈시키는 것을 포함했습니다.[2]이것은 SNK 대 SNK의 경우 스트리트 파이터와 SNK 캐릭터의 버전뿐만 아니라 게임의 모든 남성 캐릭터의 여성 버전이 생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캡콤은 맥시모프를 포함했습니다.이러한 여성 해석은 인기를 끌게 되었고 많은 양의 팬 아트를 낳게 되었고, 다른 남성과 여성 캐릭터의 성별 교환의 예술을 촉발시켰습니다.[2]
규칙 63은 유머러스한 "인터넷의 규칙"에 추가로 2007년 중반에 만들어 졌는데, 원래는 2006년 말경에 4chan에서 만들어 [3]졌습니다.여기에는 두 가지 진술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 "모든 주어진 남성 캐릭터에 대해 해당 캐릭터의 여성 버전이 있습니다." 그리고
- "모든 주어진 여성 캐릭터에 대해, 그 캐릭터의 남성 버전이 있습니다."
원래 비공식적으로 주로 보여졌던 이 트로피는 이후 대중 문화에 더 널리 퍼지게 되었고 비평가들은 이 트로피가 "할리우드에 의해 인정받았다"고 말했습니다.[4]
사용.
규칙 63은 팬 아트, 팬 픽션, 코스프레와 같은 팬 작품의 기존 캐릭터에 대한 성별 교환 해석을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5] 특히 로맨틱한 성별 교환 관계를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형성된 애니메이션 및 만화 커뮤니티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2]그것은 또한 인간이 아닌 남성 캐릭터의 모에 의인화된 여성 버전을 만드는 것과 종종 겹칩니다.이것의 잘 알려진 예는 2018년 가장 인기 있는 인터넷 밈 중 하나가 된 마리오 적대자 바우저의 여성 버전인 보우셋입니다.[6]그러나 비평가들에 의해 배틀스타 갤럭티카의 넘버 식스가 사이론 센츄리온의 "섹스 여성" 버전인 [7]것과 고스트버스터즈의 2016년 리부트의 여성 메인 캐스트인 것과 같이 오래된 캐릭터나 가상의 존재의 성별이 바뀐 버전인 공식 캐릭터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4]
성별이 바뀐 슈퍼히어로와 같은 규칙 63 코스프레의 탄생은 사회적으로 승인된 성별 대본을 넘어서는 역할을 묘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성 코스프레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습니다.[3]그것은 코스프레인들이 보통 여성 캐릭터들에게 주어지지 않는 옷과 무기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8]그러나 성별 유동성이 내재된 어떤 캐릭터들은 다른 캐릭터들보다 더 잘 작동한다고 합니다.코스프레자가 어떤 행동이 성과를 높이는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이와 같은 성별 벤딩 코스프레는 코스프레자를 다른 성별의 코드에 완전히 몰입시키는 크로스 플레이와 대비될 수 있습니다.[3]
주목할 만한 예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 어드벤처 타임은 오리지널 쇼의 동명의 에피소드를 기반으로 파이오나 앤 케이크라는 제목의 스핀오프 시리즈를 받았는데, 이 에피소드는 성별이 바뀐 핀과 제이크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켰으며 이후 다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다른 캐릭터들의 성별을 구부린 버전도 등장시켰습니다.[9]
- 2016년 고스트버스터즈 리부트는 "규칙 63의 증거"라고 불리는 여성 주인공들을 등장시켰고, 각 팀원과 원래 남성 팀원 중 한 명 사이에 유사점이 있음을 지적했습니다.그것은 이전에 비공식적이고 팬 주도적인 현상이었던 것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이라고 불렸습니다.[4]
비디오 게임에서
- 마리오 시리즈에서 팬이 만든 보우셋은 남성 적대자 보우저의 여성 버전으로, 피치 공주의 외모와 능력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파워업인 슈퍼 크라운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습니다.닌텐도의 공식적인 설명은 이 아이템은 토데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보우셋의 제작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10]
- Shouvle Knight에서는 킥스타터 목표로 자금을 지원한 후 "바디 스왑 모드"(원래 "젠더 스왑"이라고 불림)가 추가되어 플레이어는 설정 메뉴를 통해 게임의 모든 주요 캐릭터의 2차 성 특성(독립적으로 대명사)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개발자들은 기존의 성격과 게임 방식뿐만 아니라 교환된 버전을 원작과 동일하게 만들어 원작 캐릭터 디자인과 동등함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11][12]
- 2023년 인디게임 피자타워에서는 주인공 페피노 스파게티와 2차 주인공 구스타보, 브릭, 그리고 게임 내내 맞붙는 보스들이 비디오게임 모딩의 형태로 자신들의 성별을 바꾸었습니다.앞서 언급한 세 명의 주인공들은 각각 페피나 라멘, 구스타바, 렌가라는 이름의 성별 교환 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들은 페퍼노의 친한 친구들로 전시되어 있습니다.페피나, 구스타바, 렌가, 그리고 보스들은 모두 세일러문과 비슷한 디자인의 애니메이션으로 그려집니다.모드의 스토리에는 페퍼노, 구스타보, 브릭이 자리를 비운 동안 페퍼노의 피자제리아를 보는 임무와 함께 페퍼노와 구스타바를 보낸다는 내용이 있는데, 게임의 주요 적대자인 피자페이스가 페퍼노의 피자제리아를 파괴하러 갔기 때문에 페퍼나, 구스타바, 브릭이 그를 막으러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 젤다 시리즈에서 캐릭터 링클은 전형적인 주인공 링크의 대체 우주 젠더 스왑으로 닌텐도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하지만, 그녀는 그의 힘을 가지고 있지 않고, 대신에 한 쌍의 석궁을 이중으로 휘두르는 평범한 소녀입니다.[13]하이룰 워리어스 레전드에서 플레이 가능한 그녀는 링크를 대신하는 팬에 의해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로 개조되기도 했습니다.[13][14]젤다 공주가 젤다의 전설에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캐릭터 쉐이크: 시간의 오카리나는 셰이크가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게임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별을 바꾸는 가장 상징적인 예로 불려왔습니다.[2]
참고 항목

- 규칙 34 – 다른 인터넷 규칙
참고문헌
- ^ Leopold, Todd (2013-02-15). "Meet the Rules of the Internet". CNN. Retrieved 2020-09-25.
- ^ a b c d Iovanovici, Zoran (2009-10-19). "Analysis: Gaming's Midnight Bliss - Gender Swapping Made Fun". www.gamasutra.com. Retrieved 2020-09-25.
- ^ a b c Goodrum, Michael D.; Prescott, Tara; Smith, Philip (2018). Gender and the superhero narrative. Jackson: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pp. 144–145. ISBN 978-1-4968-1880-5. OCLC 1030446156.
- ^ a b c Orsini, Lauren (2015-07-10). "How Female Ghostbusters Prove Internet Rule 63: There's An Alternate Gender Version Of Everyone". Forbes. Retrieved 2020-09-25.
- ^ Hwang, Chanel (2018-09-20). "22 Cartoon Characters Reimagined As Girls By The Community". TheGam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5-21. Retrieved 2020-09-25.
- ^ Asarch, Steven (2018-12-20). "KnowYourMeme and Newsweek have compiled a list of the Top 10 Video Game Memes of 2018". Newsweek. Retrieved 2020-09-25.
- ^ Chu, Arthur (2014-05-06). "How 'Battlestar Galactica,' 'Game of Thrones,' and FanFiction Conquered Pop Culture". The Daily Beast. Retrieved 2020-09-25.
- ^ Hanks, Henry (2013-09-03). "Costumed fans put a gender spin on classic characters". CNN. Retrieved 2020-09-25.
- ^ Radulovic, Petrana (2021-08-17). "Adventure Time's Fionna and Cake getting a spinoff series". Polygon. Retrieved 2021-10-19.
- ^ "Random: Nintendo Confirms Only Toadette Can Wear The Super Crown, Bowsette Officially Debunked". Nintendo Life. 2019-01-04. Retrieved 2020-09-26.
- ^ Matulef, Jeffrey (2017-01-12). "Shovel Knight is coming to Switch, introduces new pricing scheme". Eurogamer. Retrieved 2021-10-19.
- ^ Games, Yacht Club (2017-02-28). "Shovel Knight rethinks gender in retro games with Body Swap Mode (update)". Polygon. Retrieved 2021-10-19.
- ^ a b McWhertor, Michael (2015-11-12). "Hyrule Warriors Legends for 3DS will include a new female Link, called Linkle". Polygon. Retrieved 2020-09-26.
- ^ March 2018, Sam Prell 07 (7 March 2018). "This Breath of the Wild mod that turns Link into a girl is so good it could pass for official DLC". gamesradar. Retrieved 2020-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