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리시족
Salish peoples셀리시 | |
---|---|
![]() | |
인구가 많은 지역 | |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 오리건, 아이다호, 몬태나 | |
언어들 | |
살리샤어족 | |
관련 민족 | |
태평양 북서부 해안의 원주민 |
샐리시족은 미국과 캐나다 태평양 북서부의 원주민으로 3,000년에서 [citation needed]6,000년 사이에 샐리시어에서 파생된 샐리시어를 사용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살리쉬"라는 용어는 언어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익명으로 근대에 시작되었다.Salish는 플랫헤드 보호구역의 Salish 부족의 어미인 Selish를 영어화한 것입니다.셀리시족은 가장 동쪽에 위치한 살리시족으로 미국과 외교관계를 맺은 최초의 민족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은 관련된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민족에게 널리 적용되었다.
살리시어
샐리쉬족은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벨라 쿨라(누살크), 코스트 샐리쉬, 인테리어 샐리쉬, 차모산.차모산족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연안 살리시족의 하위집단으로 여겨진다.
살리시족의 4대 그룹 중 문서화된 언어는 23개입니다.이들 중 적어도 5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나머지는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유창한 샐리쉬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고령자이고, 젊은 사람들은 매우 드물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부족 조직이 계획하고 시행하는 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를 계속 존속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현재, 참고 자료와 교육 [1][2]자원을 만들기 위해 한 팀의 학자들이 언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살어족 언어들, 특히 해안민족의 언어들은 주로 동화에 의해 위협을 받고 있다.캐나다 거주 학교와 같은 주립 프로그램은 유창한 샐리쉬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의 수를 줄이는데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그러나 오늘날의 학교들은 중등부터 대학까지 살리쉬어의 [3]지식과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언어와 문화의 활성화
1988년 살리쉬족과 쿠테나이족 연합(CSKT)의 자치 시범 프로젝트가 성공적이었고, 미국 정부는 1993년 그들의 부족 지도부에 완전한 자치권을 반납했다.이후 수십 년 동안 CSKT는 장로들이 부족 정책, 문화 및 교육에 대해 조언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통치로 돌아갔고, 그 결과 부족 정책은 그들의 문화 [4]유산과의 유대를 강화하려는 바람에서 성장했습니다.
2016년 인디언 종말정책(동화정책)의 효과를 스스로 확인하고 되돌리기 위해 이 부족은 이름을 영어화된 '살리시-프렌드 도레이유'에서 '셀리시-클리스페'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그 변화는 지역사회의 일상생활에 더 많은 살리샨을 포함시키려는 광범위한 운동의 일부였다.
Sellish-Clispispé에게 언어와 문화는 구전 역사, 음식 관행, 원예, 환경 및 영성을 통해 얽혀 있습니다.언어를 부활시킴으로써, 그들은 또한 그들의 정체성, 건강, 그리고 [5]문화를 되찾고 싶어한다.
살리샨어와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커뮤니티의 대처는 언어에 관한 수업(때로는 영어로 돌아가지 않는 언어에 대한 완전한 몰입) 외에 프레이저 리버 [6]밸리의 스토로-코스트 살리쉬 커뮤니티인 Sqéwlets와 같은 가상 투어나 박물관 등을 포함한다.1994년 문을 연 인민중앙박물관도[7] 있어 살리쉬와 쿠테나이 문물을 순환 전시하고 있다.전시된 작품들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유럽 [7]침략 이전과 당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구전 전통이 보완되어 있다.
역사와 문화를 되찾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전체의 유물 송환 요구도 있었다.
파워워스
Allee Espapqeyni Celevation은 매년 7월 4일에 열리는 Coutenai 부족의 주최로 몬태나주 Arlee에 있습니다.그것은 며칠 동안 진행되며 댄스 경연대회와 노래 경연대회(그리고 비경쟁적인 노래와 드럼 공연)[8]를 포함한다.
1884년, BIA는 인디언 춤이 공연되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었고, 그래서 부족들은 [8]비밀리에 춤을 추었다.종교적 영향을 받은 새로운 춤인 유령춤은 미국 정부가 경계하는 속도로 부족 간에 퍼지기 시작했고, 1890년 수족의 유령춤 의식을 방해하기 위해 군부대가 운디드니로 파견되었다.약 200명의 수족이 현재 운디드 니 대학살로 알려진 사건에서 총에 맞아 죽었습니다.
현대의 파워워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원주민 참전용사들이 전쟁에서 집으로 돌아왔을 때 생겨났다; 그들의 귀국을 축하하는 행사가 열렸고 전통 춤을 포함했다.전쟁이 끝나면서 서로에 대한 유보적 접근과 함께 새로운 공동체 의식도 생겨났고, 축하 행사는 개별 [9]부족에 대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이웃 부족들을 포함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플레인 인디언들이 도시 지역에 정착했을 때, 미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그들의 문화와 전통이 그들과 함께 가서 널리 퍼졌고, 그래서 많은 파우와 춤과 노래들이 플레인즈 전통에서 유래한 것이다.이러한 대규모 커뮤니티 센터로의 인구와 문화 분산은 제1차 세계대전 [9]이후 존재했던 부족간 네트워크도 강화시켰다.
예술 및 물질 문화
솔리쉬 직물
소금기 있는 직조공들은 식물과 동물성 섬유 모두를 사용했다.코스트 살리시 사람들은 털을 깎고 실을 짜기 위해 양털로 만든 개떼를 길렀다.코스트 살리쉬족은 또한 산양모, 물새, 삼나무 껍질, 쐐기 섬유, 밀크위드, 삼베 등 다양한 식물섬유를 사용했다.그들은 직조할 때 이 재료들을 결합할 것이다.아마도 양털에서 기름을 추출하기 위해 백토의 한 종류를 섬유에 [10]찧었다.모든 샐리쉬 담요가 개털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서민들의 담요는 보통 식물섬유로 만들어졌다.살리쉬 직물의 디자인은 지그재그, 다이아몬드 모양, 정사각형, 직사각형, V자 모양, 쉐브론과 [11][12]같은 그래픽 패턴을 특징으로 했습니다.
19세기 초중반, 모피 무역은 허드슨 만의 담요를 태평양 북서쪽으로 가져왔습니다.이 값싼 기계로 만든 담요의 유입은 생산 비용이 비싸고 노동 집약적인 토종 양털 담요의 감소로 이어졌다.솔리쉬한 직물은 덜 지속되었지만, 직공들은 연어를 먹는 [13]양털 개를 기르는 것보다 비용이 덜 들었기 때문에 주로 상인들이 그 지역에 가져온 양의 털실을 사용하는 것으로 전환했다.
1960년대에 샐리쉬 직물의 부활이 있었고 [14]1971년에 샐리쉬 직물 조합이 결성되었다.
삼나무의 사용
태평양 북서부에 풍부하게 있는 서부의 적삼나무는 코스트 살리쉬족의 생활에 중요한 자원이었다.카누, 롱하우스, 토템폴, 바구니, 매트, 옷, 그리고 그 외 많은 것들이 모두 삼나무로 만들어졌다.
토템폴
토템폴은 연안 살리시 문화에서 하이다족, 침시안족, 틀링깃족, 콰키우틀족과 같은 인근 비살리계 태평양 북서부 해안 민족보다 덜 흔했다.토템폴 전통이 코위찬, 코목스, 펜틀래치, 무스캄, 그리고 루미 부족을 포함한 북부 해안 살리시족에 의해 채택된 것은 20세기가 되어서였다.이 부족들은 독립적인 토템 기둥을 적게 만들었지만, 긴 [15][16][17][18]집 안팎에 집기둥을 새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서 태평양과 알래스카 남부 일부에 위치한 살리시인들은 부족 구성원의 영혼 동물이나 가족의 문양을 상징하는 토템 기둥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들은 오늘날에도 [19]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손으로 조각한 토템폴을 판매함으로써 이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의 샐리시 예술가
- 수잔 A. 포인트는 머스캄 나무 조각가이자 유리 예술가입니다.코스트 살리쉬의 집 기둥에서 영감을 얻은 그녀의 작품 "무스퀘임 웰컴 피규어"는 밴쿠버 국제 공항에서 볼 수 있습니다.
- 마티카 윌버는 스위노미쉬와 툴랄립의 사진작가로 미국 [20]연방에서 인정받은 562개 부족의 현대 인디언들을 기록한 프로젝트 562의 창시자이다.
- Debra Sparrow는 Musqueam의 예술가이자 직조공이다.그녀의 직물은 2017-2018년 [21]인류학 박물관에서 열린 '우리 땅의 직물: 솔리쉬 직물' 전시회에 소개되었다.
- Corwin Clairmont는 Salish Kootenai의 프린트 메이커이며 컨셉트 및 설치 아티스트입니다.
서브그룹 및 지역
샐리시족은 살리시어족의 각각의 어족에 따라 세분화된다.코스트살리시어를 사용하는 코스트살리시(피플), 인테리어살리시어를 사용하는 인테리어살리시(피플), 누살크어를 사용하는 누살크족(벨라 쿨라)이다.
누살크족은 브리티시컬럼비아의 벨라 쿨라에 위치한 최북단 살리쉬족이다.이 지역은 살리쉬족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연속 토지 구역과 분리되어 있다.
아래는 북에서 남으로 나열되는 대부분의 살리시 부족과 부족들의 목록입니다.
누살크(벨라 쿨라)
코스트살리쉬
- 체할리스
- 코목스
- 카울리츠
- 코위찬
- 할코메렘어를 사용하는 민족
- 호말코 (Xwemalhkwu)
- 쿠라후세
- 클랄람
- 루슈트시드어족
- 루미
- 머스캄
- 누크삭
- 펜틀래치
- 뿌얄업
- 키노
- 사니히
- 시샬(Sechelt 또는 Shishalh)
- 스코코미시(트와나)
- 스쿼미시
- 틸라묵
- Sliammon (Tla A'min)
- 츨레일-바우투트
- 쯔우케
인테리어 살리쉬
「 」를 참조해 주세요.
외부 링크
- 빅토리아 주 코스트살리쉬
- 살리쉬족과 쿠테나이족 플랫헤드족 보호구역 연합
- UBC 인류학 박물관에서 열리는 솔리쉬 직조전
레퍼런스
- ^ "Salish Languages - Linguistics - Oxford Bibliographies - obo". www.oxfordbibliographies.com. Retrieved 2019-11-15.
- ^ Tongues, Our Mother. "Our Mother Tongues Salish". ourmothertongues.org. Retrieved 2019-11-15.
- ^ "Coast Salish The Canadian Encyclopedia". www.thecanadianencyclopedia.ca. Retrieved 2019-11-15.
- ^ "Government -- About". www.cskt.org. Retrieved 2019-11-10.
- ^ "History and Culture -- Selis Qlispe Culture Committee". www.cskt.org. Retrieved 2019-11-10.
- ^ Ritchie, Morgan; Lepofsky, Dana; Formosa, Sue; Porcic, Marko; Edinborough, Kevan (September 2016). "Beyond culture history: Coast Salish settlement patterning and demography in the Fraser Valley, BC".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43: 140–154. doi:10.1016/j.jaa.2016.06.002. ISSN 0278-4165.
- ^ a b "Museum". The People's Center. Retrieved 2019-11-18.
- ^ a b "Home". www.arleepowwow.com. Retrieved 2019-11-18.
- ^ a b "Powwow Native American celebration".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9-11-18.
- ^ Hammond-Kaarremaa, Liz (Spring 2016). "A CURIOUS CLAY: The Use of a Powdered White Substance in Coast Salish Spinning and Woven Blankets". BC Studies. 189: 129–149, 197–198 – via Gale.
- ^ Wells, Oliver (1969). Salish weaving, primitive and modern, as practised by the Salish Indians of South West British Columbia. Internet Archive. [Sardis, B.C.: Author, 6937 Vedder Road].
- ^ Solazzo, Caroline (December 2011). "Proteomics and Coast Salish blankets: a tale of shaggy dogs?". Antiquity. 85 (330): 1418–1432. doi:10.1017/S0003598X00062141. S2CID 163398119 – via Gale.
- ^ Barsh, Russel. "Coast Salish Woolly Dogs". www.historylink.org. Retrieved 2019-11-14.
- ^ Tepper, Leslie (2017). Salish Blankets : Robes of Protection and Transformation, Symbols of Wealth. Lincoln : UNP - Nebraska. pp. xix. ISBN 9781496201492.
- ^ Smith, Harlan (March 1911). "Totem Poles of the North Pacific Coast". The American Museum Journal. XI: 77–82.
- ^ Hillaire, Pauline (2013-12-01). A Totem Pole History. UNP - Nebraska. doi:10.2307/j.ctt1ddr8f7. ISBN 9780803249509.
- ^ Barnett, H. G. (1942). "The Southern Extent of Totem Pole Carving". Pacific Northwest Quarterly. 33: 379.
- ^ "Totem Poles". indigenousfoundations.arts.ubc.ca. Retrieved 2019-11-14.
- ^ "Totem Pole The Canadian Encyclopedia". www.thecanadianencyclopedia.ca. Retrieved 2019-11-18.
- ^ "Matika Wilbur". North Sound Life. Retrieved 2019-11-16.
- ^ Correia, Cory (November 17, 2017). "'We're not just making a blanket, we're making history': Salish weavings on displa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November 16, 2019.