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클라드노

SK Kladno
SK 클라드노
logo
풀네임스포르토브니클룹클라드노 (스포츠클럽클라드노)
닉네임오셀라이(강철) 슈에도체시 (중앙보헤미안) 모드로빌리(블루화이트) 클라딘코, 폴디, 에스카, 에스카치코
설립.1903년 스포르토브니 크로제크 클라드노(스포츠 서클 클라드노)
클라드노 프란티셰크 클로즈 스타디움
용량.4,000
주인SK 클라드노 z.s.
회장님요제프 드라호타
부장님이반 피하베크
리그체코 4부 리그 - 디비전 B
2021–22넷째
웹 사이트클럽 웹사이트

스포르토브니클룹클라드노(SK Kladno)는 체코클라드노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1903년 2월 15일에 설립되었습니다. 팀은 이 클럽의 전설적인 선수의 이름을 딴 스타디온 프란티슈카 클로제에서 경기를 한다. 클럽은 현재 아마추어 체코 4부 리그에 참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역사를 1부 리그에서 보냈다.

역사

1903년 2월 15일, 클라드노에 있는 옛 "U Cheského dvora" 호텔에 앉아 있던 한 무리의 젊은이들이 그들만의 스포츠 클럽을 설립하기로 결정했고, 거기서 그들은 그 시대의 새로운 경기인 축구를 "육성"했다.그날, 클라드노 축구의 풍부한 역사의 장이 [1]쓰여지기 시작했다.최초의 팀은 1905년에 클라드노 스포츠 클럽(Sportovni klub Kladno)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를 치렀다.곧 체코의 시골 팀들 사이에서 강한 위치를 차지했고, 또한 수준 높은 프라하 클럽들과의 경기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었다.1908년, AFK 콜린이 5-1로 [1]패배했을 때, 첫 번째 챔피언십 대결이 클라드노에서 열렸다.클라드노 팀은 1925년부터 1947년까지 최고의 축구 대회에 계속 출전하다가 1946/[2]47시즌에 성적 조작으로 리그에서 쫓겨났다.이후 1948-49시즌, 1952-58시즌, 1960-65시즌 등 여러 차례 1부 리그에 복귀하였다.그 클럽의 거의 40년 동안의 마지막 프리미어 리그 시즌은 1969-70년이었다.상위권으로의 승진을 기다리는 것은 [1]2006년까지였다.가장 높은 체코슬로바키아 클럽 대회(1925-1993) 통계에서 SK 클라드노는 체코 클럽 [1]중 8위를 차지하고 있다.이 클럽은 최고 리그 [1]경기에서 총 618경기를 치렀고, 558점을 획득했으며, 골득실차는 1189-1398이었다.1907년 슬로반 빈이 1-8로 패한 후, 클라드노는 국제 스포츠 관계를 유지해왔다.1908년, 영국의 유명한 크리스탈 팰리스 FC는 클라드노에서 경기를 했고, 수년간 SK 클라드노는 4개 대륙의 34개국에서 온 팀들을 만났다.가장 빈번한 국제적 상대는 유럽 팀들, 특히 노르웨이,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팀들이었다.SK클라드노는 존재 기간 내내 많은 중요한 축구 토너먼트에 참가했다.여기에는 인기 있었던 중앙 유러피언 컵(1934, 1938, 1961), 1964년 라판 컵, 벨기에의 도시 대회(브뤼셀 1931, 리에주 1932, 1938)가 포함되어 있다.1934년, 클라드노 팀은 역대 최장기 국제 여행을 미국으로 떠났는데, 이는 체코슬로바키아뿐만 아니라 유럽 [1]축구에도 좋은 홍보가 되었다.많은 중요한 축구선수들이 그들의 축구를 클라드노에서 파란색과 흰색으로 시작했거나 그들의 선수 생활 동안 그것을 착용했다.그 중에는 SK클라드노의 제자이자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이 결승에 진출한 1920년 앤트워프 올림픽에서 3골을 기록한 오타카르 슈크바인 마잘(1894-1941)도 있었다.프란티셰크 클로즈(1905~1945)는 클라드노의 가장 인기 있는 선수이자 가장 적극적인 골잡이(클라드노 색상에서 592골)이자 1945년 조국 해방 당시 동료 요제프 쿠알라처럼 손에 총을 들고 목숨을 끊은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대표 선수다.체코슬로바키아 대표팀 선수 겸 코치 카렐 콜스키(1914~1984)수단 대표팀 훈련에 성공해 알제리와 아이슬란드에서 감독으로 활약한 SK클라드노 선수 얀 파베라(1928~1984).1971년부터 1972년까지, 와 요제프 벵글로시는 체코슬로바키아 U-23 팀을 훈련시켰고, 이 팀은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클라스노 공격수이자 슬로반 빈의 선수 겸 코치였던 요제프 카드라바(1933년생)는 1962년 칠레 월드컵에서 은메달을 따내며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얀 수초파레크(1969년생)는 61경기 출전 선수.1996년, 그는 영국에서 열린 유로에서 2위를 차지하기 위해 "은메달"을 가져왔습니다.체코의 전설적인 공격수이자 슬라비아 프라하의 오랜 선수인 요제프 비칸(1913-2001)이 1962-63시즌에 클라드노 1군을 훈련시켰다는 사실도 상기해야 한다.

이력명

  • 1903 - SK 클라드노 (본명: Sportovni krouzek Kladno)
  • 1904 - SK 클라드노 (본명: Sportovni klub Kladno)
  • 1948 - ZSJ SONP Kladno (본명: Z zkladni Sportovni Jednota Spojené ocelarny narrodni podnik Kladno)– STAK Letna와 합병
  • 1949 : TJ Sokol SONP Kladno (풀네임:톨로브초브나 제드노타 소콜 스포제네 오셀라르니 나로드니크 포드니크 클라드노)
  • 1953 - DSO 바닉클라드노 (전명: 도브로볼나 스포르토브니 조직체 바닉클라드노)
  • 1958 : TJ SONP Kladno (풀네임:톨로브초브나 제드노타 스포제네 오셀라르니 나로드니 포드니크 클라드노)
  • 1960 : TJ Banik Kladno (풀네임:탈로브초브나 제노타 바닉클라드노)
  • 1961 : TJ SONP Kladno (풀네임:톨로브초브나 제드노타 스포제네 오셀라르니 나로드니 포드니크 클라드노)
  • 1977 : TJ Poldi SONP Kladno (풀네임:톨로브초브나 제드노타 폴디 스포제네 오셀라르니 나로드니크 포드니크 클라드노)
  • 1989 : TJ Poldi Kladno (풀네임:톨로브초브나 제드노타 폴디클라드노)
  • 1993 : FC Terrex Kladno (풀네임:풋볼 클럽 Terrex Kladno, a.s.)
  • 1994 : FC Agrox Kladno (풀네임:풋볼 클럽 아그록스 클라드노, a.s.)
  • 1995 - SK Kladno (본명 Sportovni klub Kladno, a.s.)– 2003년에 SK Spolana Neratovice와 합병

플레이어

현 스쿼드

2017년 6월 17일 기준

참고: 깃발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 GK Czech Republic CZE 야로슬라프 테사
30 GK Czech Republic CZE 카렐 클라인몬드
GK Czech Republic CZE 마르틴 보쿤
2 DF Czech Republic CZE 즈덴크 라다
5 DF Czech Republic CZE 지이 베셀로
8 DF Czech Republic CZE 바츨라프 칼리나
13 DF Czech Republic CZE 토마시 보라크
15 DF Czech Republic CZE 얀 페흐르
DF Czech Republic CZE 야로슬라프 티롤
3 MF Czech Republic CZE 파벨 바르토시
4 MF Czech Republic CZE 얀 슈톤츠너
7 MF Czech Republic CZE 도미니크 시마
10 MF Czech Republic CZE 지이 리치카
No. Pos. 국가 플레이어
11 MF Czech Republic CZE 토마시 프로차스카
12 MF Czech Republic CZE 보이체흐 크르세크
14 MF Czech Republic CZE 얀 프로차스카 (선장)
16 MF Czech Republic CZE 온데제이 푸틱
20 MF Czech Republic CZE 마렉 토스
MF Czech Republic CZE 야쿠브 칼라
MF Czech Republic CZE 페트르 볼그너
6 FW Czech Republic CZE 알레쉬 네슬라데크
9 FW Czech Republic CZE 라도반 크루틸
17 FW Czech Republic CZE 야로슬라브 카프카
18 FW Czech Republic CZE 시몬 프로차스카
19 FW Czech Republic CZE 대니얼 보익

전 매니저

  • 미로슬라프 쿠베크
  • 야로슬라브 실하베 (2007년 6월~2008년 6월)
  • 마르틴 호델 (2008년 6월~2010년 4월)
  • 스타니슬라프 프로차즈카 (2010년 4월~2010년 6월)
  • Stanislav Hejkal (2010년 6월~2010년 8월)
  • Miroslav Berannek (2010년 8월~2011년 1월)
  • 야로슬라프 페시나 (2011년 1월~2011년 7월)
  • Eduard Novak (2011년 7월~2011년 10월)
  • Zbynkk Busta (2011년 10월~2011년 11월)
  • Martin Churda (2011년 11월~2012년 4월)
  • 다니엘 드라호쿠필 (2012년 4월~2013년 5월)

국내 대회에서의 역사

체코 공화국

계절 리그 놓았다 플라스틱 W D L GF GA GD PTS
1993–1994 2. 리가 14일 30 7 7 16 24 45 –21 21
1994–1995 2. 리가 16일 34 8 11 15 36 51 –15 41
1995–1996 3. 리가 11번째 34 10 8 16 34 43 –9 38
1996–1997 3. 리가 17일 34 8 9 17 36 64 –28 33
1997–1998 4. 리가 일곱 번째 30 11 9 10 46 33 +13 42 64강
1998–1999 4. 리가 세 번째 30 17 7 4 61 23 +38 58 제1라운드
1999–2000 4. 리가 첫 번째 30 21 6 3 62 18 +44 69 제1라운드
2000–2001 3. 리가 여섯 번째 34 15 9 10 42 33 +9 54 64강
2001–2002 3. 리가 18일 34 7 9 18 36 57 –21 30 32강
2002–2003 4. 리가 세 번째 30 16 7 7 65 37 +28 55 64강
2003–2004 2. 리가 넷째 30 15 5 10 47 27 +20 50 64강
2004–2005 2. 리가 넷째 28 11 10 7 37 22 +15 43 16강
2005–2006 2. 리가 첫 번째 30 17 6 7 45 21 +24 57 16강
2006–2007 1. 리가 11번째 30 7 10 13 23 37 –14 31 32강
2007–2008 1. 리가 14일 30 6 9 15 31 45 –14 27 64강
2008–2009 1. 리가 14일 30 8 7 15 21 41 –20 31 16강
2009–2010 1. 리가 15일 30 7 4 19 24 50 –26 25 16강
2010–2011 2. 리가 15일 30 8 7 15 42 48 –6 31 제1라운드
2011–2012 3. 리가 17일 34 10 3 21 48 64 –16 33 제1라운드
2012–2013 3. 리가 16일 34 11 5 18 42 51 –9 38 제1라운드
2013–2014 4. 리가 일곱 번째 30 10 10 10 56 58 –2 40 32강
2014–2015 4. 리가 다섯 번째 30 13 8 9 58 37 +21 52 제1라운드
2015–2016 4. 리가 세 번째 30 16 8 6 63 32 +31 58 제1라운드
2016–2017 4. 리가 다섯 번째 30 14 6 10 54 43 +11 52 제1라운드

유럽 대회의 역사

계절 경쟁. 둥글다 나라 클럽 집입니다 떨어져
1934 미트로파 컵 제1라운드 Italy 인터 밀라노 1–1 3–2
준준결승 Hungary 페렌츠바로시 TC 4–1 0–6
1938 미트로파 컵 제1라운드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하슈크 자그레브 3–1 1–2
준준결승 Italy 유벤투스 FC 1–2 2–4
1961 미트로파 컵 제1라운드 Italy 우디네세 칼초 오전 2 ~ 3시
Austria 1. 비너 노이스태터 SC 5–0
Austria 린저 ASK 1–1
준결승 Italy 볼로냐 FC 1–2 0–1
1963–64 라판컵 제1라운드 Poland 오드라 오폴레 1–1 0–4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하즈덕 스플릿 2–0 2–1
East Germany 모터 즈비카우 2–1 0–1

명예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야그르, 요제프-올리베리우스, 미로슬라브: 클라드노 하지!스토는 클라덴세호 팟발루를 허락했다.SK 클라드노 1903년 ~ 2003년 클라드노, 스타투타니, 2003년 클라드노 축구 100년
  2. ^ Jeřábek, Luboš (2007). Český a československý fotbal – lexikon osobností a klubů (in Czech). Prague, Czech Republic: Grada Publishing. p. 87. ISBN 978-80-247-1656-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