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오하이오 (1875년)
SS Ohio (1875)좌표:45°27′59″N 83°30′44″w/45.466500°N 83.512350°W
![]() 침몰하기 전 오하이오 주 | |
역사 | |
---|---|
![]() | |
이름 | 오하이오 주 |
네임스케이크 | 오하이오 주 |
연산자 | C.W. 엘피케 |
등록항 | ![]() |
빌더 | 오하이오 휴런의 존 F. 스퀴어스 |
야드 번호 | 30 |
시작됨 | 1875년[1] 4월 |
완료된 | 1875 |
가동중 | 1875년 5월 29일 |
서비스 중단 | 1894년[2] 9월 26일 |
식별 | 미국등기 #19438호 |
운명 | 스쿠너 아이론톤에 치여 휴런 호수에 가라앉았다.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레이크 화물선 |
톤수 | |
길이 | 202.2피트(61.6m)[1] |
빔 | 35피트(11m)[3] |
깊이 | 18.50피트(5.64m)[3] |
설치된 전원 | 1 × 스카치 해양 보일러 |
추진 | 저압 응축 엔진 |
크루 | 16 |
SS 오하이오호는 나무로 만든 대형 오대호 화물선으로 1875년 건설 당시부터 1894년 9월 침몰한 스쿠너 바지선 아이론톤과 충돌할 때까지 북미 그레이트호에서 운항했다.[2]아이론톤은 기선 찰스 커쇼에 의해 견인되고 있었는데, 이 기선 역시 스쿠너 문라이트호를 견인하고 있었다.오하이오는 미시간 주 프레스크 섬에서 200피트 이상의 물에서 침몰한 지 122년이 지난 2017년 직립 상태로 발견되었다.아이론톤은 아직 실종 [2]상태야오하이오를 발견한 연구원들은 그녀를 국립 사적지 목록에 올릴 계획이다.
역사
오하이오(공식번호 19438)는 초기 목제 벌크선이었다.[4]그녀는 1875년 오하이오 주민 존 F에 의해 지어졌다.오하이오 휴런의 스퀴어즈.[5]그녀는 1875년 4월에 출범했다.[1]그녀의 선체는 길이가 202.2피트(61.6m), 빔의 폭은 35피트(11m), 화물칸의 깊이는 18.50피트(5.64m)이었다.그녀는 총톤수 1101.81톤, 순톤수 850.82톤이었다.그녀는 저압 콘덴싱 엔진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았는데, 이 엔진은 석탄을 태우는 스카치 해상 보일러 한 대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었다.그녀는 철광석, 석탄, 곡물과 같은 대량 화물을 호수를 가로질러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1]
마지막 항해와 침몰
1894년 9월 오하이오주는 곡물 화물을 싣고 뉴욕 오그덴스버그로 향하던 미네소타 둘루스를 출발했다.[2]이 여정은 오하이오를 가로질러 수락호를 지나 휴런 호수로 들어갔고, 미시간 주 프레스크 섬과 썬더베이를 지나갔다.그녀의 여행의 휴런 호수에 있는 동안 오하이오는 날씨가 험악했다.[2]
기선 찰스 커쇼는 두 개의 스쿠너 바지선인 문라이트 와 아이론톤을 견인하고 있었다.세 척의 배는 험한 날씨에 북쪽으로 항해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프레스크 섬에서 북쪽으로 약 16km 떨어진 험한 날씨를 항해하고 있는 오하이오를 보았다.[2]배가 서로 지나치려는 순간 아이론톤과 달빛을 잇는 하인이 뚝 끊어져 아이론톤이 항로를 이탈해 오하이오 주 옆으로 들이받았다.[2]오하이오와 아이론톤 모두 30분 만에 침몰했다.오하이오에서 온 16명의 선원들은 모두 구명보트에 탔고 문라이트에게 픽업되었다.오하이오의 1등 항해사는 사다리에 매달린 채 발견되었고 후에 커쇼에 의해 체포되었다.[2]지나가는 기선 찰스 헤바드는 아이론턴의 선원 2명을 태웠지만, 그 스쿠너의 선원 5명은 피터 지라드 선장을 포함한 사망하였다.[2]
디스커버리
2017년 5월 23일, 썬더베이 국립 해양 보호구역의 연구원들은 미시간 프레스크 섬 앞바다의 휴론 호수 깊은 곳에서 두 개의 난파선을 발견했다.[5]연구원들은 6월과 8월 사이에 여러 차례 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들은 강철로 된 기선 콕토와 오하이오의 신원을 확인했다.콕토는 1915년 7월 11일 패키지 화물선 와혼다와 충돌하면서 길을 잃었다.[4]
썬더베이 국립해양보호구역은 2017년 9월 1일까지 콕토와 오하이오 주 발견 사실을 발표하지 않아, 항전 난파선 사냥꾼들은 여름 내내 콕토 주 수색작업을 계속했다.[6]콕토를 수색하던 중 독립 연구원인 댄 분수와 커트 포스버그는 2017년 7월 15일 변형 어패인더를 이용해 오하이오를 발견했다.7월 30일 샘은 베테랑 난파선 사냥꾼 켄 메리먼과 제리 엘리슨과 함께 현장에 돌아와 엘리슨의 집에서 만든 고화질 드롭 비디오 시스템을 통해 난파선을 오하이오라고 확실히 식별했다.[7]
"이 놀라운 발견은 미스테리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상기시켜 준다. 아직 발견해야 할 난파선이 남아 있고, 우리 팀은 오하이오와 콕토에 대해 더 자세히 기록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에 흥분하고 있다.앞으로도 다른 난파선을 찾아 이런 보물들이 후손들에게 보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Jeff Gray, the Thunder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s superintendent.[4]
"오하이오와 초코우는 매우 중요한 두 대의 오대호 수공예의 주목할 만한 사례로, 둘 다 아름답게 보존되어 있다." 사실상 그들의 고박과 갑판 하드웨어는 모두 온전하며, 두 선박을 모두 차지했던 사고의 명백한 증거가 있다.역사를 존속시키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라!"
— Charles Patrick Labadie, a maritime historian.[4]
"이러한 발견은 우리의 오대호 해양 역사에 귀중한 보탬이 되고, 심지어 그 깊은 곳에서도, 비 잠수부들과 다이버들 모두 그 유적지를 기록하고 보존하려는 성역적인 노력을 통해 난파선의 이야기를 더 많이 배울 수 있다."
— Steve Kroll, sanctuary Advisory Council member.[4]
연구원들은 오하이오 주의 난파선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지만, 아이론톤의 난파선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역사적 설명에 따르면, 아이론톤 호는 빠르게 가라앉았고, 따라서 오하이오의 난파선 근처에 있을 것이다.[5]그들은 그녀를 찾을 때까지 계속 탐색할 것이다.[4]
오늘 오하이오 주
오하이오의 난파선은 거의 300피트의 차가운 민물에 완전히 보존되어 있다.그녀는 앞마당이 여전히 서 있는 가운데 우현에 목록을 대고 똑바로 앉아 있다.2인용 바퀴가 달린 그녀의 나무로 만든 기와집은 온전하다.선미 근처에는 미즈젠 마스트가 아직 상투를 뜯은 채 서 있다.[2]그녀의 계획을 발견한 연구원들은 그녀를 국립 사적지 목록에 등재시킬 계획을 세웠다.[4]
참조
- ^ a b c d "Ohio". Great Lakes Vessel Histories of Sterling Berry. Retrieved 24 March 2018.
- ^ a b c d e f g h i j "Two Historic Shipwrecks Discovered in Thunder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Thunder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2-21. Retrieved 24 March 2018.
- ^ a b c d "Ohio".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Retrieved 24 March 2018.
- ^ a b c d e f g "Finding history: The discovery of two lost shipwrecks in Thunder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Thunder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Retrieved 24 March 2018.
- ^ a b c "Two century-old shipwrecks discovered in Lake Huron". The Detroit News. Retrieved 24 March 2018.
- ^ "Ships that go Bump in the Night: Collisions off Presque Isle by Dan Fountain". Marquette 265. Retrieved January 13, 2019.
- ^ "Sunken Treasure". The Mining Journal. Retrieved January 13, 2019.
추가 읽기
- Great Lakes Register (1916). Great Lakes Register for the Construction and Classification of Steel and Wooden Vessels. Volume 18. Cleveland: Great Lakes Register. hdl:2027/mdp.39015057176235.
- 로이드의 영국해운 및 외국해운 등록부(1902) 로이드의 영국해운 및 외국해운 등록부
- Ratigan, William (1977). Great Lakes Shipwrecks & Survivals. Grand Rapids, 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ing. ISBN 0-8028-7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